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6

후지와라 세이카 - 위키백과, 藤原惺窩

후지와라 세이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후지와라 세이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후지와라 세이카
『先哲像伝』에 실린 후지와라 세이카 초상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 1561년 ~ 1619년)는 센고쿠 시대 말기에서 에도 시대 초기의 성리학자이다. 이름은 슈쿠(肅). 자는 렌부(斂夫)이다. 가명(家名)인 레이제이(冷泉) 대신 중국식으로 본성(本姓)인 후지와라(藤原)와 그것을 줄인 글자인 도(籐)를 공식 이름에 사용하였다. 승려로 있을 때에는 순수좌(舜首座)라고 불렸다.

생애[편집]

에이로쿠 4년(1561년), 구게 레이제이 다메즈미(冷泉爲純)의 셋째 아들로서 시타레이제이가(下冷泉家) 소유의 영지였던 하리마국 미키군(三木郡, 지금의 미노군(美嚢郡)) 호소카와 장원(細川庄, 지금의 효고현 미키시)에서 태어났다.

장남은 아니었던 그는 일찍 교토로 가서 상국사(相國寺)에 들어가 선승(禪僧)이 되어 주자학을 공부하였다. 유학을 배우러 사쓰마국에서 에 건너가려고 시도했지만 갑자기 병을 얻는 바람에 실패로 끝나고, 그 뒤 조선의 유학자 강항과의 교류를 통해[1], 그때까지 교토의 산승들 사이에서 교양의 일부이기도 했던 유학을 체계화하여 경학파(京學派)로서 확립한다. 그의 학풍은 주자학을 기조로 하면서도 양명학도 수용하는 등 포용 분야가 넓은 것이 특징이다.

후지와라 세이카는 근세 일본 유학의 시조로 여겨지고 있으며, 문하의 제자 가운데서도 특히 하야시 라잔 · 나와 갓쇼(那波活所) · 마쓰나가 세키고(松永尺五) · 호리 교안(堀杏庵) 등의 네 사람이 특히 뛰어났고 이들을 가리켜 세이분 사천왕(惺門四天王)이라 칭할 정도였다. 와카나 일본의 고전에도 능통하여 그 시대의 가인(歌人) 기노시타 조쇼시(木下長嘯子)와도 교분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도 인정받아 그들에게 유학을 강의하기도 하고, 이에야스로부터 관직 출사를 요청받지만 사퇴하고 대신 제자 라잔을 추천하였다. 주요 저서로 『촌철록』(寸鉄録), 『지요모토구사』(千代もと草), 『문장달덕강령』(文章達徳綱領)이 있다.

또한, 그의 본가인 시타레이제이케가 하리마에서 센고쿠 다이묘 벳쇼씨의 공격으로 멸망하자 아우 다메마사(爲將)를 새로운 당주로 옹립하여 시타레이제이케의 재흥에 힘썼다. 자신은 시타레이제이케의 당주의 자리에 있지 않았지만, 아들인 다메카게(爲景)는 이후 시타레이제이케의 당주가 되었다.

겐나 5년(1619년)에 사망한다. 향년 59세였다.

인물[편집]

강항의 《간양록》에는 후지와라 세이카에 대해 "두뇌가 총명하여 고문(古文)을 익히 다룰 줄 아는 사람으로 어느 책이나 모르는 것이 없고 성품은 아주 꿋꿋해서 그들 측에서 그리 달갑게 여기지 않는 사람"이라고 평하고 있다.

문하 제자[편집]

각주[편집]

  1.  간양록》에는 강항이 귀국할 때, 강항에게 "명과 조선이 연합하여 군사를 일으켜 일본을 점령해 주었으면 한다"고 요청했다는 일화가 수록되어 있다. 이것은 그에게 일본인으로서의 국가의식이 없어서였다기보다는 당시 위정자들에게 몰려 원하지도 않는 전쟁에 몰리는 일본 백성에 대한 유교적 애민의식 차원에서 나온 발언이었다.

