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31

Peace Corps couple service at Korean mixed-race orphanage - The Korea Times

Peace Corps couple recalls service at Korean mixed-race orphanage - The Korea Times


Peace Corps couple recalls service at Korean mixed-race orphanage
Posted : 2023-11-11 





Children smile together at St. Vincent Home for Amerasian Children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sometime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

Heartbreaking, heartwarming times at St. Vincent Home for Amerasian Children in 1979-80
By Jon Dunbar


It had been over 40 years since Bow and Ann Seltzer had last set foot in Korea. They were pretty sure the orphanage where they had volunteered was long gone, but they held out hope they would find some familiar traces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of their 21-month posting here with the Peace Corps, from March 1979 to November 1980.

"Our understanding is that the orphanage closed in the mid-1980s," Ann wrote in a document for the Korea Foundation (KF) shared with The Korea Times. "We lived in the home of a Korean woman that worked at the orphanage named Elizabeth. She lived a couple of blocks away from the orphanage; it would be wonderful to see her if she is still alive. There was another Korean woman named Monica who worked at the home. She spoke very good English and she and I often went to the U.S. Embassy together to try to secure visas for the kids who had been adopted by families in the U.S."

Unfortunately, those two English names weren't enough to help KF track the women down. All the Seltzers had to go on was a photo of the muddy, unpaved street where St. Vincent Home for Amerasian Children once stood, housing children of mixed-race heritage who had been given up by their birth mothers.



A dirt road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in 1979 or 1980 /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

During their site visit, the Seltzers encountered an elderly woman who had lived in the area for 40 years, who told them that this particular area now housed a Hyundai factory. How did that make them feel, to know that the physical evidence of their service area in Korea had been erased? Maybe a bit sentimental, but also perhaps a sensation of a burden being lifted, as Korea was healing from the deep wounds of its past.

The couple also visited nearby Camp Market, a former U.S. Forces Korea installation that served primarily as a logistics depot. Much of the land has been returned to Korea in recent years, and part of it was reopened as a public park in 2020. When they found an old baseball diamond in one corner of the park, all the emotions came flooding back. This was where, over 40 years ago, they had occasionally had the opportunity to bring the Amerasian children of the orphanage on post for a game of baseball.

The Seltzers were back in Korea last month for a Peace Corps Revisit program hosted by KF. Peace Corps volunteers in Korea typically were posted as English teachers at middle schools or universities, or in health education or care, especially working on either tuberculosis control or with leprosy patients. None of the other volunteers had ever worked at an orphanage in Korea, and most were quite surprised that any of their colleagues had.



Children sit on tricycles at St. Vincent Home for Amerasian Children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

In an informal introduction during the Revisit's orientation event on Oct. 22, the Seltzers thanked Jim Mayer, the country director for Peace Corps Korea from 1979 until the end of its mission here in 1981, for the unique opportunity.

"Regarding Ann and Bow — my memory is sketchy — basically the Peace Corps had never placed volunteers at an orphanage before, to my memory/understanding)," 

Mayer, now in his early 80s but still going strong, told The Korea Times afterward. "At that time, Amerasians were not accepted in Korean society (strong prejudice against them). The Peace Corps wasn't all that keen in having two volunteers assigned to an Amerasian orphanage. I went to HQ to make my case of why I thought it was a good assignment. After some hemming and hawing, HQ signed off... and Ann and Bow did the rest. That's about all I recall."

K-48 group

Bow and Ann, who just celebrated their 45th wedding anniversary on Nov. 6, had been married just four months before moving to Korea.



Bow and Ann Seltzer pose in front of their home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I had wanted to join the Peace Corp since I was in high school," Bow said in a document shared with The Korea Times by KF. "I wanted to serve in the tropics and work with children. I was scheduled to leave for the Peace Corps in the Philippines when I met the woman I was to marry. She had also wanted to join the Peace Corps so I stepped back from the Philippine assignment, married Ann and together we applied for an assignment together! Four months after we married, we were sent to Korea with a group of other volunteers. "



Bow and Ann Seltzer pose with a child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sometime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
They were part of the K-48 group of Peace Corps volunteers, arriving in 1979. Their first six weeks here were spent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Our six weeks in Chuncheon was the best," Bow said. "Our host family was so kind and wanted to please us. The mother had practiced making eggs and toast to serve us for breakfast. The first night in their home we wanted to have a bath since we had been traveling for 20 hours. They showed us to the bathroom, just off the living room, and there was already water in the tub. We got in the tub! We later learned the correct way to bathe: scoop water from the tub and pour over the body and onto the floor. We learned that the family had to drain all the remaining water after we had got in, wash the tub and then refill it with fresh water. Oops!"

After that, he said they did most of their bathing at bathhouses, which they learned to love, especially during winter. "At first the ladies stared at me and poked at my skin, but eventually they welcomed me to their bathing world," Ann said.

Their time in Chuncheon was spent with language training, which was geared toward preparing them for work at a tuberculosis clinic, their initial assignment in Korea.

"The one Korean phrase that still leaps to my mind if we meet a Korean is 'please cough up sputum into this cup.' I always catch myself before I let it out of my mouth. It is not a useful phrase for general conversation!" Ann said.

But in their seventh or eighth week of training, before they could set foot in a TB clinic, they got the new assignment at St. Vincent.

"We were thrilled to be reassigned to the orphanage," Ann said. "These children were born into a world that did not want them and it was our honor to meet the mothers that gave up their children for a better world. At the time, Korea was a patriarchal society. A mixed-race child with a non-Korean father simply would never be accepted into Korean society."

As to what exactly was expected of the American couple, eithe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rphanage or a Peace Corps mission objective, neither Mayer nor the Seltzers could remember any specifics.

"I don't believe there was a real 'vision' in assigning them to St. Vincent," Mayer clarified. "I think it was more a matter of wanting to find a proper fit for their service. To my memory it was intended for them to simply provide help — and I imagine English language classes — not necessarily preparing the orphans for transition to a new home (abroad) but help to better prepare them for life."

They may not have set out with a list of deliverables to accomplish, but just being present could reasonably be expected have made a difference in the children's lives.

"Perhaps as a young married couple we also served as an example of some kind of normalcy in a husband/wife relationship, but maybe that didn’t matter at all," Bow said. "I just recall we did the best we could in everything we tried to accomplish as part of this large, thrown-together family that was constantly losing and gaining members."



Children sit around a picnic table at St. Vincent Home for Amerasian Children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But they provided more than just a domestic presence.

They also worked with the U.S. government in an effort to change the immigration status of these children from "non-preferred" to "preferred." The law was later changed in 1982 to make it possible for Amerasian children to attain U.S. citizenship. "One of our kids from the orphanage was at President Reagan's side when he signed the bill into law," Ann added.

Ann admitted that she and Bow weren't great at speaking Korean, despite the six weeks spent preparing in Chuncheon.



Bow Seltzer teaches an English class for children from St. Vincent Home for Amerasian Children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At the orphanage, the kids gradually learned our Koreanglish," she said. "Supposedly we spoke in banmal but even that distinction is generous. Really it was a combination of Korean and English mashed together. The kids at the orphanage quickly learned our 'language.' They understood what we said with lots of giggles and pantomime. As new children were brought to the orphanage, the kids who were there 'translated' what we were saying. Gradually the new kids learned our 'language' and eventually translated for the next group of kids. It was always sweet to watch them gently explain what the heck we were saying."



Ann Seltzer works in the kitchen at her home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sometime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
Ann said working at the orphanage gave her insights into Korean daily life.

"We all participated making kimchi (yum), scrambling for the hard rice at the bottom of the pot and serving ramen to 30 kids," she said. "I loved shopping for meat and vegetables in the market and helping to cook for a huge household."

Pigpen

"Working at St. Vincent Home for Amerasians meant doing many things through the course of a day," Bow said. "But, one day was different."

On that day, he was tasked with riding a bus to the Busan area, where he would pick up an 18-month-old girl who was being given up for adoption by her young Korean mother. The father was a Black American soldier who had returned to the U.S.

"It was a cultural fact that mixed-race kids would have a difficult life in Korea," Bow said. "This was especially true for Black/Korean children."

He recalled the handoff being extremely difficult and emotional for the mother, the child and for himself.

"The child and I boarded the bus for a six-hour ride north. I was a young white American with an inconsolable mixed-race little girl," he said.

Halfway back to Incheon, he was desperate for a pit stop.

"I carried the child with me to the front of the bus and begged the bus driver to stop," he said. "It took sign language and pantomime but eventually he understood my request and pulled over. I handed him the child and he refused to hold her. I handed her to several others who all refused to help me. Finally, I just set her in someone's lap and dashed out of the bus. I stood as close as I could to the bus thinking I could have some privacy and then I realized the bus was leaning towards me. Everyone on the bus moved to that side to watch me!"

After he finished, he returned to the bus and took the girl back to their seat at the back.

"I don't remember much more about that adventure, but I certainly grew to love that sweet child until she left the orphanage for her new life and family in the U.S.," he said. "Sadly, I don't remember her real name, but my wife and I affectionately called her Pigpen because she was happiest playing in the dirt!"



A child plays on a mound of dirt in a road somewhere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Made in Korea

In their time at the orphanage, they had many farewells with the children once they were placed with adoptive families. Children that were adopted to the U.S. would have to be flown to their new families accompanied by a guardian, usually another American headed back to the U.S.

This was a widespread practice at the time, with Americans heading stateside being offered discounts on their flight tickets in exchange for accompanying the children and looking after them on the flight. The Seltzers saw many children from their orphanage depart with American guardians headed overseas to meet their new adoptive families.

When it was the the Seltzers' time to leave Korea, they also traveled with children from other orphanages. They accompanied 12 children who were being sent to their new adoptive families waiting on the other side of the ocean.

Additionally, Ann was eight months pregnant at the time of their departure. "Somewhere we have a photo of our daughter wearing a T-shirt that says 'Made in Korea,'" she said.



Children play on a jungle gym at St. Vincent's Home for Amerasian Children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Whenever possible, the Seltzers tried to provide children being adopted overseas with as much information about their histories as they could. This information was accepted with gratitude by the adopting families in all cases except one memorable time, in which a family refused the information, not wanting their adopted child to have anything to do with the homeland that had cast them out.



Children play basketball at St. Vincent Home for Amerasian Children in Incheon's Bupyeong District in 1979 or 1980. Courtesy of Bow and Ann Seltzer
===

After over 40 years have passed, the kids at St. Vincent are still in the Seltzers' hearts — and many remain in their lives.

"These kids now are in their 50s and have children of their own," Ann said. She and her husband have even attended the weddings of some of the kids. She said one of the children grew up to become a professor at Harvard University.

"I am grateful for the opportunity to have served in Korea," Ann said.

"We are so grateful for the time we spent in Korea," Bow added.

As far as they know, nobody else from the Peace Corps was ever assigned to St. Vincent again after them.

Robert Neff. Gift-giving and Theft in Joseon: Part 1,2 - The Korea Times

Gift-giving in Joseon: Part 1 - The Korea Times
Gift-giving in Joseon: Part 1
Posted : 2023-12-30 




King Gojong in the winter of 1883/84. Robert Neff Collection
By Robert Neff

Often business is nothing more than the purchase of another person’s time. But sometimes, it takes a physical form. One of the earliest business transactions involving Americans and Koreans took place in the summer of 1883 when Kim Ok-kuin, a Korean official, purchased a number of items from James R. Morse, an American businessman who owned “The American Clock & Brass Company” in Yokohama, Japan.

In a letter to the American legation in Seoul, Morse wrote about “quite a friend of [his]” residing in Seoul, who “has been doing considerable business with me in the way of fine jewelry, furniture, etc. I have imported some very nice goods for him and other things, expensive watches, gold and platinum chains, and I have his order for some rather expensive furniture.”

The watches Kim Ok-kuin (the “quite a friend”) purchased were gifts for the royal family and were solid gold with diamonds. They were, by no means, cheap. In 1879, gold watches in Yokohama were selling between $55 and $120 – I am assuming the watches studded with diamonds that Kim bought were even more expensive.



Rose Foote, date unknown - from Mary V. Tingley Lawrence's biography. Robert Neff Collection

Watches were the ideal gift – especially in Korea as they were extremely popular and hard to come by. American naval officers visiting Korea were frequently mobbed by the common people; not so much because they were foreigners, but because of the strange things they possessed. According to one visiting naval surgeon in early 1884:

“[The Korean common people’s] curiosity is extremely for anything peculiar as photographic instruments and guns, watches or jewelry.” But, he added, “Ordinarily they pay little attention to us on shore and never follow us offensively in crowds.” I guess the crowds in Seoul were a little pushier but still respectful enough that the officers did not feel threatened.

In 1884, it seems like everyone was trying to buy a watch.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Gangwon Province, the blacksmith at the Jardine Matheson & Co.’s gold prospecting site really wanted a watch and was willing to pay good money for it. When the British representative of the company arrived for a visit, the blacksmith asked the Englishman to buy a silver watch in Shanghai and send it back to him at the camp. The Englishman agreed but apparently did not complete the request in a timely manner causing the frustrated blacksmith to implore the camp’s supervisor, a Dane, to take the “opportunity to make inquiry about” the delinquent purchase.



