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30

Book Review: Arthur H. Smith – Chinese Characteristics

Book Review: Arthur H. Smith – Chinese Characteristics
Book Review: Arthur H. Smith – Chinese Characteristics
This  in  about History, and tagged, was written by  on March 28, 2013 .chinese-characteristics-arthur-h-smith-intellectual-turbidity
Chinese Characteristics by Arthur Henderson Smith, published in 1894. It is available free hereRating: 5/5.
In rich and evocative prose reminiscent of De Tocqueville’s writings on America, Arthur H. Smith lays out what he sees as the core features of the Chinese character and his values. The tone is bold and fearless, making sweeping generalizations and brusque judgments that many today will dismiss as insensitive or “Orientalist,” if not downright racist. I will say from the outset that this is ahistorical and frankly, misses the point. Humans try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simplified models, and stereotypes are an intractable part of this process. This was especially true in Smith’s time, when more objective data, e.g. statistical, was severely lacking in China. Thus, while he carefully acknowledges that “these papers are not meant to be generalizations for a whole Empire”, he nonetheless argues that deriving Chinese characteristics by “recording great numbers of incidents,” especially “extraordinary” ones, and setting down the “explanations… as given by natives of the country,” is an entirely valid and legitimate approach for a popular book on that country.
The “Chinese character” that emerges from his account forms a stark contradistinction to what we might call the “Smithian character,” a category that embraces not only the eponymous author but also reflects the values and assumptions of your archetypical fin de siècle American WASP male. The Chinese character goes by nature’s cycles, and does not have a good sense of either punctuality or even his own age; the Westerner, on the other hand, marches to the chimes of the clock. This “disregard of time” is matched by a “disregard for accuracy” – it is mentioned that the real distance of the Chinese li varies depending on terrain, the prevailing weather, etc. Likewise, the real value of the national currency varies from province to province.
Another major element covered by Smith in relation to China is “intellectual turbidity.” This might seem strange, considering that he also talks of how “all the examination halls,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seem to be perpetually crowded”, but one which becomes much more comprehensible after noting that Smith also says that “education in China is restricted to a very narrow circle”. These observations are confirmed by the historical fact that primary enrollment was at just 4% of the eligible school-age population in China in 1900. (This characteristic, incidentally, seems to be alive well to this day, as evidenced by the immense stress that revolves around the gaokao). Nonetheless, the common folks come off as pretty stupid, and unable to grasp the essence of the questions put to them. For instance, in reply to a query about his age, one man’s answer is said to resemble a “rusty old smoothbore cannon mounted on a decrepit carriage.” Although isn’t asking such a question awkward in the first place? That said, at least we can’t fault Smith for not knowing how to throw in a good turn of phrase!
Another major part of the book concerns Chinese attitudes as regards kin, family, society, and nation. Filial piety is extremely developed; in fact, it isover-developed, to the extent that there have been cases of children willing to sacrifice themselves so as to avoid the death penalty for their criminal parents. (Not exactly a civilization with much in the way of individualresponsibility). A less extreme but far more widespread effect of this is the devaluation of the worth of women. While Smith is undoubtedly a man of patriarchal views, he subscribes to the Christian idea of the spiritual equality of the sexes, and supports women’s education. These aims are harder to achieve in a society built around ancestor worship, where the prerogative to maintain the “continuum of descent” is overriding. Social sanctions, such as the ones for harboring criminals or traitors, are collective in nature, and go against the idea of personal responsibility. But it’s not all bad, at least as regards violence: “Human life is safer in a Chinese city than in an American city.” Nor are the Chinese dying out like the French:
“Contrast the apparent growth of the Chinese at any point, with the condition of the population in France, where the rate of increase is the lowest in all Europe, and where the latest returns show an absolute decrease in the number of inhabitants. Such facts have excited the gravest fears as to the future of that great country. The Chinese, on the other hand, show no more signs of race decay than the Anglo-Saxons.”
Although there is a widespread “hatred of foreigners,” – but isn’t that quite understandable, given the circumstances of late Qing China? – it does not translate into a sense of national cohesion or patriotism. In practice, it is the family (jia) which come first, and then the clans around which Chinese villages are built. (This appears to be accurate). Concubinage and soft polygamy are rife. Honesty is absent in general, though not alway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bureaucracy is stiff, rigid, and all too frequently, corrupt. In modern parlance, we would call this a lack of “social capital.” While Smith acknowledges that Confucianism is a praiseworthy ethical system, the problem is that it is an elite ideology and does not percolate down to the masses. What China desperately needs is “righteousness,” and this can be attained “permanently, completely, only by Christian civilization.”
