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7

아들아, 넌 어떻게 살래?

아들아, 넌 어떻게 살래?

아들아, 넌 어떻게 살래?
최용탁 (지은이) | 녹색평론사 | 2016-03-31
----

<미궁의 눈>, <즐거운 읍내>, <사라진 노래> 등으로 잘 알려진 소설가 최용탁의 에세이집. 농부소설가 최용탁은 유려하지만 담박한 문장으로 계절을 따라가면서 사멸 직전에 와 있는 한국 농촌의 일상과 현실을 가슴 아프게 드러낸다. 엄혹한 현실에 처해 있는 우리 땅과, 땅과 더불어 살아가는 이웃에 대한 사랑을 드러낸다. 그리고 욕심도 내고, 어리석은 짓도 하고, 좌절도 할지 모르지만 무엇보다 치욕을 느낄 수 있는 '인간'으로서 살아가기를 다짐한다.

글쓴이의 말 5

1부
사과꽃이 필 때부터 장마가 오기까지 12
사과에 붉은 깔이 들어오시네 23
가을이 깊으면 추위를 생각하고 34
거름을 내고, 들녘은 눈에 덮였네 44
기러기 울어 예는 하늘가 55
이른 꽃, 늦은 날들 65
스무 개의 나이테 75
이 또한 지나갈 것인가 84
들녘에 찬 서리 내리고 93
갑오년을 보내며 102
겨울밤, 아버지하고 111
소리 없이 꽃잎은 지고 119
여름날의 야유(野遊) 127

2부
바다의 추억 140
오늘도 꾸준히 144
품 판 날 147
병과 약 150
어떤 위안 153
가뭄 156
이 빗속을 159
살구나무 집 162
농민에게도 이야기를 165
불쾌한 날들 168
선거의 계절 171
담이 이야기 174
딸과 건배를 178
기우 181
대선(大選) 어름 184
반응들 187
지리산행 190
남녘 끝, 바다에서 193
빛이자 빚인 ‘리얼리스트100’ 196
만인에게 필요한 소득을! 203
봄 오는 들녘 209
인생을 즐기라며? 212
낯선 것들 215
잠 못 드는 밤 218
도서관의 계절 221

3부
갑오년, 남도를 걷다 226
원한의 만석보, 녹두장군 일어나다 232
황토현에 울린 승리의 함성 238
파죽지세로 호남을 달리다 244
농민군, 전주성을 점령하다 250
집강소, 민주주의의 씨를 뿌리다 256
남·북접, 반침략의 깃발을 함께 들다 262
통한의 우금티, 농민군의 패배 268
끝없는 학살, 저무는 갑오년 274
농민혁명은 끝나지 않았다 280

-----

P.210~211 : 쓰라린 봄날
봄은 역시 사람에게, 농민들에게 먼저 온다. 마을회관에 모여 겨울을 난 나이 든 농부들의 엉덩이가 들썩인다. 해토머리가 되면 별반 할 일도 없건만 진득하게 앉아 있지 못한다. 괜스레 논밭을 둘러보고 경운기도 탈탈, 시동을 걸어보고 먼저 풀린 텃밭에 삽이라도 꽂아보는 것이다. 한 해 농사지어서 제 품삯 나오는 작물이 아예 없어진 게 이미 몇 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날이 풀리면 어쩔 수 없이 다시 농사 준비를 한다. 계산속이 없어서도 아니고 미련해서도 아니다. … 아이 울음이 사라진 농촌을 지키고 올 한 해 또 농사를 준비하는 마음은, 애처롭지만 남은 삶을 온전히 거두기 위해서다. … 우수 지나고 경칩이 내일모레다. 모래알처럼 많은 풀과 나무들 하나하나에 물이 오르고 발밑에 녹은 흙이 들러붙을 때, 잠시 기억하자. 그렇게 봄은 깊은 곳에서부터 물이 되어 온다는 것을, 때로 그것이 눈물이라는 것을.

P.70~73 : 들녘에 찬 서리 내리고
농림축산식품부가 내놓는 정책이 가장 반농민적이 된 지는 오래되었다. 혹여 자본에 누가 될까 봐 미리미리 농업을 고사시키려는 임무를 띤 게 아닐까 의심이 들 정도다. … ‘창조농업’의 내용인즉슨, ICT·BT융복합 농업, 농업의 6차 산업화, 스마트농업 등속이란다. 이만하면 ‘정책’이 아니라 평균연령 65세인 우리 농민들에게 모독감을 주려는 의도로 읽힌다. 물론 이는 기업농에 대한 정당화와 지원을 위한 밑그림이다. 이명박 정부에서 농업정책이 아예 없다고 비판들을 했는데 그게 아니라 ‘반농민-친기업농’이라는 엄연한 농정이 있었고 박근혜 정부에서는 그 기조에 더해 ‘창조농업’으로 한 발짝 더 나아갔다. 그 끝은 기나긴 살농정책의 완성이 될 것 같다.

