2017-12-31
백선엽 회고록의 숙군 당시 박정희 구명에 관한 서술
23시 59분의 잉여로운 잡담실: 백선엽 회고록의 숙군 당시 박정희 구명에 관한 서술
백선엽 회고록의 숙군 당시 박정희 구명에 관한 서술
백선엽의 회고록은 여러 차례 출간된 바 있습니다. 백선엽 회고록의 사료적인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창군 부터 한국전쟁에 이르는 시기 백선엽의 회고는 내용이 풍부한데다 백선엽의 지위 때문에 흥미로운 내용이 많습니다. 그런데 회고록이 여러 차례 나오다 보니 어떤 부분에서는 서술에 미묘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숙군당시 체포된 박정희가 구제되는 과정입니다.
여기서는 2009년 시대정신에서 간행한 『군과 나』와 2012년 책밭에서 간행한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에 실린 내용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한편 숙군 과정에서 중형이 선고된 군인 중 유일하게 구제된 경우가 있었으니 다름 아닌 박정희 소령이었다. 방첩대 수사반은 남로당 군사책 이재복李在福이 육군사관학교에 조직을 침투시켜 일부 중대장을 통해 생도들까지 좌익 활동에 가담시킨 사실을 포착했다. 이 수사에서 용의자의 한 사람으로 체포된 사람이 육사에서 중대장으로 근무했었고, 당시 육본 작전교육국 과장이던 박 소령이었다.
숙군 1단계 작업이 완결될 즈음인 1949년 초 어느 날, 방첩대 김안일 소령(준장 예편ㆍ육사)이 나에게 “박 소령이 국장님을 뵙고 꼭 할말이 있다고 간청하고 있으니 면담을 해 주십시오”라고 했다. 박 소령이 조사 과정에서 군내 침투 좌익 조직을 수사하는데 적극 협조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사실 사관학교 등 군내 좌익 조직 수사는 최초 단서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었다.
나는 면담을 승낙했다. 당시 내 사무실은 국방부와 방첩대 두 곳에 있었다. 내가 박 소령을 만난 곳은 명동 구 증권거래소 건물 3층 정보국장실이었다. 박 소령은 한참을 묵묵히 앉아 있다가 입을 열었다.
“나를 한번 도와주실 수 없겠습니까.”
작업복 차림의 그는 초췌해 측은해 보이기까지 했다. 그러나 태도는 전혀 비굴하지 않고 시종 의연한 자세였다. 평소 그의 인품에 대해서는 들어 알고 있었으나 어려운 처지에서도 침착한 그의 태도가 일순 나를 감동시켰다. 그래서였을까.
“도와드리지요.”
참으로 무심결에 내 입에서 이런 대답이 흘러나왔다.
약 20분간 면담을 마치고 그를 돌려보냈다. 나는 일단 내 입으로 한 약속을 지키기로 했다.
당시 숙군 작업은 이승만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로버츠 미 군사고문단장도 간여하고 있었다. 나는 정보국 고문관 리드 대위로 하여금 참모총장 고문관 하우스만 대위와 로버츠 준장에게 박 소령 구명에 관해 양해를 구했다. 동시에 육군본부에 재심사를 요청했다. 육본은 참모회의를 거쳐 형집행정지를 내렸고, 박 소령을 불명예 제대시키는 선에서 마무리했다.
백선엽, 『군과 나』(시대정신, 2010), 416~417쪽.
2012년에 나온 회고록에서 서술하는 내용은 약간 미묘하게 다릅니다.
박정희 소장, 그는 내가 군대 생활을 하면서 자주 머리에 떠올렸던 인물은 아니었다. 그 또한 나와는 함께 근무한 적이 없어 개인적인 관계만을 따지면 특히 걸릴게 없는 사이였다. 그러나 그는 어느 한순간 숙명처럼 내 앞에 다가온 적이 있다. 아주 결정적인 장면이었으나, 나는 그가 나중에 5ㆍ16을 일으키고 대통령 자리에 오른 뒤 그를 떠올릴 수 있었을 뿐이었다. 그만큼 그는 내게 강렬한 인상을 주는 군인은 아니었다.
