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01

알라딘: [전자책] 현해탄 트라우마

알라딘: [전자책] 현해탄 트라우마
[eBook] 현해탄 트라우마 - 식민주의의 산물, 그 언어와 문학  | 기억과 경계 학술총서 2 pdf
박광현 (지은이)어문학사2015-01-30

현해탄 트라우마
현해탄 트라우마























 종이책으로 미리보기
종이책
22,000원 19,800원 (마일리지1,100원)
전자책정가
13,200원
판매가
13,200원 (종이책 정가 대비 40% 할인)
쿠폰할인가
11,880원
10% 할인쿠폰 받기
마일리지
66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60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Sales Point : 12
 10.0100자평(1)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eBook 장바구니 담기
eBook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배송상품이 아닌 다운로드 받는 디지털상품이며, 프린트가 불가합니다.
이용 안내
다운로드
 iOS APP Android APP PC 크레마

기본정보
제공 파일 : PDF(8.33 MB)
TTS 여부 : 미지원
종이책 페이지수 404쪽
가능 기기 : 크레마 그랑데, 크레마 사운드, 크레마 카르타, PC,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폰/탭, 크레마 샤인
ISBN : 9788961846776
유의 사항 : PDF 파일의 특성상 글자 크기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eBook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eBook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시리즈기억과 경계 학술총서 (총 5권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전체선택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담기


한국과 일본, 상호 인식의 변용과 기억

근대 일본의 국문학 사상

동아시아 문화 공간과 한국 문학의 모색

현해탄 트라우마 - 식민주의의 산물, 그 언어와 문학

제국의 기억과 전유 : 1940년대 한국문학의 연속과 비연속 - 1940년대 한국문학의 연속과 비연속
이벤트

21주년 특별선물! 그림자 팝업 램프, 썸머 블랭킷(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크레마 카르타G 출시! 1만원 할인, 본투리드 굿즈를 함께 (마일리지 차감)

eBook 스펙트럼! 홀로그램 유리컵 or 우드 코스터 세트 (eBook 3만원 이상)

알라딘 21주년 eBook 스페셜! 크레마 쿠션 파우치 (eBook 3만원 이상)

오늘의 추천 eBook (일반) + 7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오늘의 추천 eBook(장르) + 7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책소개기억과 경계 학술총서. 1부에서는 현해탄을 건너와 조선에 살았던 식민자들의 삶과 문학을 다루고, 2부는 '(탈)식민주의와 재일문학'이라는 주제로 김달수를 비롯해 이회성, 다카하라 마사아키 등 재일조선인(한국인) 작가의 문학에 대해서 논했다. 3부에서는 '전후와 센고(戰後)의 사이에서'라는 주제로 해방 이후 한국 사회의 일본론과 두 나라 사이의 '전후'를 상상하는 방식 차이를 다루었다.
목차
● 책머리에 | 4

제 1 부 식민의 문학·문화 ― 현해탄을 건너온 문학·문화 | 17

제1장 조선 내 '식민' 문단의 기원 탐색 | 19
제2장 '외지문학'의 '조선어' | 60
제3장 식민 2세의 '고향' | 87
제4장 월경(越境)하는 작가의 상상력
― 나카지마 아쓰시(中島敦) 문학을 중심으로 | 116
제5장 '조선'이라는 여행지의 서양철학 교수 | 143
제6장 '국민문학'의 기획과 전망
― 잡지 <국민문학>의 창간 1년을 중심으로 | 172

제 2 부 (탈)식민주의와 재일문학 | 203

제7장 국민문학의 반어법, '재일'문학의 '기원'
― 김달수 소설을 중심으로 | 205

제8장 재일문학의 2세대론을 넘어서
― '역사화와 영역화'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229
제9장 '전후' 일본 사회와 허구의 '혼혈'
― 다치하라 마사아키의 '혼혈' 소재 소설에 존재하는 것 | 256
제2부 【보론】재일조선인(한국인)의 정체성·기억·오늘 | 275

제 3 부 전후와 센고(戰後)의 사이에서 | 321

제10장 '전후'와 '센고(戰後)'
― 식민지 역사에 관한 기억/망각 | 323
제11장 '인양(引揚げ)' 서사와 이데올로기 | 349
제12장 '우리' 안의 일본 문화론
― 은폐와 재생의 '신화' | 357
제13장 일본제 번역어와 한국의 근대 번역 | 377