If there is one overriding problem with Smith’s perspective, it is HIS characteristic of consistently failing to distinguish between Chinese characteristics and undeveloped country characteristics. It was at the edge of subsistence, as repeatedly mentioned by Smith and confirmed by historical evidence; malnutrition was rife, and various infectious diseases were rife, both factors which have major depressive effects on IQ; and the typical absence of literacy can’t have helped either, as literacy is a necessary prerequisite to the development of logical and abstract reasoning. In this context, Smith’s observations that Chinese arguments “consist exclusively of predicates”, which are “attached to nothing whatever”, begin to seem eminently understandable – but on the caveat that what we are seeing is not a Chinese characteristic per se, but the perspective of a literate cosmopolitan on an illiterate peasant mentality (which he perceives as “intellectual turbidity”). Since China has now solved its malnutrition and illiteracy problems – the latest Census put the literacy rate at 97%, and its performance on international standardized tests is now very respectable – this cultural and cognitive chasm has now closed.
The influence of China’s historical backwardness is also clearly manifest as regards the lack of hygiene, the threadbare poverty, the “disregard of accuracy”, etc. Likewise, while he notes the province by province discrepancies in weights, distances, coinages, and dialects, he largely forgoes to mention that this is all in the context of a weak state that is slowly falling apart – in no small part thanks to Western intrusions. Considering the large stock of Chinese mechanical inventions during the European middle ages and China’s long pedigree as a centralized bureaucratic state, it is strange to consider that such differences could be a specifically “Chinese” characteristic. It is worth nothing that even France, despite the prior legacy of Colbert’s dirigisme, only unified its national market in the late 18th century, while linguistic unification would take an additional half a century.
Another point of criticism is that Smith conflates development with Christianity, which surely at least in part reflects his values as a missionary. Nonetheless, this criticism shouldn’t be overdone. The causes of long-term economic development were still largely unknown in the 19th century. Economics had yet to come into its own as a social science, and there was no agreement between the political economists. As such, the assumption that Christianity was a prerequisite of development was not, perhaps, an entirely unreasonable one, given that up to that point only Christian Powers had grown rich and come to rule over most of the world. And it should be stressed that Smith is no fanatic, and only forcefully makes this argument in the last chapter. He is also not averse to recognizing that in many respects, such as personal safety and filial piety, Confucian China is superior to the West.
In the end, it is up to the Chinese themselves to decide whether Smith was a laowai blowhard or someone worth listening to. For the most part they have come down on the latter assessment. The China discourse in the West a century ago was framed in the rather schizophrenic dichotomy between seeing it is a decayed civilization, about to get eaten up by its predatory neighbors, and the “yellow peril,” ready to disgorge its ravenous hordes upon the Christian world. Smith’s observations far surpassed those (admittedly very low) bars in nuance, detail, and understanding. He heavily influenced one of China’s most influential 20th century writers, Lu Xun. And it’s an undeniable fact that some of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he identified continue to plague China to this day, both in terms of “extraordinary incidents” – as in the recent story of a toddler who got ran over to mass indifference, as well as the more objective realm of hard cold statistics – such as the the soaring male to female ratio, which has arisen thanks to the marriage of sex-selective abortion technology with the traditional Chinese view that by “the accident of sex [the daughter] is a dreaded burden… certain to be despised.”
China during the 20th centuries saw many disappointments, traumatic convulsions, and finally, what appears to be a fairly sustainable takeoff into rising prosperity. The characteristics that Smith ascribed to China more than a century ago became redundant: The sense of nation and community was built up under the father-like gaze of Mao, while the transition to capitalism has imprinted upon the new Chinese man a lot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capitalism (e.g. “time is money”) that Smith leads us to believe are specifically Western but are not. And we must also bear in mind that America, too, is not the America of Smith’s time, e.g. public spirit and community life is held to have declined since the 1960’s on most metrics both statistical (e.g. wealth inequality, incarceration rate, crime rate, etc.) and intangible. So in a sense China and the “West” are converging towards being richer, more atomized, and for lack of a better term, “post-Smithian” societies. I would therefore argue that while Chinese Characteristics is of great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interest, its direct relevance to China today is very much limited.

