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9-29

노무현 능가하는 전략가 문재인 '부동산 공화국' 해체 승부수 던졌다 - 오마이뉴스 모바일



노무현 능가하는 전략가 문재인 '부동산 공화국' 해체 승부수 던졌다 - 오마이뉴스 모바일




노무현 능가하는 전략가 문재인
'부동산 공화국' 해체 승부수 던졌다

[주장] 토지공개념 헌법 명기로 '지대추구의 덫' 걷어내야

글전강수(gsjun)편집장지혜(jjh9407)
등록 2018.03.21

2003년 아파트 투기가 불붙고 있을 때 노무현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에서 "강력한 토지공개념제도의 도입도 검토하겠다"고 발언했다. 실제로 그는 임기 중에 종합부동산세 도입, 개발이익환수제도 강화, 개발규제 강화 등 토지공개념 성격이 강한 정책을 과감하게 추진했다. 하지만 불굴의 의지로 기득권과 용감하게 싸웠던 노무현 대통령도 공식적으로 토지공개념을 도입한다고 선언하지는 못했다.

노무현을 능가하는 전략가


a

▲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그런데 문재인 정부는 정부 개헌안을 발표하면서 토지공개념을 헌법에 명시하겠다고 발표했다. 목적도 분명히 밝혔다. "토지에 대한 투기로 말미암은 사회적 불평등 심화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사실 나는 그동안 문재인 정부가 토지공개념의 핵심 정책인 부동산 보유세 강화에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해서 정말 답답했다. 한참 답답하게 만들다가 엄청난 감동을 주는 것이 문재인 정부의 특기인 모양이다.

자유한국당은 사회주의 헌법이니 뭐니 하면서 대통령의 개헌안을 부결시키려 하겠지만, 설사 이 개헌안이 국회에서 부결된다고 하더라도 앞으로 한국 사회는 토지공개념 논의를 회피할 수 없다. 유턴이 불가능한 도로 위에 올라선 셈이다. 토지공개념을 압도할 수 있는 논리를 새로 개발해서 여론의 지지를 확보하지 않는 한, 실제 개헌이 이뤄질 때까지 토지공개념은 계속해서 수많은 논의의 테이블 위에 주요 의제로 올라갈 수밖에 없다. 일부 인사들이 생각하듯이 문재인 대통령은 본인이 역사상 최고의 전략가이든지, 그런 사람을 측근에 두고 있든지 둘 중 하나인 듯하다.

토지공개념이 필요한 이유



토지와 자연자원은 사람이 만든 물건과는 성질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천부자원이어서 공급이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도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지역에 수요가 생긴다고 해도 그 위치에 필요한 만큼 공급할 수가 없다.

토지의 특성들 가운데 공급고정성은 특히 중요한데, 그로 인해 노동과 자본, 그리고 일반 생산물에서는 드러나지 않는 특이한 경제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 더 가지면 다른 사람들의 소유가 감소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토지 소유는 제로섬 게임이며, 따라서 원래부터 독점의 성격을 갖는다.

일반 생산물이나 자본의 경우 수요가 증가하면 공급이 따라 증가해서 사회 전체의 복지를 증가시키지만, 토지는 공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요 증가가 오로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토지 소유자만 이익을 본다. 이 이익은 생산에 아무런 기여도 하지 않고 얻는 불로소득이다. 고전학파 경제학자들과 헨리 조지가 지대에 무겁게 세금을 부과하여 공적으로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그 때문이다.

한국에는 3800만 개의 토지 필지가 있다고 하는데 문제는 그것들이 면적이나 모양, 위치나 환경 면에서 다 다르다는 사실이다. 이른바 개별성이다. 이 성질 때문에 일반 생산물에 적용하는 수요-공급의 원리는 토지에는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한 토지단위는 다른 토지단위들과 붙어 있어서 한 곳에서 행하는 경제행위가 필연적으로 인근 토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른바 연접성이다. 이 성질 때문에 토지시장에서는 이른바 외부효과의 문제가 일상화되는데, 이는 시장에 맡겨둬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일반 생산물이나 자본은 시간이 지나면 물리적으로 마모되고 경제적으로 감가되지만, 토지는 시간이 가도 물리적으로 마모되지도 않고 경제적으로 감가되지도 않는다. 영속성을 갖는 것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것도 사용하는데 가치가 올라가는 것은 토지 외에 없다. 그 때문에 토지는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되기 쉽고, 적절한 제도를 마련하지 않으면 투기의 제물로 전락하기도 쉽다.

천부성, 공급고정성, 위치고정성, 개별성, 연접성, 영속성 등 토지의 특성은 너무 많아서 일일이 열거하기가 어려울 정도다.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 토지의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면서도 일반 재산에 비해 강한 공공성을 함께 규정하는 것은 바로 토지가 갖는 특성들 때문이다. 이 점은 한국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는 제헌헌법에서부터 재산권의 사회적 구속성을 규정했고, 현행 헌법에서는 소위 '토지공개념 조항'(제122조)을 두어 토지 재산권에 대해서는 일반 재산권에 비해 더 강한 사회적 구속성이 인정되도록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지공개념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이 시행될 때마다 위헌 논란이 붉어졌고, 실제 주요 법률들이 위헌 판정이나 헌법 불합치 판정을 받아서 무력화되는 일이 종종 벌어졌다. 헌법재판소는 여러 판결에서 토지공개념 정신을 총론적으로는 일관되게 지지하면서도, 과세 기술 등의 문제를 들어 세부 규정에 위헌 또는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일부 언론은 이를 빌미로 '토지공개념은 위헌'이라는 거짓 정보를 줄기차게 유포했다. 국민들 사이에 '토지공개념은 위헌'이라는 착각이 만연하게 된 것은 그 때문이다.

게다가 과거 9년을 집권한 새누리당(한나라당) 정권은 종합부동산세 무력화,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 개발이익환수 완화 등 반(反)토지공개념적 정책을 적극 추진하여 착각을 강고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 헌법 정신과 실제 정책이 심각하게 괴리되는 모순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토지공개념 외면의 결과는 지대추구 사회


a

▲ 청와대 조국 민정수석이 21일 오전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발의할 개헌안 중 '지방분권'과 '경제부분'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은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 ⓒ 연합뉴스
토지공개념 정책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한 경제적 결과는 심각하다. 지난 수십 년 간 한국에서는 주기적으로 부동산 투기 광풍이 불었으며, 토지 불로소득이 소수에게 집중되면서 소득과 자산의 불평등이 심화되었다. 내가 몇 사람과 함께 추산한 바에 따르면, 2007~2015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부동산 소득은 GDP의 30%를 넘는 어마어마한 규모였다. 노력소득 때문에 불평등이 심해져도 문제인데, 불로소득 때문에 그렇게 된다면 그것은 사회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문제이다.

부동산 투기는 노동자들의 근로 의욕과 기업가들의 기업심을 저해하고, 경쟁력을 갖춘 사람들의 창업을 방해하며, 지가 상승기 건설 부문을 중심으로 과잉투자를 유발하고, 금융시장에서 자금 배분의 비효율을 초래하는 등 경제 효율을 저해하기도 한다. 작금의 저성장과 경기침체는 한국 정부가 토지공개념 정책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아서 초래된 측면이 다분하다.

대한민국은 해방 이후 농지개혁에 성공함으로써 한때 전 세계에서 가장 평등한 사회를 실현했었다. 1960년대 이후 장기간 유례없는 고도성장을 구가했던 것도 농지개혁이 실현한 평등의 힘 덕분이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와 함께 개발 붐이 일면서 여기저기서 부동산 불로소득의 기회가 생겨났고, 국민들이 부동산 투기에 가담하면서 대한민국은 노력소득이 중시되던 활력 넘치는 사회에서 지대추구 사회로 변질되고 말았다. 밤낮없이 일하고 사업해서 소득을 얻고, 그것을 아껴 저축해서 재산을 불리거나 자식 교육에 몰두했던 한국 국민이 어느 사이엔가 강남 불패와 부동산 불패를 신봉하며 불로소득을 탐하는 베짱이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 모든 것은 투기와 불로소득을 차단할 수 있는 법률과 제도를 도입하지 않았거나 도입했다가도 끝까지 지속시키지 못해서 생긴 일이다. 근본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로 계속 가면 불평등은 한층 심화되고 저성장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종국에는 사회가 몰락할지도 모른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소득주도 성장과 혁신성장도 '지대추구의 덫'을 걷어내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부동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토지공개념 정책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으면 국가의 미래가 위태로워지는 단계에 왔는데, 현행 헌법으로는 역부족이다.

'사람이 먼저인 세상'으로 향한 길 끝까지 걸어가시라

대통령 개헌안의 토지공개념 조항은 '토지의 공공성과 합리적 사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특별한 제한을 하거나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로 되어 있는 모양이다.

2006년 8월 토지정의시민연대가 토지공개념을 헌법에 명기하자는 주장을 우리 사회에서 최초로 제기할 때 제안한 내용은, 헌법 122조를 "① 국가는 국민 모두의 생산 및 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를 효율적이고 균형 있게 이용·개발·보전하고 투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토지공개념 등 필요한 제한과 의무를 과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구체적인 수단은 시장친화적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로 개정하는 동시에, 제119조에 "국가는 토지와 천연자원으로부터 소유자의 생산적 노력 및 투자와 무관하게 발생하는 이익을 환수할 수 있다."는 내용의 항을 신설하자는 것이었다.

나도 최근 한 논문에서 제122조를 다음과 같이 개정하여 토지공개념을 명기하자고 주장한 바 있다.


① 국가는 국민 모두의 생산 및 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의 효율적이고 균형 있는 이용·개발·보전을 도모하고 토지 불로소득으로 인한 경제 왜곡과 불평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에 관한 필요한 제한과 의무를 과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은 시장친화적인 것을 우선한다.
③ 제1항과 제2항은 국토 외의 자연자원과 환경에도 적용한다.

그런데 아무렴 어떤가? 목적이 일치하고 뜻이 같으니 쌍수 들어 환영할 따름이다. 나는 2017년 8월 19일자 <오마이뉴스 칼럼> '부동산 공화국' 해체하는 방법, 정부는 외면 마시라'에서 이렇게 썼다.


"감히 문재인 대통령께 권면한다. 부동산 공화국을 해체하여 땀 흘려 일하는 사람이 잘 사는 진정 공정하고 공평한 나라를 건설할 수 있는 길은 활짝 열려 있다. 이 길은 노무현 대통령이 종부세의 깃발을 들고 가보려 했으나 기득권층의 강력한 저항 때문에 끝까지 가지 못하고 좌절한 길이다. 이제 문재인 대통령이 국토보유세와 기본소득의 깃발을 들고 그 길 끝까지 걸어가시라. 그 길 끝에는 '사람 사는 세상', '사람이 먼저인 세상'이 기다리고 있을 테니..."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은 나 같은 백면서생과는 생각의 차원이 다른 모양이다. 몇 가지 정책 따위가 아니라 근본 철학의 깃발을 들고 가려 하니 말이다. 대통령이 먼저 '사람 사는 세상', '사람이 먼저인 세상'을 향한 걸음을 뗐다. 이제 국민이 호응할 차례다.

덧붙이는 글 <허프포스트>에도 송고합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토지공개념 헌법 명기 #불로소득 #불평등 #지대추구 사회 #문재인

[강천석 칼럼] 한국에서 사라진 것 김정은에게서 봤다 - 조선닷컴 - 오피니언 > 사내칼럼



[강천석 칼럼] 한국에서 사라진 것 김정은에게서 봤다 - 조선닷컴 - 오피니언 > 사내칼럼




[강천석 칼럼] 한국에서 사라진 것 김정은에게서 봤다
조선일보
강천석 논설고문



강천석 논설고문
-------------

자신감이 있어야 겸손할 줄 안다. 밑천이 짧은 사람일수록 뻐기고 으스댄다. 그런 뜻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언동(言動)은 눈여겨볼 만하다. 김정은은 올 세 차례 남북 정상회담에서 자신을 낮추고 또 낮췄다. 대통령 부부를 백화원 영빈관에 안내하며 "발전된 나라에 비하면 우리가 좀 초라…" "비록 수준은 낮을지 몰라도…"라고 스스럼없이 말했다. 판문점 회담 때도 "남쪽 고속 열차가 좋다고 합디다. 우리 도로란 게 불편하니 비행기로 오시면 제일 편안할 겁니다"고 했다.

놀라면 묻게 되고 물으면 배운다. 덩샤오핑(鄧小平)은 이 삼박자를 솔선수범(率先垂範)해 나라와 국민을 바꿨다. 덩은 1978년 11월 싱가포르를 방문했다. 당시 74세였던 덩의 회담 상대가 리콴유(李光耀)다. 중국 인구가 10억, 싱가포르가 250만명 시절이다. 훗날 리콴유는 대목마다 "내가 어떻게 했으면 좋겠소"라고 묻던 덩의 자세에 몇 번이나 놀랐다고 회고했다. 10년 후 84세의 덩을 만났더니 그때도 "당신(리콴유)과 한국한테 배우고 싶다"고 했다.

덩은 싱가포르 방문 한 달 전 일본을 방문했다. 2000년 역사에서 중국 최고 지도자가 처음 일본을 찾았다며 법석대던 분위기였다. 공산국가에는 최고 지도자 기자회견이란 제도 자체가 없다. 덩도 일본에서 난생처음 기자회견장 무대에 올랐다. 이 회견을 통해 덩은 일본 국민과 세계를 두 번 놀라게 했다.

덩은 문화대혁명의 최대 피해자 중 하나다. 문화대혁명이란 재앙(災殃)과 그 책임 문제에 대해 이렇게 대답했다. "마오쩌둥(毛澤東) 주석 개인 잘못이 아니라 모두의 잘못이었습니다. 우리는 경험이 부족했고 판단력이 부족했습니다."

중국의 현실·국가 진로(進路)와 목표도 언급했다. "우리는 매우 가난하고 가야 할 길이 멀고 배워야 할 것이 많습니다. 일본을 배워야 합니다." 빈말이 아니었다. 체일(滯日) 중 그는 '나쇼날전기'의 마쓰시타(松下幸之助)를 만나 "최신 기술을 중국인들에게 가르쳐 달라"고 부탁했다. 신일본제철소를 찾아가선 중국 제철소가 제대로 굴러가게 일본이 도와 달라 했다. "학생이 잘못하면 선생님이 잘 가르치지 못한 탓"이라는 농담으로 일본 빗장을 열었다. 그때 1495억달러였던 중국 GDP가 지금 11조2000억달러다. 일본은 5조1670억달러다. 덩은 시진핑(習近平)보다 몇 배 속이 깊었다.

묻고 배우는 데선 한국이 세계 1등 가던 시절이 있었다. 그것이 석유가 나지 않는 나라의 최대 자원(資源)이었다. 대통령부터 공장 기능공까지 세계의 천장이 높은 줄 알고 여기는 8부 능선(稜線)이라며 인내할 줄도 알았다. 1960년대 초반 한국은 제철소 기술을 배워 오라고 파키스탄에 견학단을 파견했다. 식민 종주국(宗主國) 영국이 물려준 제철소였다. 비슷한 시대 많은 공무원이 행정 기구 운영 노하우를 배우러 필리핀 마닐라 대학에 연수를 갔다. 미국이 세운 대학이다.

