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1-17

북한정보포털 농업

북한정보포털

농업

담당부서 : 경제사회분석과(02)2100-5881~8
   
1. 개요
농림어업이 북한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7%(2016년 기준)로 7조 8,326억원(원화 기준, 명목 GNI) 규모이다.
북한의 농가인구는 1965년 약 5백만 명 수준에서 2008년 857만 명으로 증가하였으나, 비중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북한의 농촌인구
(단위 : 천명)
연도
남 한
북 한
A/B(배)
농가인구(A)
비중(%)
농가인구(B)
비중(%)
1965
15,810
55.1
4,990
40.8
3.2
1990
6,661
15.5
7,644
37.8
0.9
2008
3,187
6.5
8,573
36.8
0.4
2009
3,117
6.3
-
-
-
2010
3,063
6.2
-
-
-
2011
2,962
5.9
-
-
-
2012
2,912
5.8
-
-
-
2013
2,847
5.6
-
-
-
2014
2,752
5.4
-
-
-
2015
2,569
5.0
-
-
-
2016
2,496
4.9
-
-
-
* 자료 : 통계청,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2017년
농지는 용도별로 1년생 농작물 경작지, 다년생 농작물 경작지, 목초지, 임야로 구분된다. 농지를 형태별로 구분하면 크게 논과 밭으로 나뉜다. 북한의 농지면적은 191만ha로 추정되며 이중 논 면적이 32%, 밭 면적이 68%를 차지하고 있다.
남북한 농경지 면적 비교
(단위 : 천ha)
연도
남 한
북 한
남/북(배)
1965
1,286
970
550
1,443
2.3
0.7
1995
1,206
779
585
1,407
2.1
0.6
2008
1,046
713
609
1,301
1.7
0.5
2009
1,010
727
609
1,301
1.7
0.6
2010
984
731
609
1,301
1.7
0.6
2011
960
738
571
1,339
1.7
0.6
2012
966
764
571
1,339
1.7
0.6
2013
964
748
571
1,339
1.7
0.6
2014
934
757
571
1,339
1.6
0.6
2015
908
771
571
1,339
1.6
0.6
2016
896
748
571
1,339
1.6
0.6
* 자료 : 통계청,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2017년
북한은 식량자급을 중요한 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제한된 농지에서 식량자급 목표를 이루려다 보니 집약적으로 영농을 할 수밖에 없다. 북한의 지형 특성상 농경지 면적의 많은 부분은 경사가 심하고 심지어 나무를 벌채하여 경사지에 농사를 짓는 경우도 있어 비가 많이 오면 토양 유실이 심각 하다.
북한의 농경지 면적 191만ha를 경영 형태별로 구분하면 대부분 협동농장에 속해 있다.
북한의 농장 경영 형태와 농경지 분포
구 분
협동농장
국영농장
종합농장
경 지
175만 ha
10만 ha1)
6만 ha2)
기 능
식량 및 농산물 생산
종자, 종축, 축산물, 특수작물생산
식량 및 농산물 생산특수작목 대규모 생산
종 류
-
채종농장, 종축장, 원종장전문농장(과일, 담배, 양묘)축산농장(가금류, 돼지, 염소)
일반 농산 종합농장전문종합농장(과일, 담배)
소유/관리
공유/협동경영
국유/국영‧도영(道營)
국유/국영
소득분배
분배와 국가수매
임금지불과 국가수매
임금지불과 국가수매
주 1) 국영농장의 경지면적에는 국가기관과 공장기업소의 부업농지가 포함된 것임.
주 2) 종합농장의 경지면적은 총 면적 중 협동농장과 국영농장의 경지면적을 차감한 면적임.
국영농장은 정부가 소유하고 경영하는 농장으로서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하나는 농사시험, 채종, 가축 및 가금사양, 양잠, 묘목, 과수 등에 특화된 농장이며, 다른 하나는 농장의 모범적 사례로서 군의 협동농장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대규모 농장으로 개편한 종합농장이 있다. 후자에 속하는 국영 농장은 최근 들어 점차 과거의 협동농장 단위로 다시 분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 관리체계
3. 농업생산현황
가. 곡 물
북한의 곡물 생산량에 관한 통계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 발표한 것과 한국의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한 것이 있다. FAO에서 발표한 자료는 북한정부가 유엔에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농촌진흥청 발표 자료는 농촌진흥청이 북한지역과 유사한 환경에서 시범재배 등의 방식을 통해 추정한 것이다.
또한 FAO는 양곡년도(전년도 11월~이듬해 10월)를 기준으로 추곡생산량과 이듬해 이모작 생산량 추정치를 포함하는 반면, 농촌진흥청은 1월~12월을 기준으로 한해 이모작 생산량과 추곡생산량을 반영하는 차이가 있어 단순하게 비교할 수 없다.
북한의 곡물생산 추이
(단위 : 만톤/정곡기준)