紹介:A.H.スミス 『 支那的性格 』 伊原教授の読書室

紹介:A.H.スミス 『 支那的性格 』 伊原教授の読書室

紹 介:

        A.H.スミス 『 支那的性格 』

            ( 白神徹譯、中央公論社、昭和15.3.20 )

  本書は、Arthur Henderson Smith博士 ( 1848-1932 ) の著書、
  Chinese Characteristics, New York and London, 1890, Revised Edition 1894
の邦譯です。

  戰前の本なので、紹介の文章も歴史的假名遣ひ・本字で一貫します。

  日清戰爭後の明治29年 ( 1896年 ) に博文館から 『 支那人氣質 』 という題で邦譯が出て居ます。
  支那事變に短期解決の見通しがつかなくなり、戰つてゐる相手の支那人の性格を知るため新譯が出て、よく讀まれました。

  著者 スミス博士はアメリカ人宣教師、同治11年 ( 1872 ) に アメリカ の外國傳道委員會から派遣されて天津に渡り、光緒 6年 ( 1880 ) 山東省に移動、山東省の西北の省境に近い?家莊 ( パンジアチュワン。伊原註:今の地圖では見當らない ) といふ農村の教會で布教に從事。

  義和團事件を身を以て體驗してゐて、China in Convulsion, 2vols. NY. 1901といふ著書もあります。このほか、支那に關する著書が澤山あります。

  先づ、目次を紹介します。

  緒 言

  第一章 面 子 ( ミエンツ )
      芝居が上手 誇張の天才 命よりも大事な面子

  第二章 節 儉
      粗食 經濟的な支那料理 廢物活用の天才 無駄のない生活 極端な儉約──不潔

  第三章 支那流の勤勉
      富者も孜々として働く 科擧の制──刻苦勉勵 終生を捧げて官吏たらんとす 勉めいそしむ士農工商

  第四章 禮 儀
      習ひ性となれる禮 禮儀三百威儀三千 尊稱敬稱贈答 社會生活を滑かにする禮 婚禮における風習

  第五章 時間の觀念の無視
      東西の挨拶の仕方──吃飯了〈ロ馬〉と How do you do? 慢々的な宴会 西洋人は氣短かだと評す 腰をあげない訪客

  第六章 精確緻密といふことに無頓着
      度量衡・貨幣制度の亂脉 頭を勘定に入れない身長 山地と平地・上りと下りでちがふ一里 往きは一里、歸りは三里

  第七章 勘違ひの才
      故意に命令をはき違へる 梃子でも動かぬ騾馬 金錢上の紛爭絶へず

  第八章 率直を避け婉曲に言ふ才
      英米人の單刀直入 支那人の婉曲 まはりくどい禮儀作法 鹿を指して馬といふ 病?職にたへずといふ辭職願

  第九章 面從後言
      表向は慇懃乍らかげで違背 掛け値のある處刑 口先ばかりの誓約 支那統治の秘訣

  第十章 智的渾沌
      論理的な思索に適せぬ支那語 ルーズな支那語の構造に起因する渾沌 智愚貧富の甚しい國 胃袋と財布以外のことは無頓着

  第十一章 無神經
      倦まず單調な仕事を續ける職人 どんな處でゝも眠れる

  第十二章 外人輕蔑
      外人輕蔑の諸因  「 學者 」 に對する西洋の觀念と支那人の觀念 文人の排外思想

  第十三章 公共心の缺如
      道路溝渠の荒廢 往來の邪魔をする露店 平氣で敵軍に雇はれる支那人

  第十四章 保守主義
      理想は堯舜時代 經書を神聖視 先例を尊ぶ 風水の迷信

  第十五章 西洋流の安樂といふことがない
      住心地といふことに頓着せず 羊ありて毛織物なく、綿のみ依存す ポケットのない支那服 住宅の不便、都市の不衛生 喧噪や雜沓に對して平氣