1970년대 중반 무렵 삼성 이병철(李秉喆) 회장은 일본 방문 때 동북(東北) 지방 센다이(仙台)를 몇 번씩 오갔다. '미스터 반도체'로 불린 니시자와(西澤潤一) 교수가 그곳 대학에 있었다. 니시자와는 세계에서 반도체 관련 특허(特許)를 가장 많이 가진 학자였다. 미국 전자전기학회(IEEE)에는 그를 기념하는 '니시자와 준이치 메달'이란 상(賞)이 있다. 삼성반도체는 그때 센다이행(行) 기차간 이병철 회장 머릿속에서 싹이 텄다. 니시자와는 1990년 반도체 산업 주도(主導) 국가 자리가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어 중국을 거쳐 베트남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예언(豫言) 비슷한 말을 남겼다. 독일 가서 최선진(最先進)의 센서 산업 현장을 찾고 일본에서 로봇 공장을 둘러봤다는 정치인은 없다. 과학·기술을 배우러 미국·일본·유럽으로 떠난 한국 젊은이들이 모국(母國)으로 되돌아오는 숫자가 해마다 줄고 있다.

가진 거라곤 핵무기 하나밖에 없는 김정은이 과연 핵을 포기할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김정은은 세계의 천장이 얼마나 높고 북한이 얼마나 낮은지는 알고 있는 것 같다. 부족한지 알면 묻게 되고 물으면 배울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 사라져 버린 유적(遺跡)의 흔적을 김정은에게서 보게 될지는 꿈에도 생각 못했다.

자기 약점을 보는 사람은 남의 약점도 볼 줄 안다. 김정은은 남쪽의 약점이 뭐라고 읽고 있을까. 민노총이 이병철과 박태준의 땀과 노고(勞苦)가 밴 삼성전자와 포스코로 진격한다는 소식이 겹쳐 들려 가슴 무거운 하루였다.



좋아요 0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제휴안내구독신청







100자평42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글꼴 설정

김한주(sporcho2****)2018.09.2910:43:50신고지금 한국은 주사파, 민노총, 민변, 전교조, 전대협 등이 촛불세력 업고 판치면서 국정농단을 하고 있습니다.
찬성20반대0댓글
김대진(djkim****)2018.09.2910:28:35신고그게 다 김정은을 띄우고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둘이 짠 각본이다. 조선일보 고문이 속을 정도니 국민들은 오죽하겠나?
찬성19반대1댓글
박승윤(sopark****)2018.09.2910:26:12신고살인왕은 재거가 답이다 두번째는 김 재앙 아닐까로?
찬성15반대1댓글
이인호(sowoo****)2018.09.2910:18:06신고참 심도있는 말씀이다. 정은이가 비록 2대의 극악무도한 할아비와 아비의 뒤를이어 극독재 집단을 이끌고 있다지만...서양물 먹은넘에 겸손도 행식이나마 아는넘으로 보인다. 다만 사라진게 아니라 신종 돼지인간 3대가 생겼다는것 또한 진화인지 퇴화인지 존제는 한다. 저넘을 믿을수 없는 이유또한 수북하다마는...재인이보다는 나은넘이라고 본다!
찬성25반대3댓글 (1)
김태옥(xodhr****)2018.09.2910:09:33신고저는 그놈에게서 보셨다는 그 겸손 믿지 않습니다. 그 하나하나도 모두 자기의 쇼를 위한 선동선술이라고 봅니다. 그놈에게 배울 것 하나도 없습니다. 다 거짓투성이니까요.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8/2018092803643.html

노무현 능가하는 전략가 문재인 '부동산 공화국' 해체 승부수 던졌다 - 오마이뉴스 모바일



노무현 능가하는 전략가 문재인 '부동산 공화국' 해체 승부수 던졌다 - 오마이뉴스 모바일




노무현 능가하는 전략가 문재인
'부동산 공화국' 해체 승부수 던졌다

[주장] 토지공개념 헌법 명기로 '지대추구의 덫' 걷어내야
글전강수(gsjun)편집장지혜(jjh9407)등록 2018.03.21 17:10수정 2018.03.21 17:20
830 98
글씨 크게보기27,000인기기사 더보기2003년 아파트 투기가 불붙고 있을 때 노무현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에서 "강력한 토지공개념제도의 도입도 검토하겠다"고 발언했다. 실제로 그는 임기 중에 종합부동산세 도입, 개발이익환수제도 강화, 개발규제 강화 등 토지공개념 성격이 강한 정책을 과감하게 추진했다. 하지만 불굴의 의지로 기득권과 용감하게 싸웠던 노무현 대통령도 공식적으로 토지공개념을 도입한다고 선언하지는 못했다.

노무현을 능가하는 전략가


a

▲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그런데 문재인 정부는 정부 개헌안을 발표하면서 토지공개념을 헌법에 명시하겠다고 발표했다. 목적도 분명히 밝혔다. "토지에 대한 투기로 말미암은 사회적 불평등 심화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사실 나는 그동안 문재인 정부가 토지공개념의 핵심 정책인 부동산 보유세 강화에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해서 정말 답답했다. 한참 답답하게 만들다가 엄청난 감동을 주는 것이 문재인 정부의 특기인 모양이다.

자유한국당은 사회주의 헌법이니 뭐니 하면서 대통령의 개헌안을 부결시키려 하겠지만, 설사 이 개헌안이 국회에서 부결된다고 하더라도 앞으로 한국 사회는 토지공개념 논의를 회피할 수 없다. 유턴이 불가능한 도로 위에 올라선 셈이다. 토지공개념을 압도할 수 있는 논리를 새로 개발해서 여론의 지지를 확보하지 않는 한, 실제 개헌이 이뤄질 때까지 토지공개념은 계속해서 수많은 논의의 테이블 위에 주요 의제로 올라갈 수밖에 없다. 일부 인사들이 생각하듯이 문재인 대통령은 본인이 역사상 최고의 전략가이든지, 그런 사람을 측근에 두고 있든지 둘 중 하나인 듯하다.

토지공개념이 필요한 이유



토지와 자연자원은 사람이 만든 물건과는 성질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천부자원이어서 공급이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도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지역에 수요가 생긴다고 해도 그 위치에 필요한 만큼 공급할 수가 없다.

토지의 특성들 가운데 공급고정성은 특히 중요한데, 그로 인해 노동과 자본, 그리고 일반 생산물에서는 드러나지 않는 특이한 경제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 더 가지면 다른 사람들의 소유가 감소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토지 소유는 제로섬 게임이며, 따라서 원래부터 독점의 성격을 갖는다.

일반 생산물이나 자본의 경우 수요가 증가하면 공급이 따라 증가해서 사회 전체의 복지를 증가시키지만, 토지는 공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요 증가가 오로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토지 소유자만 이익을 본다. 이 이익은 생산에 아무런 기여도 하지 않고 얻는 불로소득이다. 고전학파 경제학자들과 헨리 조지가 지대에 무겁게 세금을 부과하여 공적으로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그 때문이다.

한국에는 3800만 개의 토지 필지가 있다고 하는데 문제는 그것들이 면적이나 모양, 위치나 환경 면에서 다 다르다는 사실이다. 이른바 개별성이다. 이 성질 때문에 일반 생산물에 적용하는 수요-공급의 원리는 토지에는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한 토지단위는 다른 토지단위들과 붙어 있어서 한 곳에서 행하는 경제행위가 필연적으로 인근 토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른바 연접성이다. 이 성질 때문에 토지시장에서는 이른바 외부효과의 문제가 일상화되는데, 이는 시장에 맡겨둬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일반 생산물이나 자본은 시간이 지나면 물리적으로 마모되고 경제적으로 감가되지만, 토지는 시간이 가도 물리적으로 마모되지도 않고 경제적으로 감가되지도 않는다. 영속성을 갖는 것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것도 사용하는데 가치가 올라가는 것은 토지 외에 없다. 그 때문에 토지는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되기 쉽고, 적절한 제도를 마련하지 않으면 투기의 제물로 전락하기도 쉽다.

천부성, 공급고정성, 위치고정성, 개별성, 연접성, 영속성 등 토지의 특성은 너무 많아서 일일이 열거하기가 어려울 정도다.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 토지의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면서도 일반 재산에 비해 강한 공공성을 함께 규정하는 것은 바로 토지가 갖는 특성들 때문이다. 이 점은 한국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는 제헌헌법에서부터 재산권의 사회적 구속성을 규정했고, 현행 헌법에서는 소위 '토지공개념 조항'(제122조)을 두어 토지 재산권에 대해서는 일반 재산권에 비해 더 강한 사회적 구속성이 인정되도록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지공개념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이 시행될 때마다 위헌 논란이 붉어졌고, 실제 주요 법률들이 위헌 판정이나 헌법 불합치 판정을 받아서 무력화되는 일이 종종 벌어졌다. 헌법재판소는 여러 판결에서 토지공개념 정신을 총론적으로는 일관되게 지지하면서도, 과세 기술 등의 문제를 들어 세부 규정에 위헌 또는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일부 언론은 이를 빌미로 '토지공개념은 위헌'이라는 거짓 정보를 줄기차게 유포했다. 국민들 사이에 '토지공개념은 위헌'이라는 착각이 만연하게 된 것은 그 때문이다.

게다가 과거 9년을 집권한 새누리당(한나라당) 정권은 종합부동산세 무력화,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 개발이익환수 완화 등 반(反)토지공개념적 정책을 적극 추진하여 착각을 강고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 헌법 정신과 실제 정책이 심각하게 괴리되는 모순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토지공개념 외면의 결과는 지대추구 사회


a

▲ 청와대 조국 민정수석이 21일 오전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발의할 개헌안 중 '지방분권'과 '경제부분'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은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 ⓒ 연합뉴스
토지공개념 정책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한 경제적 결과는 심각하다. 지난 수십 년 간 한국에서는 주기적으로 부동산 투기 광풍이 불었으며, 토지 불로소득이 소수에게 집중되면서 소득과 자산의 불평등이 심화되었다. 내가 몇 사람과 함께 추산한 바에 따르면, 2007~2015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부동산 소득은 GDP의 30%를 넘는 어마어마한 규모였다. 노력소득 때문에 불평등이 심해져도 문제인데, 불로소득 때문에 그렇게 된다면 그것은 사회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문제이다.

부동산 투기는 노동자들의 근로 의욕과 기업가들의 기업심을 저해하고, 경쟁력을 갖춘 사람들의 창업을 방해하며, 지가 상승기 건설 부문을 중심으로 과잉투자를 유발하고, 금융시장에서 자금 배분의 비효율을 초래하는 등 경제 효율을 저해하기도 한다. 작금의 저성장과 경기침체는 한국 정부가 토지공개념 정책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아서 초래된 측면이 다분하다.

대한민국은 해방 이후 농지개혁에 성공함으로써 한때 전 세계에서 가장 평등한 사회를 실현했었다. 1960년대 이후 장기간 유례없는 고도성장을 구가했던 것도 농지개혁이 실현한 평등의 힘 덕분이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와 함께 개발 붐이 일면서 여기저기서 부동산 불로소득의 기회가 생겨났고, 국민들이 부동산 투기에 가담하면서 대한민국은 노력소득이 중시되던 활력 넘치는 사회에서 지대추구 사회로 변질되고 말았다. 밤낮없이 일하고 사업해서 소득을 얻고, 그것을 아껴 저축해서 재산을 불리거나 자식 교육에 몰두했던 한국 국민이 어느 사이엔가 강남 불패와 부동산 불패를 신봉하며 불로소득을 탐하는 베짱이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 모든 것은 투기와 불로소득을 차단할 수 있는 법률과 제도를 도입하지 않았거나 도입했다가도 끝까지 지속시키지 못해서 생긴 일이다. 근본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로 계속 가면 불평등은 한층 심화되고 저성장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종국에는 사회가 몰락할지도 모른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소득주도 성장과 혁신성장도 '지대추구의 덫'을 걷어내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부동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토지공개념 정책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으면 국가의 미래가 위태로워지는 단계에 왔는데, 현행 헌법으로는 역부족이다.

'사람이 먼저인 세상'으로 향한 길 끝까지 걸어가시라

대통령 개헌안의 토지공개념 조항은 '토지의 공공성과 합리적 사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특별한 제한을 하거나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로 되어 있는 모양이다.

2006년 8월 토지정의시민연대가 토지공개념을 헌법에 명기하자는 주장을 우리 사회에서 최초로 제기할 때 제안한 내용은, 헌법 122조를 "① 국가는 국민 모두의 생산 및 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를 효율적이고 균형 있게 이용·개발·보전하고 투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토지공개념 등 필요한 제한과 의무를 과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구체적인 수단은 시장친화적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로 개정하는 동시에, 제119조에 "국가는 토지와 천연자원으로부터 소유자의 생산적 노력 및 투자와 무관하게 발생하는 이익을 환수할 수 있다."는 내용의 항을 신설하자는 것이었다.

나도 최근 한 논문에서 제122조를 다음과 같이 개정하여 토지공개념을 명기하자고 주장한 바 있다.


① 국가는 국민 모두의 생산 및 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의 효율적이고 균형 있는 이용·개발·보전을 도모하고 토지 불로소득으로 인한 경제 왜곡과 불평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에 관한 필요한 제한과 의무를 과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은 시장친화적인 것을 우선한다.
③ 제1항과 제2항은 국토 외의 자연자원과 환경에도 적용한다.

그런데 아무렴 어떤가? 목적이 일치하고 뜻이 같으니 쌍수 들어 환영할 따름이다. 나는 2017년 8월 19일자 <오마이뉴스 칼럼> '부동산 공화국' 해체하는 방법, 정부는 외면 마시라'에서 이렇게 썼다.


"감히 문재인 대통령께 권면한다. 부동산 공화국을 해체하여 땀 흘려 일하는 사람이 잘 사는 진정 공정하고 공평한 나라를 건설할 수 있는 길은 활짝 열려 있다. 이 길은 노무현 대통령이 종부세의 깃발을 들고 가보려 했으나 기득권층의 강력한 저항 때문에 끝까지 가지 못하고 좌절한 길이다. 이제 문재인 대통령이 국토보유세와 기본소득의 깃발을 들고 그 길 끝까지 걸어가시라. 그 길 끝에는 '사람 사는 세상', '사람이 먼저인 세상'이 기다리고 있을 테니..."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은 나 같은 백면서생과는 생각의 차원이 다른 모양이다. 몇 가지 정책 따위가 아니라 근본 철학의 깃발을 들고 가려 하니 말이다. 대통령이 먼저 '사람 사는 세상', '사람이 먼저인 세상'을 향한 걸음을 뗐다. 이제 국민이 호응할 차례다.

덧붙이는 글 <허프포스트>에도 송고합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토지공개념 헌법 명기 #불로소득 #불평등 #지대추구 사회 #문재인

1809 황대권 - 아홉번째 재심공판 어제 아홉번째 공판을 마치고 공범으로 묶인 웨스턴일리노이 대학 유학생 4명이 모여...



(5) 황대권 - 아홉번째 재심공판 어제 아홉번째 공판을 마치고 공범으로 묶인 웨스턴일리노이 대학 유학생 4명이 모여...