P.121~122 : 한때는 30여 호가 넘었고 학교 가는 아이들 소리가 낭랑했던 마을은 불과 30년 사이에 스러진 울바자 같은 마을이 되었다. 앞으로 10년을 버텨낼 수 있을까, 나는 이 사라져가는 마을에 대한 소회로 가끔씩 잠을 설친다. 그리고 내가 보았던 스러짐의 과정을 짧으나마 연혁으로 남기고 싶다. 글 아는 자가 소용되는 일이 그런 게 아니고 무엇이랴, 하는 쓸쓸함을 더해서.
----

김성동 (소설가)
: “여기가 바로 대장부들이 세상에 나왔다가 그만 좌절하고 만 안타까운 땅이 아닌가? 림경업 장군이 여기서 났고, 신립 장군이 여기서 죽었으며, 우리 현대사의 큰 별 김삼룡 선생이 여기 사람이지?”일찍이 충주를 가리켜 ‘여기가 좋은 땅, 명당’이라며 무위당 장일순 선생이 한 말이었다. 땅불쑥한 농군소설가인 최용탁이 농사짓는 틈틈새새로 쓴 줄글을 모은 것이 《아들아, 넌 어떻게 살래?》이나, 무너져버린 농촌에서 우두망찰하고 있는 농군들 위한 만가(輓歌)인 것이다. 한마디만 덧붙이겠다.“최용탁이 충주 사람이지?”

이시백 (소설가)
: 땅강아지처럼 밭에 엎드려 지낸 사람이라면 주경야독이란 게 얼마나 힘이 드는지 알 것이다. 최용탁은 충주에서 사과를 기르며 글을 쓴다. 그야말로 주경야독의 경지를 삶과 글로 온전히 담아내어왔다. 그의 산문집에는 그저 사과 꽃 필 무렵에 술병이나 꿰차고 내어놓는 영탄조로는 다다를 수 없는 ‘깔’과 ‘맛’이 배어 있다. 동학혁명부터 어린 아들의 앞날에 이르기까지 시절을 아파하는 고민의 과육들은 순정하고 통렬하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6년 4월 21일자

저자 : 최용탁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수상 : 2010년 고루살이문학상, 2006년 전태일문학상
 최근작 : <아들아, 넌 어떻게 살래?>,<사라진 노래>,<나는 천천히 울기 시작했다> … 총 16종 (모두보기)
 소개 : 1965년 충북 충주 출생. 작가. 농부. 2006년 소설 〈단풍 열 끗〉으로 전태일문학상을 수상하며 등단. 소설집 《미궁의 눈》, 《사라진 노래》, 장편소설 《즐거운 읍내》, 산문집 《사시사철》 등이 있다.

《아들아, 넌 어떻게 살래?》는 우리 “무너져버린 농촌에서 우두망찰하고 있는 농군들 위한 만가(輓歌)”이다. ― 김성동(소설가)
---

《미궁의 눈》·《 즐거운 읍내》·《 사라진 노래》 등으로 잘 알려진 소설가 최용탁의 에세이집. 농부소설가 최용탁은 유려하지만 담박한 문장으로 계절을 따라가면서 사멸 직전에 와 있는 한국 농촌의 일상과 현실을 가슴 아프게 드러낸다. 엄혹한 현실에 처해 있는 우리 땅과, 땅과 더불어 살아가는 이웃에 대한 사랑을 드러낸다. 그리고 욕심도 내고, 어리석은 짓도 하고, 좌절도 할지 모르지만 무엇보다 치욕을 느낄 수 있는 ‘인간’으로서 살아가기를 다짐한다.