  第十六章 旺盛な生活力
      厖大な人口 早婚の風習 長壽 病人、負傷者の治癒力

  第十七章 辛抱強さ・粘り強さ
      ユダヤ人を驅逐する支那人 國姓爺の鎮定 天災は止むを得ずとして受け流す

  第十八章 知足・樂天性
      支那の天命と西洋の攝理 足るを知り天を怨みず 窮貧に甘んじ營々と働く 病の床にあつても悠々然たり

  第十九章 支那の孝
      禮は支那精神の粹 孝は英語に飜譯出來ぬ 孝は百徳の基、不孝は最大の罪 祖先を祀る義務は絶對 子孫なきは最大の不孝 孝行説の五つの難點

  第二十章 支那の仁惠
      惻隱の情 仁-積善-功徳-應報-保險 臘八粥の風習 眞心のこもらぬ支那の仁

  第二十一章 思ひ遣りの無さ
      人民は概ねその日暮し 樂しい家庭生活といふものなし 家族制度と娘、嫁の地位 刑罰制度にあらはれた思ひ遣りの無さ 他郷人に對する冷淡さ

  第二十二章 社會的颶風
      風波の基は家族制度 誹謗は第二の天性 支那の喧嘩、西洋の喧嘩 和平を好み訴訟を忌む 仲裁人の力

  第二十三章 支那の責任と遵法の觀念の原始性
      家族・村落における責任 官界における責任 保甲の制

  第二十四章 疑心暗鬼
      銀市場の状態、銀行制度 官民相互の不信 流言風説の國

  第二十五章 不誠實
      一見不思議な史家輩出 支那人の嘘つき 支那商人の正直 誠實よりも面子が大切

  第二十六章 多神論汎神論無神論
      儒教の道徳的感化 宋の註釋家は唯物論者 三教歸一の説 鬼神を欺く、佛像を裁く
儒教の欠陥

  第二十七章 支那の實状と當面の必要事
      支那社會の弊害 最大の欠陥は品性と良心 新支那の更生

  附 録 日支度量衡對照表/清國中央及び地方官職

  總索引 ( 事項・人名 )

  いかがですか?
  この目次をじつくり眺めるだけで、思ひ當る節が幾つも出て來ます。

  緒言で著者は、支那人の本當の姿を他人に判らせることなど出來ぬといふ抗議が三つの觀點からして可能だと言ひます。

  第一、支那人は矛盾の塊であつて、迚も簡單に説明など出來ない。
  第二、22年間支那で暮したからといつて支那人の性格について語れる保證にならない。
  第三、本書初版の見解は誤つてゐるところ在り、少くとも誤解を招く。

  著者は以下のやうに辯解します。
  それぞれ尤もではあるが、ナポレオンの繪を見てその個性について深い印象を得るやうに、支那人と付き合ふと、紛れもなく 「 支那人とはこういふ人だ 」 といふ深刻な印象を得る。
  私の書物は、數ある支那人の特徴のうち、少しばかりの特徴を觀察して得た印象の單なる記録に過ぎないが、著者自身の經驗のみならず、種々な時代・樣々な人々の經驗を綜合してあるので、支那人の素描として意味があらう、と。

  さて、本書は大きな圖書館でなら簡單に讀めます。
  皆さんにはぜひ直接、じつくり讀んで戴きたいと思ひます。

  ここでは、以下の三點だけ紹介して置きます。

  第一、支那人と西洋人は 「 發想法 」 が全く違ふので、兩者は 「 決して同一の光で同一の物を見ることは出來ない 」 ( 13頁 )

  第二、支那人の 「 嘘つき 」 とは、その場を圓滑に濟すための演技にほかならない。
  相手か自分かの 「 面子 」 、或ひは雙方の 「 面子 」 を潰さぬやうに取繕ふ人間關係圓滿化の工夫であり努力なのだと。
  勘違ひ・率直を避け婉曲に言ふ才能・面從腹背など、皆ここに發する。