황대권
18 September ·


아홉번째 재심공판

어제 아홉번째 공판을 마치고 공범으로 묶인 웨스턴일리노이 대학 유학생 4명이 모여 새벽까지 술을 마셨다. 무려 33년만이다. 미국교포인 이창신이 증인으로 출석하는 바람에 그리된 것.
4인의 증인을 심문하는데 무려 5시간이 걸렸다. 법원문이 다 닫히고서야 나왔지만 재판이 잘 되고 있다는 뿌듯함과 오랜만의 해후를 그냥 지나칠수 없어 늦게까지 술집을 전전하며 놀았다.

첫증인으로 복음교회 원로이신 오충일 목사님께서 나서주었다. 오목사님은 석방운동도 열심히 해주셨고 80년대 중반의 민주화운동 실상을 재판부에 전하는데 중요한 증언을 해주셨다. 더구나 오목사님은 국정원과거사위원회 위원장이어서 재판부에 대한 압력이 남달랐을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로 나선 안병곤의 증언시간은 거의 고문과도 같았다. 그 역시 이 사건으로 7년형을 언도 받았던 사람으로 검사가 수사조서를 꼼꼼히 확인해가는 과정이 마치 안기부에서 수사받는듯한 느낌을 주었다. 그는 자신이 모종의 압력에의해 터무니 없는 사실을 만들어 진술했음을 밝히면서도 끝끝내 안기부에서의 고문 사실에 대해서는 진술을 거부했다. 눈물을 흘리며 그의 증언을 듣는 방청객들은 그 이유를 다 알고있다. 고문을 증언하는것도 괴로운 일이지만, 자칫 재판정에서 심신이 무너질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만약 검사의 집요한 추궁이 5분만 더 계속되었다면 내가 검사의 멱살을 쥐고 난장판을 벌였을지도 모를 정도로 흥분해 있었다. 1시간 내내 고문에 의한 허위자백이란것을 확인 했으면서도 자신이 만족할때까지 끝없이 질문을 해대는 검사를 바닥에 패대기치고 싶었다. 안병곤의 증언이 끝나자 지친 판사가 10분 휴정을 선언하자 나는 자리에서 일어나며 검사가 들으라고 일부러 큰소리로 "이게 고문이 아니고 무엇이냐?" 외쳤다.

휴정후 나온 이창신, 조봉심 두 사람의 증언은 비교적 순탄하게 진행. 이날 미국에서 날아온 이창신의 증언은 재판부에 깊은 인상을 남겼을듯.
그는 한국에서 사건이 발표되자마자 미주에서 발행되는 주요 한국신문들을 상대로 자신이 간첩으로 명기된데 대해 재판을 벌여 승소했다. 미국법원은 아무리 정부기관의 발표라도 사실확인 없이 그대로 기사화하는것은 명예훼손이라며 기사화한 모든 신문에게 정정보도와 함께 손해배상 할 것을 명령했다.
그리고 이 사건은 <해외한민보>라는 교포신문의 발행자 서정균씨를 "북괴공작원"으로 규정하고 그와 연결된 유학생들을 모두 간첩으로 만든 것인데, 서씨의 딸이 그후 미국무성의 부차관보까지 지낸것을 어떻게 보느냐고 물은 것이다.

이제 대장정과도 같았던 증인심문이 끝났다. 추석후 10월 4일과 16일에 본게임인 피의자 심문이 잡혀있다. 그런후에 바로 판결이 나지 않을까싶다.
페친 여러분의 응원과 기도 부탁드린다.

The Ford-Kavanaugh Hearings Will Be Remembered as a Grotesque Display of Patriarchal Resentment



The Ford-Kavanaugh Hearings Will Be Remembered as a Grotesque Display of Patriarchal Resentment



By Doreen St. Félix

September 27, 2018




There was, in Brett Kavanaugh’s Trumpian performance, not even a hint of the composure one would think a potential Supreme Court Justice would have carefully cultivated.Photograph by Melina Mara / Getty
----
Judge Brett Kavanaugh is almost certainly going to be appointed the next member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Whatever Christine Blasey Ford said in her testimony before the Senate Judiciary Committee on Thursday, and whatever Kavanaugh said in his, and however credible and convincing either one seemed, none of it was going to affect this virtual inevitability. The Republicans, if they stick together, have the necessary votes. A veneer of civility made it seem as if the senators were questioning Ford and Kavanaugh to get to the truth of whether Kavanaugh, as a drunk teen-ager, attended a party where he pinned Ford to a bed and sexually assaulted her, thirty-six years ago. But that’s not what the hearing was designed to explore. At the time of this writing, composed in the eighth hour of the grotesque historic activity happening in the Capitol Hill chamber, it should be as plain as day that what we witnessed was the patriarchy testing how far its politics of resentment can go. And there is no limit.

Dressed in a blue suit, taking the oath with nervous solemnity, Ford gave us a bristling sense of déjà vu. “Why suffer through the annihilation if it’s not going to matter?” Ford had told the Washington Post when she first went public with her allegations. With the word “annihilation” she conjured the spectre of Anita Hill, who, in her testimony against Clarence Thomas, in 1991, was basically berated over an exhausting two-day period, and diagnosed, by the senators interrogating her, with “erotomania” and a case of man-eating professionalism. Ford’s experience—shaped by the optics of the #MeToo moment, by her whiteness and country-club roots—was different. The Republicans on the committee, likely coached by some consultant, did not overtly smear Ford. Some pretended, condescendingly, to extend her empathy. Senator Orrin Hatch, who once claimed that Hill had lifted parts of her harassment allegations against Thomas from “The Exorcist,” called Ford “pleasing,” an “attractive” witness. Instead of questioning her directly, the Republicans hired Rachel Mitchell, a female prosecutor specializing in sex crimes, to serve as their proxy. Mitchell’s fitful, sometimes aimless questioning did the ugly work of softening the Republican assault on Ford’s testimony. Ford, in any case, was phenomenal, a “witness and expert” in one, and it seemed, for a moment following her testimony, that the nation might be unable to deny her credibility.

Then Kavanaugh came in, like an eclipse. He made a show of being unprepared. Echoing Clarence Thomas, he claimed that he did not watch his accuser’s hearing. (Earlier, it was reported that he did.) “I wrote this last night,” he said, of his opening statement. “No one has seen this draft.” Alternating between weeping and yelling, he exemplified the conservative’s embrace of bluster and petulance as rhetorical tools. Going on about his harmless love of beer, spinning unbelievably chaste interpretations of what was, by all other accounts, his youthful habit of blatant debauchery, he was as Trumpian as Trump himself, louder than the loudest on Fox News. He evaded questions; he said that the allegations brought against him were “revenge” on behalf of the Clintons; he said, menacingly, that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When Senator Amy Klobuchar calmly asked if he had ever gotten blackout drunk, he retorted, “Have you?” (He later apologized to her.)

There was, in this performance, not even a hint of the sagacity one expects from a potential Supreme Court Justice. More than presenting a convincing rebuttal to Ford’s extremely credible account, Kavanaugh—and Hatch, and Lindsey Graham—seemed to be exterminating, live, for an American audience, the faint notion that a massively successful white man could have his birthright questioned or his character held to the most basic type of scrutiny. In the course of Kavanaugh’s hearing, Mitchell basically disappeared. Republican senators apologized to the judge, incessantly, for what he had suffered. There was talk of his reputation being torpedoed and his life being destroyed. This is the nature of the conspiracy against white male power—the forces threatening it will always somehow be thwarted at the last minute.

The Hill-Thomas hearings persist in the American consciousness as a watershed moment for partisanship, for male entitlement, for testimony on sexual misconduct, for intra-racial tension and interracial affiliation. The Ford-Kavanaugh hearings will be remembered for their entrenchment of the worst impulses from that earlier ordeal. What took place on Thursday confirms that male indignation will be coddled, and the gospel of male success elevated. It confirms that there is no fair arena for women’s speech. Mechanisms of accountability will be made irrelevant. Some people walked away from 1991 enraged. The next year was said to be the Year of the Woman. Our next year, like this one, will be the Year of the Man.



Doreen St. Félix is a staff writer at The New Yorker.Read more »More:
Brett Kavanaugh
Christine Blasey Ford
Senate Judiciary Committee
Supreme Court
Republican Party

Do we really want a man consumed with rage, self-pity and hate on the Supreme Court? - Los Angeles Times

Do we really want a man consumed with rage, self-pity and hate on the Supreme Court? - Los Angeles Times

Do we really want a man consumed with rage, self-pity and hate on the Supreme Court?

By ROBIN ABCARIAN
SEP 27, 2018 | 5:15 PM
---


In his lenghty opening statement, Supreme Court nominee Brett M. Kavanaugh addresses accusations of sexual misconduct.



I wasn't in that Maryland bedroom in 1982. You weren't there.


Supreme Court nominee Brett Kavanaugh says he wasn't there. But after listening to every word uttered by his tearful, yet calm and respectful accuser, Christine Blasey Ford, and Kavanaugh's combative, weepy refutation, I have no choice but to conclude she is credible and he is not.


He is not suited to a lifetime appointment to the U.S. Supreme Court.


Because of his self-pity and rage.




Because of the way he shredded the idea that he can be an impartial arbiter on the high court when he accused Democrats on the Senate Judiciary Committee of seeking "revenge on the behalf of the Clintons" and "left-wing opposition groups."


Because of the insulting way he spoke to Democratic Sen. Amy Klobuchar when she asked whether he ever drank so much he could not remember what happened. ("You're talking about a blackout," he said in a nasty tone. "I don't know. Have you?")


Because he refused to give a straight answer about whether he would support an FBI investigation into Ford's charges.


Because he interrupted Democratic Sen. Richard Blumenthal who was in the middle of asking a question, then had the cluelessness to say, "Let me finish."


Kavanaugh's anger may be understandable in a man who claims — hyperbolically — that his life and family have been "destroyed" by what he says are false allegations of sexual assault.


But they are hardly what we deserve or expect in a justice of the U.S. Supreme Court, which has so much control over Americans' lives, especially women's.


After Ford testifies she was sexually assaulted, Kavanaugh responds with anger and tears »


::


Ford, 51, a psychologist who studies trauma, was a mesmerizing witness.


She seemed honest, and pained, and, as she put it, "100%" certain that the 17-year-old boy who threw her on a bed, ground his hips against her and covered her mouth so she could not scream was Kavanaugh.


She practically pleaded for an FBI investigation that would include the only witness to the alleged attack, Kavanaugh's high school friend Mark Judge. Judge, who once wrote a memoir about his blackout drinking in high school, said in a statement to the Senate committee via his attorney that he has no memory of the event and never saw his friend behave in such a manner.


She spoke knowledgeably about the biological processes of how memory works.


When asked to describe her most vivid memory of the assault, she replied, "Indelible in the hippocampus is the laughter, the uproarious laughter between the two and their having fun at my expense."


Christine Blasey Ford on why the other witnesses don't remember the party where the alleged assault took place: "Nothing remarkable happened to them that night."


When she described the room where the alleged assault took place, and the loud music and the laughter of the two teen boys who were in cahoots, I believe that every viewer who has ever been assaulted probably had an unpleasant flashback. I know I did.


Like Anita Hill before her, Ford had wanted to remain anonymous.


But when she was outed, she said she felt she had no choice but to tell her story, knowing full well, as she testified, that the experience would be like stepping in front of a moving train, and that she would probably be "annihilated." As she said this, however, she displayed not a whit of self-pity.


::


It was clear that Kavanaugh's Judiciary Committee supporters don't particularly care whether or not he assaulted Ford all those years ago at a high school party.


And they knew — all 11 men — that they could not trust themselves to come off as caring, so they hired Rachel Mitchell, an Arizona sex-crimes prosecutor, whose plodding questions seemed to infuriate them. They wanted fireworks. She was a wet blanket.


Their pent-up rage exploded after Ford finished her testimony. They sidelined Mitchell, and turned their wrath on Democrats, who were accused of withholding information in order to delay the confirmation until after the midterm elections, when Democrats have a fighting chance of gaining the majority in the Senate and could scuttle Kavanaugh's nomination.


In tones verging on hysteria, they railed about the timing of the allegations (as if there is a good time to step forward alleging you've been attacked by a Supreme Court nominee).


I've never seen a theatrical outburst like Republican Sen. Lindsey Graham's display of self-righteous anger, sparked by Democratic Sen. Richard J. Durbin's simple assertion that if Kavanaugh truly cared about clearing his good name, he should want to have the FBI investigate Ford's claims. "God help anyone else that gets nominated," Graham said, forgetting that Neil M. Gorsuch was confirmed last year with barely a ripple.


Sen. Lindsey Graham (R-S.C.) said to Democrats on the panel: “What you want to do is destroy this guy’s life, hold this seat open and hope you win in 2020. You’ve said that, not me."


Sen. Orrin G. Hatch's outraged voice broke as he scornfully dismissed the idea that anyone would care what had happened in high school. And yet, Ford had very specifically discussed the "anxiety, phobia and PTSD-like symptoms" that she had felt, intensely, in the first four years after the assault, and intermittently thereafter.


Republican Sen. Ted Cruz, forgetting his recitation of "Green Eggs and Ham" during a Senate filibuster, called it "one of the most shameful events in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Senate."


Again and again, Kavanaugh, 53, was described by his supporters as a victim — not of Ford, because of course, it's no longer acceptable to publicly attack a victim of sexual assault — but of Democrats.


Ford, they said, was a victim, too. Of Democrats.


Just as I believed Anita Hill in 1991, I believe Christine Blasey Ford.