그는 1948년 좌익 남로당의 군사책이라는 혐의를 받아 숙군 작업에 걸려들었다. 단심인 군사재판에서 결국 무거운 혐의를 벗지 못해 사형을 판결 받고 말았다. 나는 당시 숙군작업을 모두 지휘하는 입장이었고, 그는 밧줄에 묶인 사형수로서 지금의 명동에 있던 증권거래소 지하 감방에 갇혀 있었다.
나는 이전에 내가 펴낸 회고록에서 이를 자세히 서술한 적이 있다. 그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1949년 1월 어느 날 그는 내 앞에 나타났다. 군 생활을 하면서 한 번 마주친 적이 있어 그의 얼굴을 나는 기억했다. 그는 수갑을 찬 상태였다. 그의 육군사관학교 동기생인 정보국 방첩과 김안일 과장이 그 만남을 주선했다.
나는 숙군을 지휘하는 정보국장이어서 김안일 과장이 마지막으로 그의 동기생인 박정희의 구명 가능성을 타진해보기 위해 만든 자리였다. 퇴근 무렵 내 사무실에 들어선 박정희 당시 소령은 구명을 위해 내 앞에 섰으나, 분위기는 매우 침착해 보였다. 그는 내가 먼저 “할 말이 있으면 해보라”는 권유에도 한동안 말없이 앉아 있었다.
다소 긴 침묵이 흐른 뒤 그는 “한 번 살려 주십시요...” 라면서 말끝을 흐리다가 눈물을 비치고 말았다. 나는 그 모습이 어딘가 아주 애처로워 보였다. 당시 그의 혐의 자체는 무거웠으나 실제 남로당 군사책으로 활동한 흔적은 많지 않았다. 게다가 숙군작업의 진행을 위해 솔직하게 남로당 군사 조직을 조사팀에게 제공해 개전의 여지를 보였다.
나는 그런 내력을 감안해 그의 구명 요청을 들은 뒤 “그럽시다. 한 번 그렇게 해 봅시다”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육군 최고 지도부에 그의 감형을 요청했고, 결국 그는 풀려나 목숨을 구했다. 나는 또 군복을 벗게 된 그의 생계를 염려해 정보국 안에 민간인 신분으로 일할 수 있도록 했다.
그 후 나는 정보국에 김종필을 비롯한 나중의 5ㆍ16 핵심 멤버를 이룬 육사 8기생 31명을 선발해 정보국에 배치했다. 역사의 우연이라면 큰 우연이다. 나는 꺼져가는 박정희의 생명을 붙잡았고, 결국 육사 8기생까지 선발해 그와 만나게 한 셈이었다.
백선엽,『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책밭, 2012), 124~125쪽.
뭔가 미묘하게 차이가 나는 서술입니다. 2012년에 나온 회고록에 실린 내용은 진영에 따라서 아주 재미있게 다룰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군요.
Email ThisBlogThis!Share to Twitter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레이블: 군사고문단, 남로당, 로버츠, 박정희, 백선엽, 숙군, 이재복, 하우스만, 한국군
위치 9:24 PM
15 comments:
이준님9:27 PM
보통 그런 경우는 후일의 회고가 더 신빙성이 있지 않나싶습니다. 아무래도 이전에는 박정희에 대한 신화적인게 어느 정도 있긴 하지만요.
어떨때 보면 후일의 회고가 더 신화에 가까울 경우도 있지만요
덧: 80년대초반이나 이런 비사(말 그대로 술집이나 대학가에서 하는류의)류에서 "박정희를 내가 구했다"는 사람이 줄을 섰던 걸 본다면 저 증언도 교차 검증이 있어야지요.
덧덧: 조갑제의 "박정희 술마실때 X 같은 새X" 설이라던가. 뭐 여러 이야기도 뒷판에서는 "그런거 없다"로 나간 걸 보면 어느 정도 가감은 해야할겁니다.Reply
Replies
길 잃은 어린양10:21 PM
그렇지요. 특히 백선엽의 회고에서 왜 최근에 들어와 미묘한 변화가 생겼는지 확인해보려면 다른 자료를 찾아보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Reply
dteinhof9:45 PM
제가 가진 대륙연구소 출판부 판, 지구촌 판도 모두 전자와 같은 묘사를 하고 있습니다. 최신판에서만 바뀐 게 맞네요.Reply
Replies
길 잃은 어린양10:19 PM
그렇군요. 저는 아직 다른 판본들을 다 교차검증하지 못했습니다. 확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ply
mungia10:28 PM
이거 굉장히 상반된 내용인데요, 백씨의 인간성을 보여주는게 아닐지Reply
Replies
길 잃은 어린양3:48 PM
예. 차이를 보이는 내용이라서 왜 2012년에 나온 회고록에서는 기존의 회고록과 다른 내용이 나온 건지 궁금해집니다.
