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전자책] 잃어버린 계절
이전
다음
종이책의
미리보기
입니다.
[eBook] 잃어버린 계절
김시종 (지은이), 이진경, 카게모또 쓰요시 (옮긴이) 창비 2019-10-10
정가
9,100원
112쪽
책소개
현대사의 비극을 온몸으로 겪고 재일 조선인으로서의 운명에 맞서며 평생 치열한 작품활동을 펼쳐온 김시종 시인의 시집. 철학자 이진경과 한국문학 연구자 카게모또 쓰요시의 공동 번역으로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완역본이다.
김시종 시인은 제주 4.3항쟁에 휘말려 목숨이 위태로워지자 1949년 일본으로 탈출하여 오오사까의 재일 조선인 거주지 이까이노에 정착한 뒤 줄곧 일본어로 시를 써왔다. 시인에게 일본어는 자신의 감성과 의식 체계의 밑바탕이 되는 모국어나 다름없는 언어였다.
그러나 스스로 '일본어에 대한 보복'으로 문필 생활을 하고 있다고 밝혔듯이, 그의 시는 일본식 문체가 아닌 데다가 반일본적 서정이 담겨 있다. 그런 까닭에 적지 않은 세월 동안 일본 문단의 주류에서 벗어나 있기도 했으나, 이후 마이니찌출판문화상(1986), 오구마히데오상 특별상(1992), 타까미준상(2011), 오사라기지로오상(2015) 등을 수상하고 최근 '김시종 컬렉션'이라는 제목의 저작집이 출간되는 등 주목받고 있다.
<잃어버린 계절>의 옮긴이들은 '일본식 서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도적으로 낯선 어법을 구사하는 저자의 일본어를 우리말로 제대로 옮기기 위해 각별히 애를 썼으며, 해설에 가까운 '옮긴이의 말'을 통해 김시종의 문학적 삶과 독특한 시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하고자 했다.
=======
목차
여름
마을
하늘
어금니
여름
빗속에서
시퍼런 테러리스트
기다릴 것도 없는 8월이라며
잃어버린 계절
가을
여행
창공의 중심에서
조어(鳥語)의 가을
전설이문(傳說異聞)
희미한 전언
두개의 옥수수
녹스는 풍경
여름 그후
겨울
이토록 멀어져버리고
나뭇잎 한장
뛰다
겨울의 보금자리
구멍
수국의 싹
사람은 흩어지고, 쌓인다
그림자는 자라고
봄
이 무명(無明)의 시각을
귀향
바람에 날려 저 멀리
목련
이어지다
언젠가 누군가 또
4월이여, 먼 날이여
봄에 오지 않게 된 것들
시인의 말
옮긴이의 말
접기
책속에서
소리 없이
소리 내야 할 목소리
밑바닥에서 배어나오는 계절.
생각할수록 눈앞이 아찔하여
조용히 눈 감아야 하는
마음의 밑바닥 계절.
누구인지 입에 올리지 않고
남몰래 가슴에 품는
추모의 계절.
(…)
여름은 계절의 시작이다.
어떤 색도 바래지고 마는
터질 듯이 하얀 헐레이션의 계절.
―「여름」 부분
고향도 연고도 잃은 새가
쓰레기밖에 주울 게 없는 일본에서
나의 말을 모이로 살아가고 있다.
나는 점점 까악까악 외칠 수밖에 없는
새가 되어가고 있다.
곧 입술이 붉게 물들 것이다.
묵묵히 있을 뿐인 새를 올려다보니
검은 그림자가 그날 그대로
무심하게 나를 보고 있다.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자는 언제나
빛 속에서 검어진다
―「조어(鳥語)의 가을」 부분
진흙처럼 녹아 있고 싶은 잠이다.
떨어져 가라앉아 밑바닥에서 얼어붙어
그대로 굳어버리고 싶은 밤이기도 하다.
정처 없는 거처의 등받이가 멋대로 삐걱거리고
교신 없는 화면이 여전히 빛을 발하며 명멸한다.
(…)
자멸이다.
어떻게 되든 덤벼드는 것이다.
하이에나가 희미하게 눈을 뜬다.
철책 우리 안에 웅크린 자신이 보인다.
