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6-23

Yumaa Hill <(가제) 생명현상과 불교>



(18) Facebook







Yumaa Hill is with Sun Kyeong Yu.
2 hrs ·



방금 우리집 유선경 선생과 함께 쓴 <(가제) 생명현상과 불교>의 최종 원고를 출판사에 보냈다. 원고지로 1,074매라고 하니, 보통 책 분량이다. 원래 월간 불교문화에 2년 동안 연재한 24편의 에세이들을 지난 1년 동안 재검토하고 수정해서 많이 다른 원고로 완성했다. 이 책의 모든 부분을 유선생과 함께 썼지만, 내 기여도는 1/3정도여서 유선생이 제1저자다. 그래서 출판사 선정부터 나머지 교정작업 등은 모두 유선생이 맡아 한다.

이 책은 생명현상과 생명과학에 대한 불교(철학)적 논의를 다루고 있다. 원래 학부와 대학원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한 유선생과 내가 함께 작업하지 않았으면 나오기 힘들었을 많은 연구 결과가 들어가 있다. 수록된 모든 에세이들이 읽기 쉽지는 않지만, 우리 시대에 누군가는 해 놓아야 할 학문적 작업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3년 동안 꾸준히 책을 완성했다. 실은 세계적으로도 생명현상과 생명과학에 대해 학문적으로 존중해 줄 만한 불교적 논의가 이루어진 적이 거의 없어서, 우리라도 해 놓아야 불자들의 체면이 좀 서겠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책이 나올 때까지 여러 달이 걸리겠으니, 일단 책의 목차만이라도 밑에 붙여 본다. 책 한 권을 끝냈으니, 오늘은 좀 쉬어야 겠다.

목차

I.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

1. 생명현상과 붓다의 가르침
진화의 산물인 생명체
상호의존적(interdependent) 생명체
무상無常(impermanence)한 생명체
본질 없이(essenceless) 공空(empty of essence)한 생명체
공空(empty of essence)한 생명체의 의미

2.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
연기緣起(dependent arising)
무상無常(impermanence)
공空(sunyata)
공空(empitiness)한 생명체

3. 깨달음과 자비 그리고 생명현상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불자佛子들의 행위의 기준
생명현상과 자비행

II. 생명과학과 깨달음

4. 깨달음, 세계관의 혁명적 변화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
현응스님의 돈오
생명과학혁명

5. 깨달음과 생명과학 방법론: 환원론에 대한 오해 1
환원이란 무엇인가
환원론에 대한 오해
미시구조적 환원(microstructural reductionism)

6. 깨달음과 생명과학 방법론: 환원론에 대한 오해 2
환원론에 대한 또 다른 오해

III. 개체

7. 발생의 불교적 이해 1
발생發生(development)과 연기緣起(dependent arising)
발생과 생명

8. 발생의 불교적 이해 2
본질 없이(essenceless) 공空(empty of essence)한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s)

9. 노화의 불교적 이해
노화老化(aging)에 대한 오해
노화는 없다
노화도 공空(empty of essence)

10. 병듦의 불교적 이해
병病이란 무엇인가
병의 불교적 해석과 극복

11. 죽음의 불교적 이해 1
죽음이란 무엇인가
논리적 개념으로서의 ‘죽음’
세포의 죽음(cell-death or apoptosis)
(1) 세포가 죽어야하는 이유
(2) 관계의 변화와 세포의 죽음
(3) 관계와 부분
죽음과 윤회

12. 죽음의 불교적 이해 2
죽음과 나
생명체들이 죽어야 하는 이유
태어나지 않았으니 죽지도 않는다
죽음에 대한 불교적 낙관론

IV. 종(Species)

13. 종種(species)의 불교적 이해 1
종(species)과 본질주의(essentialism)
다윈의 종과 미완의 반反본질주의(incomplete anti-essentialism)
종 개념의 문제

14. 종種(species)의 불교적 이해 2
동일성을 찾으려는 인간의 집착
본질에 대한 집착의 연장

V. 유전자

15. 유전자 개념과 그 변천의 역사
고정불변한 유전자

16. 유전자에 대한 이분법과 불교적 반론
도그마의 붕괴
유전자의 상실
이분법적 유전학의 한계

17. 유전자의 불교적 이해 1
본질 없이 공空한 유전자(essenceless, empty, gene)
연기緣起(dependent arising)하는 유전자
기능적 속성(functional property)으로서의 유전자
실체가 없이 개념으로만 존재하는 유전자
개별자로서의 유전자

18. 유전자의 불교적 이해 2
활발발活潑潑한 유전자의 기능과 분자망(molecular net)
유전자 개별자와 분자네트워크(molecular network)

VI. 진화

19. 진화란 향상이 아니라 변화의 과정
18세기까지의 ‘진화’의 개념
다윈의 ‘진화’

20. 결정론도 아니고 비결정론도 아닌 연기의 과정
굴드Gould의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
결정론
제약들(constraints)
철학적 고찰

21. 우연과 필연의 재해석
모노Monod의 ‘우연(Chance)과 필연(Necessity)’
모노의 문제
(1) 목적론적 법칙(teleonomy)
(2) 우연(chance)
우연과 필연을 넘어 연기緣起(dependent arising)로

22. 다윈이 남긴 과제
다윈이 남긴 과제 하나
다윈이 남긴 과제 둘

23. 불교의 진화 1
연기緣起(dependent arising, pratityasamutpada)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로 진화한 연기緣起
연기緣起로부터 진화한 무상無常, 무아無我, 고苦의 삼법인三法印
방편方便(heuristic tools)과 진화

24. 불교의 진화 2
남전불교와 북전불교
연기와 공
윤회가 열반이다
선禪
현대의 불교
다시 연기緣起로




47You, 정승국, Gokin Moo-Young and 44 others

6 comments1 share

Comments


김경일 어디서 출판하나요?
언제쯤 볼수 있을까요?
Hide or report this


Like
· 30m


박진형 목차를 보니 참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도움되는 에세이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이 우주 전체가 한세포이고 한생명이니 태어나고 죽는 것도 없고 시간이 흐르지도 않는 것이겠죠._()_
Hide or report this


Like
· 24m


김근중 융합이라! 흥미롭네요.^^
잠시 순서 배치를 고려해보세요.

2.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
연기 다음에 무상 이라고 하기보다는
무상 그 다음에 연기 라고 해보세요

그 이유는 <초전법륜경>에서 "일어난 법은 그무엇이든 반드시 소멸한다."는 (법의 집.멸) '무상'을 먼저 설법하시고 나서 그 뒤에 '연기'법을 설하셨습니다. ( <가전연경> <카사파경> 등에서 12연기의 법을 설하십니다.)
또한 그 후에 부처님은, <대열반경><우다니>등에서 "이것이 있으니, 저것이 있고, 이것이 소멸하니 저것이 없고." 고‥ 그 기술뒤에 12연기법을 설하십니다. (무상이 먼저라고 근거를 대라고 하신 그 경전근거를 지금 말한것입니다.)
즉,
일어나는 그 무엇이건 소멸하는 '무상'의 법안이 있으야 비로소 법의 '연기'를 말한답니다.
그래서
"법을 보는 자 나를 본다! "
라고 말씀하셨죠
'무상'의 법안(정확하게는 이 무상법안과
" '중'에 의해서 법을 설하다" 까지)이 있기에
"이것이 있으니 저것이.." 기술과 12연기를 설명하시거랍니다.
한번 현응스님과도 탁마해보세요.
책이 발전하시길...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