I wouldn't put Kavanaugh in jail for what he did when he was 17, but I sure as hell wouldn't put him on the Supreme Court.


robin.abcarian@latimes.com

2018-09-28

1806 体制を保証?トランプの「譲歩」はヤバすぎる | 韓国・北朝鮮 | 東洋経済オンライン | 経済ニュースの新基準



体制を保証?トランプの「譲歩」はヤバすぎる | 韓国・北朝鮮 | 東洋経済オンライン | 経済ニュースの新基準

体制を保証?トランプの「譲歩」はヤバすぎる
「個人崇拝のカルト国家」の存続を許すのか
« 前ページ次ページ »
高橋 浩祐 : 国際ジャーナリスト 著者フォロー
2018/06/02 5:00

トランプ大統領はいまだ体制保証の具体的な中身について触れていない。

そもそもトランプ大統領自身は昨年9月の国連演説で、北朝鮮の非人道的行為を列挙した。「日本人の13歳の少女」(横田めぐみさん)の拉致や金委員長の異母兄・金正男氏の暗殺にも触れ、北朝鮮を「ならず者政権」と批判した。

さらには、昨年11月の韓国国会演説では、「北朝鮮は、あなたの祖父が思い描いた楽園ではない。誰にとってもふさわしくない地獄だ」と非難。独裁体制下で進む人権侵害の実態を訴えるのに約35分間の演説のうち10分近くを割いた。

北朝鮮を相手に、そんな猛烈な体制批判を繰り広げた張本人が北の体制を保証するとはいったいどういうことか。

また、韓国情報機関の国家情報院傘下のシンクタンク、国家安保戦略研究院によると、金委員長が最高指導者となってからの5年間で、粛清された幹部らは叔父の張成沢元国防副委員長をはじめ340人に上った。党幹部を次々に処刑し、恐怖政治の手を緩めていない残忍性あふれる金正恩体制の安全をはたしてアメリカは本当に保証する気なのか。いや、保証していいのか。
アメリカ国内で反対の声が出る

「アメリカの歴史を振り返れば、権威主義的な国家や独裁国家の体制保証を約束したことはかつてない」。北朝鮮情勢分析で定評のある韓国・国民大学のアンドレイ・ランコフ教授(ロシア出身)は5月29日、都内で行われた講演会でこう指摘した。

さらに「アメリカは民主国家だ。大統領が万が一、このような約束を交わした場合、国内で反対の声が出るだろう。国内的に問題が起きるので、大統領が約束したとしても守ることはできないと思われる。なので、不可侵条約が非常に良いアイデアになってくる。しかし、体制保証というのは現実味のない幻想にしか過ぎない」と述べた。

北朝鮮側の受け止め方はどうか。東京都小平市にある朝鮮大学校の李柄輝准教授は5月26日に都内で行われた講演会で次のように述べた。

「朝鮮側からすれば、大統領の言葉だけでは信用できない。どうやって知恵を集めて、体制保証のシステムを作っていくのか。これが課題だと思っている」

では、北朝鮮側が求める体制保証とは具体的にどのようなものなのか。

→次ページ北朝鮮が求める体制保証とは?
1 2 3 4

1805 北朝鮮が米に苛立つのは体制保証への無理解か



北朝鮮が米に苛立つのは体制保証への無理解か



記事
団藤保晴
2018年05月17日 08:23
北朝鮮が米に苛立つのは体制保証への無理解か

 南北閣僚級会談を一方的に中止し米朝首脳会談の再考を言い出した北朝鮮。既に始まった軍事演習を理由にしつつも、ポンペオ米国務長官が持ち出した体制保証が求めているモノではないと拒否した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金正恩国務委員長ら支配層が求める体制保証は強権的な権力支配構造の維持であり、国民全体を豊かにする普通の国への転換ではないと考えられます。むしろ、国全体が豊かになれば社会が民主化に走って権力は失われます。民主化を阻止するために必要な、中国が「ブラックテクノロジー」でしている国民を監視・管理する技術も資源もありません。中国が協力しても第569回「中国の目指すSF的な個人行動管理社会が見えた」で述べたシステムを移植する余裕も時間も無いでしょう。

 15日の中央日報日本語版《ポンペオ氏「非核化実現したら北朝鮮住民に肉が食べられるようにしたい」》を見て強い違和感がありました。

 《ポンペオ氏は「北朝鮮のエネルギー網の建設とインフラ発展に米国の民間部門が支援することができる」とし「米国民の税金を投じて北朝鮮を支援するわけにはいかないが、制裁を解除して米資本が北朝鮮に投入されるようにする」と明らかにした》《ポンペオ氏は体制保障というもう一つの“ニンジン”も提示した。「北朝鮮の政権交替を追求しない」ということだ。中央情報局(CIA)局長だった昨年7月の時点では、ポンペオ氏は北朝鮮政権交代論者だった。そのような彼が「我々は確実に安全保障を提供する」としながら「我々が望むのは金委員長が自国と自国民のために戦略的に変化することで、このような準備が整った場合、トランプ大統領も援助する準備をするだろう」と説明した》

 北朝鮮支援は実現したとしても米政府資金ではなく、民間ベースであり、当然ながら国際的なビジネスのルールに沿う中身が必要です。そうでなければ民間の資金は動きません。そして「金委員長が自国と自国民のために戦略的に変化する」のなら現在の強権的な支配構造を捨て去る結果が待つでしょう。

 シンガポールでの米朝首脳会談が開かれた場合、米国側は強硬姿勢に出ます。14日の朝鮮日報日本語版《ボルトン米補佐官「北朝鮮の核、全て米国に運搬して廃棄」》は《北朝鮮の非核化について「全ての核兵器を廃棄し、テネシー州オークリッジまで運搬することを意味する」と述べた。北朝鮮の完全な非核化のために、北朝鮮にある全ての核兵器を米国に搬出し、米国が直接廃棄するというわけだ》としています。

 既に数十の核弾頭を持つと想定されていますから、その半分くらいを米国に引き渡して「良い子」ぶって米国の軍事行動を避ける可能性が指摘されています。その後で「核が完全に存在しない」証明は、少量の核物質隠匿を摘発しきれないため現実に極めて困難です。

 しかし、そこまで米国に譲歩して得られる成果が自らの体制への揺さぶりではかないません。締め上げられている国際制裁の解除と、支配層が自由になる資金や物資が欲しいだけでしょう。韓国との南北交流も南の文化や豊かさを見せる場面は極力排除しないと国民に動揺を招きます。板門店宣言で韓国ムン政権は浮かれていますが、北朝鮮はこれまで実質的な譲歩はしていませんし、門戸を開く構えも見せていません。
タグ:
北朝鮮
金正恩
ドナルド・トランプ
米朝首脳会談

1808 北朝鮮、「体制保障が無いなら非核化しない」と公式表明 – シンシアリーのブログ



北朝鮮、「体制保障が無いなら非核化しない」と公式表明 – シンシアリーのブログ



2018年8月4日 投稿者: SINCERELEE
北朝鮮、「体制保障が無いなら非核化しない」と公式表明


中央日報が「遺骸送ったから終戦宣言しろ・・私たちだけが動くことは無い」という記事を載せました。

北朝鮮のリーヨンホ外務相がARF(ASEAN地域安保フォーラム)で演説した内容のことで、

リー外務相は「北朝鮮が終戦宣言などシステムの安全保障を得ることができない場合は、非核化措置などしない」と「正式に発表した(原文ママ)」とのことです。





(ここから「続きを読む」の後になります)

リー外務相は米朝首脳会談の1「新しい米朝関係の確立」2「朝鮮半島の恒久的で強固な平和体制構築」3「朝鮮半島の完全な非核化」4「米軍遺骸発掘と送還」を取り上げ、

「同時に、段階的に、バランスよく進めるべきだ」としながら、「私たちは3、4をやったのに、米国が1、2をやらないなら共同声明そのものが破綻するだろう」と話しました。

「段階的に」という言葉にも、注意が必要です。ブログでも、「韓国人による罪韓論」にも何度も使った言葉ですが、『時間稼ぎ』にすぎないものですから。彼らの言う「段階的」というものは。

https://news.v.daum.net/v/20180804180526357

 著書関連のお知らせ



・12冊目、「韓国人による罪韓論」が発売中です。

今回は2018年になってからの出来事、北朝鮮の非核化問題、南北首脳会談のこと、韓国社会の親北化、韓国社会にあふれている市民団体の政治権力化と直接民主主義への渇望、そして慰安婦合意不履行宣言のことなどを扱っております。

・11冊目にして「日韓比較論」第二弾、「人を楽にしてくれる国・日本~韓国人による日韓比較論~」が発売中です!


・他にも韓国の反日思想に対する考察をまとめたシリーズがございます。それぞれ、重点を置いた部分が違います。今までのシンシアリーの拙著については、書籍紹介ページをご覧ください。

・シンシアリーはツイッターをやっています。他のSNSはいまのところやっていません。ほとんどが更新報告ですが、たまに旅行先の写真をツイートする時もあります。よかったらチェックしてみてください。https://twitter.com/sincereleeblog








いいね!(曇るね!)131+カテゴリー文在寅政権の行く末タグシンシアリーのブログ, 北朝鮮, 韓国情報

コメントナビゲーション

3“北朝鮮、「体制保障が無いなら非核化しない」と公式表明” への81件の返信

匿名
2018年8月5日 06:35


解んないですけど、「金体制保障で南北統一」と言う姿は在るんでしょうか?
金一家の保障だけでは取り巻きが納得しないから、南北が北朝鮮になると言う事でしょうか?
統一とは北の南の併合を勝手にイメージしてるんでしょうか?
無理難題は朝鮮人の因縁の特徴だからね、際限ないと思う。朝鮮人相手に交渉はあり得無いね。

純血種
2018年8月6日 00:44


仮定の話として・・。
北の体制保証=米国が北の存在を認める。
しかし、北は最貧国で制裁対象国なので、米国が認めた位じゃ国家運営は不可能です。
そこで眼を付けてるのが、韓国の存在で、終戦宣言、平和協定締結で南を併呑してしまえば、最貧国から脱出でき、南で粛清の嵐が吹けば、南の経済的富を収奪できる。
南はその時、北の一部なので、世界が騒いでも「内政干渉!」の一言で終了ですね。

結論。
>「金体制保障で南北統一」
北の思考として、体制保証=南北統一は有りですね。

第6章 「安全の保証」と新しい軍事態勢のあり方

Microsoft Word - 06道下8.doc


第6章 「安全の保証」と新しい軍事態勢のあり方

 道下徳成

はじめに 1993~94年の「第1次核外交」と異なり、2002年以降の「第2次核外 交」 において北朝鮮は公然と「抑止力」の必要性に言及し、05年2月10日 には核兵器保有宣言を行った。自国の核兵器保有を「自衛」のためである とする北朝鮮の主張をどの程度受け入れるかは議論の分かれるところであ るが、北朝鮮が自国の体制維持に不安を持っており、核兵器を体制維持の 手段の1つとして利用しようとしていることは周辺諸国も認めるところと なっている。このことは、北朝鮮を除く各国が、核兵器の放棄と引き替え に、北朝鮮に対して「安全の保証(security assurances)」を与える準備 があると表明していることからも明らかであろう。また、米国は北朝鮮に 対して 「侵略(invade)」「攻撃(attack)」を行わないとの立場を明確に しており、韓国の盧武鉉大統領は、「核やミサイルは外部の脅威から自身 を守るための抑止(注1)手段である」という北朝鮮の主張には「一理ある側 面がある」と述べた(注2)。 これらのことから、核兵器の放棄と引き替えに、北朝鮮に何らかの安全 上の保証を与えるべきであるとのコンセンサスは、すでに形成されている といえる。本稿は、北朝鮮の核問題を外交的に解決するにあたって、北朝 鮮に安全保障上の安心感を与えるために、いかなる措置をとることができ るかを考察するものである。

1.軍事力と北朝鮮の安全保障
(1) 核兵器と北朝鮮の抑止論
現在の「第2次核外交」において、北朝鮮は初めて公然と「核抑止力」 の保有を政策オプションとして論じ、核実験を交渉カードとして使い始め た。90年代の「第1次核外交」においては、北朝鮮はあくまで自国が核兵 - 106 - 器を保有する意図を持っていないとの主張を繰り返し、最後まで核開発を 行っているとは認めなかった。しかし今回の核外交では、自国の核計画に ついて隠し立てするそぶりを見せていない。 これについて03年4月、北朝鮮は「唯一、物理的な抑止力、いかなる先 端兵器による攻撃も圧倒的に撃退することのできる強力な軍事的抑止力を 備えることのみが、戦争を防ぎ、国と民族の安全を守護することができる というのがイラク戦争の教訓」であると述べ、自国が「抑止力」を持つ権 利があると主張した(注3)。そして同月18日には、約8,000本の使用済み燃 料棒の再処理作業が最終段階にあると表明し、30日には、米国の「対朝鮮 圧殺策動」を「物理的に抑止する」ために「必要な抑止力を備えることを 決心し、行動に移さざるを得なくなった」との談話を発表した(注4)。そし て6月9日には、米国が「対朝鮮敵視政策」を放棄せず、核威嚇を続ける 場合には「核抑止力」を保有せざるを得なく - 107 -

 (2) 北朝鮮の抑止力 現在、軍事的に北朝鮮の体制を支えているのは、専門用語でいえば、 「懲罰的抑止力(deterrence by punishment)」である。つまり、北朝鮮 は、「自国に対して大規模な軍事攻撃が発生した場合には、ソウルや東京 といった、近隣国家の大都市に重大な損害を与えるような報復を行う」と いう脅迫によって、自国の安全を確保しているのである。 実際、94年に朝鮮半島危機が発生したとき、米国、日本、そして特に韓 国が北朝鮮との全面対決を回避しようとした最大の理由は、戦争になった 場合に米韓側が軍事的に敗北する可能性があったからではなく、戦争によ って発生する被害が耐えがたいものになると予想されたためであった。米 韓連合作戦計画5027(OP5027)は、戦争が発生した場合、北朝鮮の奥深 くに反攻作戦を行うことを想定しているが、全面戦争のシナリオでは米軍 の死傷者は3万人、韓国軍の死傷者は45万人に上り、8~10万人の米国人 を含む100万人の民間人が死傷し、米国は610億ドル以上の支出を余儀なく され、韓国には1兆ドル以上の経済的損失が出ると予想されていた(注8)。 また、こうした抑止力は、経済制裁や、核施設に対する限定的な武力攻 撃などにも一定の抑止効果を発揮するであろう。そして、そうした抑止力 の信頼性を高めるために、北朝鮮は、ことあるごとに、「経済制裁は宣戦 布告と見なす」との声明を出している。但し、北朝鮮は、全面戦争になれ ば自国が敗北することを理解しているとみられ、必ずしも金正日政権の打 倒を意図しない経済制裁や限定的な武力行使に対し、大規模な報復攻撃を 行うかどうかは疑問がある。その意味でも、北朝鮮としては、限定的な攻 撃に対しては「限定的な報復」のオプションを保持したいと考えるであろ う。 ちなみに、北朝鮮は全面戦争において軍事的に勝利する能力をすでに喪 失していると考えられている。全面戦争になれば、遅かれ早かれ米韓連合 軍が北朝鮮地域に進出し、北朝鮮の現政権を排除するとともに、同地域を 軍事的に占領するであろう。事実、94年6月、ゲイリー・ラック在韓米軍 司令官は、1~2個の核兵器が使用されたとしても、北朝鮮を打倒するこ とができるとの見通しを示していた(注9)。つまり、北朝鮮は、米韓の攻撃 を拒否する能力を持っておらず、従って、「拒否的抑止力(deterrence by - 108 - denial)」も持っていないと判断できる。 (3) 懲罰的抑止力を支えるもの それでは、北朝鮮は、いかなる手段で懲罰的抑止力を確保しているので あろうか。その中核的な要素は、①ソウルの北方に配備された170ミリ自 走砲と240ミリ多連装砲、②弾道ミサイル、③化学兵器、④特殊戦能力、 ⑤「核兵器を保有している可能性」などである。 第1に、ソウルの北方に配備された自走砲と多連装砲のなかで、ソウル を射程に入れるものは約300門であり、1時間に約8,200発の砲弾を発射す る能力をもつ(注10)。これらは極めて短時間でソウルに到達し、高速で飛 翔するために今のところ積極的防御(active defense)手段は存在しない。 最近の報道で、北朝鮮の長距離砲が抑止力として作用しているとの、韓国 軍の武器システム専門家の見方が次のように伝えられた。同専門家によれ ば、長距離砲による攻撃の効果の「曖昧さこそが、長射程[長距離]砲の 核心」であり、正確な被害規模を算出し難いことによって韓国側が感じて いる心理的負担感を利用して、北朝鮮は戦争抑止効果を狙っているという のである。さらに、同専門家は次のように語ったという。 長射程[長距離]砲を最も効果的に使用する方法は、韓国軍の前方部隊に 対する先制打撃である。そのためには長距離砲が今のように休戦ラインの 鼻先まで出てきている必要はない。座標[位置]が容易に露出し、反撃を 受けやすい現在の位置にある[配備している]のは、首都圏を射程距離内 におくことによって、いくら緊張が高まっても[米韓側が]戦争を決心す ることができないようにしようという北朝鮮の意図を明らかにしてい る(注11)。 第2に、北朝鮮は500発程度のスカッド・ミサイルと100発以上のノド ン・ミサイルを保有している。スカッドは韓国のほぼ全土を射程に入れ、 ノドンは日本の主要な部分を射程に入れている。これまでにノドンは、そ の派生型を含め、北朝鮮、パキスタン、イランなどが数次にわたって発射 実験を行っており、かなりの信頼性を確保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さらに、 - 109 - スカッドやノドンは発射台付きの車両に搭載して運用されるため、発見・ 破壊するのがきわめて困難である。つまり、北朝鮮は、確実に韓国や日本 に対してミサイル攻撃を行う能力をもっているといえる。 第3に、北朝鮮の化学兵器は、同国の長距離自走砲・多連装砲あるいは ミサイルの脅威を一層深刻なものにしている。北朝鮮は、マスタ―ド、ホ スゲン、サリン、V剤などを保有しており、化学兵器の投射手段として - 110 - が出ると予測される(注13)。