  第三、自分の力を超へる力には逆はず隱忍自重し、人間相手には辛抱強く粘り強くしつこく言ひ募る。相手が根負けするまで言ひ續ける。



  私自身の見解:
  「 支那人とは 」 といふ問に、特に四點、指摘して置きます。

  第一、支那人とは 「 玉葱 」 である。
  本音を見ようと皮を剥いても剥いても本音は現れない。
  つまり、その場その場で言ふことがすべてこれ本音、或ひは本音としか思へぬ迫真の演技なのです。
  但し、昨日言つたことと今日言ふこと、A氏に言つたこととB氏に言ふことの間に脈絡があるとは限りません。

  第二、支那人とは 「 表演 」 をする人。
  生まれながらの俳優。
  とても尻尾が掴めません。
  これ全て亂世を生抜く生活の智慧です。

  第三、支那は有史以來、現在に到るまで、低信用社會です。
  他人が信用できないので、近代國家など組立てやうがない。

  第四、支那は縦割社会である。
  上下の命令下達社会である。
  專制支配である。
  平等の共同體がない。 「 神の前の平等 」 も 「 法の前の平等 」 もない。
  だから 「 友愛 」 がない。
  知識分子・官吏・郷紳ら 「 人材 」 はすべて權力に結びついて存在してゐた。
  從つて、自由も平等も人權もない。
  だから商賣は慾惚けの盲目的金稼ぎに墮し、平氣で人を殺す ( 賤民資本主義 ) 。

  さうさう、大事なことを言ひ忘れました。

  指導的地位に在る支那人は、中華思想の權化です。
  そして、中華思想とは、 「 お山の大將、俺一人 」 といふ考へ方です。
  「 惡いのは皆他人 」 といふ思想です。
  「 世界は私の爲にある 」 「 他人は私に奉仕するため存在してゐる 」 と考へます。
  獨断+獨善。

( 平成20.10.24記 )

패왕별희 - 나무위키

패왕별희 - 나무위키

패왕별희

최근 수정 시각 : 2016-04-08 18:15:18
1. 개요2. 출연진3. 줄거리4. 기타

1. 개요[편집]

《패왕별희》(Farewell My Concubine, 覇王別姬)는 1993년 중국의 천카이거(陈凯歌, Chen Kaige) 감독이 연출했다. 이벽화(영문명 릴리안 리)의 동명소설[1] 을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 원작자가 각본에도 참여하였다. 패왕별희는 사면초가와 함께 항우와 우희의 비극적인 죽음을 담고 있는 고사를 바탕으로 하는경극 작품이며, 이 영화의 중요한 소재이자 곧 영화의 제목이다. 제46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작품이며, 국내엔 1993년 12월에 개봉되었다.

2. 출연진[편집]


장국영(청데이程蝶衣[2] 역), 장풍의[3](단샬로段曉樓[4] 역), 공리(주샨菊仙[5]역), 갈우(원 대인 역)

3. 줄거리[편집]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925년, 베이징 경극학교에 두자(도즈豆子 = 콩)라는 소년[6]이 들어오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손가락이 잘리는 고통을[7][8] 겪어가며 강제적으로 경극학교에 들어오게 된 도즈는 고집쎄고 무뚝뚝해보이지만 여리고 내성적인 성격을 가진 미소년이었다. 그래서 다른 아이들로 부터 짓궂은 장난을 당한다.[9] 하지만 그런 도즈를 곁에서 위로해주고 편들어주고 지켜주며 그의 마음을 열어주는 한 소년이 있었는데, 경극학교에서 누구보다 씩씩하고 듬직한 석두(시투石頭 = 돌머리)였다. 길고도 고된 훈련과정을 겪어가며 성장한 그들에게도 마침내 정식으로 경극의 배역이 주어지게 되고, 두지는 여성 등장인물의 역할을, 시투는 전쟁터의 장수 배역을 맡게 된다. 특히 패왕별희는 그들이 줄곧 목표로 하는 경극.