A beautiful old family watch from Diane Nars Collection

I am unsure if the blacksmith ever received his watch but, a few months later, the Dane sent another missive to the company’s offices in Shanghai complaining about a watch. Apparently, a local Korean magistrate initially “refused to take any gratuity for [the] services” he rendered to Jardine Matheson & Co., but this may have been because he was looking for something more valuable than money – time (in the form of a watch). According to the Dane, “I have already presented his father with my silver watch, when he asked me to sell it to him,” and I suppose he “expects the same.”

Watches were very popular gifts. On the New Year 1884, Rose Foote, the wife of the American Minister to Korea (Lucius Foote), presented Yun Chi-ho, “a solid gold watch.” Yun Chi-ho, at the time was an employee in the American legation, but he would later play a leading role in Joseon politics, even after Korea was annexed by Japan.






Theft in Joseon: Part 2
2023-12-31 12:41 | About the past

Judging by the various conflicting accounts (naval officers’ accounts and her biography by her close friend), Rose was a very interesting character. She also seems to have had a strange sense of gift giving.



Yi Jae-sun circa 1900. Time ran out for him in early March 1904 – victim to disease or by his own hand. Robert Neff Collection

====


In honor of the Korean queen’s birthday, in November 1884, Rose presented the Korean queen with an oil painting (I am assuming she didn’t paint it but had brought it with her from California), and, at the same time, presented a gold watch chain to the palace’s senior lady-in-waiting. I guess beauty and value truly are in the eye of the beholder, but I think I would have preferred lady-in-waiting’s gift. However, I cannot help but wonder what happened to the painting – has it disappeared forever with the passage of time or has it been forgotten and is gathering dust in one of the palace archives or in a museum?

The royal family also gave out watches. In mid-May 1884, a competition was held in the palace in which a gold watch was given as the grand prize. Yun Chi-ho attended but did not win. He doesn’t seem to have been bitter about not winning – perhaps because he already had a couple of gold watches.

Not all recipients of these timely prizes were Korean. In 1896, The Independent, a newspaper published in Seoul, wrote:

“The students of the Royal English School had their new uniforms on yesterday and drilled before His Majesty in the afternoon. They looked really neat and orderly and they drilled remarkably well. His Majesty was very much pleased with them and thanked Professors Hutchinson and Halifax for their creditable instructions. The English Sergeant who has been drilling these boys received a handsome gold watch from His Majesty for his service. There were a number of spectators from the different Legations and all seemed pleased with the boys. We hope this recognition from His Majesty and praises from the others will encourage the students in adopting more progressive ideas.”

Of course, receiving gifts could also be dangerous. In September 1897, Yun Chi-ho wrote in his diary:

“His Majesty [Gojong] was very gracious. He took my watch and examined it, asking me where I got it. Of course I could not tell him that it was a present of Kim O.K. He asked me if I had given my wife a nice watch. I told him that she has the watch given me by the late Queen.”

The Kim referred to was, of course, Kim Ok-kuin, whose time had ran out when he was assassinated in China in 1894 with the Korean king’s blessing. The corpse was brought back to Korea and chopped into parts at Yanghwajin ferry landing (near Hapjeong Station) as a warning.

Sometimes gifts were exchanged between monarchs and their royal families.

When Prince Henry (Albert Wilhelm Heinrich) of Prussia, visited Korea, he presented Prince Yi Jae-sun (often known to the foreigners as The Fat Prince), “the most valuable present he could find to remember him [Yi] by, an imperial gift from one royal prince to another.” The gift was an American watch which William Franklin Sands, an American advisor to the Korean government, caustically noted could be bought for a mere 10 dollars.

And, to the Korean emperor, the Prince Henry presented “a carved wooden cuckoo clock such as hands in every peasant’s house in the Harz Mountains.”

I believe Sands’ harsh criticism may have been influenced by his own personal dislike for the Prussian prince, but that story will have to wait for another time.

Robert Neff has authored and co-authored several books, including Letters from Joseon, Korea Through Western Eyes and Brief Encounters.
robertneff04@gmail.com More articles by this reporter

===

Theft in Joseon: Part 2
Posted : 2023-12-31




A Korean noble going through the streets of Seoul in the late 19th or early 20th century. Robert Neff Collection
By Robert Neff
===
They say that time is the most precious thing in life – far more valuable than money or luxury goods. People often freely (and sometimes, grudgingly) give and receive it between friends and family, but would you be willing to steal it from strangers?

In July 1884, Ensign George C. Foulk, a naval officer attached to the American legation in Seoul, had a very hard time keeping his goods safe – even within the legation’s walled compound.

On the night of July 14, Foulk returned to his room and discovered his gold watch and chain were missing. He was convinced the thief was a visiting Korean official’s servant. Just earlier that evening, Min Yong-ik had paid a brief visit to the legation while on his way home from a dinner. According to Foulk:

“As is usual with Korean officers, a large crowd of Min’s servants were with him, these men hold the officer on his horse, or carry his chair, umbrella, chamber-pot in a leather bag, smoking utensil, seals, etc. While Min was in my house all these devils were hanging about the door and windows.”




A woman’s watch that was owned by Diane Nars’s grandmother. According to Nars, the watch was meant to be pinned to a woman’s blouse with the clock face upside down so that the woman could effortlessly look down to see the time. Nurses traditionally wore watches in this manner. Courtesy of Diane Nars Collection
==

When Foulk discovered his watch was missing, he notified “Min Yong Ik and the whole government.” However, it wasn’t the only theft. Five days later, his revolver was stolen from one of his trunks, and, perhaps even more alarming, the guest house was rifled and furniture and fixtures were taken. It seems that almost every other night there was a break-in – and the thieves were stealing everything, including the gate bell.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the legation with a guard of soldiers, but Foulk declared them to be “worse than useless, as they, too, would rob as quickly as anyone else.” The handful of Americans at the legation took it upon themselves to establish their own night patrol and Foulk expressed the great desire to shoot an intruder as a fatal example for any other would-be thieves.

The loss of his service revolver was only a minor inconvenience as it “belonged to Uncle Sam, to whom [Foulk would] report its loss being in the execution of duty.” His personal goods, however, which amounted to about $125, was his own responsibility.

Perhaps the greatest loss to him was his watch. Shortly after its loss, he wrote to his parents: “I must have a watch here, so the loss falls all the harder on me, and still harder as the Lancaster watch was the very best time keeper I have ever seen.”



The hidden beauty of Gyeonghuigung – The Palace of Serene Harmony. Robert Neff Collection

A month later, he wrote:

“I have heard nothing of the fate of my watch. Its loss was a sorry one to me both as to value in money and the high opinion I had of it. I have had to buy a new watch costing $65 as I cannot get along without one in my duty.”

Although he was probably unaware of it, shortly after the loss of his watch, the Lancaster Watch Company went bankrupt after only 5 years of operation. A quick perusal of the company’s catalog reveals that the cheapest nickel plated watch sold for $24 and the highest priced was $100. We don’t know where Foulk obtained his replacement watch, but it does not challenge the imagination to assume he purchased it from Walter D. Townsend, the representative of “The American Clock & Brass Company,” who just happened to be in Korea at the time.

Foulk and the American legation were fortunate; their intruders did nothing more than steal, but other victims were not so lucky.

On the night of June 2/3, 1889, a Chinese shop in Seoul was attacked. The proprietor was stabbed to death and the shop robbed of gold and silver valuables and a large number of watches. The total value was about $7,000. Once the shop was looted, it was set on fire presumably to destroy any evidence that might lead the Chinese and Korean authorities to the perpetrators.




A Russian postcard of Seoul in the early 1900s. Courtesy of Diane Nars Collection

A newspaper in China soon reported:


=======


Gift-giving in Joseon: Part 1

2023-12-30 11:21 | About the past

“Tick, Hing & Co. are the agents of the China Merchants Steam Navigation Co. in Corea. Much sympathy is felt for them. They had many friends, owing to their universal courtesy and strict integrity. Whether Coreans or destitute Chefoo Chinamen did it is not yet known. But robbery of money and valuables seem to have been the object. Messrs. Tick, Hing & Co. were not insured, and their loss must be very serious.”

Not long afterwards, the company and the Chinese Legation in Seoul offered a reward of 1,000 dollars for the arrest of the criminals. It isn’t clear if anyone ever collected that reward.

It seems somewhat ironic, but in May 1896, Townsend, whom we mentioned earlier and was now living in Jemulpo [modern Incheon] and running his own company, was a victim of a time-stealing thief. Someone broke into Townsend’s home and stole “a clock, three revolvers and some articles of clothing.” He was convinced that the thief would eventually try and sell the goods to a foreigner so he put an ad in the local newspaper offering a reward of $20. There was a sense of optimism that the culprit would soon be tracked down and arrested.



Jongno Street in the early 20th century. Robert Neff Collection
===


Americans weren’t the only ones suffering from thefts.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Dr. Oliver Avison, a Canadian, had several valuable articles, including a gold watch, dress goods and blankets stolen from his summer house on the Han River. According to a newspaper report: “The detectives have been sent to work at the case and the Police Dept. is confident of catching the culprits before many days.”


The police may have been confident but weren’t very timely when it came to thefts and robberies.

On January 31, 1897, a Japanese man traveling from Jemulpo to Seoul was attacked near the rest stop (about half-way between the port and the capital) by a band of twenty highwaymen from Whanghai province. The merchant was badly abused by his robbers, but was saved when people at the rest stop heard his cries for help and came to his rescue. The victim lost his watch, blankets and some $30 in cash.

This area appears to have been a popular site for violent robberies. In early December 1899, another Japanese man – this time an employee for the railroad – was murdered by a fellow employee. The victim had been savagely attacked - suffering wounds to his face and back – and it was believed robbery was the motive as his watch and chain and his wages (about $30) were stolen. The murderer was quickly apprehended.



Bosingak (near Jonggak Subway Station) in 2021 – patiently waiting for the end of the pandemic. Robert Neff Collection

Even in the capital, the police were not safe from robberies. In late June 1897, a police sergeant named Kang Chong-wo was attacked on the street of Seoul by “a highwayman” and relieved of his watch, pocketbook and even his clothes. The newspaper stated the obvious – “The thieves are getting bold now a days.”

Pak Chun-son was quite the cat burglar of his time. First he broke into Myoungdong Cathedral and stole a barometer, then he went to one of the schools in Jeongdong and stole a clock. But time ran out for him in early September 1897 when he entered the German consulate and tried to steal a gun. The consulate’s employees apprehended the thief and turned him over to the police. The items were later recovered.

Gyeonghuigung, known as the “Palace of Serene Harmony” was anything but serene in the late 19th century. It was commonly known by Westerners as “The Mulberry Palace” (due to the large number of mulberry trees that had been planted on its grounds in the early 1880s) and widely believed to be dangerous – not only because of the ghosts and demons who were supposed to haunt its abandoned halls, but also because of the real threat of tigers and leopards that prowled it at night. It was a place where you could lose your life and, in early November 1897, your watch.

According to a newspaper account, a Western woman went for a walk on the palace grounds and was accosted by a Korean boy [probably a young man or laborer and not a child] who asked her the time of day. She took out her gold watch and showed the dials to the boy. He snatched the watch from her hand and made his escape through the opening of the palace wall.”

A 30 dollar reward was offered but it is not clear if the watch was ever recovered. An American resident in Jemulpo suggested: “The prevalence of this kind of sneak thieving is worthy of note. It is not a Korean [thief’s] trick to grab things from a pedestrian and it has been learned probably from foreigners.”

There were other ways to steal time. According to a newspaper account in August 1897:

“The city Government keeps two men at the bell house in [Jongno], whose duty is to strike the bell at noon and midnight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Lately these men became drunk and did not attend to their duties at the proper hours. A few nights ago one of them struck 12 o´clock at half past four in the morning. The Governor of the city discharged both of them and appointed two new men. We have been assured by the city authority that the new appointees do not touch a drop of whiskey or any other beverage of similar nature which makes one forget the weary hours of the summer days. (Or rather nights in this case). It may be so.”

While the bell’s sound was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things were changing:

In June 1898, The Korean Repository reported “the clear sweet tones of the beautiful bell in the new Roman Catholic cathedral are among the pleasant sounds heard in Seoul now.” It acknowledged that “the Korean bell at Jongno while not less sweet in tone has the great disadvantage of inferior location.”

Jongno’s bell was an iconic part of Westerners’ descriptions of life in Seoul in the 19th century, but by the late 1890s, its time of importance was seemingly coming to an end. The establishment of streetcars contributed to the abolishment of the nightly curfew and the closing of the city gates. Clocks and watches were everywhere and visages of the past were fading with each passing moment.

Fortunately, the bell was not lost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even now retains its glory. If you get a chance tonight, visit Bosingak (at Jonggak station) and listen to the hauntingly beautiful sound as this relic from Joseon rings in the New Year.

===
Robert Neff has authored and co-authored several books, including Letters from Joseon, Korea Through Western Eyes and Brief Encounters.