Reply
윤민혁3:38 PM
2012년 책이건 그 이전 책이건 결국 대필작가가 쓴 책이고, 단지 백선엽 장군의 인터뷰에 임할 때의 대필작가의 독자 조사 수준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5사단장 시절 통비 마을 방화사건에 대해서도 이전 판본은 그냥 그런 일이 있었다고만 했지만 뒤의 것은 가해자의 배후부터 시작해서 이것저것 내용이 많았죠...
다만, 이게 진짜 연구 결과인지 아니면 소설가적 역량 발휘 결과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여기에 양자 모두 정치적 의도가 없지 않은 책이기도 했다는 것 역시 감안할 필요는 있겠죠. 전 후자 쪽을 좀 더 신뢰하는 입장이긴 하지만 사실 판본 전체에 걸쳐 소설 같아 보이는 부분이 많다는 게 굉장히 꺼림칙하거든요.Reply
Replies
길 잃은 어린양9:03 PM
높은 양반들은 거의 대부분 대필작가를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책은 대필자가 쓰더라도 원고를 검토하고 최종 승인을 내는 것은 본인이니 뭔가 의도가 있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꽤 민감한 문제라 백선엽의 위치를 생각해 보면 쓸데없이 날조를 하는건 위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윤민혁7:19 PM
뭐 개인적인 생각이니까요. 군과 나의 한국어판과 일본어판 상 내용 차이나 그런 것도 백선엽 장군이 일일이 다 챙기셨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는데, 그 과정에서 당대 독자들이 보고 싶어할 만한 걸 일부러 넣으려 하셨거나, 보고 싶어할 거라고 생각해서 일부러 페이크를 쓰시지 않았나 할 때가 좀 있는 정도입니다. (웃음)
Reply
아텐보로8:33 PM
박명림교수가 백선엽장군을 2010년에 인터뷰한걸 오늘 우연히 다시보게 됐는데 여기에 해당부분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전자와 똑같군요.
http://media.daum.net/society/affair/newsview?newsid=20100531080005373Reply
Replies
길 잃은 어린양10:39 PM
예. 제가 궁금한건 1950년대 이후를 다루는 최근 회고록에서 굳이 할 필요가 없는 숙군시기의 일화를 썼을까 하는 겁니다. 그것도 이전의 서술과는 조금 다르게.
Reply
김홍래10:25 PM
구글이 RSS 서비스를 버리겠다고 했을 때부터 블로그 피드에 신경을 안 썼더니 이런 흥미로운 글을 이제서야 보게 되네요.Reply
Replies
길 잃은 어린양10:39 PM
예. 저도 구글 RSS만 쓰다가 그게 없어지니 꽤 불편합니다.
Reply
racoonsolo12:02 AM
당연히 알고 계시는 사실이겠지만
2009년 '군과 나'도 사실 훨씬 이전에 쓰여진 책이 재판된 것입니다.
즉 '박정희의 위광이 살아있던 시절'에 쓰인 것이라 봐야겠지요.
시대적 배경의 차이를 고려해서 봐야할 부분 아닌가 싶습니다.Reply
Replies
길 잃은 어린양12:22 AM
『군과 나』는 노태우 시기에 처음 나왔습니다. 이 책의 출간은 성우회가 전두환때 해체되었다가 재건되는 것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박정희의 위광 문제를 지적하셨는데 박정희의 위광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군과 나』가 출간된 1989년 시점에서는 오히려 전두환 시기의 박정희 격하(?)의 영향이 훨씬 강했다고 봐야 겠지요.
그보다는 박정희, 또는 그 일가에 대한 백선엽 개인의 생각이 변화한게 더 중요한 요인이 아닐까 생각되기도 합니다.
하여튼 왜 이런 서술의 차이가 생겼는가는 개인적인 의문입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