● 참고문헌 | 388
● 색인 | 396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박광현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교수. 나고야대학에서 <경성제국대학과 ‘조선학’(京城帝國大學と‘朝鮮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재조 일본인 지식사회 및 재일 조선인 문학을 공부 중이다. 저서로는 <‘현해탄’ 트라우마>, <한국 인문학의 형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박물관의 정치학>(공역)이 있고, 엮은 책으로는 <월경의 기록>(공편) 등이 있다.
최근작 :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 2>,<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 1>,<월경의 기록> … 총 17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기억과 경계’ 학술총서 간행사

‘기억과 경계’ 학술총서는 국민문화의 강고한 경계에 대한 재고와 함께 식민지와 그 이후 세계의 ‘기억’의 생산과 전유 양상에 대한 도전적인 문제제기를 위해 기획했다. 본 총서는 기억과 경계를 문제 삼으며 일국적 경험을 넘어서는 비판적 상상력에 충실하고자 한다.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져 왔던 국민적 정체성에 의문부호를 달고, 그 주변과 바깥 그리고 그 중심의 균열 지점에서 생성된 사실과 지식, 사상과 실천, 수사와 표상 등에 대한 지적 고민을 여기에 담고자 한다. 앞으로 이어질 이 공동의 작업에 뜻있는 연구자들의 동참과 편달을 기대한다.

