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01

알라딘: [전자책] 월경의 기록

알라딘: [전자책] 월경의 기록

eBook] 월경의 기록 - 재조(在朝)일본인의 언어.문화.기억과 아이덴티티의 분화  pdf
박광현,신승모 (엮은이)어문학사2015-01-30

월경의 기록



















 종이책으로 미리보기
종이책
25,000원 22,500원 (마일리지1,250원)
전자책정가
15,000원
판매가
15,000원 (종이책 정가 대비 40% 할인)
쿠폰할인가
13,500원
10% 할인쿠폰 받기
마일리지
7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68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Sales Point : 15
 6.0100자평(1)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eBook 장바구니 담기
eBook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배송상품이 아닌 다운로드 받는 디지털상품이며, 프린트가 불가합니다.
이용 안내
다운로드
 iOS APP Android APP PC 크레마

기본정보
제공 파일 : PDF(11.08 MB)
TTS 여부 : 미지원
종이책 페이지수 426쪽
가능 기기 : 크레마 그랑데, 크레마 사운드, 크레마 카르타, PC,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폰/탭, 크레마 샤인
ISBN : 9788961846981
유의 사항 : PDF 파일의 특성상 글자 크기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eBook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항일시대
이벤트

21주년 특별선물! 그림자 팝업 램프, 썸머 블랭킷(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크레마 카르타G 출시! 1만원 할인, 본투리드 굿즈를 함께 (마일리지 차감)

eBook 스펙트럼! 홀로그램 유리컵 or 우드 코스터 세트 (eBook 3만원 이상)

알라딘 21주년 eBook 스페셜! 크레마 쿠션 파우치 (eBook 3만원 이상)

오늘의 추천 eBook (일반) + 7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오늘의 추천 eBook(장르) + 7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책소개재조(在朝)일본인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기록. <월경의 기록>은 한국연구재단 지원의 공동연구 결과물이다. 식민 시기 조선에 살았던 재조일본인은 어떤 삶을 살며 어떤 문화에 대한 기억이 있을까? 최근 재조일본인이 실제로 어떠한 문화생활을 영위하면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구상했는지에 관한 연구의 외연이 넓어지고 있다.

<월경의 기록>은 한 가지로만 재단할 수 없는 재조일본인의 아이덴티티를 언어, 문학, 잡지, 기억, 영화 등을 통해 깊이 있게 다루었다. 언어, 기억, 문화로 나뉜 13편의 글이 식민 시기와 재조일본인에 관한 생생한 자료와 지식을 전달해 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식민 문학과 언어 권력

재조일본인 잡지의 문예란과 식민지 일본어 문학의 기원
- 『韓半島』와 『朝鮮之實業』의 문예란을 중심으로
/ 박광현
1. 잡지 문예란의 탄생
2. 『한반도』 소재의 소설과 일본어 문학의 기획
3. 『조선지실업』의 창간과 가인 집단의 활동과 그 한계
4. 『한반도』 소재 소설과 (비)동시대성
5. 『조선지실업』 ‘문원’란과 자기표현의 욕망
6. 초기 일본어 문단, 동일과 차이의 교합

일한서방(日韓書房)과 ‘일본어’ 권력
/ 신승모
1. ‘외지’의 일본인 경영 서점
2. 일한서방의 탄생 배경과 조선 내 위상
3. 일한서방의 영업 내역과 서적 발행
4. 일한서방 출판서적의 성격

재조일본인의 조선 한문학 연구와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
/ 박영미
1. 분석되는 ‘조선’과 조선 한문학
2. 문헌고증적 연구 방법: 청대 고증학의 전통과 근대 실증주의 사학의 영향
3. 조선 고서의 간행과 일본어 번역
4. 재조일본인의 조선 한문학 연구와 그 한계
: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의 실천

재조일본인 잡지 『조선시론』과
동시대 조선 문학의 번역
/ 김계자
1.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문학장과 재조일본인
2. 오야마 도키오와 잡지 『조선시론』
3. 『조선시론』에 번역 소개된 동시대 조선의 문학
4. 조선 문학작품의 일본어역에서 보이는 문제
5. 재조일본인이 번역한 ‘조선’

조선문인협회와 ‘내지인 반도작가’
/ 박광현
1. 내지인 문단의 ‘빈곤’과 신세대 ‘문단’의 자의식
2. ‘반도문단’의 탄생과 동일성에의 욕망과 균열
3. ‘국민문학’의 시대, 그리고 ‘첫 대면’과 감정의 교환
4. ‘조선적인 것’이라는 구속

