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미군 철수 여론 54%까지 올라갔다 < 통일뉴스 2005.09

미군 철수 여론 54%까지 올라갔다 < 현장소식 < 기사본문 - 통일뉴스

미군 철수 여론 54%까지 올라갔다
<중앙>조사, '북전쟁도발 가능성'은 낮아져
기자명 이강호 기자
입력 2005.09.23 19:57
댓글 1


최근 3년새 우리 국민의 미군 철수 여론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북한의 전쟁도발 가능성에 대한 여론의 추이는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일보가 창간 40주년 기념으로 '밀워드브라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월 24일부터 9월 10일까지 전국 만 20세 이상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 54%가 주한미군의 단계적 또는 전면 철수에 동의했다.

이 수치는 2003년 39%, 2004년 48%에서 점진적으로 늘어가는 추세다. 주한미군이 '계속 주둔'해야 한다는 의견은 16%에 지나지 않았다.

가장 싫어하는 나라는 일본이 62%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2위는 미국(16%), 이어 북한이 9%로 뒤를 이었다. 
가장 좋아하는 나라는 미국(17%)으로 호주(15%)를 근소한 차이로 따돌렸다. 북한은 중국, 미국에 이어 경제적으로 가장 협력해야 하는 나라(13%)로 꼽혔다.

북한의 전쟁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는 국민 42%가 동의했다. 이 중 강한 긍정은 5%였으며, 약한 긍정은 37%였다. 이 수치는 2002년 49%, 2003년 52%, 2004년 47%로 올해 초 북한의 '핵무기 보유 선언'이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점차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남북한 경제협력이 상호 이익이라는 의견은 50%가 동의한 반면, 15%는 동의하지 않았다. 대북정책의 기조로서 '상호주의'가 63%를 차지해 '지원을 통한 개방유도' 28%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북한을 적대 및 경계 대상으로 간주한다는 시각은 9%에 불과했다.

참여정부의 대북정책은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 이후 가장 잘한 일(12%)로 꼽혔다. 그러나 '잘한 일이 없다'가 48%를 차지했다.

중앙일보의 이번 여론조사는 조사원이 직접 가구를 방문해 면접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 오차는 2.8%이다.

한편, 국민의 70%가 국가보안법의 개정 내지 폐지에 찬성했다.

문화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0-21일 전국의 성인남녀 815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국가보안법을 존치시키되 일부 개정하자'는 의견은 30.9%, '폐지 후 형법보완'은 29.2%를 차지했다. '완전 폐지'는 9.8%였으며, '현행 유지'는 5.8%에 불과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