양곡년도
농촌진흥청
FAO
1995년
413
722
1996년
345
407
1997년
369
300
1998년
349
266
1999년
389
348
2000년
422
347
2001년
359
292
2002년
395
354
2003년
413
384
2004년
425
415
2005년
431
423
2006년
454
-
2007년
448
-
2008년
401
-
2009년
431
334
2010년
411
-
2011년
-
425
2012년
-
465.7
2013년
468
492.2
2014년
481
503.0
2015년
480
508.2
2016년
451
480.1
2017년
482
515.0
2018년
471
-
* 자료 : 통계청, FAO
나. 축산물
1963년 이래 북한의 축산업은 국영축산, 협동축산 및 농민부업축산의 3원체제로 유지되고 있으며, 1996년 이후 사료곡물부족에서 비롯된 축산업 전반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염소, 양, 토끼 등 목초가축 사육을 적극 권장하였다.
만성적인 식량사정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은 최근까지 계속되고 있으나 닭과 오리의 경우 비교적 단기간에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가금의 특수성 때문에 1990년대에 비하여 배정도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1996년부터의 목초가축 중심의 축산발전정책으로 염소와 토끼의 사육두수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자료 : 북한의 농업환경과 농축잠산업의 실태 및 생산동향 분석, 농업진흥청, 2011년
북한의 가축사육두수
(단위 : 천두)
구분
1996
2000
2004
2008
2012
2013
2014
2015
2016
615
579
566
576
576
576
575
571
568
248
185
171
167
168
168
168
164
160
염소
712
2,276
2,736
3,441
3,689
3,682
-
-
-
토끼
3,056
1,475
19,677
26,467
29,120
31,480
32,500
33,492
35,946
돼지
2,674
3,120
3,194
2,178
2,857
2,265
2,100
1,970
2,034
8,871
14,844
18,729
14,071
16,847
15,309
14,500
14,500
15,000
오리
1,098
2,078
5,189
5,878
5,468
6,012
6,000
6,072
6,069
거위
554
889
1580
1477
1584
1880
-
-
-
* 자료 : WFP/FAO special report 2013.
다. 채 소
북한의 채소 재배면적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국과는 달리 북한은 대부분의 채소를 노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배추, 무 등 김장용 채소가 가장 많이 재배되며 고추, 마늘, 파, 양파 등 양념채소가 채소 재배면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 외 오이, 가지, 호박 등 신선채소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2008년의 경우 북한의 전체 채소 재배면적은 319,000ha이며 총 생산량은 3,755,500톤으로 ha당 수량은 11.8톤이다. 채소 재배면적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서류로 190,000ha로 추정되며 다음으로 배추, 무, 열무 등 34,000ha, 고추 27,000ha 순이다. 이 밖에도 오이 6,000ha, 가지 5,000ha, 마늘 8,500ha, 파 7,500ha, 양파 7,000ha, 참외류 11,000ha, 호박 8,500ha, 토마토 8,500ha, 수박 6,500ha 등이 재배되었다.
라. 과 일
1960년대까지만 해도 과일 재배면적은 20,000ha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적었다. 그러나 1970년대 들어서면서 과일 재배면적이 크게 확대되었다. 2008년의 경우 과수 재배면적은 168,000ha이며 생산량은 1,370,000톤이다. 과수 중 가장 재배 면적이 넓은 작물은 사과로 70,000ha이다. 다음으로는 복숭아 16,000ha, 배 14,000ha, 기타 신선 과일 68,000ha이다.
* 자료 : FAOSTAT Database Collections. 2009.
마. 농자재 및 농기계 보급
북한은 생산공정을 가동하기 위한 전력과 원재료 부족에 기인하여 만성적인 비료 부족을 겪고 있으며, 성분함량이 낮으며 질이 낮은 비료(석회질소, 과인산석회, 황산암모늄 등) 위주로 생산하고 있다. 특히 북한의 비료생산은 전기에 의존하는 공정 위주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전력난으로 비료 생산에 차질이 생겼다. 한편, 최근 유기질 비료 생산을 강조하는 것도 화학비료 부족에 대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화학비료 생산능력 및 생산량
(단위 : 천M/T)
연 도
생산능력
생산량