제2부 식민의 아이덴티티/기억의 전유

식민자와 만나는 법, 그 불편한 재현의 장소들
- 염상섭 소설을 중심으로
/ 조은애
1. 피식민자의 ‘서울 구경’, 그곳에서 식민자를 만난다는 것
2. 재경성 일본인, 그 ‘잔인한 숫자’
3. 식민자와 피식민 사회주의자의 양립 (불)가능성
4. 만남 없는 장소 혹은 한 줌의 전망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의 국체논의와 식민 2세 아이덴티티론
- 『綠旗』(錄人) 소재 글을 중심으로
/ 기유정
1. 제국과 식민 2세 아이덴티티
2. 모리타 요시오의 생애와 저서
3. 모리타와 국체론
4. 모리타와 내선일체
5. 제국의 소멸과 주체의 균열

어느 재조일본인의 ‘인양’ 체험기
-무라카미 교시(村上杏史)의 『수기 삼천리(手記 三千里)』를 읽다
/ 나카네 다카유키(中根隆行)
1. 북위 38도선 탈출의 경위
2. 목포 귀환과 인양
3. 목포와 하이쿠(俳句)로 연결되는 인적 네트워크

식민자의 젠더화된 초상
- 두 개의 전후(戰後), 식민 기억의 재구성
/ 김혜인
1. 해방, 조선, 그리고 ‘구식민자’라는 물음
2. 식민의 잔여, ‘위장’·‘모방’을 둘러싼 월경(越境)의 기억들
3. 38이북 ‘일본인 수용소’와 냉전적 상상력
4. 결론을 대신하여: (불)가능한 표상들

‘전후’ 일본사회와 식민자 2세의 문학
/ 신승모
1. 식민자 2세 문학의 범주
2. 식민자 2세의 문학이 등장하게 되는 ‘전후’의 변화와 배경
3. 가지야마 도시유키(梶山季之) 작품에 관한 시론
3-1. 부모 세대의 오욕(汚辱)을 짊어진다는 것
: 이조잔영(李朝殘影) (1963)론
3-2. 죄와 자살, 그리고 책임의 소재(所在)
: 켈로이드 정사 (ケロイド心中)(1971)론

제3부 ‘흥행’하는 제국의 극장·영화

제국 - 식민지를 이동하는 영화인들
/ 양인실
1. 시작하며
2. 내지에서 조선으로, 영화인의 이동
3. 재조일본인들의 역할
4. 식민지 통치권력과 재조일본 영화인들의 균열 및 긴장관계
5. 제국 일본의 내/외부에 있던 재조일본인들
6. 결론을 대신하여

만주개척단 영화 [오히나타 마을(大日向村)]
/ 강태웅
1. ‘동경하는 만주’를 향하여
2. “신(神)도 재건할 수 없는 마을”
3. 두 개의 [오히나타 마을] 1
: 분촌을 둘러싼 대립
4. 두 개의 [오히나타 마을] 2
: 소설과 영화
5. 상영금지 된 [오히나타 마을]
6. “만주스타일”과 [오히나타 마을]의 괴리
7. 나가며

재경성(在京城) 일본인의 ‘극장’과 문화정치
/ 홍선영
1. 식민지 도시 경성과 ‘극장’의 등장
2. 한국 내 일본인 거류지역의 형성
3. 경성의 일본인 경영 극장 변천사
3-1. 1900년대 일본인 경영 극장
3-2. 1910년대 경성의 일본인 극장
3-3. 1920년대 경성의 일본인 극장
3-4. 1930년대 경성의 일본인 극장
3-5. 1940년대 경성의 일본인 극장
4. 재경성 일본인의 문화형성에서 ‘극장’의 의미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박광현 (엮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교수. 나고야대학에서 <경성제국대학과 ‘조선학’(京城帝國大學と‘朝鮮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재조 일본인 지식사회 및 재일 조선인 문학을 공부 중이다. 저서로는 <‘현해탄’ 트라우마>, <한국 인문학의 형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박물관의 정치학>(공역)이 있고, 엮은 책으로는 <월경의 기록>(공편) 등이 있다.
최근작 :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 2>,<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 1>,<월경의 기록> … 총 17종 (모두보기)
신승모 (엮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동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일본 나고야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과제 전임연구인력(동국대)으로 재직 중이다. 최근 연구로「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교사가 산출한 문학」등이 있으며, 공저서에 『제국의지리학, 만주라는경계』, 『이동의텍스트, 횡단하는 제국』 외 다수가 있다.
최근작 : <재조일본인 2세의 문학과 정체성>,<월경의 기록>,<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 … 총 10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재조(在朝)일본인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기록!