===




===

8 이승만의 대미외교를 통한 국가생존 전략(1895-1953)-이철순 ( Chul Soon Lee ).PDF

8 이승만의 대미외교를 통한 국가생존 전략(1895-1953)-이철순 ( Chul Soon Lee ).PDF


이승만의 대미외교를 통한 국가생존 전략(1895-1953)
 이 철 순 | 부산대학교
이 논문은 1895년부터 1953년까지의 이승만의 대미외교를 통한 국가생존 전략을 살 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록 식민지 시기에 그의 대미외교가 가시적인 성과를 보 이지 못했다 하더라도 그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 1948년 대한민국을 건국하는 데 성공 하였고 자신의 오랜 염원이었던 한미상호방위조약을 1953년에 체결함으로써 한국의 안 보를 미국으로부터 문서상으로 보증받는 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의 국가생 존전략은 결과적으로 성공적인 것이었다. 이승만이 대미외교를 수행할 때 지속적으로 사용한 방법은 미국이 1882년 조미수호조약의 거중조정 약속을 지키지 않은 배신행위 를 계속해서 지적하는 것이었다. 

주제어: 이승만, 미국, 대미외교, 국가생존 전략, 거중조정
   
I. 머리말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다른 어떤 사람보다도 미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사람이었다. 그는 1895년 배재학당에 입학하여 미국과 처음으로 접한 이후 1904년 도미하여 1910년 미 국의 프린스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그 해에 귀국하였다가, 1912년 다시 미국으로 망 명하여 1945년 해방을 맞을 때까지 33년 동안 주로 대미외교를 통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 다. 1945년 10월 귀국한 이후에는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를 미국의 도움으로 건설하려 하 였고, 한국전쟁 이후에는 미국과 한미상호방위조약을 맺어 한국의 안보를 보장받고자 하 였다. 이런 면에서 이승만은 일생 동안 미국과 대면하면서 한국의 국가생존전략을 구상하 고 실천하고자 한 정치인이었다. 
이 논문은 이승만의 대미외교를 통한 국가생존전략을 그가 1895년 배재학당에 입학하 여 처음으로 미국을 접한 이후 1953년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할 때까지의 시기 동안 살 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국가생존전략이란 구한말 시기의 독립유지 전략, 일 제식민지 시기의 독립회복 전략, 해방 이후의 건국 전략, 한국전쟁 이후 국가안보 확보 전 략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네 가지 차원의 국가생존전략은 시기별로 다음과 같이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첫째, 이승만이 미국과 처음으로 대면하고 한국이 1910년 식 민지로 전락할 때까지의 시기(1895-1910), 두 번째로 한국이 식민지로 전락한 이후 해방될 때까지의 시기(1910-1945), 세 번째로 해방된 이후 1948년 대한민국이 수립될 때까지의 시 기 (1945-1948), 네 번째로 건국 이후 한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체 결될 때까지의 시기(1948-1953)이다.  
기존의 연구 가운데 이 시기 전체를 포괄하면서 이승만의 국가생존전략을 따로 다룬 연
구는 많지 않다. 첫 번째, 두 번째 시기까지의 이승만의 독립운동만을 주로 다룬다든지, ) 세 번째 시기의 국가건설 전략만을 다룬다든지, 네 번째 시기만을 따로 나누어 살핀 연구 들 )이 있을 뿐이다. 이렇게 전체 시기를 포괄적으로 다루지 않게 되다 보니 기존의 연구들 은 이승만의 국가생존전략 가운데 일관된 흐름이 무엇인지, 그 안에서 변화는 무엇인지 찾 아내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두 번째 시기까지만 다룬 연구들 가운데 결과적으로 이승만의 대미외교를 통한 국
가생존전략, 즉 독립운동전략으로 한국이 독립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승만의 대미외교 전략은 실패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 그러나 시기를 더 넓혀서 이승만이 어려운 여건 하에서 대한민국을 성공적으로 수립한 과정, 한국전쟁 이후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 여 오늘날의 한국의 번영을 가져온 점을 고려한다면 비록 식민지 시기의 그의 대미외교를 통한 독립운동 전략이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 주지 못했다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그의 대미 외교를 통한 국가생존전략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1953년 한미상호방위 조약의 체결은 이승만 자신이 “1882년 조미통상조약 이후로 우리나라 독립역사상 가장 긴 중(緊重)한 진전”이며 “우리의 후손들이 앞으로 누대에 걸쳐 이 조약으로 말미암아 갖가지 혜택을 누릴 것이다” )라고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조약은 군사동맹 이상의 다중(多重) 가치 를 지닌 구한말 이래 한국의 가장 큰 성과였다. 
이 논문은 기존의 연구들이 이승만의 전 생애 동안의 국가생존전략을 포괄적으로 다루
지 못한 연구 시기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특히 식민지 시기 이승만의 독립운동전략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는 이 승만의 대미외교를 통한 국가생존전략의 형성, 발전, 실행을 주로 이승만의 저작, 논설, 편 지 등의 자료와 미국의 외교문서 자료를 이용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II. 배 재학당 입학 이후 한일합병 시기까지의 국가생존전략(18951910) 
이 시기의 이승만의 국가생존전략은 지극히 호의적인 그의 대미관에서 출발한다. 이승 만은 1894년 갑오경장으로 과거제가 폐지되자 1895년 배재학당에 입학하여 서양의 정치 적 자유를 배웠고(이승만 1995, 88-89), 갑신정변의 주역인 서재필을 통해 미국의 자유주 의 사상과 민주주의 제도의 세례를 받았다. 
그 후 그는 고종황제 폐위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한성감옥에서 1899년 1월부터 1904년 8 월까지 5년 7개월 동안의 긴 감옥생활을 하게 되는데 감옥 안에서 확고한 친미 사상을 정 립하였다. 그는 감옥에서 1904년 6월 집필을 완성한 『독립정신』에서 미국을 자유와 평등, 민주주의에 기초한 이상적 기독교 국가로 보고 ‘상등문명국’ 혹은 ‘극락국’이라고 찬양하 고(유영익 2002, 155-157), 미국이 택한 민주정치가 가장 좋은 제도라고 언급했다(이승만 2008a, 123-124). 그는 또한 감옥에서 미국의 역사, 정치제도 및 교육제도 등에 대해 면밀히 연구하였고, ‘미국의 교육을 일으킨 신법(美國興學新法)’을 베낄 정도로 미국을 흠모하기 도 했다(유영익 2002, 158). 이렇게 볼 때 감옥에서 형성된 이승만의 대미관은 친미를 넘어 무비판적으로 미국을 숭상하는 숭미(崇美)의 단계까지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감옥에서 풀려난 이승만은 1904년 11월 민영환의 특사 자격으로 미국의 씨어도어 루스
벨트(Theodore Roosevelt)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한국을 떠나게 되는데 그 때 선교사들은 이승만에게 미국은 영토적 야심도 없고 가장 힘이 센 나라이니 그 곳의 문물을 배우고 미 국과 친선을 도모하라는 주문을 했다(서정주 1995, 181-182). 아마 이러한 말도 이승만의 대미관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과 친선을 도모하라는 말은 미국과 의 연미(聯美)정책을 시사하고 있다. 
이승만은 러일전쟁의 평화회담이 포츠머스에서 열리기 직전인 1905년 8월 4일 미국 뉴 욕 주의 씨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의 여름 별장을 방문하였다. 1882년 맺어진 한미수호 통상조약의 제1조에 있는 거중조정(Good Offices) 조항 )에 따라 미국에 한국의 독립을 청원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이미 루즈벨트 대통령은 1905년 7월 27일 미국과 일본 사 이에 필리핀과 조선에 대한 영향력 행사를 인정하는 태프트-가쓰라 밀약(Taft-Kastsura Agreement)을 맺어 놓은 상태였다. 이승만을 만나기 불과 일주일 전이었다. 따라서 이승 만의 노력은 아무 소용이 없었다.  
태프트-가쓰라 밀약은 그 존재가 20여 년이 지난 1924년에야 알려졌는데 ) 이에 대한 이
승만의 분노는 대단한 것이었다. 그는 1945년 4월 9일 올리버(Oliver 2008, 33)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태프트-가쓰라 밀약을 겨냥하여 “한국 사람들은 오래도록 참아왔던 모욕을 잊 지 않고 있습니다. 그들은 1905년 자기들을 일본의 멍에를 지도록 몰아넣은 미국 정치가 들의 배신 행위에 분개하고 있습니다”라고 미국에 대한 분노를 표현했다. 
태프트-가쓰라 밀약의 존재는 이승만으로 하여금 두고두고 미국에 대한 배신감을 곱씹 게 만들었고, 이승만의 호의적인 대미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에 틀림없다. 왜냐하 면 이승만은 후일 이 밀약의 존재와 미국의 배신을 계속해서 언급했기 때문이다. 이런 면 에서 이승만은 결코 맹목적인 친미주의자가 될 수는 없었다. 
루즈벨트와 면담한 이승만은 바로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 남아 유학 생활을 하게 되는데 
그 때 그는 한인 교포신문 『공립신보』에 중요한 논설을 발표하여 자신의 독립유지 전략 구 상을 드러냈다. 이승만은 1908년 3월 4일자 논설에서 실력양성을 강조하면서 유리한 국제 정세에 따라 일본과의 최후의 결전도 불사할 것임을 암시하였다. 그런데 이 논설에서는 의 병의 봉기와 같은 무력투쟁에 대한 비판적 언급은 전혀 없었다. ) 이승만이 의병을 비판하 고 더욱 강력한 준비론을 역설하게 된 계기는 1908년 3월 23일에 있었던 미국인 스티븐스 저격 사건이었다(장규식 2011, 168). 
그의 이러한 태도변화는 1908년 8월 12일자 논설에서 나타났다. 그는 이 논설에서 세상
형편을 정확히 모른 채 자신의 힘을 헤아리지 않고 앞으로 나가려고만 하면 국민 장래를 크게 위태롭게 한다고 지적하고, 그 충애지심(忠愛之心)이 도리어 한국의 장래에 손해를 끼칠 것이라고 경고하고 그 예로서 의병의 봉기를 들었다. 그는 이 논설의 결론에서 “장래 에 어찌 행할 일을 낱낱이 준비하여 속힘이 든든하게 된 후에야 남과 경위를 다투어도 능 히 남을 꿇릴” 수 있다고 먼저 실력을 양성할 것을 주장했다. ) 이승만의 의병비판은 역시 같은 해 9월 2일자 논설에서도 이어졌다.  ) 이어서 이승만은 같은 해 12월 16일자 논설에서 미국과 일본이 다섯 조건을 협상하여 세간에는 미·일전쟁설이 막혔다고 하나 오히려 양 국이 시비를 준비하는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일간 협상이 비록 평화를 주장하지 만 “미·일간의 관계를 정돈시킬 것은 붓이 아니오 칼인 줄로 믿는 바”라고 미·일전쟁의 
필연성 )을 강하게 주장했다. )
이승만의 논설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그의 독립유지전략은 정세파악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행하는 의병봉기와 같은 무력투쟁보다는 장기간에 걸쳐 실력을 양성한 이후 미·일간 의 전쟁이라는 유리한 국제정세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1904년 도미하여 유학생활을 하던 이승만은 프린스턴 대학에서 주로 국제법과 외교론, 미국헌법사, 미국사 등을 수강하고 1910년 봄 학기부터 박사학위 논문 집필에 들어가 그
해 6월에 “미국에 의해 영향 받은 중립(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이라 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김학준 2000, 184-186). 그가 실제로 박사학 위 논문에서 논의한 중립은 영세중립과 같은 국제정치상의 중립보다는 상업상의 중립 또
는 교역상의 중립(neutral commerce) )이었다. 그 중에서 교역상의 중립을 의미하는 전시 중립제도가 국제법화 되어 가는 진화의 역사를 다루었는데 이러한 전시중립제도가 정착 되는 데 미국의 공헌이 컸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통상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은 무엇보 다도 전시중립국 교역의 자유를 지키려고 애썼고 그러한 미국의 노력이 미국식 국제법이 되었다는 것이다(최정수 2011, 106, 115-116). 상업상의 중립 또는 교역상의 중립을 강조하 는 이승만의 문제의식은 그가 『독립정신』에서 강조한 개방과 통상의 자유와 밀접한 관련 이 있는 것이었다(이승만 2008a, 361-369). 그런 면에서 그의 학위논문은 『독립정신』의 문 제의식이 그대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자유라는 문제의식은 뒤에서 살펴 보겠지만 1919년 윌슨에게 제출한 국제연맹 아래에서의 위임통치청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시기에 이승만은 기본적으로 친미적인 사고에 입각하여 
무력투쟁이나 의열투쟁보다는 외교와 실력양성론을 바탕으로 한 독립유지 전략을 구사하 려고 하였다. 이승만이 외교를 구사할 때 중시한 개념은 통상의 자유에 기반을 둔 교역상 의 중립이었다. 
III. 한일합병 이후 해방 시기까지의 국가생존전략(1910-1945. 8)
이 시기의 이승만의 대미외교를 통한 국가생존전략(독립회복전략)은 1910년 한일합병
이후 1919년 3·1운동 직전까지의 시기, 1919년 3·1운동 이후 임시정부의 임시대통령으로 임명된 후 탄핵되었다가 주로 하와이에 머물면서 교육과 실력양성에 몰두하던 1939년까 지의 시기, 1939년 미국 본토로 들어가 일본의 침략야욕을 선전하면서 임시정부 승인 외교 를 본격적으로 펼치기 시작하여 1945년 10월 한국으로 귀국할 때까지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1. 한일합병 이후 3·1운동 직전까지의 국가생존전략 
미국에서 학위논문을 쓰고 1910년 귀국한 이승만은 1911년 일제가 조작한 ‘105인 사
건’이 발생하자 신변의 위협을 느껴 1912년 3월 다시 도미했다가 하와이 교민의 요청으로 1913년 2월 그가 오랫동안 독립운동을 전개한 하와이로 들어가게 된다. 그는 같은 해 하와 이에서 출간한 『한국교회핍박』(2008b)과 자신이 창간한 『태평양잡지』를 통해 자신의 생각 을 피력하였다. 그의 저서와 논설을 통해 1910년대 이승만의 국가생존전략을 알아 볼 수 있다. 
『한국교회핍박』은 1905년 발생한 ‘105인 사건’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어 집필된 저서로서 이승만은 이 책에서 교회야말로 한국인이 외교를 실행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창구이며, 교회의 국제적 네트워크에서 위기에 봉착한 외교독립 운동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장규식 2011, 170-172). 이승만은 박사학위논문을 쓴 이후에도 계속해서 외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외교를 교회라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이승만이 이 책에서 1882년 체결된 한미수호통상조약의 
제1조 거중조정 조항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 동포들이 대표를 선출하여 대통령 루스벨트씨에게 보내어 도와주기를 요청한 것
은 바로 이 조항을 근거로 한 것이다 […] 그 후 일본은 각국에 선언하기를, 한일합병 이전 한국이 각국과 조약을 체결한 모든 조건은 다 취소해 주기를 청구한다고 했다. 그렇지만 미국은 한·미통상조약 조건을 취소하는 뜻으로 인정하지는 않았다(이승만 2008b, 170). 
이승만이 1905년 씨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을 만날 당시에 이 조항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사실 이 조항의 발동을 염두에 두고 만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승만은 『한 국교회핍박』에서 이 점을 다시 상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뿐 아니라 일본의 취소 요구에 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미수호조약의 조건을 취소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조약이 아직도 유 효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이승만은 이 조항의 유효성 을 미국을 압박하는 무기로서 여러 차례 사용하게 되는데, 그런 점에서 이승만의 이러한 언급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승만이 1913년 9월 창간한 『태평양잡지』에 쓴 1910년대의 논설을 통해 그의 국가생존전략 구상을 알아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이승만이 국제문제에 관하여 쓴 논설들 의 주장은 현실적으로 즉각적인 독립의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을 최대한 고려하여 내정의 자치권을 일제에 요구하여 얻어 내야 한다는 자치론을 염두에 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일종의 장기적인 준비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승만은 1914년 2월호에 쓴 “본 잡지의 주의”라는 논설에서 이 잡지의 주의는 전쟁이 
아니라 평화에 있다고 하면서, 용맹을 기르고 의리를 배양함으로써 피 흘리지 않고 될 전 쟁을 준비하자고 주장했다. 그리고 피 안 흘리는 전쟁으로 외교상, 경제상, 종교·도덕·문 명상의 싸움을 들고, 먼저 인민의 지·덕·체를 두루 발달시켜 이런 싸움을 담당할 인재를 만들어 내는 것이 급선무라고 역설했다. ) 이승만은 외교상의 전쟁을 중심에 두고 국민 교 화와 교육, 경제적 실력 양성을 결합시킨 독립노선을 구상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승만은 필리핀, 인도, 발칸반도의 약소국들이 식민
통치하에서도 문명진보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 이러한 논리를 한국에 경우에 적용해 보면, 한국이 일본의 식민통치 하에서 내치의 권한을 인정받은 후에 실력을 길러 일본을 물리치고 독립을 달성할 수 있다는 논리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승만은 일본의 식민통치하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아일랜드의 자치운
동을 중시했던 것 같다. 그는 자신이 쓴 논설 “내치자주”에서 아일랜드 자치운동(Home Rule)에 대해 호의적 태도를 보였다. 아일랜드가 수도에 국회를 별도로 세워 내치를 자주 하되, 영국 여왕을 군주로 삼고 그녀의 통치하에서 영국 국민들과 동등한 지위를 누리며 지내고 있다고 보았다. ) 그는 한국도 아일랜드와 같이 자치운동을 벌인다면 일본도 영국 과 같이 한국의 자치를 인정할 것이라고 보았다. ) 
이승만은 또한 미국의 필리핀 통치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지극히 호의적
인 미국관에 기초하여 필리핀 문제를 인식하였다. ) 그는 필리핀에 의회를 세워주고 일정 기간 미국의 보호통치를 받게 만든 후에 열강들의 약속 하에 필리핀을 영세중립국으로 만
들자는 미국 하원의원 존스(W. A. Jones) 제안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는데, ) 이 사례를 한 국에 대입한다면 한국도 영토적 야심이 없고 자유를 사랑하는 미국의 보호 하에 중립을 지키며 장기적으로 실력을 배양하여 독립을 달성해야 한다고 보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승만이 하와이에 정착한 후 쓴 저서와 논설들을 살펴 볼 때 이승만은 아일랜드가 영
국으로부터 자치를 얻어냈듯이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자치를 얻어내거나, 필리핀이 미국의 보호 아래 중립을 보장받을 수 있듯이 한국도 미국의 보호 아래 중립을 보장받은 후에 실 력을 양성하여 독립을 달성해야 한다는 준비론을 염두에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중요 한 것은 기독교 국가인 미국과 아시아에서 중요한 기독교 국가가 된 한국의 교회 네트워 크를 이용한 대미 외교 수행이었다. 
2. 1919년 3·1운동 전후로 한 시기에서 1939년까지의 국가생존전략 
이승만이 1913년에 정착한 하와이를 떠나 다시 외교무대에 설 수 있었던 계기는 1919년 1월 18일부터 6월 28일까지 제1차 세계대전 전후 처리를 위해 열린 파리강화회의였다. 미 국에 있는 대한인국민회(총회장 안창호)에서는 1918년 11월 25일, 12월 3일 두 차례의 회 의를 거쳐 이승만을 파리대표로 선정하였다(오영섭 2012b, 85-86).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1919년 1월 6일 하와이의 호놀룰루를 떠난 이승만은 1919년 1월 15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후 정한경과 함께 뉴욕과 워싱턴을 오가며 미국 정부로부터 여권을 얻고자 하였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하는 것이 불
가능하게 되자 이승만은 안창호와 협의하여 윌슨 대통령(Woodrow Wilson)(파리강화회의 도중 2월 말~3월 5일 잠시 귀국했음)을 직접 만나 한국사정을 직접 호소하기로 하였다. 이 를 위해 이승만은 정한경과 연명으로 1919년 2월 25일자로 위임통치청원서를 작성하여 3 월 3일에 윌슨 대통령과 파리강화회의에 보내게 되었다(오영섭 2012b, 87-88; 이주영 2011, 
59-60).
위임통치청원서의 내용은 대체로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정책과 강제병탄 행위는 부당하
며, 일본의 한국통치는 모든 면에서 한국인에게 최악이었고, 따라서 한국 문제의 공정한 해결을 희망한다고 호소하는 것이었다.   위임통치청원서의 핵심적인 구절은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저희들은 자유를 사랑하는 1,500만 한국인의 이름으로 각하께서 여기에 동봉한 청원서 를 평화회의에 제출하여 주시옵고, 또 이 회의에 모인 연합국 열강이 장래에 한국의 완전 한 독립을 보장한다는 조건 하에 현재와 같은 일본의 통치로부터 한국을 해방시켜 국제 연맹의 위임통치 아래에 두는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저희들의 자유 염원을 평화회 의 석상에서 지지하여 주시기를 간절히 청하는 바입니다. 이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한 반도는 모든 나라에 이익을 제공할 중립교역 지역(a zone of neutral commerce)을 탄생 시킴으로써 동양에 있어서 어떤 특정 국가의 확장을 방지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데 도움
이 될 것입니다. ) (강조는 필자)
여기에서 눈 여겨 보아야 할 것은 “한국의 완전한 독립을 보장한다는 조건 하에” 국제연
맹의 위임통치를 받는다는 것이며, 한반도가 “중립교역 지역”이 되어야 한다는 표현이다. 이것은 위에서 살펴 본 이승만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언급되거나 강조된 “중립교역”, “통상 의 자유”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중립교역 지역”이라는 언급은 당시의 국제연맹 규약 22조와도 통하는 것이었다. 국제연맹 규약 22조에 따르면 위임통치를 받는 지역은 일체의 군사 시설, 즉 요새나 육군 및 해군기지를 세울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거주민의 징 집도 금지되었다. 대신 그 지역에 대해 교역의 문호개방을 적용한다는 것이었다. 한마디 로 위임통치제도는 전시중립론과 같이 통상의 자유를 원리로 하는 제도였다(최정수 2011, 132). 이런 면에서 볼 때 이승만의 국제연맹하의 위임통치청원은 자신의 1910년 박사학위 논문의 문제의식의 연장이며, 국제연맹 규약 22조 위임통치청원의 실질적 내용인 통상의 자유에 근거한 중립론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이 위임통치제도를 만들 때 취지는 통상의 자유를 원리로 하는 세계적인 통 상망의 구축이었다. 그것이 윌슨의 꿈이었다. 미국은 당장 독립을 실현할 수 없는 식민지 에 대해서 잠정적으로 국제연맹의 보호 하에 위임통치령을 만들고 이 지역을 자유무역지 대로 설정함으로써 세계적인 통상 망에 끌어들이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최정수 2011, 133). 즉, 미국은 위임통치 지역을 통상의 자유에 기반 한 중립지역으로 만들려고 했다고 할 수 있다. 
윌슨과 교분이 깊었던 이승만은 아마도 윌슨의 구상을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이런 면
에서 이승만의 위임통치청원은 일시적인 방책이 아니라 자신의 신념에 근거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위임통치청원 자체는 3·1운동 이전에 이루어졌으나, 이승만은 3월 10일 이 미 3·1운동의 발발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후에도 위임통치청원을 계속했고, 3월 16 일에는 직접 기자회견을 자청하여 청원서를 언론에 배포하기도 하였다(오영섭 2012, 89, 101). 이승만의 위임통치청원과 관련하여 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이승만이 실질적인 위 임통치국으로 미국을 상정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 이승만은 실질적으로 미국의 위임통치 를 받는 중립적 상업지대나 완충국인 한국을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승만은 3·1운동 이후 만주접경에 수립된 ‘대한공화국 임시정부’, 서울에서 선포된 ‘한 성임시정부’, 상해 임시정부 등 세 곳에서 독립운동의 지도자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이승 만은 상해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1920년 말까지 부임하지 않고 그 대신 미국 수도 워싱턴 에 ‘구미위원부’를 설치하여 이를 근거지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유영익 2009, 2-3). 이 승만은 1919년 3·1운동이 발발하고 1920년 말까지 워싱턴에 머무른 시기에 왕성한 문서 외교활동을 벌였는데 그는 이 시기에 많은 영문 문서를 남겼다. 이 영문 문서를 통해 이승 만의 전략을 추적해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문서를 자세하게 분석한 유영익 교수(2009, 41-
43)에 따르면 이승만은 1919년 시점에 확고한 친미 외교독립운동 노선을 수립하고 있었 다. 
이승만이 생각하기에 미국이 한국을 도와야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로 한
국이 동양에서 가장 돋보이는 기독교 국가가 되었기 때문에 기독교 국가인 미국과 미국 국민은 당연히 한국을 도와야 할 도의적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1882년 체결된 조 미수호통상조약 제1조의 거중조정 조항 때문에 미국은 한국을 법적으로 도울 의무가 있 다는 것이다(유영익 2009, 39). 여기에서 특히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이 두 번째 거중조정 조 항 부분이다. 위에서 살펴 본 『한국교회핍박』에서 이미 이 조항이 자세히 언급되었고, 이 승만은 미국이 이 조약을 파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약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인식을 보 였다. 또한 이승만은 윌슨에게 위임통치청원서를 제출할 즈음에 그의 비서 튜멀티(Joseph 
Tumulty)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조항을 두 차례나 언급하였다. )
이상으로 미루어 볼 때 이승만은 1913년 시점부터 조미조약 제1조의 거중조정 조항에 주목하였고 자신이 외교무대에 다시 등장하게 된 1919년부터 이 조항을 미국과 교섭할 때 이용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이승만은 이후 미국의 대통령이나 관계기관에 한국 문제 를 호소할 때 이 조항을 계속해서 상기시키면서 미국은 법적으로 한국을 도와야만 한다고 압박했다. 이 조항이 미국을 압박하는 중요하고도 유효한 용미(用美) 전략의 수단이 되었 던 것이다.  
3·1운동이 일어난 시점의 이승만의 독립운동 노선은 미국을 이용한 외교 중심의 노선 이었음은 분명하나, 그가 무장투쟁이나 국제정세가 유리한 시기에 필요한 독립전쟁을 전 혀 무시한 것은 아니었다. 흔히 이승만은 무장투쟁을 무시하고 외교일변도 노선을 추종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가 1920년대에 독립운동가들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그렇지 않 음을 알 수 있다. 
이승만은 1922년 4월 독립운동의 선배 백순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국의 일은 한국인의 
피가 아니고서는 성공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독립정신인 것입니다(韓國事 非韓人之血 無以成功 是獨立之情神也)”라고 하여 한국의 최후독립은 무력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인식을 보여 주었다.22) 다만 이승만은 무력만을 가지고서는 독립이 불가능하며 무력과 외 교를 병행해야만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즉, 외교와 무력이 양대 방면에서 착실히 준비를 하여 독립의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독립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했다. 이때 무력은 독 립전쟁을 수행할 한국인의 무장투쟁을 위해 필요하며, 외교는 독립전쟁에 필요한 국제사 회의 승인이나 원조를 받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보았다.23)
한편 이승만은 1920년 12월 5일이 되어서야 상해 임시정부에 귀환하였지만, 다른 독립
운동세력과 화합하지 못하고 불과 6개월도 시무하지 않은 채 1921년 5월 29일 임시정부를 떠나게 된다. 그 후 그는 1921년 11월부터 1922년 2월까지 열린 워싱턴 군축회의에 한국대 표단 단장으로 참가하여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는 외교활동을 펼쳤지만 기대한 성과를 거
 