처음에 도즈는 여자역할을 도저히 받아들이지 못하지만, 뒤에서 자신을 돌봐주는 시투와 배려받는 자신의 관계를 전쟁터의 장수와 그를 기다리는 여인의 관계에 대입하기 시작하며 결국 여자 역할을 해내기 시작한다.[10]

이 과정에서, 청나라 시절에 궁중 내시었던 부유한 노인 장 대인의 집에 불려가 공연을 하게 되는데, 데이는 그의 미모를 눈여겨 보던 장 대인에게 강간당하는 수모를 겪기도 한다.[11] 그리고 돌아오는 길에, 데이는 경극학교 앞 마당에 버려진 아기를 보고 스승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서 라고 이름붙이고 데리고 와서 키운다. 후에 경극학교가 망해도 경극배우를 포기하지 않는 서를 보고, 후배로서도 양성하게 된다.

1937년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던 시기에 청데이(도즈의 예명)와 단샬루(시투의 예명)는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경극 배우가 되어 있었고, 샬루는 홍등가의 유명한 창녀인 주샨(공리)과 사랑에 빠져 결혼을 약속한 사이가 되어 있었다. 그런 그들을 시기와 질투의 시선으로 바라보던 데이는 보란 듯이 경극 애호가이자 부유한 후원자였던 원 대인에 의지하며[12] 그의 애인이 되고, 샬루는 데이와의 약속마저 깨뜨리며 주샨과 결혼하게 된다. 점점 틀어지는 두 사람의 관계, 그리고 지울 수 없는 배신감을 느낀 데이는 결국 아편에도 손을 대기 시작한다.

1945년 일본군이 물러가고 본토는 다시 국민당이 점거하게 되면서 대대적으로친일 행위를 벌인 사람들은 간첩 행위로 기소당하게 된다. 데이는 일본군을 위해 노래했다는 이유로 간첩으로 몰리고[13], 그는 모든 것을 체념한다. 어떻게 해서든 그를 풀려나게 하기 위해 샬루와 주샨은 원 대인에게 사정사정하고, 원 대인 역시 데이와의 정을 생각하여 도와주려고 하나 정작 재판정에서 데이는 이 모든 것을 거부한다. 결국 원 대인과의 관계는 단절되고 데이에게 위기가 찾아오나, 국민당의 한 고위 장교가 데이의 연기를 보기 위해 베이징을 방문하자 다시 풀려나게 된다. 여담이지만 데이를 강간했던 장대인은 그 많던 재산들을 다 빼앗기고 결국 백치가 되어 길거리 담배 장수로 몰락해있었다.

1949년 국공내전이 공산당의 승리로 끝나면서 국민당은 대만으로 물러나고, 본토는 공산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결국 원 대인도 인민들의 손에 조리돌림당하고 처형된다. 이런 분위기 속에 본토는 다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열렬한 공산주의자가 된 양자 서의 냉철한 비난과 힐난을 받고 데이는 경극 배우 생활을 청산한다.[14]

이후 데이는 아편을 끊기 위해 노력하지만 금단현상으로 정신을 못 차리는데, 우연히 엄마를 찾는 것을 들은 주샨은 데이에게서 모정을 느끼게 된다. 사실 여태까지 데이가 샬로를 위해 더러운 일을 한다는 것을 주샨은 알고 있기도 했었기 때문. 데이가 뒤에서 해왔던 일들 역시 결국은 창녀에 다를 바 없었기에 데이가 쥬샨을 더욱 마음에 들지 않아했는지도 모를 일.

1966년 본토는 문화대혁명의 풍랑을 맞게 되고, 샬루와 데이가 몸담았던 경극단은 경극분장을 한 채 길거리 한복판에서 서가 이끄는 홍위병들에게 인민재판의 수모를 겪는다. 고문을 견디지 못한 샬루는 단원들의 만류에도 데이의 동성애 성향을 폭로하고[15], 이에 맞서 데이도 통곡을 하며 (사실 데이가 일본군 앞에서 노래한것도 샬로와 주샨때문이다..) "하지만 샬루, 넌 '패왕'을 버렸어!"라며 샬루를 비난한다.거기다가 이를 말리려던 주샨을 가리켜 그녀가 과거가 창녀였다는 것까지 홍위병들 앞에서 폭로해버렸고, 홍위병이 이걸로 추궁하자 샬루는 견디지 못하고 단 한번도 주샨을 사랑한 적이 없었다고 거짓말을 한다. 거기다가 한 술 더 떠 이젠 우리는 남남이라며 이혼선언까지 하고 만다. 지켜주겠다고 했잖아 이 나쁜 놈아ㅠㅠ[16] 결국 그 날 셋 다 살아서 풀려났지만, 충격을 받은 주샨은 데이가 샬로에게 주기 위해 원대인에게 몸을 바쳐 얻어낸 보검을 데이에게 돌려주고,[17] 집으로 돌아와 결국 목을 매어 스스로 자결하고, 이를 본 데이와 샬루도 그 충격으로 맛이 가게 되었다. (자결한 주샨을 본 샬로와 데이의 모습은 그야말로 실성한 이들이었다.) 그리고 그들을 배신하고 홍위병이 되었던 '서'는 어느 큰 방에서 혼자 데이의 분장품을 가지고 우희 분장을 한 채 도취되어 있다가, 갑자기 한 손에 마오쩌둥 평전을 하나씩 든 홍위병들에 의해 잡혀가게 된다. [18]