70억에 가까운 세계 인구를 국경으로 민족으로 ‘카테고리’를 나눈다면 잘 나뉘지 않는 소수의 사람이 있다. 공간을 넘어서는 시간이라는 개념이 있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어느 특정한 시간에 국가나 개인적 상황으로 월경(越境)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한국에는 식민지 시대에 중국으로 건너간 조선족이 있고, 일본으로 건너간 재일조선인이 있으며 러시아를 비롯한 독립국가연합으로 간 고려인이 있다. 또 세계 각국에 여러 이유로 흩어진 이민자도 있다. 그들을 한국인(남한 또는 북한)이지만, 또 그렇지만도 않은 건, 오랜 세월 그들만이 형성한 새로운 정체성이 있기 때문이다.
민족의 카테고리를 정한다는 건, 더 나아가 소수 월경자의 아이덴티티를 말한다는 건 쉬운 작업이 아니다. 출생, 가계, 거주 기간 등과 같은 객관적인 조건이 일차적으로는 그들을 규정하는 기준이 되겠지만, 자의식과 같은 주관적인 조건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월경의 기록』은 식민자로서 조선에 살았던 재조(在朝)일본인의 정체성에 다가간다.

식민 문학과 언어 권력
Ⅰ부는 ‘식민 문학과 언어 권력’이라는 타이틀로 구성된 다섯 편의 글이다. 박광현의 「재조일본인 잡지의 문예란과 식민지 일본어 문학의 기원-『韓半島』와 『朝鮮之實業』의 문예란을 중심으로」는 일제 식민 시대 조선 내 일본어 문학의 시작과 전개된 과정을 보이고 있다. 조선으로 넘어온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커뮤니티를 위한 인쇄매체를 출현시킨다. 가장 먼저 신문을 그리고 『한반도』와 『조선지실업』이라는 잡지가 탄생한다. 당시 조선으로 넘어온 일본인 수가 많지 않음에도 두 잡지에 굳이 문예란을 두는 건, 그들의 자기표현 욕망을 표출하려는 것이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러한 지점이 재조일본인의 이중적 자기 동일성의 발견이라 한다. 이러한 성격의 두 잡지의 전개과정을 살피면서 재조일본인의 문학이 일본 ‘내지’ 문학에 대한 동시대성=동일지향과 비동시대성=차이화의 교합을 통해 이뤄졌음을 밝히고 있다.
신승모의 「일한서방(日韓書房)과 ‘일본어’ 권력」은 재조일본인 뿐만 아니라 신지식과 문명개화에 목마른 조선인이 서적을 구입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었던 일본인 경영 서점에 대해 논의한다. 일본인 경영 서점은 지금까지 자료나 연구 방법상의 제약 등으로 거의 검토되지 못했기에 가치 있는 논의로 여겨진다. 특히 이 글은 제국의 ‘외지서점’이 ‘일본어’라는 권력을 등에 업고 조선에 대한 ‘知’와 표상을 재조일본인 사회와 식민 본국에 발신, 유통해가는 양상의 한 가지 사례를 보여준다.
박영미의 「재조일본인의 조선 한문학 연구와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는 마쓰다 고(松田甲), 다다 마사토모(多田正知), 후지쓰카 지카시를 중심으로 재조일본인 한문학자의 조선 한문학 연구를 분석한다. 1908년 이후 조선 고서 총서 간행의 의미와 더불어 재조일본인 학자들이 조선통신사 연구에 집중한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이들은 조선 한자의 외래성을 부각해 조선의 문화가 중국으로부터 이식된 것임을 주장한다. 저자는 이들의 연구가 근대적 학문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한문학을 정립하는데 일조했음을 말하면서도 결국 이들의 연구가 향하는 곳이 ‘내선동화’임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말한다.
김계자의 「재조일본인 잡지 『조선시론』과 동시대 조선 문학의 번역」은 일본어 번역으로 구성된 ‘조선’이 의미하는 바와 ‘일본어’로 생성·번역되는 ‘조선’의 문제를 도출해서 논의한다.
박광현의 「조선문인협회와 ‘내지인 반도작가’」는 1939년에 결성된 조선문인협회를 중심으로 논하면서 그들 중 스스로 ‘내지인의 반도작가’라고 불렀던 재조일본인 작가들이 제국 안에서 ‘조선적인 것’을 그리는 행위의 의미와 정치성에 관해 규명하고 있다.