권리가 있으니, 파리행을 위한 특별 허가증을 발급하여 강화회의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해주고,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에 따라 미대통령이 거중조정(good offices)을 해 줄 것을 요청했다(유 영익 외 2009b, 72-73). 1919년 3월 3일자 편지에서는 “한국민에게 약소국의 지원자로 알려진 윌 슨을 만나는 것은 민족자결주의에 고무된 한국민을 기쁘게 하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1882년 조 미수호통상조약의 거중조정 조항에 따라 한국을 도와 달라”고 하였다(유영익 외 2009b, 74).
22) 이승만→백순(1922. 4. 28)(유영익 외 2009a,  41). 
23) 이승만→김병조(1920. 3. 6)(유영익 외 2009a, 13-14).
두지 못하였다. 이 회의에서 이승만이 주장한 내용은 그의 1910년 박사학위논문, 그 연장 으로서의 위임통치청원서의 내용과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즉 한국을 상업·무역·무력 의 중립지대로 만들었다가 최후에 독립을 시켜야 한다는 논리였다. 
워싱턴 군축회의 당시 일본 정보 당국은 한국 대표들의 주장이 “일본의 대륙 침략 교두 보인 한국을 열강의 무력 간섭에 의해 영생중립국으로 함으로써 태평양 연안국의 영구 평 화를 보증할 수 있다”라는 것이었다고 요약했다. 이승만은 미국이 먼로주의를 통해 남미 에 대한 유럽제국의 간섭을 배제하고 아메리카대륙에서 패권을 차지했듯이, 일본이 아시 아에서 일본식 먼로주의를 추구함으로써 아시아 전역을 석권하는 패권 국가를 지향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 문제는 일본의 국내 문제가 아니라 피침략국의 문제이며, 일본의 대륙 침략 교두보인 한국을 독립·문호 개방시킴으로서 전아시아를 독립·문호 개방시킬 수 있기에 ) 한국을 상업·무역·무력의 중립지대로 만들고 최후에는 독립시켜서 일본의 패권을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
이승만이 워싱턴회의에서 소기의 성과를 얻지 못하자 그가 이끌던 구미위원부는 유명 무실하게 되었고, 하와이에 있던 이승만은 1925년 3월 상해임정으로부터 탄핵되어 더 이 상 대통령직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거의 동시에 임시정부는 구미위원부에 대하여 
폐쇄령을 내렸다. )
이승만과 임정이 공식적인 관계를 복원한 것은 아니었지만 이승만이 다시 외교무대에 
나설 수 있었던 계기는 1931년의 만주사변이었다. 일본의 만주 침략을 규탄하기 위한 국제 연맹 총회가 1933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기 때문이었다. 당시 이승만과 관계가 좋았던 김구 영도하의 상해 임정은 공식적인 관계가 복원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승만을 국 제연맹총회 특명전권수석대표로 임명하였고 이에 따라 이승만은 이 회의에 참석하여 외교 활동을 벌일 수 있었다. 이승만은 1933년 만주 침략을 조사하기 위한 국제연맹의 리튼 조사단(Lytton 
Commission) 보고 회의에서, 한국을 중립국으로 독립시킴으로써 일본의 대륙 침략을 저 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승만은 “일본의 대륙 침략 정책을 저지하고 극동의 평화를 유 지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대륙 침략의 발판인 조선을 열국 군대의 보증에 의해 중립국으로 서 그 독립을 승인해야 한다”라고 주장하며, 중립국 조선은 영토 확장론을 배격하며 문호 개방을 통한 통상 균등과 세력 균형을 약속한다고 했다. ) 여기에서도 한국을 통상의 자유 를 누리는 중립국으로 상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19년 3·1운동 이후 1930년대 중반까지의 그의 국가생존전략, 즉 당시의 독립운동 전 략은 대미외교를 통한 한국의 독립이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가 무력투쟁이나 독립 전쟁을 전혀 무시했던 것은 아니었다. 다만 유리한 국제정세가 도래하였을 때 시도해야 한 다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의 박사학위논문의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서 한국이 통상의 자 유를 누리는 교역상의 중립국을 보장받은 후에 실력을 양성하고 최후의 시기에 독립전쟁 을 통해 독립을 달성하는 방식을 구상하고 있었다. 특히 한국이 교역상의 중립국이 되어 야 한다는 문제의식은 1919년의 국제연맹 하의 위임통치 청원, 워싱턴군축회의(1921/111922/02)와 1933년 제네바 국제연맹총회 참가 시 그가 행한 발언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3. 1939년 이후 1945년 8월까지의 국가생존전략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고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의 전운이 감돌자 이승만은 다시 외교무대에 서기 위해 1939년 3월 활동무대를 하와이에서 워싱턴으로 옮겼다. 그는 중경 임시정부의 주미외교위원장 겸 주차화성돈전권대표(駐箚華盛頓全權代表)의 자격으로 다 시 외교·선전 활동에 나설 수 있게 되었다. 
이 시기에 일본의 실상을 미국 정부와 국민에게 알려야 할 필요성을 절감한 이승만은 1941년 8월 1일 뉴욕에서 『일본군국주의실상』(Rhee 1987)를 출간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미국 내의 반전여론을 잠재우고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미국의 세력과 이권을 구축하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촉구하고자 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의 진가는 미국과 일 본의 전쟁을 정확하게 예측했다는 점이다. 실제로 이 책이 나온 지 4개월 만인 12월 7일 일 본이 진주만을 공습함으로써 미·일간에 전쟁이 발발하였기 때문이다.  이승만의 『일본군국주의실상』이 그의 대미외교 전략과 관련하여 중요한 이유는 그 이 전과 달리 이 책에서 미국에 대한 매서운 비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는 미
국이라는 나라 자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호의적인 인식을 보여 주었으나(Rhee 1987, 143), 이 책의 도처에서 미국 정부가 태프트-가쓰라 밀약이라는 배신 행위를 통해 한국과 맺은 
1882년의 조미수호통상조약의 거중조정 조항을 지키지 않은 점(Rhee 1987, 218-221, 227) 을 통렬하게 비판했다. 특히 이 책에서 이전과는 달리 태프트-가쓰라 밀약을 처음으로 언 급한 점이 새롭다고 할 수 있다. 이승만은 이 책에서 미국의 조약 이행의 의무를 언급함으 로써 미국의 지도자들과 일반 국민의 여론을 움직이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치 인들의 책임 있는 공식적인 반응은 없었지만, 소설가 펄벅은 이 책의 서평에서 이승만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
이승만은 이 시기에 이전부터 바라오던 미·일간의 전쟁이 발발하자 한국의 독립을 위 한 유리한 국제정세가 형성되었다고 보고 미국에 대한 맹렬한 외교공세를 펼치기 시작했
다. 이 시기의 이승만의 대미외교는 임시정부에 대한 승인 요청, 군사적 지원(광복군 지원) 요청, 얄타밀약설 제기로 압축할 수 있다. 
이승만은 임시정부의 승인을 위해 12월 7일 일본이 진주만 공습 이틀 뒤인 12월 9일 미 국무부 극동문제담당국장 혼벡(Stanley K. Hornbeck)에게 편지를 보내, “마침내 피할 수 없는 충돌이 발생했으며”, “한국인은 미국의 대의에 도움이 될 모든 기회를 모색하고 있 다”고 밝히고,  )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 김구와 외무부장 조소앙의 명의로 작성된 ‘신임 장’(1941년 6월 4일자)을 비공식적으로 제출하여 국무부가 임정을 승인할 의사가 있는지 타진했다. 이와 동시에 중경임정은 일본에 대하여 선전포고를 함으로써 연합국의 일원으 로 대일전쟁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신재홍 1992, 865-866). 1942년 1월 2일에는 이승만은 코델 헐(Cordell Hull) 국무장관의 특별보좌관이었던 알저 히스(Alger Hiss)와 극 동문제담당국장 혼벡을 방문하여 나찌 점령하의 유럽 망명정부와 마찬가지로 대한민국임 시정부를 승인해 주기를 요청하였으나 히스는 거절했다. 이승만은 이 면담에서 한국의 독 립을 미리 승안하지 않으면 일본 패망 뒤에 소련이 반드시 끼어들어 한국을 강점할 것이라 는 논리를 동원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Oliver 2008, 28). 당시 미국은 전시동맹국이 었던 소련과 관계가 악화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 이승만의 반소정책은 수용 될 수 없었다.  
이승만의 지속적인 임정 승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1942년 2월 20일 경에는 이미 전후 의 미국의 대한정책의 핵심을 이루는 구상이 정해진 상태였기 때문에 임정 승인은 이루
어질 수 없었다(고정휴 2004, 497). 그러한 구상은 국무부의 한국통이었던 랭던(William Langdon)의 보고서에서 다루어졌는데, 그것은 첫째, 전후 상당기간 한국의 독립유보와 신 탁통치 실시, 둘째, 임정을 포함한 현존 독립운동단체들에 대한 불승인 방침, 셋째, 광복군 과 조선의용대 등 중국본토의 한인무장조직에 대한 군사지원 불가였다. )
랭던의 구상 중  신탁통치 구상은 1943년 3월경부터 현실화되기 시작했고, 다음 달인 4
월 7일 『시카고 선』(Chicago Sun)지에 보도되었다(이정식 2006, 303). 이러한 한국에 대한 신탁통치 구상에 대해 이승만은 1943년 5월 15일 루즈벨트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강력히 항의했다. 그는 2300만 한국민들은 완전독립을 원하고 전후의 신탁통치에 반대하고 있다 고 하면서 지금이야말로 미국이 한국에 잘못한 것을 바로잡을 기회라고 주장했다. 
이제야말로 미국이 지난 36년 동안 한국 민중과 한국에 행한 잘못과 부정을 바로잡을 때라는 사실에 대해 각하께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합니다. 각하께서 기억하듯이 1905년에 미국은 일본이 한국을 점령하고 1910년에는 한국을 합병하도록 허락했습니다. 이것은 모 두 1882년 조미수호조약 위반입니다 […] 한국 민중은 그 이래로 세계의 정복당한 모든 인종보다도 더 그리고 오랫동안 고생해 왔습니다. )
여기에서 이승만은 미국의 조미수호조약 위반, 태프트-가쓰라 밀약에 대해 언급하면 서 미국을 비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이승만은 러시아가 ‘소비에트조선공화국
(Soviet Republic of Korea)’을 세우려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미국이 지난 40년 
전부터 그렇게 두려워했던 소련의 극동에서의 팽창에 대한 두려움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 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을 임정 승인과 결부시켰 다.32) 이승만은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소련의 한반도 진출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빨리 임정 을 승인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이승만의 소련에 대한 경계는 1945년 5월 얄타밀약설 )을 터뜨림으로써 절정에 다다랐
다. 그는 1945년 4월 25일부터 6월 26일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유엔창립총회 참가 요청이 거부되자, 회의를 앞두고 미국과 소련 간에 전후 한국 문제에 대한 모종의 밀약이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미국에게 공세를 취하기 시작했다. 그는 샌프란시스코 회의가 열 리고 있던 5월 11일부터 대대적인 선전활동에 들어갔고, 5월 15일 직접 트루먼 대통령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내 얄타밀약설에 대해 강력히 강의했다. 
한국과 관련하여 카이로선언에 반하는 얄타 비밀 협정이 있었다는 사실이 최근에 밝혀 지게 된 것은 본인에게는 물론이려니와 대통령각하께도 놀라운 일이었음에 틀림없었습 니다. 각하께서는 한국이 비밀외교의 희생물이 되었던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사실 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1905년에 한국을 일본에 팔아넘긴 첫 번째 비밀협정은 20년 후까지도 비밀에 붙여졌습 니다. 다행스럽게도 이번 얄타 협정은 연합국회의 개최 중에 현지에서 정당하게 폭로되었 습니다. 우리들은 각하께서 이번 일을 중재해 주시도록 간청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이승만은 이 편지에서 과거의 태프트-가쓰라 밀약과 같이 미국이 또 다른 밀약을 맺는 
것은 부당하며 오히려 과거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미국이 중재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39년부터 1945년 한국이 해방될 때까지의 이승만의 미국에 대한 태도는 그 이전 시 기 특히, 1919년 3·1운동을 전후로 한 시기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1939년 이전 이승만 은  미국의 잘못을 지적한다 하더라도 그 어조가 그렇게 신랄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1941 년 미·일 간의 전쟁이 발발한 이후에는 태프트-가쓰라 밀약을 처음으로 거론하면서 미국 을 강하게 몰아 부쳤다. 즉 태프트-가쓰라 밀약을 맺는 바람에 미국은 한국에 대한 거중조 정 조항을 지키지 않고 한국을 배신했다는 것이었다. 또한 1941년 이후의 이승만의 우려는 미국이 한국을 소련에게 넘겨 버릴지 모른다는 것이었다. 그는 소련의 한반도 진출로 인한 공산화의 위험성을 경고하였다. 이 시기의 이승만의 대미외교를 통한 국가생존전략은 태 프트-가쓰라 밀약을 거론하여 미국의 양심을 건드려서 미국이 다시 한국을 배신하지 않도 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IV. 해방 이후 건국시기까지의 국가생존 전략(1945. 8-1948. 8)
이승만이 1945년 10월 귀국 이후 미국과 처음으로 대립하게 되는 지점은 바로 신탁통치
였다. 이미 1943년부터 신탁통치에 반대해 온 이승만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입장은 그대로 이어졌다. 한국에 대한 미·영·중·소의 신탁통치를 공식화한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 이 1945년 12월 28일 알려지자 이승만은 신탁통치안에 대해 맹렬히 비난했다. 공산주의자 들의 탁치론은 궁극적으로 한국을 ‘소련의 위성국’으로 만드는 음모라는 것이었다(우남실 록편찬회 1976, 140-141; 동아일보 46/01/02). 