세월이 흘러 문화대혁명의 풍랑이 잦아든 1977년. 텅빈 경극 공연장을 함께 걸어가는 데이와 샬루는 60에 접어들어 은퇴 직전 패왕별희의 마지막 공연을 앞두고 연습을 하고 있었다.[19] 끝까지 항우와 우희를 연기해왔던 두 사람의 운명은 결국, 항우와 우희의 운명과 같이 하게 되고, 데이 역시 마지막 경극 무대에서[20] 샬루의 허리춤에 꽂혀있던 검을 몰래 뽑아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21][22]

4. 기타[편집]

감독 천 카이거는 중학생 때 문화대혁명을 겪었고, 직접 홍위병으로 참가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아버지를 부정하는 행동을 벌였는데, 이러한 모습들을 영화 속 문화대혁명 시기 예술과 가족의 관계성이 탄압받는 모습으로 그려내었다.

샬루가 점점 힘과 권위를 잃어가는 모습은 벽돌을 머리로 깨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어린 시절부터 곤란한 상황이 닥칠 때마다 벽돌을 자신의 머리에 내리쳐 깨뜨리는 걸로 힘과 재능을 과시하며 위기를 넘겼던 그는, 문화대혁명이 발발하면서 힘을 잃자 벽돌도 결국 깨지 못하고 자기 머리만 다치는 지경이 된다. 

배우 장국영은 중성적인 배역의 모습과 극 패왕별희 속 '우희'의 여성적인 모습. 그리고 동성애 성향[23]을 완벽히 소화해냈다. 그가 훗날 동성애자(라지만 실제로는 아마 양성애자에 가까운것 같다)임이 세상에 알려졌던 것을 생각해보면, 흥미로운 부분.

장국영의 아역으로 나오는 두 명의 소년배우들 중 두번째 아역의 미모가 ㅎㄷㄷ한데, 특히 눈에서는 눈물, 입가에서는 피를 흘리며 경극 투자자를 뚫어져라 노려보는 장면이 유명하다.