식민의 아이덴티티, 기억의 전유
Ⅱ부는 ‘식민의 아이덴티티/기억의 전유’라는 타이틀로 구성된 다섯 편의 글이다. 조은애의 「식민자와 만나는 법, 그 불편한 재현의 장소들-염상섭 소설을 중심으로」는 염상섭 소설에서 식민자를 경성이라는 상징적 공간과 연결하여 읽어내고 있다.
기유정의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의 국체 논의와 식민 2세 아이덴티티론-『綠旗』(錄人) 소재 글을 중심으로」는 조선 식민자 2세 출신인 모리타 요시오의 아이덴티티를, 주로 녹기연맹이 발행한 『녹기』에 투고된 그의 국체 논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살폈다. 특히 모리타가 조선을 일본 본토의 밖이자 ‘식민지’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제국의 ‘구심’으로 위치시키는 방식에 주목하면서, 이 같은 문법은 모리타가 자신을 조선출신자(‘朝鮮っ子’)로서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음을 검증한다.
에히메 대학의 나카네 다카유키(中根隆行) 교수의 「어느 재조일본인의 ‘인양’ 체험기-무라카미 교시(村上杏史)의 『수기 삼천리(手記 三千里)』를 읽다」는 일본 패전 후 가족과 함께 일본 에히메(愛媛)현으로 귀환한 하이쿠(俳句) 시인이자 식민자 2세인 무라카미 교시(村上杏史)의 경위를 검증하고 있다. 무라카미의 조선인양체험기인 『수기 삼천리(手記 三千里)』의 내용과 하이쿠 작품집 등을 분석하여, 그의 인양체험의 특징이 조선에서 하이쿠로 연결되는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것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김혜인의 「식민자의 젠더화된 초상-두 개의 전후(戰後), 식민 기억의 재구성」은 해방 후 남아 있는 일본인에 대한 조선인의 기억과 표상을 당시에 실질적으로 전개된 ‘젠더화’라는 매개과정을 살피며 논의한다. 한반도를 둘러싼 전후 냉전체제에서 식민 기억이 현실 정치 속에서 재구성되는 양상도 선명하게 보여준다.
신승모의 「‘전후’ 일본사회와 식민자 2세의 문학」은 식민자 2세의 문학이 전후 일본사회에서 갖는 역사적 의미라는 문제의식하에서, 이들의 문학이 전후의 일본사회에 등장하는 문맥과 그 시점의 의미를 동시대 일본사회와 문학계에서의 정황을 보조 동선으로 참조하면서 파악한다.

‘흥행’하는 제국의 극장·영화
Ⅲ은 ‘흥행’하는 제국의 극장·영화라는 타이틀로 구성된 세 편의 글이다. 양인실의 「제국-식민지를 이동하는 영화인들」은 ‘국경’을 넘어 일본 제국 영화공간의 일부를 구성했던 재조일본인과 영화의 관계를 재조명하면서, 재조일본인 사회에서 영화가 수행했던 역할을 살핀다.
강태웅의 「만주개척단 영화 [오히나타 마을(大日向村)]」은 1937년 ‘분촌(分村)’을 하여 만주에 이주한 나가노(長野) 현의 오히나타 마을(大日向村)의 사례를 영화화한 만주개척단 영화 [오히나타 마을](1940)을 분석하고 있다. 일본영화와 만주영화협회(만영)의 영화, 그리고 검열자료 등으로 살피면서, 만영이 추구하고, 보여주려고 했던 영상이 무엇인지를 “만주스타일”이라는 용어로 수렴하여 이것과 영화 [오히나타 마을]의 차이를 분석하고 있다.
홍선영의 「재경성(在京城)일본인의 ‘극장’과 문화정치」는 식민지 시기 ‘경성’의 일본인 극장이 제국 권력의 문화적 파장 가운데 다양한 문화적 역동성을 생성되는 공간이라고 파악하고, 당시 핵심적인 근대 미디어로서 경성의 일본인 경영 극장을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월경의 기록』은 한국연구재단 지원의 연구로서, 한국학과 일본학을 넘나들고 또 아우르는 학제 연구를 지향하면서 재조일본인의 문화와 지식, 그리고 아이덴티티와 기억의 계보를 연구자 간, 분과 간, 논문 간의 상호 소통을 통해서 그려내고자 한 공동연구의 결과물이다. 그렇기에 식민 시기의 지식사회와 재조일본인에 관한 연구를 객관적이며 폭넓게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또한, 결코 한 가지만으로 재단할 수 없는 재조일본인 정체성 연구에 깊이를 더해, 이 시기에 관한 생생한 지식을 전달해준다.


저자 소개
- 박광현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과 부교수
- 신승모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박영미
일본 二松學舍大學 객원연구원
- 김계자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HK연구교수
- 조은애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수료
- 기유정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 나카네 다카유키(中根隆行)
愛媛大學 準敎授
- 김혜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수료
- 양인실
일본 岩手大人文社會科學部 교수
- 강태웅
광운대학교 동북아문화산업학부 부교수
- 홍선영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연구교수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 읽고 있어요 (1) 읽었어요 (2)
이 책 어때요?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1)
전체 (1)
공감순
   
아무리 학술서라도 그렇지, 가격거품 장난 아님. 별표는 오로지 가격을 기준으로 붙인 사사로운 감정이 이입된 거임.  구매
우주굴리는지구인 2017-06-24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