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02

충남도 3농정책…지속가능한 농어촌의 길을 열다


충남도 3농정책…지속가능한 농어촌의 길을 열다
등록 :2019-06-11 16:24
---

3농 정책은 농어민 스스로 농어촌을 가꾸는 상향식 사업
유통구조 개선, 정책 제안…9년 만에 농축어업 소득 증가
중국·일본 지방정부 고민하는 농어촌 문제 대안으로 주목
양승조 충남지사가 지난해 9월13일 충남 예산에서 열린 ‘동아시아 지방정부 3농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충남의 3농정책은 중국, 일본 등 주변국가 지방정부가 공통으로 겪고 있는 농어촌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양승조 충남지사가 지난해 9월13일 충남 예산에서 열린 ‘동아시아 지방정부 3농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충남의 3농정책은 중국, 일본 등 주변국가 지방정부가 공통으로 겪고 있는 농어촌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충남도가 2010년 도입한 3농정책이 9년 만에 농어촌 소득을 견인하는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3농정책은 농어민이 농어업, 농어촌의 주체가 돼 도와 함께 농어촌을 가꾸는 상향식 제도로, 농가인구가 줄고 고령화되는 현실에 대응한 충남도의 농어촌 경영 정책이다.
도는 11일 ‘3농정책 성과’ 자료를 내어 “지난 9년 동안 민관이 함께하는 행정 체계를 꾸려 농어업인이 주인인 농정을 추진하고 농정·생산·유통·기술·농촌 혁신을 이뤘다. 그 결과 도의 농어업 지역내총생산(GRDP)은 2010년 3조6600억원에서 2017년 4조5328억원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도의 3농정책 성과 자료를 보면, 농가 소득은 2011년 3014만원으로 전국 9위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전국 4위권인 4351만원으로 증가했다. 축산 농가는 2010년 2063만원에서 지난해 8876만원으로 4.3배 증가했고, 어가는 2010년 3569만원에서 지난해 4902만원으로 늘었다. 임업 농가도 2010년 2712만원이던 소득이 지난해 4973만원으로 뛰어올랐다.
<충남도 3농정책 성과>
<충남도 3농정책 성과>
3농정책은 농업법인과 로컬푸드 직매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0년 1080개 법인의 매출은 1조5910억원이었으나 재작년에는 2392개 법인이 3조293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생산한 농수산물을 판매하는 로컬푸드 직매장은 사업 첫해인 지난 2014년 11개 직매장에 2075 농가가 참여해 72억원의 매출을 거뒀으며, 지난해에는 직매장 51곳에 5522 농가가 참여해 514억원 어치를 팔았다.
이런 성과에 대해, 도는 증산·규모화·경쟁력보다 안전한 먹거리 생산,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농어촌의 다양한 가치 발굴, 농어업인 역량을 강화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도는 현장 의견을 도정에 반영하기 위해 3농정책위원회를 꾸렸다. 이 위원회는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6800여명이 참여했다. 또 과제 발굴을 위한 3농혁신대학은 2012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8670명이 참여해 293개 과제를 제안했다. 도는 이 가운데 충남형 공익직불제인 농업환경실천사업, 농어업회의소 도입 등 212개를 정책에 반영했다.
지난해 4월4일 충남형 농어업회의소 설립 워크숍에 참석한 충남지역 농어민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농어업회의소는 농어민의 권익을 대변하고 협치 농정을 실현하는 민간 자율기구로 아산, 당진, 예산 등 7개 시·군에서 창립했거나 창립이 추진되고 있다.
지난해 4월4일 충남형 농어업회의소 설립 워크숍에 참석한 충남지역 농어민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농어업회의소는 농어민의 권익을 대변하고 협치 농정을 실현하는 민간 자율기구로 아산, 당진, 예산 등 7개 시·군에서 창립했거나 창립이 추진되고 있다.
3농정책 가운데 주목할 분야는 마케팅이다. 도는 시·군 통합마케팅과 공동선별·출하 체계를 갖춰 농사 소득을 높였다. 지난해 통합마케팅에 나선 13개 조직의 매출은 3005억원, 322개 공동선별·출하장도 1788억원의 매출을 각각 올렸다. 2014년 선을 보인 충남 광역브랜드 ‘충남오감’은 지난해 6842 농가가 참여해 1천억 원대 매출을 기록했다. 인터넷 쇼핑몰 ‘농사랑’에는 1만6427농가가 참여하고 있다.
박병희 도 농림축산국장은 “3농정책은 행정이 이끌던 농정의 패러다임을 농어민이 주체가 돼 농어촌과 농어업의 생존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3농정책은 한·중·일 국제 포럼을 통해 3개 나라 지방정부가 공통으로 겪고 있는 농어촌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농어촌의 미래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박 국장은 “그러나 이상기후 등으로 재해 발생 빈도가 늘어나 농산물 생산과 소득이 불안정하다. 또 불경기로 친환경농산물 소비가 침체되는 등 불안 요소도 많아 생산과 소비, 수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대책 등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덧붙였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사진 충남도 제공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area/chungcheong/897457.html#csidx859008ea708d2adb46fd11ac9dcc51d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