어느 일본인 평론가는 일본의 ‘전후’(문학)는 ‘귀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것은 ‘신체적’ 의미의 귀환뿐만이 아닌 ‘전후’ 내셔널리즘에의 ‘정신적’ 귀환도 포함한 것이리라. 그러나 ‘전후’ 일본 사회는 과거 ‘제국’의 역사를 말하는 것 자체를 ‘소아병적’이라고 할 만큼 금기시해 왔다. ‘귀환하기 전에 자신들은 한반도에서 무엇을 했는가’, ‘왜 귀환해야 했는가’, ‘왜 현해탄을 건너야만 했는가’ 등 많은 의문들에 대해서 침묵했다. 그야말로 그들에게 현해탄은 ‘제국’의 역사로부터 열도(列島)의 ‘국민국가’의 역사로 귀환하는 ‘망각의 바다’였던 것이다. 그렇게 ‘망각의 바다’ 현해탄을 건넌 사람들이 일본의 패전 당시 조선에만 무려 70만 명이 넘었다. 그들이 식민지 조선에서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재구성하고자 하는 지적 호기심이 일었다.
제Ⅰ부에서 다룬 「식민의 문학·문화」라는 주제가 바로 그 결과이다. 거기에서 현해탄을 건너와 조선에 살았던 식민자들의 삶과 문학을 다뤘다. 이른바 재조(在朝)일본인들은 일찍이 신문과 잡지 등을 통해 일본어 커뮤니티를 구성했다. 그러면서 ‘내지’와는 다른 문학 영토를 식민지 조선에 만들고자 했다. 그들에게도 현해탄은 망향의 정서, 노스탤지어를 만들어내는 출발점이었다. 한편으로는 부지(不知)의 타자 혹은 타자의 장소를 만날 것에 대한 두려움을 품고 떠나는 출발점이기도 했다. 그들이 현해탄을 건너와 조선에 살면서 조선과 조선인을 표상하는 것은 다름 아닌 조선에 대한 식민화=자기화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었으며, 재조일본인이라는 자기동일성을 구성해 가는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이뤄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초기부터 당시 다종의 미디어를 통해 시도된 식민지 문예의 기획은 조선어가 압도적인 현실에서 ‘일본어=문명의 권위’를 지키며, 새로운 ‘제국 판도(版圖)’에 대한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정서나 감정의 소산이었다. 물론 그것은 내지의 문학계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지만, ‘이동(mobility)’을 통해 새로운 일본어 공동체를 상상하도록 했다. 본국의 일본인과는 다른 정서나 감정의 표현 혹은 자기서사의 욕망이 그 안에 담겨 있던 것이다. 『한반도』, 『조선지실업』, 『조선』(『조선급만주』) 등의 잡지 안에 편재된 문예면은 바로 그런 ‘식민’ 문단의 기원인 것이다.
식민1세의 조선 이민사가 두드러지게 소설로 형상화되는 시기는 1930년대 이후이다. 1930년대 중반에 총독부는 시정(施政)의 성과를 바탕으로 대내외적으로 ‘신조선’을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웠다. 그것은 크게 조선에 대해 상상하는 심상지리와 지정학적 인식의 변화에 기인한 것이었다. 1910·1920년대처럼 조선의 문명화를 위한 담당자로서 자신들을 자임했던 것과 달리 재조일본인 사이에서는 1930년대부터 ‘신조선’ 담론을 통해 ‘우리 조선’에 일체화된 새로이 상상된 자기동일성을 창안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와 관련해 한 가지 중요한 특징은 식민2세라는 새로운 세대의 부각을 들 수 있다. 조선에서 나고 자란 그들은 조선을 상상하는 방식이 부모 세대와 달랐다. 그들 존재의 부각은 새로운 서사의 가능성을 배태한 것이었다. 또한 본국 문단으로부터 하여금 식민지 문단의 존재를 의식하게 만들었다. 더불어 식민2세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글쓰기를 시작한 나카지마 아쓰시(中島敦)나 유아사 가쓰에(湯?克衛) 등과 같은 새로운 작가군도 등장하였다.
‘신기한 조선’, ‘무서운 조선’, ‘갱생의 결의’ 등 현해탄을 건너는 식민자들이 정작 조선에서 살아가는 동안 얻은 것은 본국의 일본인과 다른 재조일본인의 자기정체성이었다. (패)전후 일본은 그들의 그런 경험과 상상력을 내셔널리즘으로 회수하였다. 식민의 기억은 망각되었다. 하지만 일부 식민지 출신의 작가들은 어느 평론가의 지적처럼 ‘아나키적인 상태에 대한 회귀 갈망’을 통해 자신들의 기억=역사를 재구성하며 그 상처를 그렸다. 그들은 ‘망각의 바다’를 건너 일본인이 되었지만 그때 식민의 기억은 트라우마로 남아 있다.
제Ⅱ부는 「(탈)식민주의와 재일문학」이라는 주제로 앞서 언급한 김달수를 비롯해 이회성, 다카하라 마사아키 등 재일조선인(한국인) 작가의 문학에 대해서 논했다. 그들은 식민지 역사에 대한 침묵과 망각 속에 일본의 ‘전후’ 내셔널리즘 안에서 살았다. 또한 그들을 이어서 「제로한(ゼロハン)」의 주인공과 같은 재일조선인 2, 3세들에게 현해탄은 조국을 상상하는 모티브이며 과거의 식민지 종주국에서 살아가는 소수자의 아픔을 각인하는 현재진행형의 역사이다. 따라서 그들의 문학을 거론하는 것만으로도 일본 내셔널리즘을 되묻는 일이기도 했다. 일본에서 먼저 이뤄진 재일문학에 대한 연구 성과는 한국에서도 의외로 많이 축적되어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기존 연구처럼 개별 작가나 개별 작품을 논하는 장을 구성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재일문학이 읽히는 장(場)의 의미나 그 맥락을 주로 논하고자 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전후’ 일본 사회는 과거 ‘제국’의 기억에 관해 말하기를 꺼렸다. 다른 방식이기는 하지만, 그 점은 한국 사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제Ⅲ부에서는 「전후와 센고(戰後)의 사이에서」라는 주제로 해방 이후 한국 사회의 일본론과 두 나라 사이의 ‘전후’를 상상하는 방식 차이를 다루었다. 그리고 두 나라 모두에 존재하는 식민지(주의) 유산(遺産)으로서의 제도, 인식, 담론에 관해 살폈다. 어떠한 민족주의도 배타적인 타자를 상정하지 않고는 성립하거나 유지될 수 없다. 특히, 식민지 기억을 민족주의로 해석하려 하지만 오히려 어느 시대보다 타자=제국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이 역사의 실상이다. 그것은 민족이라는 단위에 기초한 인식, 즉 민족과 타자(혹은 반/비민족)라는 이분법을 초월해 오히려 초국가적(transnational)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런 과거의 기억/역사를 재현한 문학·문화와 그 제도들 안에서 ‘민족적인 것’ 혹은 민족주의는 타자와의 관계를 기억/망각하는 방법을 통해 재구성된 것이 적지 않았음을 살폈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0) 읽고 있어요 (0) 읽었어요 (2)
이 책 어때요?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1)
전체 (1)
공감순
   
현해탄을 건너와 조선에 살았던 식민자들의 삶과 문학, 식민주의의 산물인 그 언어와 문학을 공부하는 이들이 보면 좋을 책.  구매
소나무집 2013-06-16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