남한
북한1)
남한
북한
1994
4,688
2,612
4,328
738
1995
4,788
2,612
4,301
676
1996
4,788
2,612
4,294
536
1997
4,788
2,612
3,983
431
1998
4,588
2,612
3,554
392
1999
4,588
2,612
3,691
572
2000
4,588
2,352
3,730
539
2001
4,202
2,352
3,500
546
2002
4,512
2,352
3,301
503
2003
4,722
2,372
3,314
416
2004
4,722
2,372
3,614
434
2005
5,034
2,372
3,950
450
2006
5,124
1,949
3,183
454
2007
5,124
1,949
3,432
454
2008
4,249
1,949
3,188
479
2009
4,249
1,949
2,558
466
2010
4,299
1,949
2,815
459
2011
4,299
2,249
2,738
471
2012
4,299
2,249
2,577
476
2013
4,144
2,249
2,577
485
2014
-
2,249
2,320
501
2015
-
1,907
1,982
528
2016
-
1,907
2,065
604
주 1) 질소 46%, 인 20% 함량기준
* 자료 : 통계청,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2015년
바. 남북한 농업기술 수준 비교
[벼]
남북한 벼 농업 주요 기술 현황 비교
구 분
남 한
북 한
· 품종
· 일반계 양질미 위주 78품종
· 용도 및 형질 다양
· 종간잡종 3, 통일계 7 등 10여품종
· 수량 위주, 형질 간단
· 파장(이앙)
· 어린모 기계이앙, 직파
· 보온못자리, 성묘 이앙
· 재식밀도
· 73~92주/평
· 120~125주/평(밀식재배)
· 시비(N-P-K)
· 110-70-80kg/10a
· 140-70-80kg/10a
· 수확관리
· 생력기계화, 콤바인 탈곡
· 인력이용, 전기탈곡
* 자료 : 「북한의 산업」 2015
[옥수수]
남북한 옥수수 농업기술 현황 비교
구 분
남 한
북 한
· 장려품종
· 파종방법
· 재식밀도
· 시비(N-P-K)
· 제초, 수확
· 용도별 8품종
· 직파재배, 기계파종
· 55천본/ha
· 180-150-150kg/ha
· 제초제사용 및 기계수확
· 종실용 위주 28품종
· 영양포트 재배→직파 재배 전환
· 80~90천본/ha(밀식재배)
· 140-140-80kg/ha(재배)
· 수작업 60%, 기계제초 30%
* 자료 : 「북한의 산업」 2015
[감자]
남북한 감자 농업기술 비교
구 분
남 한
북 한
· 품종
· 용도별 내병 다수성 7개 품종(수미 등)
(조중생종 위주 : 80~120일)
· 식용위주 포태계통
(중만생종 위주 : 90~140일)
· 재배지역
· 평탄지 75%, 고랭지 25%
· 산간고랭지 집중재배(800m 이상)
· 재배방법
· 직파재배, 비닐멀칭재배, 하우스터널재배
· 직파재배
· 파종
· 파종전처리
· 파종법
· 파종깊이
· 욕광처리, 육아재배
· 기계파종, 인력파종
· 5~10cm
· 욕광처리, 육아재배
· 인력파종
· 5~10cm, 12~15cm
· 재식거리 재식밀도
· 70×25cm
· 45~55천주/ha : 소식
· 70×20cm
· 60~78천주/ha : 밀식
· 시비량(kg/10a)
· 퇴비
· N-P-K
· 2,000
· 춘작 : 10-10-12
· 추작 : 15-10-12
· 하작 : 15-18-12
· 400
· 6-7-2(하작 중심)
· 제초
· 제초제 위주
· 손제초 위주 및 제초제
· 병충해 방제
· 약제방제(역병, 진딧물)
· 부분적 약제방제(역병)
· 수확
· 기계수확, 인력수확
(2~12월 주년생산)
· 인력수확
(7~8월 하계 단기생산 위주)
* 자료 : 「북한의 산업」 2015
[토양·비료]
남북한 토양·비료 기술 비교
구 분
남 한
북 한
토양조사
· 전국 논 세부 정밀 조사 완료
· 전국토 개관조사 완료
비료형태
· 다양한 종류와 품질
· 3요소, 전용복비, 미량요소, 유기질비료 등
· 속효성, 완효성
· 단순한 형태 형질 간단
· 3요소, 퇴구비 중점
· 산성비료 시용(교체중)
· 속효성, 단비 중심
시비방법
· 전층, 표층, 측조 시비
· 전층, 표층 시비
* 자료 : 「북한의 산업」 2015
[농기계]
남북한 농기계 기술 비교
구 분
남 한
북 한
트 랙 터
· 소·중·대형, 기종 다양
· 대형 중심, 기종 단순
경 운 기
· 가솔린, 디젤기관
· 열기관(발동기식)
이 앙 기
· 상자육모용 4~8조식
· 성묘용 7~10조(반자동)
방 제 기
· 방제전용기 및 부착기
· 트랙터 부착용 위주
수 확 기
· 자탈형 콤바인 위주
· 6조 예도형 예취기 위주
* 자료 : 「북한의 산업」 2015
[작물보호]
남북한 주요 병해충 비교
구 분
남 한
북 한
수도병해
· 도열병, 문고병, 바이러스병, 백엽고병 등
· 도열병, 문고병, 백엽고병, 깨씨무늬병, 키다리병 등
수도충해
· 벼멀구, 벼물바구미, 벼애잎굴파리, 흑명나방 등
· 이화명나방, 벼애잎굴파리, 흑명나방, 벼물바구미(저온성해충) 등
수도잡초
· 피, 물달개비, 사마귀풀, 가막살이, 올쟁이, 고랭이 등
· 피, 올챙이고랭이, 세모고랭이, 새섬매자기, 올방개, 방동산이 등
잡초방제
· 밧사그란 등 125개 약종
· 2, 4-D, MCP 등 7개 약종
* 자료 : 「북한의 산업」 2015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