1945년 말까지는 비교적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던 이승만과 미군정은 1946년 봄 미 소공위 개막을 앞둔 시점부터 갈등관계로 접어들었다. 미군정사령관 하지(John R. Hodge) 는 미·소공위의 성공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이승만의 활동에 제약을 가하기 시작했 고(양동안 2002, 204), 미 국무부는 1946년 2월 이승만을 배제하고 미국의 정책 실행에 도 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진보적 지도자들을 물색해서 그들을 공산주의자들에게 대항하는 집단이 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지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 이러한 지시는 좌우합작 정 책으로 가시화되었고, 반소반공주의자였던 이승만은 좌우합작 정책에 처음에는 미온적으 로 대처하다가 1946년 10월 좌우합작7원칙이 발표된 후 부정적인 생각을 드러냈다. 이승만은 미·소공동위원회가 1946년 5월 무기 휴회되자 남한만의 단독정부론 구상을 1946년 6월 3일 정읍발언을 통해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 즈음에는 이미 북한에 사실상의 정권기관인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설립된 시점이었다. 이승만의 정읍발언이 보도되자 남 한의 주요정당 단체들 가운데 한민당과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제외한 좌우익 모든 정당 들이 그에 대해 비판하고 나섰다. 미군정도 그에 대해 강력히 비판했다. 그러나 이승만은 그에 개의하지 않고 호남지역 유세 중 남한단정에 관한 소신을 거듭 피력했다.  
신탁통치 문제와 남한단독정부 수립 문제로 미군정과 갈등을 빚게 되자 이승만은 상황 을 반전시키기 위해 1946년 12월 초 미국을 방문하여 4개월 동안 도미외교를 펼쳤다. 서울 을 떠나 동경에 도착한 후 이승만은 기자회견에서 미·소의 협상을 통한 통일정부의 수립 은 전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소련이 점령하고 있는 북한에는 ‘사실상의 정부’가 이 미 수립되었기 때문에 “남한도 그와 같이 되어야 한다”(우남실록편찬위원회 1976, 191)고 역설했다. 1947년 1월 27일 이승만은 측근인 올리버를 통하여, ‘한국문제의 해결방안’이라 는 자신의 구상을 담은 문건을 국무부에 전달했다. 6개항으로 구성된 이 문건에서, 이승 만은 남한에 과도정부를 수립하고, 그 과도정부가 양분된 한국이 재통일될 때까지 국정을 수행하며, 나아가 한반도의 점령과 다른 중요한 현안들에 관하여 미국과 소련을 상대로 직접 협상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미소의 점령군이 동시에 철수할 때까 지 미군은 남한에 주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만은 자신의 해결방안에 대해 국무부의 견해를 전달받고 싶어 했지만, 빈센트(John Carter Vincent) 극동국장은 올리버를 통해 그 와 같은 기대를 포기하라고 말했다. ) 국무부는 소련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문제를 해결하 려 하였기 때문에 이승만의 제의를 수용할 수 없었다. 
이승만이 도미하여 외교활동을 펼칠 때 트루먼 대통령이나 미국의 유력한 정치인들을 
만나 자신의 생각을 직접 피력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의 도미외교를 성공적인 것이라고 평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미국의 재계나 군부에서는 이승만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 다. 특히 국무부차관보 힐드링(John R. Hilldring)은 미국 재계의 초청으로 3월 10일 디트 로이트에서 행한 연설에서 한국의 전략적 위치와 한국을 끝까지 지킬 것이라는 국무부의 결의, 그리고 당시 한국이 처해 있는 곤경의 실제와 한반도에 대한 소련의 야심 등을 설명 하여 이승만에게 미국 정책의 변화를 기대하게 만들기도 했다(우남실록편찬위원회 1976, 
198-200).
이승만의 도미외교의 직접적인 성과 때문은 아니었지만 1947년에 들어서 미국의 정책은 수정되기 시작했다. 미국은 남한 현지사령관 하지와 육군부의 조기철군 주장을 수용하여, 소련과의 협력을 통한 민주적인 통일정부의 수립이라는 기존의 정책을 점진적으로 철회 하고, 한국문제를 국제연합의 문제로 만들어, 남한에서 ‘명예롭게’ 철수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미국의 종래 방침인 ‘한반도 신탁통치안’을 현실적 으로 포기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정책 전환의 신호탄이 될 수 있는 트루먼 독트린(Truman Docrine)이 1947년 3월 12일 발표되었다. 트루먼 독트린이 선포된 직후, 이승만은 트루먼(Harry S. Truman) 대통 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남한의 군정당국이 트루먼의 정책을 따르고, 그리고 민족주의자 들과 공산주의자들 사이의 연합과 협력을 추구하는 남한 군정당국이 그 노력을 포기하라 는 지시”를 내려 줄 것을 요청하면서, “남한에 ‘과도적 독립정부’를 즉각 수립하는 것이 공 산주의의 팽창을 막는 방파제가 될 것이며, 나아가 남북한의 통일을 실현시켜 줄 것”이라 고 주장했다. ) 이에 대해 트루먼과 국무부는 이승만의 요구를 묵살하고 답신도 보내지 않 았다. 
미국은 트루먼 독트린 발표 이후에도 제2차 미소공위를 재개하려는 노력을 보이기도 하 였으나 공위가 1947년 8월 사실상 결렬되자, 1947년 9월 말 국무부와 국방부는 한반도에 서 “명예롭게, 그러면서도 가능한 신속하게” 철수해야 한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게 되었 다. 신탁통치는 포기되었고 한국문제는 유엔에 이양하기로 결정되었다. 이후 유엔의 결정 에 따라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통해 남한에는 대한민국이 건국되었다. 
이승만의 남한 단독정부수립은 이승만의 단순한 권력욕의 소산이 아니라 북한의 공산 화 상황을 염두에 두고 나온 현실적인 차선책이었다. 이승만의 노력으로 미국의 정책이 바 뀐 것은 아니었지만 결과적으로 미국은 이승만의 단독정부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미국의 입장에서는 이승만 노선을 수용하는 것 외에는 다른 마땅한 현실적 대안이 없었다. 결국 이승만이 미국을 주도한 격이 되었다. 1948년 7월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 자 미군정 고문 제이콥스(Joseph E. Jacobs)는 워싱턴에 보내는 한 전문에서 “과거 미국의 행동들은 결국 이승만 우익 정치집단의 지배를 가져오는 데 기여했다” )고 언급하여 위의 사실을 인정했다.  
V. 건 국 이후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시기까지의 국가생존 전략 (1948. 8-1953. 8) 
1948년 8월 대한민국이 출범한 이후 이승만은 미국으로부터 군사적 지원을 확보하는 데 주력했다. 그는 1949년 초부터 장면 주미 대사와 조병옥 특사로 하여금 미국 정부를 상 대로 북한을 능가하는 국방군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군사원조를 요청하고 상호방위조약 체결의 가능성을 타진하였지만, 미국은 이승만의 요구를 충족시킬 생각이 없었다(이호재 
1982, 448-450). 
1949년 5월 중순 남한주둔 미군 철수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자 이승만은 미국 측에 다 음 세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즉, 미국이 한국과 북대서양조약과 유사한 태평양조약을 체 결하거나, 한·미 간에 상호방위협정을 체결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한국을 방위하겠다는 약속을 공개적으로 선언할 것을 요구했다. ) 그러나 미국은 이 요구도 역시 들어주지 않고 한국과 1950년 1월 ‘상호방위원조협정’을 맺는 것에 그쳤다.   
이승만이 기대한 미국의 군사지원이 실현되지 않은 상태에서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났
고 1951년 7월 10일부터 개성에서 휴전회담이 개시되었다. 휴전회담이 교착상태에 빠진 1952년 3월초 이승만은 트루먼에게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지 않으면 한국군은 단독으로 북진통일 하겠다는 공한을 발송하여 트루먼을 위협했다. 트루먼 대통령은 이승만의 단독 북진을 ‘공상’이라고 일축하고 이승만의 조약체결 제의를 묵살하였다(차상철 2004, 348).
1952년 선거에서 전쟁의 조기 종결을 선거공약으로 내세운 미국의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이승만은 1953년 4월 14일 편지를 보내 상호방위조 약 체결을 제의했고(한배호 1982, 7, 165), 4월 30일과 5월 12일에 각각 서한과 면담을 통 해 유엔군 사령관 클라크(Mark W. Clark) 대장에게 한국으로부터의 중공군과 미군의 동 시 철수를 조건으로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을 제의했다(한배호 1982, 165-166). 이승만의 거듭된 제의에도 불구하고 아이젠하워 대통령, 덜레스(John F. Dulles) 국무장관 및 콜린스 (Joseph L. Colliins) 육군참모총장 등 미국의 전쟁지도자들은 한결 같이 한국과의 상호방 위조약 체결에 반대했다(차상철 2002, 295). 미국은 공산군의 재침을 억제하고 휴전 후 한 국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미 간에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는 대신에 16
개 유엔 참전국들 명의로 ‘확대제재선언(the greater sanction declaration)’을 공포하고 동시 에 한국군을 20개 사단으로 증강시켜주는 것을 구상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미국은 1953년 6월 6일 이승만에게 편지를 보내 한국과 미·필리핀조약이나 ANZUS조
약에 준하는 방위조약을 체결하기 위해 협상을 개시할 용의가 있다고 통보하였다. 그러나 미국이 휴전 성립 ‘이전에’ ‘미·일 안보조약’에 준하는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해 줄 것을 기 대한 이승만은 이에 만족하지 않았다. 미국이 한국 측의 요구를 충분히 존중하지 않는다 고 판단한 이승만은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양보를 얻어내기 위해 6월 16일 반공포로 2만 7000명을 유엔군 사령관 동의 없이 독단적으로 석방하였다(유영익 2005, 158-161). 이승만 의 벼랑 끝 전술의 절정판이었다. 
이승만이 반공포로 석방이라는 극단적인 카드를 꺼내들자 미국은 국무부의 극동문제 
담당 차관보 로버트슨(Walter S. Robertson)을 대통령 특사로 서울에 급파하여 그로 하여 금 이승만의 의중을 살피면서 상호방위조약 체결 협상을 벌이도록 조처하였다. 이승만은 로버트슨을 맞아 6월 26일부터 7월 10일까지 2주간 ‘작은 휴전회담’을 벌였는데, 7월 3일 회담에서 이승만은 로버트슨에게 다음과 같은 말로 미국을 압박했다.
우리는 미국을 확고히 신임했지만 과거에 미국으로부터 두 번씩이나 배반당했습니다. 즉, 1910년에 일본이 대한제국을 병합했을 때와 1945년에 한국이 분단되었을 때입니다. 현재의 상황은 다른 하나의 배반 같은 것을 시사합니다. )
이승만은 이렇게 과거 미국이 한국에 대해 저지른 배신행위들을 들추어내어 미국 대표 의 양심을 건드리면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을 집요하게 강요했 다. 이승만은 식민지 시기, 특히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이후 미국에게 자신의 요구를 관철 시키고자 할 때 썼던 표현, 즉 미국의 배신행위에 대한 언급을 똑같이 반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로버트슨은 7월 1일 덜레스 국무장관에게 보낸 보고서(전문)에서 이승만이 ‘빈틈없고 
책략이 풍부한’ 인물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자기 나라를 국가적 자살행위로 몰고 갈 충분 한 능력이 있는 매우 감정적이며, 분별력이 없고, 비논리적인 광신자’이지만, 그의 철저한 반공주의와 불굴의 정신은 지원 받아야 마땅하다고 지적하면서, 회유와 압력이라는 양동 전략을 통하여 이승만의 협력을 얻어내는 것이 아직도 가능하다고 보고했다. )
이승만과 로버트슨과의 회담에서 보여준 이승만의 압박과 벼랑 끝 전술 덕분에 미국은 
이승만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었다. 이승만이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과정에서 보여 준 노련한 전략은 로버트슨도 인정하는 바였다. 그는 훗날 “그[이승만]는 우리[미국]를 궁 지로 몰아 넣었고, 그리고 그는 그것을 잘 알고 있었다”고 술회하였다. ) 마침내 1953년 8 월 8일 변영태 외무장관과 델레스 국무장관은 서울에서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의 상호 방위조약’에 가조인하였고 양국 국회의 비준으로 상호방위조약은 1954년 11월 17일 정식 으로 발효되었다. 이로써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배신’으로 한국 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했던 뼈아픈 과거를 결코 잊지 않았기에 한국의 독자적 방위를 위 한 군사력 증강이 절실하다고 믿었던43) 이승만의 꿈은 실현되었다. 
VI. 맺는말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승만이 1895년 배재학당에 입학한 후 1910년 한국이 식민지로 전락할 때까지의 
시기에 이승만은 기본적으로 친미적인 사고에 입각하여 무력투쟁이나 의열투쟁보다는 외 교와 실력양성을 바탕으로 한 독립유지 전략을 구사하려고 하였다. 이때 이승만이 중시한 개념은 자신의 박사학위논문에서 제시한 통상의 자유에 기반을 둔 교역상의 중립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은 1919년 당시의 위임통치청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었다. 둘째, 1910년 이후 1945년까지의 시기는 다시 세 개의 작은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1910년부터 1919년 3.1운동이 일어날 때까지 이승만은 자력에 의한 독립이 어렵다
고 보고 일본으로부터 자치를 얻어 내어 장기간 실력양성을 한 후에 독립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한국의 기독교회 네트워크를 통한 외교가 매우 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 두 번째로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이후 1939년까지의 시기의 이승만의 독립운동 전략 은 대미외교를 통한 한국의 독립이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가 무력투쟁이나 독립전 쟁을 전혀 무시했던 것은 아니었다. 다만 미일간의 전쟁과 같이 유리한 국제정세가 도래하 였을 때 독립전쟁을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의 박사학위논문의 연장선상에 서 한국이 통상의 자유를 누리는 교역상의 중립국을 보장받은 후에 실력을 양성하고 최후 의 시기에 독립전쟁을 통해 독립을 달성하는 방식을 구상했다. 이것은 그가 3·1운동 직후 에 제출한 위임통치청원의 구상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1939년 이승만 이 미국 본토로 건너와서 1945년 귀국할 때까지의 시기에 그는 미일전쟁의 발발로 유리한 
 