빠져나가려고 해도 나갈 수 없는 남자에게
이미 추방의 시간이 닥쳐오고 있다.
―「겨울의 보금자리」 부분
소생하는 계절에
올 것이 오지 않는다.
필 것이 피지 않는다.
날아드는 것도 좀처럼 찾아오지 않는다
(…)
그래도 화창하게 바람은 건너가
끝나가는 무언가가
봄 안개 저편에서 어른거린다.
이렇게 우리는
매일 무언가 잃어버리고 있다.
결코 미미하다 할 수 없다.
저 멀리 분명히
끝나가는 것이 보인다.
―「봄에 오지 않게 된 것들」 부분
접기
저자 소개
지은이: 김시종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일본풍토기>,<재일(在日)을 산다>,<이카이노시집 외> … 총 11종 (모두보기)
1929년 부산에서 태어나 제주도에서 자랐다. 1948년 4·3항쟁에 참여해 이듬해인 1949년 일본으로 밀항해 1950년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일본어 시를 쓰기 시작했다. 재일조선인들이 모여 사는 오사카 이쿠노生野에서 생활하며 문화 및 교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53년 서클지 『진달래』를 창간했으며 1959년에는 양석일, 정인 등과 『가리온』을 창간했다. 1966년부터 ‘오사카문학학교’ 강사 생활을 시작했다. 1986년 『‘재일’의 틈에서』로 제40회 마이니치 출판문화상, 1992년 『원야의 시』로 오구마 히데오 상 특별상, 2011년 『잃어버린 계절』로 제41회 다카미 준 상을 수상했다. 1998년 김대중 정부의 특별조치로 1949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제주도를 찾았다. 시집으로는 『지평선』(1955), 『일본풍토기』(1957), 『장편시집 니이가타』(1970), 『이카이노시집』(1978), 『원야의 시-집성시집』(1991), 『화석의 여름』(1999), 『경계의 시』(2005), 『재역 조선시집』(2007), 『잃어버린 계절』(2010), 『등의 지도』(2018) 등이 있다.
접기
옮긴이: 이진경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이진경 장병탁 선을 넘는 인공지능>,<불교를 철학하다>,<바깥의 문학> … 총 96종 (모두보기)
지식공동체 수유너머104 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 《철학과 굴뚝청소부》를 시작으로, 자본주의와 근대성에 대한 이중의 혁명을 꿈꾸며 쓴 책들이 《맑스주의와 근대성》《근대적 시·공간의 탄생》《수학의 몽상》《철학의 모험》《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필로시네마, 혹은 탈주의 철학에 대한 10편의 영화》 등이다. 사회주의 붕괴 이후 새로운 혁명의 꿈속에서 니체, 마르크스, 푸코, 들뢰즈·가타리 등과 함께 사유하며 《노마디즘》《자본을 넘어선 자본》《미-래의 맑스주의》《외부, 사유의 정치학》《역사의 공간》《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등을 썼다. 《코뮨주의》《불온한 것들의 존재론》《삶을 위한 철학수업》《파격의 고전》 등을 쓰면서 지금 여기에서의 삶을 바닥없는 심연 속으로 끌고 들어가고 있다.
접기
옮긴이: 카게모또 쓰요시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 국문과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공저로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1』 『혁명을 쓰다』가 있다. 이진경의 『불온한 것의 존재론』을 일본어로 번역했다.
접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나는 조용히 네게 맥주를 권하고
초록의 유품인 젓가락을 가지런히 놓았다”
재일 조선인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 김시종의 계절 시편
까칠까칠한 언어, 찢어진 호흡, 낯선 서정을 만나다
현대사의 비극을 온몸으로 겪고 재일 조선인으로서의 운명에 맞서며 평생 치열한 작품활동을 펼쳐온 김시종 시인의 시집 『잃어버린 계절』이 번역 출간되었다. 철학자 이진경과 한국문학 연구자 카게모또 쓰요시의 공동 번역으로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완역본이다.