외부 링크[편집]



===

藤原惺窩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藤原惺窩
藤原惺窩像(原本狩野永納筆、文政6年(1823年)渡辺崋山模写、絹本著色、東京国立博物館蔵)
時代戦国時代 - 江戸時代前期
生誕永禄4年1月24日1561年2月8日
死没元和5年9月12日1619年10月19日[1]
改名粛(
別名惺窩、北肉山人、柴立子、広胖窩()、歛夫(
墓所京都府京都市上京区今出川通烏丸東入相国寺門前町の相国寺塔頭林光院
氏族下冷泉家
父母父:冷泉為純
兄弟為勝六条俊久惺窩為将
為景、女
テンプレートを表示
藤原惺窩像(『先哲像伝 近世畸人傳 百家琦行傳』より)

藤原 惺窩(ふじわら せいか)は、戦国時代から江戸時代前期にかけての儒学者家名の冷泉を名乗らず、中国式に本姓藤原および籐(とう)を公称した。

生涯[編集]

永禄4年(1561年)、公家冷泉為純の三男として下冷泉家の所領であった播磨国三木郡(美嚢郡)細川庄(現在の兵庫県三木市)で生まれた。

長男でもなく、庶子であったため家は継がず、上洛相国寺に入って禅僧となり、禅と朱子学を学んだ。儒学を学ぼうとに渡ろうとするが失敗に終わった。その後朝鮮儒者姜沆と交流し[2]、その助力を得て『四書五経倭訓』を著し、それまで五山僧の間での教養の一部であった儒学を体系化して京学派として独立させた。朱子学を基調とするが、陽明学も受容するなど包摂力の大きさが特徴である。近世儒学の祖といわれ、門弟のなかでも特に林羅山那波活所松永尺五堀杏庵の4人は惺門四天王と称された。和歌や日本の古典にも通じており、同時代の歌人木下長嘯子とは友人であったと言われる。豊臣秀吉徳川家康にも儒学を講じており、家康には仕官することを要請されたが辞退し、門弟の羅山を推挙した。主著に『寸鉄録』『千代もと草』『文章達徳綱領』がある。

また、実家の下冷泉家は、播磨の所領において戦国大名別所氏に攻められ当主が戦死し没落した。このため、惺窩が尽力し弟の為将を新たな当主に擁立することで下冷泉家を再興させた。惺窩自身は庶子でもあり、自ら下冷泉家の当主の座に就くことはなかったが、為将の死後、長男の為景が勅命により当主となった。

元和5年(1619年)死去、享年59。

人物[編集]

  • 個人の修養を重視し、朱子学に傾倒するも、仏教には寛容であった[3]

生誕地[編集]

藤原惺窩の生まれた兵庫県三木市細川町に、「生誕の地」の石碑と銅像がある。

門下[編集]

関連項目[編集]

補注[編集]

  1. ^ 藤原惺窩』 - コトバンク
  2. ^ 佐々木潤之介他編 『概論日本歴史』 吉川弘文館 2000年 pp.167 - 168.後に姜沆が朝鮮に帰国する時に「明と朝鮮の連合軍で日本を占領して欲しい」と願い出たことで知られる(『看羊録』)。
  3. ^ 佐々木潤之介他『概論日本歴史』吉川弘文館、2000年。

===


===

Fujiwara Seik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Fujiwara Seika
Fujiwara Seika from Japanese book『先哲像伝』
Born8 February 1561
Died19 October 1619
RegionEast Asian philosophy
School

Fujiwara Seika (藤原 惺窩, February 8, 1561 – October 19, 1619) was a Japanese Neo-Confucian philosopher and writer during the Edo period.[1]

His most well-known student was Hayashi Razan (1583–1657).[2]

Life[edit]

He was born in Harima Province (now Miki City, Hyogo Prefecture) on February 8, 1561 to the Reizei family. At the age of seven or eight he was sent to the Shōkoku-ji temple to become a Zen Buddhist priest. There, he studied Confucianism alongside his Zen studies. In 1596, Fujiwara attempted to travel to Ming China in order to study under an authentic Confucian master, but inclement weather forced the party to turn back. Fujiwara learned more about Neo-Confucianism from the Korean scholar Kang Hang[3][4][5]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Ponsonby-Fane, Richard. (1962). Sovereign and Subject, pp. 246-248.
  2. ^ Ponsonby-Fane, p. 248.
  3. ^ Yu, A. C. "Fujiwara Seika - Japanese Wiki Corpus"www.japanese-wiki-corpus.org. Retrieved 2022-04-13.
  4. ^ "Fujiwara Seika | Encyclopedia.com"www.encyclopedia.com. Retrieved 2022-04-13.
  5. ^ Bowring, Richard (2006). "Fujiwara Seika and the "Great Learning""Monumenta Nipponica61 (4): 437–457. ISSN 0027-0741.



===

===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