흙과 땀이 만들어낸 문장

앞서 소개된 소설작품들로 전태일문학상(15회), 고루살이문학상(1회), 아르코문학기금(2013) 등을 수상하며, 이 시대 한국 ‘민중서사’의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소설가 최용탁은, 그러나 그 이전에 이 땅을 지키며 이웃과 더불어 살고 있는 농사꾼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농부 최용탁의 산문은 계절을 따라간다. 무슨 말이냐 하면, 땅(자연)에 밀착된 삶, 흙과 땀과 사유와 사색이 만들어내는 문장이라는 뜻이다. 그런 까닭에 최용탁의 문장은 지금 이 땅 농촌의 거친 현실과 함께, 아직 이 땅에 (흔적은) 남아 있는 오래된 사람살이의 부드러운 전통을 동시에 그려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의 문체는 유려하지만 담박하다. 수다스럽지 않고, 과장되지 않고, 감상에 빠지지 않지만 행간에 전달되는 뜨거운 서정에 독자는 왈칵 목구멍에 묵직한 것이 치밀어 오르는 것을 느낀다. 최용탁은 때로는 해학적으로, 위트 있게 날카로운 현실을 눙쳐 전한다.
그렇게 그의 문장은 사멸 직전에 있는 한국 농촌의 현실과, 모욕을 당하고 있는 한국 농민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데 더없이 효과적이다. 마을 풍경이 사라지고 모둠살이가 사라져 상처받은 사람들, 오래된 살농(殺農)정책의 끝에서 농민으로서 느끼는 울분, ‘살처분’이나 이른바 ‘먹방’에 구역질을 느끼는 예민한 감수성의 시인, 거짓과 비상식이 난무하는 일상에 의분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독자는 보게 된다.

울림이 있는 현실 비판

이 책을 한번 훑어보기만 해도 독자는 최용탁이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현실 인식이나 현실 비판이 깊은 울림을 갖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것이 낱낱의 사실들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 농가의 60퍼센트 이상이 소작을 하고 있다는 사실, 게다가 벼 수확량의 절반 가까이가 소작료로 지불된다는 사실, 우리가 먹고 사는 농작물이 석유와 전기에 다름없다는 사실, 6,000억 원이 넘는 농식품수출지원금의 절반 이상이 원재료를 몽땅 수입해서 과자를 제조해서 수출하는 기업으로 가고 있다는 사실, 값이 오르는 농산물은 즉시 수입을 하지만 값이 폭락하는 농산물에 대해서는 다만 무대책일 뿐인 반시장적 정책이 우리나라 ‘농정’이라는 사실, 전 국민이 내는 농어촌특별세를 쌈짓돈처럼 쓰는 농협중앙회장, 농협과 얽힌 어처구니없는 사실들. 또한 글에는 ‘기본소득’ 등 세계 최신의 정책이나 아이디어를 소화한 흔적들도 언뜻언뜻 묻어난다.

인간으로서의 겸손함

더없이 모진 현실을 직시하면서도 비관에 빠지지 않는 데에는, 바로 그렇게 지금 약동하기 시작하고 있는 희망적인 움직임을 저자가 간취하고 있는 까닭도 있으리라. 그러나 최용탁이 낙관의 믿음을 한사코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매일 논밭에 나가 일을 하면서 흙과 초록생명이 주는 말 없는 위안”을 받으며, 한계를 가진 인간으로서의 겸손함을 내면 깊숙이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 분수를 지키며 사는 게 궁극적인 진실”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최용탁은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를 따라다니며 농사를 거들던 기억이 지금의 나를 있게 한 가장 결정적인 힘”이라고 단언한다. 그리하여 ‘환곡의 난’이라고까지 스스로 표현할 정도의 무너진 농촌 현실 앞에서도, 무기력과 분노를 딛고 일어서서 자연의 힘과 모둠살이의 기적과 살아가는 일의 엄숙함과 경건함을 그는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는 그것을 큰 소리로 주장하는 대신에 은근하게, 대자연 앞 작디작은 존재인 우리가 스스로 가만히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꽃따기며, 대추와 들깨 털기, 맞도리깨질, 가지치기, 연탄 들이기, 새끼 꼬기, 우물 파기, 원두막 세우기, 가뭄에 물 대기를 짐짓 이야기하면서 말이다.
한편 3부는 문학에 있어서 하나의 실험으로서 주목받을 만하다. 소설이라고도 기록이라고도 분류할 수 없는 이 글쓰기 형식은, 극화(劇化)된 사료(史料)라고나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야말로 ‘우두망찰하고 있는 농군들을 위한 만가’가, 저 갑오년 동학농민혁명에 가닿는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일 터인데, 3부는 저자가 갑오년을 맞아 동학혁명의 자취를 더듬는 기행을 마치고, 감상과 소설적 형식을 가미하여 삼례집회에서 우금치 전투까지의 역사를 요약, 재구성한 것이다.

살아가는 일의 엄숙함

저자가 기어코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결국 ‘삶’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인가. 살아가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가. 최용탁은 말한다.
“내가 물려주고 싶은 것은 농사가 아니라 어떤 ‘삶’이었다는 것을, 언젠가 내 아들 녀석은 알 수 있을까.”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