[1] 원작 소설으 결말은 영화와는 다르다. 현재는 절판되어 구할 수 없다.[2] 한국 자막을 정말로 기막히게 넣은 대표적인 사례. 중국어가 아닌 영어이름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흔하다. 원래 발음은 디에 이에 가깝다.[3] 오우삼 감독의 영화 '적벽'에서 조조 역할로 나왔던 배우[4] 데이와 마찬가지. 원래 발음은 샤오 로우에 가깝다.[5] 역시 마찬가지. 원래 발음은 쮜 시엔에 가깝다.[6] 청데이의 아명[7] 창녀였던 어머니는 아이를 데리고 매춘일을 할 수가 없어서 경극학교에 맡기려고 했지만, 본래 육손이였기 때문에 경극학교에서 두지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그래서 어머니는 그의 손가락을 강제로 잘라낸다.[8] 이 장면을 두고 청데이의 성적정체성이 거세되었음을 의미한다는 해석이 있다.[9] 단지 성격 때문만은 아니고, 창녀의 아들이라는 이유도 있었다.[10] 데이가 경극단의 후견인 앞에서까지 여자역할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실수를 하자, 바로 그 시투가 직접 나서서 입을 담뱃대로 쑤셔가며 해내라고 윽박질렀기 때문.(데이의 실수 때문에 중요한 후견인을 놓치게 될 상황이었고, 게다가체벌이 당연시되던 경극단 분위기상 데이는 정말 맞아죽거나 쫓겨날 수도 있었다.) 결국 시투를 위해서 모든 걸 시작하게 된 것이다. 때문에 극 내내, 도즈=데이가 가진 동성애 성향은 몹시 애매하게 그려진다. 자신을 보호해준 시투에 대한 애정인지, 극 중 언급되는 것 처럼 극에 미쳐서 현실과 분간을 하지 못하게 된 것인지, 아니면 그저 본래 동성애 성향이 있었던 것인지 정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11] 스승이 상납한 것이나 다름 없었으며, 데이의 유년시절이 끝남과 동시에 사실 그들이 패왕과 별희로서 무대에서 존재하기 위해선 처음부터 데이의 희생과 더러운 뒷거래가 있었어야 함을 뜻하는 장면이다.[12] 처음에는 경극애호가 같았으나...어찌 보면 이 사람은 우희로서의 데이를 사랑한 유일한 사람. 다만 너무 변태스럽게 그려져서[13] 경극 공연 중에 국부군이 몰려와 데이를 지목해 "저 놈 친일파다!"라고 비난하자 샬루가 국부군들을 말리다가 한패로 몰리는 바람에 싸움이 벌어졌고, 임신 중이던 주샨은 샬루를 찾다가 구타당해 유산하게 된다.[14] 양자인 서가 공산주의 사상에 물들게 된 계기가 뚜렷하게 묘사되어 있지 않은데, 사실 데이에 대한 질투심이 이유에 가깝다. 데이가 아편에 심하게 취했을 때 대역을 한 적이 있으며, 이 때문에 데이에게 심하게 욕을 먹는다. 결정적으로 마지막 장면 직전, 데이가 가졌던 우희의 장신구 등을 가지고 우희 분장을 한 채 도취되어 있다가 홍위병에게 잡혀가게 된다.[15] 죄책감 때문에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원대인의 그 관계가 맞지 않느냐는 식으로 언급하지만 데이의 동성애 성향, 여성스러운 면 등을 종합하면 바로 답이 나오는 문제였다. 그래서 단원들도 절망했던 것이다.[16] 문화대혁명 초반의 어느 날 밤에, 아내와 함께 집의 고물들을 다 부숴 없애던 샬루는 주샨과의 대화 중 반드시 주샨을 지켜주겠다고 약속했었다.[17] 그게 얼마나 데이에게 소중한 물건인지 알고 있었기 때문.[18] 이는 서의 몰락을 보여줌과 동시에 현실에서 데이와 샬로의 설 곳이 점점 사라진 것과 마찬가지로 이제 데이가 무대에서의 우희로조차 있기 힘들어짐을 의미한다. 그래서 엔딩 부분에서 데이는 마지막으로 우희로서 삶을 마감하기로 결심한 것.[19] 영화 초반부의 모습. 일종의 수미상관 형식으로 영화가 구성되어 있다. 체육관 관계자가 요즘은 문혁의 분위기가 많이 누그러졌다는 뉘앙스의 발언을 한다.[20] 경극 '패왕별희'에서 우희는 자결한다.[21] 이 직전에 데이가 샬루를 향해 굉장히 미묘한 표정의 변화를 보이는 장면이 있는데, 장국영의 연기력을 짐작케 하는 장면 중 하나로 손꼽힌다.[22] 샬루의 그 검은 바로 데이가 샬루가 고발했던 '원대인과의 관계'를 댓가로 얻어온 보검이었다. 여담이지만 원래는 장내시의 것으로 시토가 갖고 싶어했던 것이었다. 그리고 이미 이 자살에 대한 복선이 등장했었는데, 중반부에 샬루의 결혼식날 밤에 절망한 데이가 원대인의 집에서 패왕별희 놀이를 하던 중 원대인의 허리춤에서 이 검을 뽑아 자살하는 흉내를 냈었고, 순간 원 대인도 깜짝 놀라 "조심하시오, 그건 진짜 칼이오!"라면서 만류했었다.[23] 작중 둘의 관계를 봐도 단순한 친구 겸 동료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