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01

“정의연 ‘윤미향 1인 체제’가 문제 키웠다”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정의연 ‘윤미향 1인 체제’가 문제 키웠다”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정의연 ‘윤미향 1인 체제’가 문제 키웠다”
등록 :2020-05-18 16:46수정 :2020-05-19 02:47
페이스북트위터공유스크랩프린트크게 작게
정의연 둘러싼 논란, 왜?
정대협 초기 유일 상근간사로 30년 헌신
몸집 커졌는데 정보 독점, 주먹구구식 운영
여타 과거사 피해자 단체와도 소통 부족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자. 한겨레 자료사진.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자. 한겨레 자료사진.
정의기억연대(정의연)와 그 전신인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를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는 지난 30년 동안 정대협을 혼자서 이끌어오다시피 한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자(비례대표)가 있다. 정대협 초기부터 유일한 상근간사로 단체를 이끌어온 윤 당선자는 이후 ‘윤미향이 곧 정대협’이라고 불릴 정도로 정대협의 대내외 활동을 모두 도맡아왔다.

 <한겨레> 취재에 응한 여러 시민사회·학계 관계자들은 “정대협은 사실상 윤미향 1인이 이끌어온 체제였다”고 입을 모은다. 윤 당선자의 막강한 영향력은 동전의 양면과 같았다.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의 첫 위안부 피해 증언이 나온 뒤 30년 동안 윤 당선자는 척박한 위안부 문제 운동을 이끌며 헌신했다. “나도 위안부였다”는 신고전화가 들어오면 두메산골이라도 찾아가 증언을 녹음하고, 단체의 열악한 살림을 메꾸려 자신이 받은 강연료까지 털어가며 운영해온 걸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같은 ‘헌신’이 독배가 됐을 수 있다는 설명이 나온다. 수억원의 기부금과 국고보조금을 지원받을 정도로 몸집이 커졌는데도 윤 당선자가 실무자들을 키우지 않고 정보를 독점한 채 사실상 주먹구구식으로 운영을 해왔다는 것이다. 실제로 정대협의 안성 힐링센터 ‘졸속 운영’ 관련 보도가 나온 뒤 정의연 관계자들 가운데선 당시의 내막을 자세히 아는 활동가를 찾기 어려웠다. 10억원의 기업 기부금을 받아 피해자들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대형 사업인데도 “당시 상황을 정확히 모른다”는 답이 돌아왔다. 윤 당선자만이 지역사회의 지인을 통해 건물을 추천받은 정황을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다.
정의연 내부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윤 전 대표의 1인체제는 20년 넘게 지속됐다. 다른 이들을 잘 신뢰하지 않고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다. 자원봉사자들도 보안각서를 쓴 적도 있다. 그러니 실무자들이 (운영과 관련한) 내용을 잘 몰랐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일각에선 윤 당선자의 남편 김삼석 <수원시민신문> 대표가 과거 보수 정권에서 공안당국의 감시에 시달린 탓에 윤 당선자가 극도의 보안의식을 갖게 됐다는 분석도 있다. 언제든지 공안당국에 꼬투리를 잡힐 수 있는 상황에서 몸조심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윤 당선자의 이런 태도는 정의연을 넘어 ‘위안부’ 피해자 인권운동에서도 소통 부족 논란을 일으켰다. 위안부 피해자 운동 단체 관계자는 “정대협은 다른 과거사 피해자 단체와 소통하지 않은 채 과잉대표성을 가져왔다”고 짚었다. 앞서 피해 생존자이자 여성인권운동가인 이용수 할머니가 “지난 30여년간 진실을 밝히기 위한 투쟁 과정에서 나타난 사업 방식의 오류나 잘못을 극복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고 질타한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배지현 엄지원 기자 beep@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45413.html#csidx2aaf84339b30fa489f191f84f522cdd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