2.軍事バランスの変化と北朝鮮の核抑止力

 (1) 北朝鮮の戦力構造の変化 94年に米朝枠組み合意が成立してから10年が経過したが、その間に北朝 鮮の軍事力は徐々に変質してきた。結論からいえば、核兵器や弾道ミサイ ルの開発が進んだ一方、通常戦力は徐々に陳腐化していった。これにより、 北朝鮮は抑止力の維持という面において、核兵器への依存を深めたといえ よう。 94年の枠組み合意にもかかわらず、その後も北朝鮮の核開発は進展した。 枠組み合意によって北朝鮮の核開発の主要な部分―プルトニウムの生 産・抽出・蓄積―は凍結されていたが、起爆装置の開発、小型化の推進、 投射手段の開発などは凍結の対象となっていなかったため、これらの作業 は94年以後も継続して進められていたと考えられる。特に核兵器の小型化 が進展しているとすれば、これを弾道ミサイルに搭載することが可能にな るため、その意味は大きい(注14)。 また北朝鮮は従来から保有していた約8,000本の使用済み核燃料棒を再 処理してプルトニウムを抽出する、あるいは原子炉の運転・建設を再開す るというオプションを持っている。これらの燃料棒を再処理すると5ない し6個の核兵器を生産することができ、5メガワット(MW)級原子炉の 運転を再開すれば、年に核兵器1~2個分のプルトニウムを得ることがで きる。さらに、北朝鮮は従来のプルトニウム型に加えて、濃縮ウラン型の 核兵器開発を進めている。02年のCIAの報告によれば、濃縮ウラン型の核 施設の運転が可能になれば、年2個以上の核兵器を生産することができる ようになるという(注15)。 次に、過去10年間に核兵器の運搬手段となり得る長射程の弾道ミサイル 開発が進展した。90年代後半、北朝鮮は射程が約1,300kmのノドン・ミサ イルの配備を始め、現在では約175~200基を配備し、すでに日本の国土の ほぼ全域を攻撃できる態勢を整えたとの見方もある(注16)。ノドン・ミサ イルは、核弾頭、通常弾頭、クラスター爆弾、化学弾頭などを装着できる - 111 - ように設計されていると考えられる(注17)。発射台付き車両に搭載される ノドン・ミサイルは移動して運用され、その発射を事前に把握することは 困難であるため、先制攻撃は有効な対策とはならない(注18)。北朝鮮がノ ドン・ミサイルを配備したこと、そして日米両国がそれへの有効な対処手 段を準備できていないことにより、ソウルと同様に東京が軍事的に北朝鮮 の人質に取られる状態が生まれ、日本の脆弱性は高まった。 他方、90年代を通じて、経済的混乱による財政難などによって北朝鮮の 戦争遂行能力は低下した(注19)。近年、北朝鮮の通常戦力は殆ど更新され ておらず、陳腐化の一途をたどってきた。このため、北朝鮮が韓国に全面 武力侵攻した場合でも、その進撃をソウルの北方で食い止めることが可能 であると評価されている(注20)。

 (2) 日米韓の軍事能力 もちろん、北朝鮮の韓国に対する軍事的脅威としては、全面侵攻だけで なく、長距離砲などによる限定攻撃が考えられる。しかし米韓両国の対火 砲戦力(counter-fire capability)は引き続き強化されており、北朝鮮が 火砲を使用する前に破壊するという「積極的能力」と、韓国に対するあら ゆる砲撃に対する「圧倒的反応」という運用概念も提示されている(注21)。 そして、こうした運用を可能にする手段として、最新型対火砲レーダー、 精密誘導兵器、戦域・戦略レベルの無人航空機、情報・監視・偵察能力の 強化が挙げられている(注22)。対火砲戦力が強化されると、ソウルを人質 に取ることによって北朝鮮が確保していた抑止力が低下することになり、 北朝鮮の交渉能力は低下することになろう。 一貫した近代化によって米韓両軍の反攻能力も向上している。特に米軍 に関しては、軍事における革命(RMA)の進展による攻撃能力の飛躍的 な向上が対イラク武力行使でも明らかになった。「米韓連合作戦計画 5027」は、北朝鮮が韓国に全面攻撃を仕掛けることが確実になった場合に は先制攻撃をかけ、北朝鮮の侵攻を食い止めるとともに反攻作戦を行い、 北朝鮮の現政権を打倒するとしている(注23)。既述の通り、94年6月、ゲ イリー・ラック米韓連合軍司令官は、全面戦争において北朝鮮が1~2個 の核兵器を使用したとしても、最終的には北朝鮮を打倒することができる - 112 - との見通しを示した(注24)。このような米韓側の作戦計画、そしてそれを 遂行するに足る軍事能力は、全面戦争が北朝鮮にとって合理的なオプショ ンとなり得ない環境を作り出している。これによって、北朝鮮指導部が合 理的判断を下す限り、レトリックとしてはともかく、現実のオプションと して全面戦争を選択することはないという前提に立って、北朝鮮の瀬戸際 外交に対応することが可能になった。 さらに米国は、単独あるいは韓国と共同で北朝鮮の核施設を破壊する能 力を有している。事実、94年6月に朝鮮半島危機が発生したとき、すでに 米国は多大な付随的損害をもたらさない形で北朝鮮の核施設を破壊する計 画を策定していた(注25)。また2002年9月に発表された「米国の国家安全 保障戦略」の中で、米国が「先制行動」を公式の戦略として採用したこと により、北朝鮮の核施設に対する外科手術的攻撃の可能性は高まった(注 26)。もちろん、こうした攻撃は、韓国に対する報復攻撃を招く可能性が あるため、容易に用いることができるオプションではない。しかし米国の 軍事能力と新しい戦略の採用により、北朝鮮は瀬戸際外交を展開するにあ たって、以前より慎重にならざるを得なくなったといえる。 他方、日本は、90年代後半における日米同盟見直し作業などを通じて、 周辺事態において、経済制裁のための船舶検査活動、非常時における在外 邦人の保護、米軍の活動に対する後方支援を行うための態勢を整え、特殊 部隊の侵入、難民の流入への対策を講じた。これらの作業によって、朝鮮 半島で危機あるいは武力紛争が発生した場合、日本は過去に比べはるかに 効果的な行動を取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る。

(3) 重要性を増す北朝鮮の核抑止力 以上のような軍事バランスや戦力構造の変化によって、過去10年間に北 朝鮮にとっての核抑止力の重要性は高まった。つまり、単純に軍事面から 評価すれば、北朝鮮に核兵器を放棄させるのは以前より困難になったとい える。 また、北朝鮮が実際に使用可能な核兵器を保有しているかどうかが明ら かでないことも、北朝鮮の「核抑止力」の評価を困難にしている。抑止力 は最終的には抑止される側の認識を通じて作用するものである。つまり、 - 113 - 現時点で北朝鮮の核抑止力は、「北朝鮮は使用可能な核兵器を保有してい るかも知れない」という周辺国の認識によって発生しているのであり、 「北朝鮮が保有している核兵器」によって発生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従 って、極端な場合、北朝鮮が核兵器の放棄を受け入れて査察を受け入れた のちに、北朝鮮は核兵器を保有していないことが明らかになることもあり うる。 あるいは、そこまで極端ではないにせよ、北朝鮮は核兵器を保有しては いるものの、小型化が進んでおらず、ミサイルに搭載できない状態である など、実戦使用できる状態にない可能性は十分ある。従って、北朝鮮が核 兵器を放棄し、査察を受け入れた場合、「不透明性」に依存していた北朝 鮮の「核抑止力」の効果が瞬時に大きく低下あるいは消滅することになる かも知れない。このため、こうした理由によって北朝鮮が核兵器の廃棄に 消極的であるという可能性も念頭に置いておくべきであろう。また、同じ 理由で、北朝鮮が核兵器を放棄すると宣言した後も、その抑止効果を維持 するために能力の開示に消極的な態度を見せ、あるいは査察のプロセスを サボタージュしようとする可能性は十分考えられる。

3.核問題解決のための軍事・外交的措置

(1) 「安全の保証」を保障するもの 北朝鮮が大量破壊兵器を開発しようとする目的の1つは自国の体制維持 である。そして、北朝鮮の周辺諸国は、こうした北朝鮮の要請を理解して おり、そのために、北朝鮮以外の6者会合の参加国が共同で、北朝鮮に文 書による「安全の保証」を提供すると提案しているのである。事実、10年 前の米朝枠組み合意では、米国が北朝鮮に二国間の消極的安全保証 (negative security assurances: NSA)を与えた。現在、6者会合の参 加国が北朝鮮に提案している「安全の保証」は、米国とともに中国、日本、 韓国、ロシアも参加していること、そして、北朝鮮に対して核兵器の不使 用のみならず、より広範な武力の不使用を約束するという2点において、 枠組み合意におけるNSAよりも重要なものである。 しかしながら、北朝鮮に対する「安全の保証」は、外交文書によるもの - 114 - だけでは不十分である。各国による外交的な保証のうえに、軍事・経済面 で具体的な措置がとられてこそ、北朝鮮としても受け入れやすくなるであ ろうし、新たな合意の安定性も高まる。その意味で、北朝鮮が核兵器の放 棄を受け入れるプロセスの中で、「安全の保証」を保障する軍事的な措置 をとる必要があろう。

 (2) 北朝鮮の「抑止力」と安全保障の新しい均衡点 北朝鮮に対する文書による「安全の保証」を軍事的に保障するための措 置とは、核兵器以外の抑止力を北朝鮮が一定の水準で維持することを容認 することである。すでに述べたとおり、北朝鮮の懲罰的抑止力の源泉は、 ①ソウルの北方に配備された長距離自走砲と多連装砲、②弾道ミサイル、 ③化学兵器、④特殊戦能力、⑤「核兵器を保有している可能性」などであ る。長期的には北朝鮮が、これら全ての戦力を廃棄(あるいは削減)する ことが望まれるが、現時点で周辺諸国が求めているのは、この中で最も危 険な核兵器を優先的に廃棄させることである。従って、北朝鮮に核兵器の 早期かつ全面的な廃棄を要求する一方で、残りの①~④の能力については 中長期的な削減・廃棄を求めていくのが現実的といえよう。特に、①のソ ウルの北方に配備された長距離自走砲と多連装砲については、94年に北朝 鮮の代表が、いわゆる「ソウル火の海」発言をしたことからも、北朝鮮が 重要な抑止力として認識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ているため、その温 存を容認することで北朝鮮の安心感が確保されるであろう。この点につい ては、盧武鉉大統領が「核やミサイルは外部の脅威から自身を守るための 抑止手段である」という北朝鮮の主張に「一理ある」と認めていることか らも、韓国としては、自国が北朝鮮に抑止される状態を受け入れる用意が あるとみることができる。 但し、ここで注意すべきことは、今後、長期的に安定した戦略環境をつ くっていくためには、北朝鮮に軍事的な「安全の保証」を認めて一定の安 心感を与えるだけでなく、それによって負担を負うことになる周辺国の安 全保障にも配慮し、周辺国全てが納得する戦力構造の再編が必要であると いう点である。特に、近年の脅威認識の変化を見ると、韓国で北朝鮮に対 する脅威感が大きく低下する一方、日本では北朝鮮に対する脅威感が高ま - 115 - っている。また、米国にとっては韓国防衛の負担感が増大する一方、北朝 鮮が米国本土に直接与える脅威は高まっている。こうした同盟・友好国間 の認識ギャップを埋める措置をとりながら北朝鮮の核兵器廃棄を進めなけ れば、北朝鮮の核廃絶が実現した後にも不安定要素が残存することになっ てしまう。つまり、今後の一連のプロセスを通じて、北朝鮮だけでなく、 日米韓の3カ国にとっても受け入れ可能かつ安定的な新しい安全保障の均 衡点(equilibrium)を模索する必要があるといえよう。 現在、北朝鮮に対する脅威認識や安全保障のためのコスト意識が、韓国 内では低下している。韓国内での認識の変化の背景には、90年代以降、朝 鮮半島における軍事バランスが米韓側に有利に変化してきたことがある。 今や軍事費については、韓国が北朝鮮の約3倍を支出するようになってお り、北朝鮮の主力装備がT-54/55戦車、ロメオ級潜水艦、MiG-21戦闘機な どの旧式であるのに対し、韓国の主力装備は、米国のM1を基礎とした K-1戦車、3,900トン級駆逐艦、KF-16C/D(ブロック52)戦闘機などの新 鋭装備となっている。 他方、日本では北朝鮮に対する脅威感が高まっている。北朝鮮は90年代 の後半から、約1,300kmの射程をもち、東京など日本の主要都市を射程に 入れるノドンを100発以上配備しているとされる。ノドン、テポドンとい う準中距離以上の射程をもつ弾道ミサイルは、すでに80年代からスカッド の射程内に入っている韓国にとっては追加的脅威となるものではない。こ れに対して、日本にとっての北朝鮮の脅威は、破壊活動などを別にすれば、 実戦配備されたノドンの脅威とほぼ一体化している。北朝鮮の核開発とミ サイル開発が結合したとき、日本は北朝鮮の核ミサイルの脅威に直面する ことになる。また、北朝鮮に対する人道支援が自国の安全保障上の利益に つながらなかったことも、日本人の安全保障に関するコスト意識を刺激し たとみられる。 米国にとっては韓国防衛の負担感が増大する一方、米国本土に北朝鮮が 直接与える脅威は高まっている。米国では、武力紛争における軍の死傷者 数を抑制すべきという強い要請があり、トリップワイヤーとしての在韓米 陸軍のあり方を見直すべきであるとの声が高まった。また、グローバルな 軍の配置見直し(GPR)作業の流れのなかからも、在韓米軍の配置及び 戦力構造の調整が要求された。韓国において一時高まった反米感情は、こ - 116 - うした米国のコスト認識を一層強める効果をもった。同時に、北朝鮮が大 陸間弾道弾(ICBM)であるテポドン2号の開発を継続していることは、 米国本土や太平洋軍司令部があるハワイなどに対する脅威となっている。 それでは、増大する日米韓の認識ギャップを埋めるためには、どのよう な措置が必要なのであろうか。日米韓3カ国の安全保障の新たな均衡点は、 次のような手段によって達成されるであろう。