김시종 시인은 제주 4·3항쟁에 휘말려 목숨이 위태로워지자 1949년 일본으로 탈출하여 오오사까의 재일 조선인 거주지 이까이노에 정착한 뒤 줄곧 일본어로 시를 써왔다. 시인에게 일본어는 자신의 감성과 의식 체계의 밑바탕이 되는 모국어나 다름없는 언어였다. 그러나 스스로 ‘일본어에 대한 보복’으로 문필 생활을 하고 있다고 밝혔듯이, 그의 시는 일본식 문체가 아닌 데다가 반일본적 서정이 담겨 있다. 그런 까닭에 적지 않은 세월 동안 일본 문단의 주류에서 벗어나 있기도 했으나, 이후 마이니찌출판문화상(1986), 오구마히데오상 특별상(1992), 타까미준상(2011), 오사라기지로오상(2015) 등을 수상하고 최근 ‘김시종 컬렉션’이라는 제목의 저작집이 출간되는 등 주목받고 있다.
『잃어버린 계절』의 옮긴이들은 ‘일본식 서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도적으로 낯선 어법을 구사하는 저자의 일본어를 우리말로 제대로 옮기기 위해 각별히 애를 썼으며, 해설에 가까운 ‘옮긴이의 말’을 통해 김시종의 문학적 삶과 독특한 시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하고자 했다.
김시종을 읽는다는 것은
그것을 읽는 나의 서정과 대면하는 일이다
『잃어버린 계절』은 2010년에 출간된 시인의 일곱번째 시집으로, 계절별로 8편씩 모두 32편의 시가 실려 있다. 제41회 타까미준상 수상작이기도 한 이 시집은 원서에 붙은 ‘사시(四時) 시집’이라는 부제만 보면 사계절을 제재로 하여 자연을 노래하는 서정시로 읽히기 쉽다. 그러나 실제 안에 담긴 것은 자연을 찬미하는 부드럽고 평화로운 서정이 아니다. 시인은 “삶의 밑바닥에 앙금처럼”(「구멍」) 남은 잃어버린 시간들을 되살려내어 자연과 인간을 다른 무엇으로 대면하고자 비극적 삶과 타인의 고통을 성찰하는 서정, 곧 ‘서정에 반하는 서정’(옮긴이의 말)에 가닿는다. 여기서 우리는 평생 서정과 대결해온 시인이 이 시집의 제목을 ‘김시종 서정 시집’이라고 하려다 민망해서 그만두었다는 말을 또렷이 이해해야 한다.
시인은 녹슬어가는 일상의 시간을 바림질하며 빛바랜 영상으로 남아 있는 ‘멈춘 시간’들을 현재 속으로 불러내어 “스스로 시간의 출구”(「녹스는 풍경」)가 되어간다. 돌아갈 곳을 잃었으나 “어디서 살든 죽지 않는 한 사람은 살게 마련이다”(「잃어버린 계절」)라는 시인의 외침은 자못 처연하게 들려온다. 갈 곳 없는 삶에도 계절은 어김없이 피고 질 것이고,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나라일지라도/도달할 수는 있을 터”(「귀향」), 그리하여 시인은 고요한 마음의 지평, “끝없는 꿈의 대지”(「여름 그후」)를 찾아나서는 것이다.
구순(九旬)의 나이에 “지금 나는/부도덕할 만큼 살찐 놈”(「어금니」)이라는 깨달음 속에서 시인은 “이제야 알게 된 나의 어리석은 60년”(「여름 그후」)을 곱씹어본다. 그리고 거기에 있다는 것조차 잊어버릴 만큼 사소한 존재들에게 촉촉한 시선을 던지면서, 아득하게 멀리 있고 이제는 오지 않게 된 것들과 우리가 매일 잃어버리지만 “결코 미미하다 할 수 없”(「봄에 오지 않게 된 것들」)는 것들에 대해 쓴다. 파편처럼 깊이 박힌 쓰라린 기억들을 되새기며, 조국을 빼앗았던 식민 종주국의 언어로 시를 써온 노시인의 회한과 “누구도 밀쳐낼 수 없는/깊은 우수”(「마을」)가 서린 시들이 오래도록 가슴을 울린다.
수다맨 2019-12-02
메뉴
추락을 각오한 남자가 고지高地에서 바라본 풍경을 시화詩化한 느낌이다. 풍경 속 시간은 선형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절적이고도 파편적으로 나뉘어 있으며 미소한 사물에도 비애와 모욕의 감정이 녹아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극과 분단의 삶을 살아온 노시인의 적공에는 대가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