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30

알라딘: 미국선교사와 한국근대교육

알라딘: 미국선교사와 한국근대교육


미국선교사와 한국근대교육 - 미션스쿨의 설립과 일제하의 갈등, 번역총서 9 
이성전 (지은이),서정민,가미야마 미나코 (옮긴이)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2007-08-20

다음





미리보기



Sales Point : 129

7.0 100자평(0)리뷰(2)


옮긴이 서문

서론

제1장 제국주의와 미션 20세기 초부터 "문화정치" 시기까지
제2장 부식 - 윌리엄 베어드와 평양의 기독교교육
제3장 길항 - <개정사립학교 규칙) 과 종교교육의 자유
제4장 갈등 - 평양 VS 서울
제5항 저항 - 독립운동을 둘싼 정치불개입 원치과 그 정치성
제6장 상극 - 식민지 권력과 미션스쿨
제7장 융합 - 북장로교 미션스쿨의 지정학과를 둘러싸고
제8장 이반 - 신사첨배 강요와 미션스쿨

결장 와해 - 제국 속의 제국의 붕괴와 미국형 근대의 좌절

찾아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이성전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52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현재 요코하마시에 거주. 게이센여학원대학 대학원 인문학연구과 교수

최근작 : <미국선교사와 한국근대교육>

서정민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종교, 역사, 문화론 전문의 연구자로, 한국과 일본에서 공부하였고, 모교인 연세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일본 도쿄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 아사히신문 〈논좌〉의 칼럼니스트이기도 하다. 한국어와 일본어로 쓴 여러 권의 학술서 이외에 칼럼집과 에세이집으로, 『日韓関係論草稿』(朝日新聞出版, 2020), 『東京からの通信』(かんよう出版, 2021), 『타인의 시선 경계에서 읽기』(섬앤섬, 2020), 『일본이라는 이웃』(동연, 2022) 등이 있다.

최근작 : <[큰글자책] TK생 지명관 “아시아로부터의 통신”>,<그림을 짓다>,<TK생 지명관 “아시아로부터의 통신”> … 총 34종 (모두보기)

가미야마 미나코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나고야가쿠인대학(名古屋學院大學) 상학부 준교수.
일본 관세이가쿠인 대학 학부와 대학원 석사과정을 거쳐 박사. 연세대에서 1년간 교환유학생으로 공부했으며, 일본 시가 현 오미교다이샤 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서 일했다. 이후 한국 성결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원어민 교수, 관세이가쿠인 고등부 교사(비상근 강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인 남편과 함께 번역과 집필 작업을 하고 있다. 역서로는 『미국 선교사와 한국 근대교육』(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原子力とわたしたちの未來?韓國キリスト敎の視点から』(大阪 :... 더보기

최근작 : <아시아 공동체와 평화> … 총 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은 첫째, 소재 자체는 한국에서 기독교 학교 성립과 발전, 갈등과 와해라는 역사과정에 충실히 서술 초점을 두고 있지만, 그 내재적이고 전체적인 관심은 한국의 근대화에 있어 선교사의 역할과 그 통로로서의 학교교육이 어떤 상관성을 형성했는가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그러한 상관관계 속에 기독교 복음의 선교와 문명전파, 혹은 제국주의적 가치관의 기저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나아가 그거시 일제라고 하는 또 다른 세력과는 어떤 실제적 관계를 성립시켜 나갔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관심이 구체적으로 서술되고 결론지어지는 것보다는 한국에서의 기독교 학교, 특히 평양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의 기독교 학교의 현장 역사 속에서 구명되는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생생한 응답을 견지하는 장점을 지녔다. 저자는 '제국 속의 제국'으로 스스로 명명한 평양, 그곳에서의 이른바 삼승의 폐교를 미국선교사들이 꿈꾼 조선의 근대화 기초의 붕괴로 보았고, 그것은 전적으로 일제의 신사참배 강압으로 그 첫 원인자를 상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른바 '풀턴(Fulton)선언'으로 대표되는 남장로회의 학교정책, 남한지역의 경우와도 정확히 비교해 내고 있다.
- 옮긴이 서문 중에서 접기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2)
리뷰쓰기
공감순




좋지만 좋지 않다.