第1に、韓国については、 再編される在韓米軍の穴を埋めるために、「協力的自主防衛」政策に基づ き、自国の安全保障について、より大きい役割を果たす。特に、北朝鮮の 長距離砲に対応するための、対火砲戦力や対特殊戦任務について、韓国が より大きい役割を果たすことは、米国の負担感を減らすことに寄与するで あろう。 第2に、北朝鮮のノドン・ミサイルを順次削減し、最終的には廃絶する ための合意が必要である。すでに日本政府が明らかにしているとおり、日 朝国交正常化のためには拉致問題、核問題とともに、ミサイル問題の解決 が不可欠である。87年12月に締結された米ソ間の中距離核戦力(INF)削 減条約では、対象となる中距離ミサイルの本体1,846発(ソ連)、846発 (米国)及び関連システムを91年5月までに廃棄した(注27)。この時の経験 などを参考にして、ノドンを削減・廃棄する合意を目標にすべきである。 但し、日本は攻撃用の準中距離ミサイルを保有していないため、このよう な日朝間の合意は、「非対称的な」内容をもつことになる。つまり、日本 と北朝鮮はミサイルとミサイルを交換するのではなく、日本の経済援助と 北朝鮮のミサイルを交換することになろう。 なお、04年12月に発表された「平成17年度以降に係る防衛計画の大綱」 では、弾道ミサイル攻撃への対応、特殊部隊による攻撃への対応、武装工 作船等への対応などが重点項目として挙げられた。また、日本は07年の実 戦配備に向けて弾道ミサイル防衛(BMD)システムの導入を進めており、 米国もBMDシステムの東アジアへの配備を進めている。これらの動きは 北朝鮮の「軍事カード」の効果を低下させるものであり、時間がたてばた つほど、北朝鮮のミサイルなどの外交上の価値は低下していくであろう。 このような圧力は、北朝鮮をして「早めに外交的な譲歩をした方が得」と いう判断を促す効果を持つと考えられる。 最後に、03年6月、米韓両国は第2回韓米同盟政策構想(Future of - 117 - the ROK-US Alliance Policy Initiative (FOTA))協議で、04~06年の第 1段階で漢江以北の米軍基地を2つの地域に統合し、第2段階(時期は未 定)で在韓米陸軍を中部西海岸のオサン・ピョンテク地域に移転すること に合意した。これによって、在韓米軍はトリップワイヤーとしての役割を 終え、米国側の負担感は減少するであろう。また、在韓米軍が朝鮮半島外 にも展開しやすいものに再編されることで、米国にとって軍を韓国にコミ ットし続けるメリットも高まる。 勿論、再配置によって在韓米軍の脆弱性が低下し、米国の限定的武力行 使に北朝鮮が懸念を感じるようになる可能性はある。しかし、これについ ては、08年までに在韓米軍の兵力37,000人のうち12,500人を削減すること や、将来的に在韓米軍の対火砲戦力を削減・撤収し、その任務を韓国が引 き継ぐなどの措置をとれば、北朝鮮の懸念は相殺されるであろう。 中国、ロシアにとっても、北朝鮮の核開発は地域安保の文脈上、大きな 懸念材料となっている。とりわけ、北朝鮮の体制維持を好ましいと考える 一方、北朝鮮の核・ミサイル開発によって日本の軍事力や日米同盟が強化 されることを懸念する中国にとっては、北朝鮮の体制保証と、同国の核開 発の阻止を同時に達成するのは理想的なオプションといえよう。 おわりに 6者会談が決裂すれば、国連安保理で議長声明、非難決議、制裁決議な ど、北朝鮮に集団的かつ段階的な圧力が加えられることになるかも知れな い。その場合、北朝鮮は、国連による段階的圧力に対抗して、ミサイル発 射や核爆発実験を行う可能性がある。また、北朝鮮は兵器級核分裂性物質、 さらには核兵器を、米国に敵対的な第三国や非国家主体に移転することも 考えられる。そうなれば、米国が北朝鮮に対して外科手術的な軍事行動を とる可能性は高まり、韓国の証券市場は混乱し、外国資本の撤退や国内資 産の海外逃避が進行するであろう。 逆に、国際社会からの圧力が強まる中で、金正日体制が崩壊に向かう可 能性も排除できない。そうなれば、核兵器や核物質が国外に流出したり、 地域情勢が不安定化したりするかも知れない。こうした状況は、米国や日 本とともに、北朝鮮と接する韓国や中国にとっては特に重大な影響を与え - 118 - るであろう。このような状況を予防するためにも、外交的措置と軍事的措 置を戦略的に組み合わせ、北朝鮮の核問題を平和的に解決する必要がある。

― 注 ―

* 本稿に示された見解は全て筆者個人のものである。
1.原文は「抑制手段」。韓国語では、deterrence を「抑制」あるいは 「抑止」と翻訳する。
2.「国際問題協議会(WAC)主催 午餐演説」『盧武鉉大統領演説文集 第2巻』大統領秘書室、430頁。
3.『朝鮮中央通信』2003年4月6日。
4.朝鮮外務省代弁人談話、2003年4月30日。『朝鮮中央通信』2003年4月 30日。 5.『朝鮮中央通信』2003年6月9日。 6.『毎日新聞』2003年8月31日(電子版)。 7.「朝鮮外務省声明 2期ブッシュ行政府の対朝鮮敵対視政策に対処し た立場闡明―6者会談参加を無期限中断」『朝鮮中央通信』2005年2 月10日。 8. Joel S. Wit, Daniel B. Poneman, and Robert L. Gallucci, Going Critical: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4), pp. 180-181; and Don Oberdorfer,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Reading, MA: Addison-Wesley, 1997), p. 324(邦訳は、ドン・オーバードー ファー(菱木一美訳)『二つのコリア―国際政治の中の朝鮮半島』共 同通信社、1998年、379頁). 9. Oberdorfer, The Two Koreas, p. 130. 10.韓国合同参謀本部議長の証言、「2004年度国政監査 国防委員会会議 録」国会事務処、4頁。ファン・イルド「北 長射程砲、知られざる 5つの真実」『新東亜』2004年12月号 - 119 - 。 11.ファン「北 長射程砲、知られざる5つの真実」。 12.マイケル・ユー、デクスター・イングラム『ウォー・シミュレイショ ン―北朝鮮が暴発する日』新潮社、2003年、145、150頁。 13.同上、106-107、114頁。 14.すでに北朝鮮はノドンに搭載可能な核弾頭を開発しているとの見方も ある。David Albright, “North Korea’s Current and Future Plutonium and Nuclear Weapon Stocks,” ISIS Issue Brief, January 15, 2003, . 15. CIA estimate provided to Congress, November 19, 2002, .『朝日 新聞』2005年6月5日。 16.「北朝鮮 ノドン200基保有 3年間で倍増 米軍分析」『読売新聞』 2003年4月17日(電子版)。 17. Joseph S. Bermudez, Jr., The Armed Forces of North Korea, The Armed Forces of Asia Series (London: I.B. Tauris, 2001), p. 264. 道下徳成「第8章 朝鮮半島における大量破壊兵器問題」納家政嗣・ 梅本哲也編『大量破壊兵器不拡散の国際政治学』有信堂高文社、2000 年の記述も参照せよ。 18.防衛庁『日本の防衛』2003年版、48ページ。また、自衛隊の能力的に も北朝鮮のミサイル基地などを攻撃するのは困難である。「北朝鮮基 地攻撃を研究 93年のノドン発射後 防衛庁 能力的に困難と結論」 『東京新聞』2003年5月8日(電子版)。 19. Vice Admiral Thomas R. Wilson, Director, Defense Intelligence Agency, “Military Threats and Security: Challenges Through 2015,” Statement for the Record, Senate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February 2, 2000. 20. Michael O’Hanlon, “Stopping a North Korean Invasion: Why Defending South Korea Is Easier than the Pentagon Thinks,” Inter- - 120 - national Security, Vol. 22, No.4 (Spring 1998), p. 139. 南北の軍 事バランスについては次のものも参照せよ。金元奉、光藤修編著『最 新朝鮮半島軍事情報の全貌―北朝鮮軍、韓国軍、在韓米軍のパワーバ ランス』講談社、2000年。Taik-young Hamm, Arming the Two Koreas: State, Capital and Military Power (London: Routledge, 1999). 21.原文は、“proactive capability” および “overwhelming response” である。 Statement of General Leon J. LaPorte, Commander, United Nations Command and Commander, Republic of KoreaUnited States Combined Forces Command and United States Forces Korea before the 108th Congress, Senate Armed Services Committee, March 13, 2003, pp. 17-18. 22. Ibid., p. 18. 23. “OPLAN 5027 Major Theater War - West” . 24. Ashton B. Carter and William J. Perry, Preventive Defense: A New Security Strategy for America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9), p. 130. 25. Ibid., p. 128. 26. White House,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hington, D.C., 2002). 27. Joseph P. Harahan, On-Site Inspection Under the INF Treaty: A History of the On-Site Inspections Agency and INF Implementation, 1988-1991 (Washington, D.C.: On-Site Inspections Agenc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1993), pp. 225, 228.

1806 東京新聞:米朝 三つの論点 「非核化」「体制保証」「拉致問題」:国際(TOKYO Web)



東京新聞:米朝 三つの論点 「非核化」「体制保証」「拉致問題」:国際(TOKYO Web)
米朝 三つの論点 「非核化」「体制保証」「拉致問題」
2018年6月12日 朝刊

シンガポールで11日に開かれた実務協議(上)米国のソン・キム駐フィリピン大使(下)北朝鮮の崔善姫外務次官(右端)=ポンペオ米国務長官のツイッターから(共同)



 十二日にシンガポールで行われるトランプ米大統領と北朝鮮の金正恩(キムジョンウン)朝鮮労働党委員長との首脳会談。最大の焦点は北朝鮮の「完全な非核化」を巡る交渉の行方だが、その見返りとなるのが北朝鮮の体制保証の問題。日本人拉致問題についてどう言及するかにも注目が集まる。首脳会談での「三つの論点」を整理した。 (シンガポール・城内康伸、石川智規)
■配 慮


 「完全で検証可能かつ不可逆的な非核化(CVID)を目指す」。トランプ米大統領をはじめ米政権は、北朝鮮に対し早期のCVIDを求めている。ボルトン大統領補佐官(国家安全保障問題担当)は、北朝鮮が非核化を実施した後に経済制裁の解除などを行う「リビア方式」を主張した。


 しかし、北朝鮮は「段階的な非核化」を主張。「一方的な核放棄だけを強要するなら対話に興味はない」と強く反発し、首脳会談の再考を示唆した。


 すると、トランプ氏は一日、金英哲(キムヨンチョル)党副委員長(党統一戦線部長)とホワイトハウスで会談した後、「すべてが一回の会合で決まるとは言ってない」と軟化。北朝鮮側に一定の配慮を示し、米朝首脳会談の開催を優先した形だ。


 ポンペオ米国務長官は十一日、CVIDを目指す米側の考えに「変わりはない」と強調した。しかし「交渉の達人」を自任するトランプ氏が、正恩氏と実際にいかなる「取引」を行うのかは予測し難い。
■戦 略


 正恩氏が非核化の「見返り」として強く求めるのが体制の保証だ。北朝鮮が満足できる「保証」を米側が提示できるかが、非核化前進のカギを握る。


 だが韓国の文在寅(ムンジェイン)大統領によると、正恩氏は五月二十六日に行った二度目の南北首脳会談で「(非核化する場合に)米国は体制保証するというが、信頼できるのか」と述べたという。


 トランプ氏は北朝鮮の懸念を解消するために、体制保証の第一歩として、朝鮮戦争の終戦宣言に署名する可能性に言及している。

 北朝鮮は最終的に朝鮮半島から米軍を遠ざける戦略を描いており、終戦宣言で合意すれば、平和協定への転換を急ぐよう求めるとみられる。平和協定締結に向けた交渉では、在韓米軍の撤退や縮小、米韓合同演習の中止など難題を突きつける可能性もある。
■優先度


 トランプ氏は七日の安倍晋三首相との会談後、日本人拉致問題を「必ず提起する」と断言した。だが、米朝首脳会談を「歴史的な会談」としたいトランプ氏は最近、北朝鮮に融和的な姿勢に転じており、日本人拉致問題の優先度は決して高くない。


 北朝鮮にとって、人権は触れられたくない問題だ。会談で人権問題に直結する拉致が取り上げられれば、北朝鮮が態度を硬化させる恐れもある。このため突っ込んだ議論は行われないとの見方が有力だ。


 また、北朝鮮は「拉致問題は解決済み」との姿勢を崩しておらず、正恩氏が同様の主張を繰り返す可能性もある。「ゼロ回答」だった場合には、日本政府は対策の練り直しを迫られることになる。





この記事を印刷する

트럼프-김정은 '빅딜' 향한 여정 재개…폼페이오 방북이 풍향계



트럼프-김정은 '빅딜' 향한 여정 재개…폼페이오 방북이 풍향계



트럼프-김정은 '빅딜' 향한 여정 재개…폼페이오 방북이 풍향계2018-09-27 10:58

북미 외교장관 회동서 비핵화-상응조치 교환 가능성 확인한 듯
폼페이오 4차 방북 때 2차 북미정상회담 시기·내용 결정 전망


자세히폼페이오-리용호 뉴욕서 회동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북미 양국이 26일(현지시간) 뉴욕 외교장관 회동을 계기로 비핵화 초기조치와 상응조치 교환 협상을 사실상 재개했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북한 대표 간 오스트리아 빈 실무협상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 가운데 어떤 것이 먼저일지는 알 수 없으나 일단 북미 간에 여러 채널로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리용호 외무상이 전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요청에 따른 폼페이오 장관의 다음 달 방북이 북미 협상의 행로를 정할 '풍향계'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자세히




외교가에선 이번 북미 외교장관 회동을 지난달 폼페이오 장관 방북 취소로 중단됐던 북미 공식대화 재개의미로 받아들인다. 아울러 북미 양측의 차후 논의 과정은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전한 김정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와 대미 제안을 미국 측이 북한 핵심 당국자로부터 직접 확인하는 과정이라는 것이 외교가의 시각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트위터를 통해 리 외무상과 2차 북미 정상회담과 북한 비핵화를 위한 후속 조치들을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매우 긍정적인 만남이었다"는 폼페이오의 자평뿐 아니라, 회동 후 미 국무부가 폼페이오 장관의 내달 방북을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북미간 입장 차이를 좁힐 여지가 생긴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다시말해 지난달 폼페이오 방북이 취소된 배경에는 선(先) 종전선언을 주장하는 북한측과 선 핵신고를 요구하는 미국 간 갈등이 자리잡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상당기간 '휴지기'를 거쳐 이달 18∼20일 열린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북미 대화가 재개된 데는, 북한 측의 새 '협상안'에서 절충의 가능성이 있어 폼페이오 방북이 재추진되는 것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남북정상회담 합의문인 평양공동선언에 적시된 '미국의 상응 조치 전제 영변 핵시설 영구 폐기' 카드와 함께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추가로 전한 김 위원장 메시지에 미국 측이 관심을 보여 북미 대화가 재개됐다고 분석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 연구위원은 27일 "김정은 위원장이 핵무기와 탄도 미사일 등 핵무력의 일부 폐기 요구를 수용한 것 아닌가 싶다"고 언급했고,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김 위원장이 핵 사찰단을 수용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다.


