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2-20

동아일보 사주들, 한 세기 동안 민족을 속였다



동아일보 사주들, 한 세기 동안 민족을 속였다

[김종철 칼럼] 동아일보 ‘창업주’ 김성수 서훈 박탈로 실체 여실히 드러나
김종철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cckim999@naver.com 2018년 02월 19일 월요일
---------
설 연휴가 시작되기 전인 지난 13일, 한국 현대사와 언론사의 여러 군데를 고쳐 쓰게 만드는 ‘사건’이 일어났다. 문재인 정부의 국무회의가 동아일보의 초대 사주인 김성수가 1962년에 받은 건국공로훈장 복장(현재 대통령장)을 취소하기로 의결한 것이다. 쿠데타로 권력을 찬탈한 박정희의 국가재건최고위원회가 ‘동아일보와 각종 학교를 세운 언론·교육 분야 공로’로 수여한 그 훈장에 관해 지난 56년 동안 진보적 역사학자들과 언론학자들은 끈질기게 부당하다고 주장해 왔다. 왜냐하면 일제강점기 말에 조선일보와 함께 친일반민족행위를 일삼은 바 있는 동아일보의 사주를 ‘건국의 공로자’로 떠받드는 것은 나라 안팎에서 민족의 독립과 해방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운 선열들에 대한 모독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김성수 서훈 박탈’은 아주 중대한 사건임이 분명한 데도 그의 후손이 경영하는 동아일보는 물론이고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를 비롯한 주요 매체들에 전혀 보도되지 않았다. 한겨레와 경향신문, 미디어오늘, 노컷뉴스, 연합뉴스, 뷰스앤뉴스 등이 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했을 뿐이다.



▲ 동아일보 창업주 인촌 김성수 선생(왼쪽)과 이승만 전 대통령(오른쪽)

김성수에 이어 동아일보 사주가 된 장남 김상만, 장손 김병관, 증장손 김재호는 사장 또는 회장으로서 그의 친일·반민족 행위가 세상에 알려지는 것을 필사적으로 막으려 했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 5월31일, 대통령 소속 기구로 발족한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약칭 반민규명위)가 활동 종료를 앞둔 2009년 11월 27일 김성수와 방응모(조선일보 전 사장, 현재 방상훈 조선일보 대표이사의 할아버지) 등 20명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하자 동아·조선일보사가 가장 강력하게 반발했다. 결국 ‘시일야방성대곡’으로 유명한 장지연, 방응모, 이승만 정부 초대 내무부장관 윤치영, 전 이화여대 총장 김활란 등 19명의 서훈이 취소되었지만, 동아일보사는 서훈 취소 무효소송을 제기하며 막무가내로 버티다가 2013년 4월13일 대법원에서 “김성수는 친일반민족행위자”라고 확정 판결을 내리자 하릴없이 물러서고 말았다. 그러나 자사의 매체들에는 그런 사실을 단 한 줄도 보도하지 않았다. 동아일보 사주들이 신문과 행동을 통해, 어떻게 민족을 속여 왔는지를 간략히 살펴보겠다.





▲ 동아일보 사옥. 사진=김도연 기자

3·1운동 이듬해인 1920년 4월 1일, 일제 조선총독부의 ‘문화정치’ 일환으로 창간된 동아일보(조선일보는 3월 5일 창간)는 ‘조선 민중의 표현기관을 자임’하면서 ‘민주주의 지지’와 ‘문화주의 제창’을 표방했으나 초대 사장에 ‘친일파 거두’ 박영효를 추대함으로써 자기모순에 빠져버렸다. 동아일보사는 애초에 조선의 ‘지식인과 유지’ 400여명이 출자한 주식회사였는데 주주 총대(總代)를 맡은 김성수는 교묘한 방법으로 회사를 사유화 했다.



동아일보는 창간 당일인 4월1일자부터 29일자까지 일제를 자극하는 논설과 기사를 잇달아 싣다가 발매금지를 당했고, 9월5일에는 ‘제사 문제를 논하노라’라는 사설 때문에 무기정간 처분을 당하기도 했지만 조선총독부가 속간 조치를 하자 ‘일본 친구여’라는 제목의 사설로 일제에 극도로 아부했다. 1924년 1월2일자부터 6일자까지 5회에 걸쳐 나간 ‘민족적 경륜’이라는 사설은 만주와 시베리아 등지에서 무장항일투쟁을 하던 독립운동가들의 노선을 비현실적이라고 비판한 뒤, 일제가 “조선 내에서 허하는 범위 안에서 일대 정치적 결사를 조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1936년 8월13일 동아일보는 지방판 조간 2면 및 조선중앙일보의 4면, 동아일보의 8월25일자 2면에 1936년 하계 올림픽 남자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의 우승 사실을 보도하면서 일장기를 삭제했다. 사진=위키백과