8에서 재인용.
43) Rhee to All diplomatic officials, 14 August 1953, Rhee Papers. 차상철(2008) 295쪽에서 재인용.
국제정세가 도래하였다고 보고 미국에 대한 맹렬한 외교공세를 펼쳤다. 그는 그 이전 시기 에 비해 미국의 정책을 신랄하게 비난하였고, 소련의 팽창 야욕을 계속해서 미국에게 경고 하였기 때문에 그의 노선은 미국의 미소협조노선과 큰 마찰을 빚었다. 
셋째, 건국의 시기에 이승만은 미국의 신탁통치노선, 좌우합작 노선에 맞서 자신의 남한 
단독정부 노선을 관철시키려고 노력하였고 마침내 이를 달성하였다. 그의 단독정부 노선 은 자신이 예전부터 꿈꿔 왔던 미국식 기독교 민주주의 국가를 차선책으로 실현한 것이었 다. 따라서 그의 단독정부노선은 단순한 권력욕의 산물이 아니라 평소의 자신의 신념의 발 로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시기에 미국은 이승만의 노선을 수용할 수밖에 없었고 그런 면에서 이승만의 국가생존전략은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대한민국을 건국한 이후 이승만은 한국의 안보를 미국으로부터 문서상으로 보증 
받으려고 애썼다. 이것은 그 이전 시기의 미국의 배반 때문에 미국을 믿을 수 없었기 때문 이었다. 이승만은 휴전 후 단독북진이라는 벼랑 끝 전술과 반공포로 석방이라는 극단적인 수단으로 미국을 압박하여 마침내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이것은 이승만 이 젊은 시절부터 꿈꿔 왔던 영토적 야심이 없는 미국과 연합하는 연미책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고, 구한말 이래 미국이 행한 배신이라는 우려에서 벗어나 한국의 안보를 문서상으로 확고하게 보증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이승만은 미국을 압박할 때 두 가지 수단을 주로 이용하였다. 하나는 미국이 기
독교 국가이기 때문에 아시아의 대표적인 기독교 국가인 한국을 도덕적으로 도울 의무가 있다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아직 파기되지 않은 것이기에 여전히 유효하며 미국은 제1조 거중조정 조항에 따라 한국을 법적으로 도울 의무가 있다 는 것이었다. 이승만은 독립운동 시기에 미국이 거중조정 조항을 지키지 않은 사실을 기회 가 있을 때마다 지적하여 미국의 양심을 압박하였고, 태프트-가쓰라 밀약의 존재가 드러 난 후에는 그 압박의 강도를 더 하였다. 
투고일 2012년 8월 30일 심사일 2012년 9월 07일   게재확정일 2012년 9월 25일
참고문헌
1. 1차 자료 
『동아일보』
『태평양잡지』
고정휴 해제. 1998. 『미국무성 한국관계문서: 1940-1944』 1-4권. 서울: 원주문화사.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편. 1965. 『구한말조약휘찬』 중권. 서울: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국회도서관. 1976. 『韓國民族運動史料(中國篇)』. 서울: 국회도서관. 金正柱 編. 1971. 『朝鮮統治史料』 8권. 東京: 韓國史料硏究所. 대한민국 공보처. 1953. 『대통령이승만박사담화집』 1집. 서울: 대한민국 공보처. 
원영희·최정태 편. 1995. 『뭉치면 살고: 1898-1994 언론인 이승만의 글모음』. 서울: 조선일보사.
유영익·송병기·이명래·오영섭 편. 2009a. 『이승만 동문 서한집』 상.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 부.
유영익·오영섭· Steve G. Jenkins· Andrew D. Calhoun 편. 2009b. 『이승만영문서한집』 제1권. 서울: 연세대학교 현대한국학연구소.
이승만. 1995. “청년 이승만 자서전.” 원영희·최정태 편. 『뭉치면 살고: 1898-1994 언론인 이승 만의 글모음』, 61-130. 서울: 조선일보사.
     . 2008a. 『풀어쓴 독립정신』. 서울: 청미디어.
     . 2008b. 『한국교회핍박』. 서울: 청미디어. 
Office of Public Information, Republic of Korea. 1954. Korea Flaming High: Excerpts from Statements by President Syngman Rhee In Crucial 1953. Seoul: Office of Public Information, R. O. K.
RG 59, Decimal File, 1945-1948, National Archives.
Rhee, Syngman. 1910. “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Ph. D. Diss., Princeton University.
     . 이종익 역. 1987. 『일본군국주의실상』. 서울: 나남. 
     . 정인섭 역. 2000. 『이승만의 전시중립론: 미국의 영향을 받은 중립』. 서울: 나남출판 
U. S. Department of State. 1963. FRUS 1943, vol. 3: The British Commonwealth, Eastern Europe, the Far East. Washington D. C.: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 1969. FRUS 1945, vol. 6: The Far East. Washington D. C.: U. S. G. P.O.
     . 1971. FRUS 1946, vol. 8: The Far East. Washington D. C.: U. S. G. P. O.
     . 1972. FRUS 1947, vol. 6: The Far East. Washington D. C.: U. S. G. P. O.
     . 1976. FRUS 1949, vol. 7: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part 2. Washington D. C.: U. S. G. P. O.
     . 1984. FRUS 1952-1954, vol. 15: Korea, part 2. Washington D. C.: U. S. G. P. O.
2. 2차 자료 고정휴. 1995. “독립운동기 이승만의 외교 노선과 제국주의.” 『역사비평』 31집, 129-187. 
     . 2004.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 2011. “이승만의 『일본내막기』 집필 배경과 내용 분석.” 송복 외. 『저서를 통해서 본 이승 만의 정치사상과 현실인식』, 179-209.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김도현. 1979. “이승만노선의 재검토.” 송건호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 301-326. 서울: 한길사. 김학준. 2000. 『한말의 서양정치학 수용 연구: 유길준·안국선·이승만을 중심으로』. 서울: 서울 대학교출판부. 
방선주. 1989. “이승만과 위임통치안.” 『재미한인의 독립운동』, 189-257. 춘천: 한림대학교 출판 부. 서정주. 1995. 『우남 이승만전』. 서울: 화산문화기획. 
송복 외. 2011. 『저서를 통해서 본 이승만의 정치사상과 현실인식』.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신재홍. 1992. “제2차 세계대전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구미외교활동.” 『수촌 박영석교수화갑 기념 한민족독립운동사논총』, 863-880. 서울: 탐구당. 양동안. 2002. “45-48년 기간에 있어서 이승만의 정치활동에 관한 연구.” 『정신문화연구』 25권 3 호, 187-227. 
오영섭. 2012. “대한민국임시정부 초기 위임통치 청원논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1집, 81-
147. 우남실록편찬회. 1976. 『우남실록: 1945-1948』. 서울: 열화당. 유영익. 2002. 『젊은 날의 이승만』.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 2005. “한미동맹 성립의 역사적 의의: 1953년 이승만 대통령의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을 중심으로.” 『한국사시민강좌』 36집, 140-180.
     .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반 이승만의 초기 행적과 사상: 1919년에 작성된 영문 자료 들을 중심으로.” 유영익 외. 『이승만과 대한민국임시정부』, 1-99.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이완범. 2007. “1950년대 이승만 대통령과 미국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신문화연구』 30권 2호, 
199-229. 이정식. 2006. “해방 전후의 이승만과 미국.” 『대한민국의 기원』, 292-325. 서울: 일조각. 이주영. 2011. 『이승만과 그의 시대』. 서울: 기파랑. 
이주천. 2008. “건국초기 미국의 대한정책과 이승만의 대응책(1948-1950).” 『서양사학연구』 19 집, 85-118. 
이호재. 1982. “이승만대통령의 대미외교.” 국제역사학회의 한국위원회 편. 『한미수교 100년 사』, 447-453. 서울: 국제역사학회의 한국위원회. 장규식. 2011. “『한국교회핍박』에 나타난 이승만의 기독교입국과 외교독립 구상.” 송복 외, 145-
178. 정병준. 2005. 『우남 이승만연구』. 서울: 역사비평사. 차상철. 2002. “이승만과 한미상호방위조약.” 유영익· 이채진 편. 『한국과 6·25전쟁』, 서울: 연 세대학교출판부.
     . 2004. “이승만과 1950년대의 한미동맹.” 문정인·김세중 편. 『1950년대 한국사의 재조 명』. 서울: 선인. 
     . 2008. “이승만의 미국인식: 형성과 전개.” 『인물사연구』 9호, 281-303.     . 2009. “이승만과 미국 그리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미국사연구』 29집, 97-121. 최정수. 2011. “이승만의 『미국의 영향 하에 성립된 중립론』과 외교독립론.” 송복 외, 101-143. 한배호. 1982. “한· 미방위조약 체결의 협상과정.” 『軍史』 4집, 163-171.
Dennet, Tyler. 1924. “President Roosevelt’s Secret Pact with Japan.” Current History 21. No.1, 15-21. 
Kim, Stephen Jin-Woo. 2001. Master of Manipulation: Syngman Rhee and the SeoulWashington Alliance, 1953.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McKenzie, F. A. 저. 신복룡 역. 1974. 『대한제국의 비극』. 서울: 탐구당. 
Oliver, Robert 저. 박일영 역. 2008. 『이승만 없었다면 대한민국 없다』. 서울: 동서문화사. 
ABSTRACT
 