자세히2차 북미정상회담 폼페이오 평양 방문(PG)




이런 가운데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이 북미 정상회담의 시기와 내용에 가늠자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대세다.


필요하다면 양측은 비건 대북특별대표와 북측 당국자 간 '빈(오스트리아) 협상'을 벌여 실무협상을 할 가능성이 크다.


문 대통령을 중재자 삼아 미국에 전한 김 위원장의 메시지에 차후 이행할 비핵화 조치뿐 아니라 미국으로부터 받길 원하는 종전선언 등 상응 조치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만큼 폼페이오 방북을 통해 양측은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의 조합을 놓고 치열한 협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대화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연일 밝히고 있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2차 북미 정상회담 구상을 밝히면서 "우리는 서두르지 않고 있다. 서두를 것 없다"고 한 데 이어 26일 기자회견에서 북한 비핵화 협상 시한과 관련해 "시간 싸움(time game)을 하지 않겠다. 2년이 걸리든, 3년이 걸리든, 혹은 5개월이 걸리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6일(현지시간) 미 중간선거(상·하원 의원 및 주지사 등 선출)에 북한 비핵화 진전 카드를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은 가운데 그의 관련 발언이 주목받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미 측은 실질적 부분에 집중해서 비핵화 행동계획에 대한 구체적 진전을 이루겠다는 생각인 것 같다"며 "시간에 쫓겨 졸속 협상을 하면 안 되니까 차분하게 진전을 이루겠다는 생각을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북한 비핵화 진전이라는 성과가 중간선거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본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측이다. 따라서 시간에 쫓겨 불리한 합의를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폼페이오 장관이 2차 북미 정상회담 시기와 관련, "10월일 수 있지만 그 후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조성렬 연구위원은 "폼페이오 장관이 방북하게 되면 핵 협상의 타결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미국 중간선거 전에 열릴지 후에 열릴지는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결과에 따라 정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TV 제공]




jhcho@yna.co.kr

1808 디트라니 “북 체제보장 원하면 핵신고부터 해야”



디트라니 “북 체제보장 원하면 핵신고부터 해야”



디트라니 “북 체제보장 원하면 핵신고부터 해야”
워싱턴-양희정 yangh@rfa.org
2018-08-09



인터뷰하는 조셉 디트라니(Joseph Detrani) 전 6자회담 차석대표.
Photo: RFA
K080918ne-yh.mp3





00:00/00:00


앵커: 북한이 비핵화 협상의 진전을 원한다면 완전한 핵 프로그램 신고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체제안전보장과 미북 관계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 미국 측 6자회담 차석대표가 지적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 외무성이 9일 미국의 대북 추가제재 등을 비난하는 담화를 발표한 데 대해 미국의 조셉 디트라니 전 6자회담 차석대표는 미북 양국이 북한의 핵 무기와 시설의 해체를 핵심 목표로 삼고 동시적인 행동을 취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자신의 대북 협상 경험으로 미뤄 북한과의 협상에서는 ‘인내와 끈기’가 필수적이라며 행동 대 행동의 원칙에 입각한 해결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모든 핵무기와 핵시설 신고와 함께 해체 이행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검증에도 합의하길 원하는데, 북한은 완전한 핵신고(comprehensive nuclear declaration)를 꺼리고 있기 때문에 미국도 체제보장과 관계정상화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거의 진전이 없다고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는 지적했습니다. (No doubt, these issues are being discussed and Pyongyang appears unwilling to provide a comprehensive nuclear declaration, which means there's minimal progress on security assurances and a path to normal relations.)

그는 그러면서 미북이 핵신고와 종전선언 등 북한 체제보장을 동시에 합의해 북한의 핵무기와 시설의 해체라는 핵심 목표에 진전을 보이길 희망했습니다.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는 그러나 북한의 부분적 비핵화가 아닌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비핵화가 미국은 물론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의 공통된 목표라고 본다고 강조했습니다.

게리 새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정책조정관은 그러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제한된 비핵화와 제한된 평화체제와 제재 완화를 포함한 관계정상화를 제안하는 보다 현실적인 접근법을 택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새모어 전 정책조정관: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의 대가로 북한은 더 이상 핵무기를 생산하지 않겠다고 합의해야 합니다. 당연히 북한은 비밀핵생산시설에 대한 신고와 사찰을 수용해야 하고요. My main suggestion is NK agreement not to produce any more nuclear weapons, which would require that they declare and accept an inspection at their secret nuclear production facilities.

새모어 전 조정관은 북한 외무성 담화는 북한이 지금 이 단계에서는 미국의 CVID 즉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거부한다는 것과 미국의 추가 대북제재에 대한 북한의 불만을 확인시켜주었다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북한은 한국과의 철도 및 도로사업을 추진하는 등 경제적 대가를 위한 미국의 공식적인 제재 완화를 원하고 있고, 미국은 일부 제재 완화에 대한 대가로 검증 가능한 핵 동결이라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제안부터 시작해 나가야 한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새모어 전 조정관은 그러면서 북한은 “한반도 정세안정의 기류가 지속될 수 있다는 담보가 없다”고 밝혀 미국의 조정된 제안(compromise proposals)이 없을 경우 북한은 핵실험 등을 재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데니스 와일더(Dennis Wilder) 전 백악관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은 미북 대화가 확성기 외교(megaphone diplomacy)로 치닫고 있는데 대해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

와일더 전 보좌관은 자신의 협상 경험에 따르면, 북한과 같은 독재국가들은 공개적인 경우보다 비밀 대화에서 더 양보할 가능성이 높다며 앞서 미북 정상회담과 후속 대화가 비공개로 이뤄져 성공적이었다고 진단했습니다.

와일더 전 보좌관은 너무 많은 공개적인 성명들은 북한 김정은 정권을 필요 없이 방어적으로 만들었다며 비핵화 협상을 비공개로 추진하는 한편 정상회담을 통해 그 결과를 문서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We should learn this lesson and return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to mechanisms out of the public eye--and then have summits to codify those understandings reached in private.

한편, 미국신안보센터(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 CNAS)의 패트릭 크로닌 아시아태평양안보 소장(Senior Director of the Asia-Pacific Security Program)은 북한 외무성의 성명을 북한의 입장을 정당화하려는 시도로 해석했습니다. 미국은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에 진전이 있으려면, 수 개월 이내에 북한의 의미 있는 비핵화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매우 단합된 견해를 갖고 있다고 그는 주장했습니다. 북한이 취한 핵실험장 폐기와 유해 송환 등의 조치에 사의를 표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에 반해 미국 행정부 고위관리들이 ‘터무니없이’ 국제적 대북제재 압박 소동에 혈안이 되어 있다는 북한의 주장에 대한 반박입니다.

1805 北이 강조하는 '체제 안전 보장' 의미는 : 조선pub(조선펍) > 뉴스 & 이슈



北이 강조하는 '체제 안전 보장' 의미는 : 조선pub(조선펍) > 뉴스 & 이슈




北이 강조하는 '체제 안전 보장' 의미는
북한 체제 붕괴 우려 막는 북미 불가침조약 확답 내포
대북 제재 해제·해외 자본 유입으로 경제 발전도 기대


글 | 뉴시스





▲ 조선중앙TV는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두 번째 정상회담 영상을 27일 공개했다. 사진은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악수하는 모습이다. 2018.05.27. (사진=조선중앙TV 캡쳐)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 문제를 언급한 것은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의 실질적 고민이 어느 지점에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북미 정상회담 의제 조율에서 비핵화와 체제 안전 보장에 대한 접점 찾기가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을 공개 폐기하며 비핵화 의지를 드러내고 있지만 정말 체제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을 지에 불안해한다는 것을 공식화했다. 이는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충분히 신뢰하고 있는가란 문제와도 결부된다.

북한은 체제 안전 보장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명시한 적은 없다. 일단 북미간 불가침 조약을 맺어 북한의 안전 보장 체계를 견고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갖고 있는 '우려'의 측면에 대해 "북미 정상회담 성공을 위해 북한의 우려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여러가지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안보 측면에서는 (북미)적대행위 금지와 상호불가침 약속, 정전 협정의 평화협정 전환 협상을 개시하는 등"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의 '리비아식 비핵화 방안'에 적대감을 드러낸 바 있다. 이 방안은 완전한 핵포기 선언은 물론 핵무기와 핵물질 해외 반출을 포함한 검증까지 끝낸 후 보상을 주는 방식이다. 북한은 비핵화 단계별로 보상을 얻는 방식을 주장하고 있다.

리비아는 2003년 미국과 '선(先)핵포기 후(後)보상'에 합의한 뒤 체제보장과 경제지원을 약속받았었다. 그러나 리비아 국가원수였던 무아마르 카다피는 2011년 반대 세력에 살해되고 정권은 비참히 무너졌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이 지난 16일 담화문에서 "핵개발의 초기 단계에 있던 리비아를 핵보유국인 우리 국가와 대비하는 것 자체가 아둔하기 짝이 없다"고 미국에 반발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미국과 북한이 '트럼프 방식' 비핵화 절충점을 찾으며 북미 정상회담 불씨를 살릴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김 제1부상이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 취소 통보 이튿날인 지난 25일 "트럼프 방식이 쌍방의 우려를 다 같이 해소하고 우리의 요구 조건에도 부합하며 문제 해결의 실질적 작용을 하는 현명한 방안이 되기를 은근히 기대했다"고 언급한데서 유추할 수 있다.

아울러 체제 안전 보장은 북한의 안보 우려를 불식하고 경제 발전으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발판이 된다. 북한과 미국이 상호불가침 확약을 맺으며 수교를 한다면 북한은 해외 자본을 유치할 수도 있다. 북한에 적용되던 각종 제재도 자연스레 풀리며 경제 성장을 견인하게 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교수는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은 자주권을 인정하라는 것이고 이는 북미간 (국가대 국가로)수교하자는 의미"라며 "북미가 불가침조약을 맺고 수교를 하면 자연스럽게 대북 경제제재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이 지난 11일(현지시간) 국무부 청사에서 강경화 장관과 회담 직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빠르게 비핵화하는 과감한 조치를 취한다면 북한이 한국과 같은 수준의 번영을 달성하도록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한 대목은 의미심장하다.

문 대통령은 비핵화와 체제 안전 보장 방법을 두고 북미가 합의점을 찾을 것으로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언론 발표에서 그 이유로 "북미 양국 간 상대가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를 분명히 인식하는 가운데 지금 회담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미 정상회담 재개를 결정짓는 핵심 의제로 비핵화와 체제 안전 보장 방법론이 떠오른 가운데 북미가 조만간 열릴 실무회담에서 어떤 결론을 낼지 전세계가 더욱 집중하게 됐다.

1805 북한이 원하는 체제 보장 카드는… “경제지원 유력”



북한이 원하는 체제 보장 카드는… “경제지원 유력”

북한이 원하는 체제 보장 카드는… “경제지원 유력”

입력 2018.05.03 04:40 4면 3단 인쇄스크랩글자크기 작게글자크기 크게

미군 철수 조건 제시하지 않고

불가침 조약ㆍ협정은 신뢰 안 해

“북미 수교 통해 경제성장 도모

투자야말로 확실한 체제 보장”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판문점 평화의 집 앞마당에서 남북 정상 간 합의문인 '판문점 선언'을 발표하고 있다. 판문점=고영권 기자




북한이 대미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요구할 체제 안전 보장 카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과거 협상 과정에서 비핵화 반대급부로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 정도를 꼽아 왔다. 하지만 이번은 조금 다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19일 언론사 사장단 초청 간담회에서 “이번에는 북한이 주한미군 철수 등 미국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제시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바라는 건 과거와 같은 협정이나 조약 형식의 외교적 약속 자체가 아닐 공산이 크다고 보고 있다. 앞서 2002년 10월까지 “(북미) 불가침 조약이 핵 문제 해결의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방도”라고 주장하던 북한은 이듬해 4월 “미국과는 불가침 조약을 체결해도 전쟁을 막을 수 없다”고 입장을 바꿨다. 바로 직전 미국의 이라크 침공이 입장 변화의 결정적인 계기였다.







1994년 12월 미국ㆍ러시아ㆍ영국 등이 맺은 ‘부다페스트 양해각서’를 통해 체제 안전 보장 약속을 받고 모든 핵무기를 러시아에 넘겼던 우크라이나 사례도 북한에게는 ‘외교 약속은 믿을 수 없다’는 인식을 갖게 했으리라는 게 대체적 분석이다. 비핵화 약속을 이행한 우크라이나는 2014년 3월 협정 당사자 중 하나인 러시아에게 자국 영토인 크림 반도를 빼앗겼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한반도 정전ㆍ분단 체제에 맞춰 구조화된 주한미군 성격이 체제가 바뀌면 함께 변하는 게 당연하지만 그게 반드시 철수를 뜻하진 않는다”며 “남ㆍ북ㆍ미 3각 구도 유지를 위해 사실상 대중 견제용인 주한미군을 ‘동북아 안정자’라는 명분으로 북한이 수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북한이 비핵화 대가로 받아낸 투자금을 밑천으로 경제 성장을 도모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ㆍ27 남북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에게 한 ‘종전ㆍ불가침을 약속하면 왜 핵을 갖고 어렵게 살겠느냐’는 취지의 언급을 청와대가 공개한 건 ‘북한이 바라는 게 이런 식의 체제 안전 보장 조건’이라는 대미 메시지”라고 말했다.




실제 김 위원장 관심사는 경제 지원일 거라고 내다보는 전문가가 상당수다. 물론 전제조건은 북미 수교다.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는 지난달 26일 “북한이 원하는 체제 보장은 대동강에 트럼프 타워가 들어서고 맥도날드 가게가 평양에 문을 여는 것”이라고 했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기본적인 체제 보장 방안은 평화협정과 북미 수교”라면서도 “투자야말로 되돌릴 수 없는 보상 방안”이라고 했다.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1706 문 대통령 “김정은 원하는 건 체제 보장과 대미관계 개선” : 청와대 : 정치 : 뉴스 : 한겨레



문 대통령 “김정은 원하는 건 체제 보장과 대미관계 개선” : 청와대 : 정치 : 뉴스 : 한겨레

문 대통령 “김정은 원하는 건 체제 보장과 대미관계 개선”

등록 :2017-06-20 23:49수정 :2017-06-21 16:52


“북과 조건없는 대화 말한 적 없어”
‘북핵·미사일 동결→완전폐기’
문 대통령, 단계적 접근 제시

“김정은 허세 확인 방법은 대화
트럼프, 북핵폐기 이룬다면 최고 외교성과 될 것”

20일 미국 <시비에스>(CBS)가 방영한 문재인 대통령과의 인터뷰는 오토 웜비어 사망 사건으로 인한 북-미 관계의 경색에도 불구하고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북한과의 대화는 지속되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소신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문 대통령은 북한을 강하게 비판하면서도, 자신의 대북 정책이 트럼프 행정부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북한과 대화의 문을 열어두는 데 주력했다. 이달 말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돌출한 웜비어 사망이라는 대형 악재로 인한 불똥을 차단하면서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자신의 구상을 실현할 공간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실제 문 대통령은 ‘비이성적 지도자와 무릎을 맞대고 협상할 수 있겠느냐’는 시비에스 기자의 질문에 “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국제 사회가 유엔 안보리의 결의에 따라서 해 왔던 제재와 압박만으로는 북핵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전 청와대 녹지원에서 미국 의 프로그램인 ‘디스 모닝’(This Morning) 노라 오도널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내 생각이) 미국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배치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재와 압박 위주였던) 과거 정부의 실패에 대해 비판하고 반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북한을 압박하면서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오기를 기다리는 ‘전략적 인내’ 정책을 편 것을 트럼프 대통령이 비판했듯이, 문 대통령도 압박과 설득을 병행하면서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는 점에서 자신과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은 일치한다는 것이다.