미국 선교사와 한국의 근대 교육에 대한 내용이다. 하지만 학문의 범위가 좁다는 것이 아쉬운점으로 남는다. 단순한 사실에 대한 기술에 정확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좋지만, 그것이 가지고 함의와 저자 특유의 시선이 없다는 점이 아쉽기만 하다. 일본 아카데미 학풍의 특징인가 라는 의문을 가진다. 어찌되었듯 좋은 점수를 주기는 글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중고교 교과사를 읽는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네. 나에게는 지루한 책이다.
minority 2008-04-22 공감(0) 댓글(0)








갈등.. 새창으로 보기
저자가 제기한 문제제기는 다음과 같다. "미국선교사가 조선에서 어떻게 교육에 힘썼는가, 어떻게 미션스쿨을 현지 상황을 감안해가면서 발전시키고 전개해 갔는가? 미국의 교육이 그 모델로 설정되었는데, 그것을 어떻게 선택적으로 현지에 뿌리내릴 수 있었는가? 또 어떻게 그것이 수용되어 갔는가? 이 선교사들이 주도한 미션스쿨을 통해서 심겨진 서양 근대가 일본 제국지배, 혹은 총독부가 추진한 교육과 일본 통치하에서 어떠한 관계성을 갖게 되었는가?"(21쪽)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서 밝혀지는 역사를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한국근대사 안에서 발견되는 미국형 근대의 부식, 수용, 발전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서 근대 한국의 다양성을 뚜렷이 드러내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22쪽) 이러한 역사 이해는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근대 한국의 교육은 조선 정부에 의해서 주도되지 못했고, 일제에 의해 지배를 받게 되면서 교육 제도가 갖추어지기 이전부터 이미 개신교 선교에 의해 기초가 닦였지고 있었다. 초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학교들의 거의 대부분이 개신교 선교 사업의 일환으로 전국 각지에 자리를 잡고 있었다. 교회, 병원, 학교라는 저자의 표현으로 말하면 "트리니티" 선교사업의 결과였다. 이런 상황에서 일제가 조선을 병합하고 식민통치를 해 나가는 과정에서 교육에 있어서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은 다름아닌 선교사들의 활동임이 분명했다. 시기적으로 세분화하면 교육정책의 강약의 차이가 있겠지만 일제통치 후기로 가면서 "신도"의 강요로 인한 대립양상이 격해지게 되었는데, 이 양상은 "종교와 종교의 갈등"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일제도, 선교사도 서로를 더이상 용인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이 속에서 선교사들이 일제와 맺게되는 관계의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을 저자는 "평양과 서울의 갈등"으로 정리하여 말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 양상을 저자는 세계교회사 맥락으로 이어가서 해석하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근본주의와 자유주의의 갈등"의 맥락이다. 그러나 보다 폭넓게 본다면 이러한 갈등 양상도 결국은 저자의 견해를 빌어 이야기 한다면 미국형 근대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입장의 차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평양이든 서울이든 개신교 선교사업의 한 축이었던 교육사업은 일제와의 대결에서 패배하고 말았다. 미국형 근대가 자리잡을 수 없었던 한국의 구조적인 한계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한계 속에서 오도가도 못하는 역사의 굴절과 왜곡현상을 지적했다. 신앙의 자유를 지켜내며 기독교 신앙을 유지했고 또한 인권적인 측면에서도 저항의 역사를 남긴 긍정성을 말하면서 동시에 교육에 있어서 총독부 교육을 상대화시킬 수 있는 교육공간의 완전한 소멸과 함께 식민지 교육과의 전면적 통합이라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는 부정성을 동시에 지적한 것이다. 저자의 말 그대로 "전진해도 지옥이요, 물로나도 지옥과도 같은 아포리아적인 상태"였다.


이 연구와 함께 안종철의 "미국북장로교 선교사들의 활동과 한미관계" 를 읽으면 당시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 듯하다. 후자의 연구는 자세하고 세심하며 보편적인 역사실증을 통해 구체적인 역사현장을 재현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말미에 이런 추기(追記)를 달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근대 조선에서의 미션스쿨이 조선인들에게 어떤 교육공간이었는지, 또는 식민지 하에서 일본의 제국 지배를 상대화하는 공간으로서 어떻게 기능할 수 있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291쪽). 이 부분에 있어 또 다른 연구가 나온다면 보다 당시대를 살아간 한국인들의 삶을 읽어볼 수 있을 것 같다. 제국주의 국가였던 미국과 일본, 그리고 그 제국주의 국가의 영향 속에서 어떻게든 살아야 했던 한국, 한국인들의 수동적이고 때로는 주체적이었던 근대화의 노정을 기독교와의 연결 속에서 읽어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