Syngman Rhee’s Strategy of National Survival by U.S. 
Diplomacy (1875-1953)
 Chul Soon Lee | Pusan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examines Syngman Rhee’s strategy of national survival by U.S. diplomacy from 1875 to 1953. Even though his U.S. diplomacy could not show visible outco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succeeded in establishing  the Republic of Korea under the unfavorable conditions and securing a U.S. guarantee of Korea’s national security in writing by singing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with the U.S. in 1953. Accordingly, his strategy was successful. The method he used in conducting his US diplomacy was to persistently point out the betrayal of U.S. failure to live up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mmerce of 1882, which stipulated the duty to exert “good offices” to help the other in need. 
Keywords: Syngman Rhee, the United States, US diplomacy, strategy of national survival, good offices


2013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나무위키

2013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나무위키

2013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최근 수정 시각: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1. 저자 구성2. 발단3. 전개
3.1. 교과서 이념 갈등 심화3.2. 교과서 내용 부실 논란
4. 각계 반응 및 대응5. 채택과 취소6. 문제가 되는 내용
6.1. 선사시대 ~ 조선후기6.2. 조선말기 ~ 현대사6.3. 국제정세에 대한 서술 오류 및 왜곡6.45.16 군사정변에 대한 서술 논란6.5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서술 논란6.6공산주의에 대한 지극히 자의적인 해석6.7남북통일 노력 평가절하6.8공신력 없는 자료 출처
7. 관련 타임라인 정리
7.1. 2013년 5월7.2. 2013년 8월7.3. 2013년 9월7.4. 2013년 10월7.5. 2013년 11월7.6. 2013년 12월7.7. 2014년 1월7.8. 2014년 2월7.9. 2014년 3월
8. 관련 문서

1. 저자 구성[편집]

교수 저자진

그 외 저자진[1]
  • 장세옥 부여고등학교 교사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단원 집필
  • 김남수 대전외국어고등학교 교사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구한말), 'Ⅴ. 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 집필
  • 김도형 사단법인 통일미래사회연구소 박사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단원 집필
  • 최희원 서울세종고등학교 교사
    'Ⅰ. 우리 역사의 형상과 고대국가의 발전',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단원 집필

교과서는 일반적으로 교수진과 현직 교사진으로 구성된다. 일선 교과서 제작에서는 보통 교수들의 문체는 논문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교과서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주로 교사들이 집필하고 교수들이 내용 등의 검수 및 새로운 내용의 추가 등을 담당하는 일이 많다. 그러나 교학사 교과서는 그 특성상 논문체가 굉장히 많이 보이는 것을 볼 때, 교수들이 집필에 상당 부분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특이한 점은 보통 저자진이 교수-교사 양 체제로 구성되는 것과 달리, 통일미래사회연구소라는 사단법인 저자가 있다는 점이다.