자신이 ‘북한과 조건 없는 대화 재개를 원한다’는 워싱턴 정가의 시각에 대해선 적극 해명했다. 문 대통령은 “아무런 전제 조건 없는 그런 대화를 말한 적이 없다. 일단 북한의 핵과 미사일을 동결시키게 만들고, 2단계로 북한의 완전한 핵 폐기를 이루어야 한다”며 “(이런) 단계적 접근의 필요성은 미국 내에서도 많이 이야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비핵화’를 대화의 조건으로 내걸어선 상황 진전이 어려운 만큼, ‘핵과 미사일 동결’을 시야에 두고 대화를 시작해 북한의 행동에 상응하는 조처들을 단계적으로 취하면서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로 나아가는 점진적 프로세스를 밟아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대화를 적극 권장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이 이성적인 사람은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도 한때 김정은과 햄버거를 먹으며 대화할 의향을 밝혔고, 김정은을 만나는 것이 영광일 것이라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나보다 (대화 의지가) 더 앞서 나갔다고 믿는다”고 했다. ‘김정은이 햄버거를 좋아한다고 믿느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아마도 (그럴 것이다). 진정으로 (김정은이) 바라는 것은 북한 체제와 정권의 안전 보장일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정은이 핵무기와 관련한 허세를 이어갈 테지만, 속내는 한반도의 평화체제가 유지되고 미국과 관계가 개선되는 것을 바란다”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북한과 대화를 해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과의 대화가 트럼프 대통령의 위대한 업적으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도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가 자신의 최우선 순위에 있다고 밝힌 것을 높이 평가한다”며 “트럼프 대통령 덕분에 북핵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다”고 추어올렸다.

다만 웜비어 사건으로 인한 미국 내 ‘반북 정서’를 의식한 듯 북한 당국에 대한 비판적 입장은 명확히 했다. 문 대통령은 “웜비어가 북한에서 부당하고 잔인한 대우를 받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만큼, 북한의 그런 잔인한 행동을 강력하게 규탄한다”며 “(대화를 재개하는 데 있어) 북한이 비이성적 정권이라는 인식을 반드시 가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의 이런 발언은 미국 내 ‘반북 정서’가 심화돼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이 강성 기조로 치달을 경우, 동맹관계인 우리 정부에도 강한 제재와 압박에 동참하라는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H6s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799618.html#csidx5ef948961f09120b048f25393c4eafb

1805 RFA 북한 핵 포기에 따른 체제 보장은?



북한 핵 포기에 따른 체제 보장은?



북한 핵 포기에 따른 체제 보장은?
워싱턴-이원희 leew@rfa.org
2018-05-11

이메일


김일성·김정일 동상에 인사하는 북한 주민들의 모습.
ASSOCIATED PRESS
K051118FE-WL1.mp3





00:00/00:00


안녕하세요?

미북 정상 회담이 6월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립니다. 이 회담에서는 어떤 결론이 날지 모르지만 김정은은 어느정도 선에서 핵무기를 포기하고 대신 체제보장을 요구하고 있어 주민들을 통제는 더욱 엄격할 것이라고 얘기하는데요,

김: 남북 정상회담 하고 돌아 가서는 내부에서는 계속 자본주의 날라리 생활방식을 통제를 해야 된다, 그리고 그런 자본주의 생활 양식에 빠지지 말아야 된다는 강연 자료를 내려 보냈다고 하더라고요, 자기네 체제유지는 확실하게 하겠다는 것으로 보여요
김정은은 남북정상 회담에서도 북한체제 보장을 자주 강조했고 미북 정상회담에서는 이점을 분명히 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여성시대 북한 보안서에서 일했던 탈북여성 김시연 씨와 함께 합니다.

음악: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최근 북한과 사전 실무 접촉에서 주민 인권 문제와 관련해 상징적인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때를 같이해 지난 9일 북한이 한국계 미국인 억류자 3명을 석방해 고향으로 돌아가게 한 것도 인권 문제를 제기한 미국의 압박으로 인한 조치이겠지만 북한사정을 제일 잘아는 탈북민들은 근본적인 것은 쉽게 바꿀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김: 확실하게 북한 체제만 건드리지 않은면 핵도 포기 하겠다 하지만 정권은 건드리지 말라는 거죠 어떤 일이 있더라도 북한체제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가차없이 처형하고 그 체제는 끝까지 유지 하겠다,

아울러 세계적으로 악명 높은 것으로 알려진 정치범 수용소 역시 회담에서 의제가 되더라도 북한은 어떻게 하든 빠져 나갈 것이라고 북한을 직접 경험한 탈북자들의 얘기라고 전합니다.

김; 북한 주민들이 죄를 지어 정치범 수용소에 들어가게 된다면 아무리 외부 세계에서 인권을 떠들어도 개의치 않고 주민들에 대한 형벌은 나라에서 정한대로 실시하고 체제유지를 위해서는 주민들에 대한 인권 유린을 계속한다는 의미죠.

이런 인권문제가 조금이라도 풀리지 않는한 북한 주민들의 불안은 나날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지난 남북 정상회담 에서도 김정은이 앞으로의 북한의 체제에 대해 어떤 생각 이었는지 궁금 했다는군요

김: 남북정상회담때 저희가 제일 믿지 못했던 것은 과연 북한의 체제를 포기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했는데 그 체제를 그대로 유지 하기 위해서는 주민 통제, 인권 유린은 지금까지 해 왔던 대로 계속될 것이라고 생각되거든요. 우리는 북한이 개방적으로 나와서 주민들에 대한 통제도 좀 느슨해 지고 이럴 것을 바라는데 그렇지는 않을것 같아요 전쟁에 대한 위험이 없어지면 각 나라의 투자가 들어가 경제적으로 사는 것은 좀 나아질 수 있지만 김씨 정권 체제 하에서는 하라는 대로 하면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고 체재에 반하거나 정치적인 반대 의사를 나타내면 가차없이 처벌을 하겠죠

겉으로는 평화를 유지한다고 하면서 경제적인 생활이 나아진다고 해도 내부적으로 변함없이 주민들의 인권침해가 계속된다면 주민들은 더욱 힘들어 진다고 염려합니다. 남북회담, 북미회담으로 인해 약간의 틈새로 자유의 물결이 들어간다면 북한 주민들이 그런 속에서 계속 겨디어 낼 수 있을지 걱정하는데요,

김: 외국기업들이 투자를 한다면 경제적으로 부유해 진다고 해도, 보는 것도 시야가 더 넓어지기 때문에 그리고 사람이 배가 부르면 다른 생각도 하게 되잖아요 무언가 더 가지고 싶고 그에 따르는 자유를 누리고 싶고 그런데 이런 것을 심하게 통제를 한다면 주민들은 엄청나게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되어 주민들이 들고 일어나 김씨 정권을 없앤다던가 하는 지경까지도 이를 수 있어요 그런데 그렇게 되기까지 그 기간 동안 주민들이 감내 해야될 고통들이 커질 수 밖에 없죠

김정은 정권이 주민들에게는 이런 틈을 보이지 않고 그동안에 해온 주민들의 통제와 억압은 더욱 고도화 될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이번 미북 정상회담에서는 주민들의 인권 그리고 정치범 수용소 문제를 꼭 다루어 주기를 간절하게 염원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이런 정치적 환경이 변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고위층 탈북자는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는데요, 과거의 예를 보면 북한의 중요한 인물이 탈북을 하면 주민들이 초기에는 전혀 모르다가 외신에서 보도가 되는 상황을 보아 가면서 강연을 통해 전한다고 밝혔습니다.

김: 탈북한 초기에는 전혀 전해 지지 않아요 황장엽 선생님 때도 한동안 상황을 지켜 보다가 한 두달 후에 집중적으로 간부들하고 그리고 일반인들에게 수령을 배신하고 나라를 배반했다고 주민들에게 강연을 엄청나게 많이 했어요 그리고 강명덕 교수가 도망했을 때도 강명덕 교수 강반석의 친척이에요 장인이 함경북도 당 책임비서였어요 강상선 이라고 사위 강명덕 교수가 탈출했을때 처음에는 알리지 않고 상황을 지켜 보다가 확실하게 도주를 했고 이미 외부에 다알려져 처리할 방법이 없다고 볼때 그때는 일반인들에에 강연회를 해서 알리는 거죠

모든 국가들이 이런 상황은 언론 보도를 통해 알리는데 비해 북한은 위에서 부터 내려오는 지시에 따라 주민들에게 직접 전하고 있다는 군요

김: 방송으로는 보도 하지 않고 당 조직 여맹조직, 사로총 조직 등으로 강연자료가 내려와서 나라를 배신한 나쁜 반동놈 이라고 강연하고 그동안 위대한 수령님의 품에서 누리고 살아온 행복을 다 잊고 배신했다, 우리 주민들에게는 절대로 이렇게 행동해서는 안된다는 식으로 강연을 해요

그리고 당연히 탈출한 사람에게는 엄청난 죄목을 씌워서 완전히 매장 당할 인물로 둔갑시키는 거죠

김: 직위가 있었으면 뇌물도 받고 비리도 저지르고 했을겁니다 그런데 그것을 더 확대 시켜 주민들에게는 완전히 나쁜 사람이라는 것으로 하기위해 덤태기를 덧 씌어 가지고 정권을 배신하면 안된다 그런 나쁜짓을 하고 도망쳤다고 해서 주민들에게 주입을 시키는 거죠

김정은이 요구하는대로 앞으로 체제가 완전히 보장된다면[?] 탈북자들은 더 많이 생길 것이고 그들이 당하는 고통도 더욱 가중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김: 북한 당국이 주민들을 통제한다고 해서 마음까지는 이제는 통제하기가 걷잡기가 힘든 지경이 될 것 같은데 경제적으로 좀더 나은 부유한 환경이 조성 된다면 주민들은 당국에 더 반항을 하게되고 더 뛰쳐 나오려고 하는 상황이 많이 벌어지다 보면 인권 유린 행위도 더 강화 될것 같아요

지금도 중국에는 여전히 인신매매등으로 많은 고통을 당하는 탈북 여성들이 있는데 이런 고난속에서 다행히 탈출해 한국으로 오는 탈북민들이 있다고 전합니다.

김: 지금은 한국에 먼저 들어온 가족들이 불러서 브러커 중개인들을 통해 데려오는 사람들은 거의 별 문제 없이 오지만 그 와중에 또 잡혀 나가는 사람들도 있어요 이런 식으로 오는 사람들은 그나마 다행인것이 인신매매로 팔리지 않기 때문에 중국에서 비극적인 일을 당하지 않고 오는데 만약 아무런 준비도 없이 북한에서 어려움을 이지기 못하고 국경을 넘었던 사람들은 거의다 인신매매로 팔려 가다보면 벼라별 일을 다 겪으면서 와요, 중국에서 죽은 사람들도 많고…

차마 말로는 다 표현 할 수 없을 정도의 수치와 고통을 당하고 있지만 아무런 해결책이 없어 안타깝다는거죠.

김: 여성들은 어느집은 아버지 아들 둘 세 남자가 여자없이 사는 그런 집으로 팔려가서 노리개로 몸을 완전히 혹사 당하면서 사는 여성들도 많고….

김시연 씨는 중국에 북송되어 감방에 있었을때 한 여성이 전한 끔직한 얘기는 듣기조차 힘들었다며 같은 여성으로서 어떻게 이런일이 있을 수 있었는지 정권을 쥐고있는 지도자, 권력층들에게 그 실상을 그대로 전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김: 제가 북송되었을때 한 아가씨가 남자 형제가 둘이 있는 집에 팔려간거에요 이 두 젊은 청년이 매일밤 매달리니까 여자가 너무 고통스러원서 반항을 하면 말을 안듣는다고 팔다리를 묶고 형제가 강간을 하고 그렇게 당하다 도망친 아가씨를 보았거든요 얼굴도 곱상하게 생기고 고향이 혜산인 아가씨였어요 그런데 그렇게 고통을 당하다가 자기가 너무 힘드니까 그 형제가 술취한 사이에 집을 뛰쳐나와 파출소에 찾아 간 거에요 탈북자인데 북한으로 돌아가겠다고 스스로 나온거죠 이런 사람들이 한 두 명이 아니고 많은 북한 여성들이 중국에서 핍박을 당하고…

중국에서 뿐만이 아니고 북한 내에서도 돈이없어 굶게 되면 자연히 몸을 팔 수 밖에 없다고하네요

김: 역전에서 남자들에게 정말 적은 돈을 받고 몸을 파는 그런 일도 수도 없이 많고 북한이 아무리 종전을 선언하고 핵도 없애고 부강하고 번영한 나라를 세우겠다고 하지만 사실은 돈 없고 힘없는 사람들은 여전히 이런 삶을 살아야 되는 상황이라고 생각이 되어요

인신매매를 당하는 여성들을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인권 문제를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정상 회담에서 의제로 올려야 한다는 간절함을 전합니다.

김: 탈북자들 대부분의 부모 형제들이 북한에 있으니까 북한 인권 그게 제일 중요한 문제거든요 가족이나 형제들이 북한 당국으로 부터 핍박을 받지 않고 대한민국의 사람들 처럼 자유롭게 가고 싶은 곳도 가고 만나고 싶은 사람들도 만나고 정치적인 핍박을 받지 않고 살았으면 하는 것이 탈북자들의 간절한 마음인데 김정은이 그럴 정도로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북한을 탈출한 영국주재 북한 대사관의 태영호 전 공사도 최근 자유아시방송과의 회견에서 김정은이 원하는 북한체제 보장에 대해 이렇게 전했습니다.

태영호: 북한 당국이 북한 주민들을 엄격하게 통제한 상태에서 투자로 받아들이고 경제교류도 해야 시스템 북한의 제도가 무너지지 않지 이를 잘하지 못하고 앞으로 자본 주의와 거래하고 요인들이 북한에 점점 들어오기 시작한다면 결국은 동유럽 처럼 북한도 무너 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 당국은 지금부터 미리 주민 관리와 통제를 상당히 강화해 나갈수 밖에 없습니다.
음악:

여성시대 RFA 자유아시아 방송 이원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