동아일보가 창간 기념일을 맞이할 때마다 일제강점기의 대표적 ‘항일 사건’이라고 주장하는 1936년의 ‘일장기 말소’는 독자와 대중을 기만하는 대표적 사례이다. 베를린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조선 청년 손기정이 시상대에 올라선 모습을 담은 사진에서 가슴에 붙은 일장기를 지운 채 처음으로 내보낸 신문은 몽양 여운형이 사장으로 있던 조선중앙일보였다. 그런데 동아일보는 그보다 15일이나 늦게 일장기를 말소한 사진을 실었다가 무기정간을 당하자 거사를 일으킨 기자들을 전원 해직한 뒤 조선총독부 고관들을 찾아가 복간을 시켜달라고 애걸했다.



일본군이 중국을 노골적으로 침략하던 1937년부터 동아일보가 강제 폐간된 1940년까지 지면을 보면 ‘이것이 과연 우리 민족이 만든 신문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일본 ‘천황’ 히로히토의 생일이 되면 1면 머리에 최고의 경칭을 총동원해서 축하를 하고, 이른바 ‘애국일’에는 ‘황군의 노고’를 치하하면서 ‘전 조선적 애국’을 강조했다. 동아일보는 1940년 8월 폐간 당일까지 ‘언론보국의 거룩한 사명’에 충실하려고 애썼다.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에 펴낸 ‘친일인명사전’의 ‘김성수’ 항목에는 그의 친일반민족행위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는 보성전문학교(고려대의 전신) 교장이던 1937년 8월 경성군사후원연맹에 ‘국방헌금’ 1000원을 납부하는가 하면 1938년부터 일제강점기 말까지 어용단체인 국민정신총동원연맹 이사, 조선임전보국단 감사 등으로 일하면서 조선 청년들을 일제의 침략전쟁에 ‘총알받이’로 내보내는 데 앞장섰다. 그의 후손들이 이런 인물을 친일반민족행위자가 아니라고 우기던 작태가 이제라도 사라지게 되었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김성수의 장남 김상만이 동아일보사 사장으로서 민족을 속이고 민중을 배신한 대표적 보기는 1975년 3월17일, 자유언론실천운동에 참여했던 기자, 피디, 아나운서 등 113명을 폭력으로 몰아낸 사건이다. 그는 박정희 정권과 야합해,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민중언론운동의 주역들을 무자비하게 추방하고도 한 동안 지면에 날조된 ‘격려광고’를 싣게 했다. 그로부터 43년 동안, 해직된 언론인 113명 가운데 29명이 옥살이, 정보기관의 고문, 생활고 등으로 세상을 떠났다.



▲ 동아일보 언론인들은 1974년 10월24일 동아투위 자유언론실천선언을 발표했다.

김상만의 장남으로 사장과 회장을 지낸 김병관은 1980년 ‘서울의 봄’에 민주화가 될 가능성이 커지자 동아투위(해직된 사원들의 조직)를 향해 복직을 논의하자는 신호를 보내다가 전두환 일파의 5·17 쿠데타로 군사정권이 들어서자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동아투위를 외면해 버렸다. 민주주의 체제에서 정부가 영속성을 지니듯이, 사회를 이끄는 공론기관인 언론사에서도 이전 경영자들의 위법행위와 만행을 후계자가 사죄하고 해결해야 하는데 현재 동아일보 사장인 김재호는 2008년 10월 국가기구인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결정(“국가와 동아일보사가 동아투위 위원들에게 사과하고 응분의 배상을 할 것”)을 아예 무시해버렸다.



2007년의 17대 대통령선거부터 2012년의 18대 대선까지 동아일보는 조선·중앙일보와 더불어 이명박과 박근혜를 당선시키기 위한 기사와 논설을 쏟아냈다. 2017년 10월에 시작된 촛불혁명의 힘으로 박근혜가 탄핵당해 감옥에 갇히고 이명박도 최근 온갖 위법행위와 비리가 드러나 검찰의 포토라인에 서기 직전인 데도 동아일보는 이명박근혜를 지지하고 옹호한 사실에 관해 단 한 마디 사죄도 하지 않고 있다. 경영권을 세습한 제4대 사주 김재호의 후안무치함을 명백히 확인할 수 있다.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1355#csidx28be6cee273e516913045b1a3dc2232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