2. 발단[편집]

2013년 5월 31일 유사역사학 단체 한국현대사학회[2]가 '교과서 문제를 생각한다: 중·고등 한국사 교과서 분석과 제언' 모임을 개최하면서 기존 역사 교과서가 좌편향돼 있다는 주장을 하였다. 문제는 한국현대사학회가 학술적 문제 제기에 그친 것이 아니라, 현재 검정 합격된 교과서의 집필진 중 하나인 것이 밝혀지면서[3] 역으로 현재 역사 교과서의 우편향 우려가 발생하였다.

이에 5월 31일 한겨레 신문에서 교학사 교과서를 약칭 뉴라이트 교과서로 명명하고 "뉴라이트 교과서에 "5.16은 혁명, 5.18은 폭동"이라 주장했단 기사를 게재하면서 논란이 되었다. 기사내용은 5·16 쿠데타를 '혁명'으로 미화하고 있다는 주장이었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져 3개월 이상 지난 9월 16일에 해당 기사의 정정보도를 보냈다. #한겨레 "교학사 교과서에 그런 내용 없다" 정정보도

교학사 측에서는 2013년 8월 당시 홈페이지 상의 공식 입장을 통해 현재 검정 중인 교과서는 공개가 불가능해[4] 빠른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밝혔으나, 5월 2차 합격 이후 각 출판사 사이트에서 검인정 교과서의 각 학교 채택 홍보차 2014년부터 도입될 새로운 검인정 교과서의 PDF 파일을 열람할 수 있었다는 데서[5], 왜 적극적인 해명이 불가능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 국사편찬위원회의 검정을 같이 통과한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세계사 교과서도 검정 통과 직후 얼마 지나지 않아 공개했음에도 말이다.

다만 한겨레 신문의 5월 31일자 보도는 교학사 교과서의 원문을 인용한 것이 아니라, 2008년부터 시판에 들어간 뉴라이트 계열 출판물을 주로 다뤄왔던 기파랑사의 근현대사 대안 교과서의 내용을 인용하였다고 하며, 새로운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서는 "이들이 쓰는 교과서의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동안 뉴라이트 학자들이 밝혀온 견해를 고려하면 집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고 검정 도중인 책의 내용을 유출한게 아닌 추측성으로 보도된 것이므로, 이 역시 객관성이 낮다. #‘뉴라이트 교과서’ 직접 본 사람은 아무도 없어

3. 전개[편집]

3.1. 교과서 이념 갈등 심화[편집]

논란이 가속화 되면서 역사학계에서는 '교학사가 극우적 성향에 친일반민족행위자와 독재자를 미화하는 교과서를 발행했다'며 규탄[6]하였으며, 민주당은 해당 교과서에 대한 검정 및 출판 철회를 강력하게 요구했다.

반면 뉴라이트 계열에서는 '좌편향 한국사 교과서를 발행한 금성출판사[7]에 비하면 이제서야 역사적인 진실을 서술한 교과서가 나왔으며, 교학사의 교과서가 그동안의 잘못된 역사를 바로 잡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지지 의사를 밝히는 등 교과서 문제는 양측의 이념 갈등으로 격화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여당인 새누리당도 김무성 의원을 중심으로 근현대 역사교실이라는 당내 모임을 2013년 9월부터 만들어 적극적으로 뉴라이트의 역사관을 옹호하는 등 교학사의 교과서 발행을 적극적으로 지원 옹호하였다. 특히 김무성 의원은 유시민 등 진보진영으로부터 친일파의 자손이라는 비난을 듣고 있어서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을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을 옹호하고 주도해온 핵심 정치인으로 꼽히고 있다.진중권의 비판 여당 내에서도 일부 이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이런 논란에 대해 교학사 측에서는 '집필진의 성향이 내용에 반영된 것은 사실이나 이는 출판사의 입장과는 무관하며, 단지 편집과 발행을 한 것 이외에는 직접적인 개입이 없었다'고 해명하였다. 때문에 '당장 교과서 발행을 철회할 계획이 없으나 교육부의 수정 지시가 내려지면 이를 받아들여 따르겠다'고 입장을 밝혔다.[8]

사태가 커져감에 따라, 일부에서는 교학사 서적에 대한 불매 운동을 주장하였고, 극단적인 경우 '교학사를 테러하자'는 등의 물의를 일으킬 만한 발언[9]을 하면서 교학사 측도 심적 압박을 받는다고 밝혔다. 또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서울디지텍고의 경우 '학교를 폭파하겠다'라는 식의 협박[10]도 잇따르고 있다.

언론의 반응도 성향에 따르는 모습을 보였는데, 교학사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동아일보[11]는 사설[12]을 통해 교학사를 두둔했다. 사설에 따르면, '교학사 교과서 발행을 문제삼는 것은 출판과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다. 국내에서 독립 운동하는 사람들에게는 호의적이면서 민족의 양성에 힘썼던 사람들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13] 좌파 진영에서 주장하는 친일교과서 논란은 마녀사냥에 가까우며 발행을 반대하는 민주당 및 야권은 저작권자에서 사과를 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3.2. 교과서 내용 부실 논란[편집]

교과서의 이념 문제 등과 별개로, 해당 교과서가 내용상의 오류와 부실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계속 되어, 교학사 이외의 다른 출판사의 역사 교과서의 내용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엉터리 교과서 하나 때문에..세금낭비 '3억' #교과서 부실 논란 왜 반복되나..검정 절차 '허술' 정확히는 여기 말고도 검정 통과 자체가 말이 안되는 곳이 적지 않단 것.

우선 사상과 신념 자체를 떠나서, 해당 교과서 내용은 사진출처[14]와 내용 출처가 부실하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 것도 상당부분 있다.#대표적인 예시 사진 출처는 민족문제연구소 해당 사이트에 교과서 논란 관련 기사를 다루고 있으며, 다음 아고라 등에서 교학사 검정 취소 서명 운동을 진행 중이다. 반대 단체측의 검토 자료에 따르면 디시인사이드와 엔하위키 미러가 출처라고 밝히기도 했다고 한다. 거기에 극우언론 뉴데일리, 종북언론 자주민보를 인용한 것은 물론, 이글루스 개인 블로그 등 출처가 좋지 않은 부분도 보인다. 또한 인터넷 자료의 출처 표기는 설령 잘못된 것일지라도 해당 페이지 주소를 전부 붙여 넣어야 하는데, 여기서는 그냥 싸이월드, 디시인사이드, 엔하위키, 야후 재팬으로 페이지 링크만 표기하였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홍근 민주당 의원실에서는 심지어 교학사의 고교 한국사 교과서로 공부한 뒤 실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면 절반은 틀릴 것이라고 비난하는 주장을 했다. 교학사 한국사교과서로 수능준비하면 절반은 틀려

4. 각계 반응 및 대응[편집]

2013년 10월 8일, SBS 현장21
2012년 9월 11일 교육부가 논란이 되고 있는 교학사뿐만 아니라 이미 검정 심사가 끝난 한국사 교과서 8종에 대해 수정 및 내용 보완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이에 대한 찬반 양론이 불거지고 있다.#교육부 역사교과서 재검토 방침에 교원단체 평가 상반 찬성 측에서는 논란이 되는 교과서의 원형을 찾을 수 없는 상태에서 특정 부분만을 확대 왜곡 하는 것은 교과서가 정치적 이념에 희생된 결과라 주장하였고, 반대 측에서는 역사적 인식에 문제가 있는 교과서를 수정 보완만 함으로서 검정을 통과시키겠다는 것은 물타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13일 해당 교과서의 대표 저자인 이명희 공주대 교수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현하여 사실 관계 오류는 수정할 수 있지만 역사관은 바꿀 수 없다고 밝혔다. 전문 내용은 우측# 이명희 교수, 한철호 교수 "새 역사교과서.. 친일파라도 공과 모두 기술해야"

또한 14일 경기도 교육청에서는 해당 교과서를 정밀하게 분석할 것을 밝혔으며,#경기도교육청도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정밀 검토' 분석결과, '교학사 교과서는 편향성과 사실오류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경기교육청 "교학사 역사교과서 편향됐다"#분석보고서
교학사 교과서 검정 승인에 대한 여론조사(리서치뷰: 2013년 9월 9일)
검정승인을 취소해야 한다
검정승인에 찬성한다
무응답
45.6%
26.1%
28.3%
이와 관련해서 여론조사가 있었는데 <리서치뷰>에 따르면, 지난 9월 9일 하루 동안 전국 유권자 1,200명을 대상으로 ‘교학사가 집필한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국사편찬위원회의 검정 승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검정승인을 취소해야 한다”는 의견은 45.6%, “검정승인에 찬성한다”는 26.1%로 ‘취소’ 의견이 19.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응답은 28.3%였다.#20~50대, 역사 왜곡 교학사 교과서 “검정승인 취소해야”

16일 오후 2시 교학사가 한국 교과서 논란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다고 전했다.#교학사, 오후 2시 한국사 교과서 논란 입장 발표

한편, 일본 극우성향의 언론사 산케이신문은 "한국의 교학사 교과서가 식민지 근대화론을 도입했다"면서 후쇼샤 교과서를 비판해 온 "한국의 반성"을 촉구한다는 내용의 칼럼을 기고했다. 한마디로, 일본의 극우 언론 신문이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칭찬하는 기사를 실은 것.「韓国版・新歴史教科書」に圧力# 여기에 우익 성향 대형 언론 신문인 요미우리 신문도 역시 거들떠서 '일제강점기와 독립 이후의 역대정권을 경제발전의 관점에서 재평가했다'고 교학사 교과서를 소개했다.#

2013년 10월 11일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학도병 이우근' 코너의 오류 사진이 일본 극우 교과서인 후쇼샤 교과서[15]의 표절이라며 관련 증거를 제시했다.[16] 참고로 후쇼샤의 '새로운 역사교과서'는 2007년 채택률 부진으로 발행 중단됐다.
교학사 교과서의 논란에 대한 의견 (리서치플러스, 2013년 10월 12일 ~ 14일)[17]
교과서로 부적절 하다
교과서로 인정해야 한다
무응답
77.0%
18.0%
5.0%

2013년 10월 12일 ~ 10월 14일, 리서치 플러스의 교학사 교과서의 논란에 대하여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교학사 취소에 대한 의견이 77.0%까지 나왔다고 한다.[18]
교학사 교과서 여론조사(여론조사전문기관 타임알앤씨, 2013년 10월 12일[19])
문제가 많다
약간 문제가 있다
문제가 없다
62.8%
28.2%
9.0%
교학사 교과서 여론조사(여론조사전문기관 타임알앤씨):취소 여부
당장 교육부 검정을 취소해야 한다
출간된 이후에 학교에서 채택하지 말아야 한다
교육부 검정을 통과한 만큼 더 이상 문제 삼지 말아야 한다
잘 모르겠다
61.4%
18.2%
12.6%
7.8%
(여론조사전문기관 타임알앤씨):세대별 '당장 교육부 검정을 취소해야 한다'는 응답
60세 이상
70% 이상
39.9%[20]

2013년 10월 12일에 시행된 여론조사에서는 전국민 1,4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ARS 임의번호걸기(RDD) 자동응답 방싱으로 조사한 이 방식은 표본오차가 95%, 신뢰수준이 ±2.6p였다고 한다. 이 조사에서 국민의 91%는 "교학사 역사교과서가 문제가 있다"고 응답했다.[21]

2013년 10월 20일, 교육부는 8종의 한국사 교과서에서 829개의 오류를 확인했고 이를 수정할 것을 지시했다. # 이 중에 문제가 되는 교학사의 교과서는 전체 오류의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교과서의 2~3배 되는 오류건수다. 반대하는 측에서는 현재 수정권고에서 교학사 교과서의 문제를 축소하기 위해 좌편향만 드러내고 우편향에 대해서는 모호한 기준을 세웠다고 반대하고 있다. 이른바 '물타기'다.#

2013년 12월 26일, 위안부 피해자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의 유족, 동학농민운동 참여자의 후손, 보도연맹 피해자 유족, 제주 4.3 사건 피해자 유족, 독립운동가 후손 등으로 구성된 9명의 명의로 법원에 교학사 교과서에 대한 배포금지 가처분 신청이 제출되었다.http://media.daum.net/issue/530/newsview?issueId=530&newsid=20131226114207789

2014년 1월 7일, 채널A와 TV조선, MBC 등은 '외압에 밀렸다', '진보진영 공격에 한국사교육 엉망진창' 등의 뉴스 보도를 쏟아냈다.##

2017년 3월 31일, 2017년 역사과 교과용도서 검정 예정자 등록에 교학사가 신청을 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는 완전히 흑역사가 되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2018~2019년에 있었던 교학사 노무현 합성 사진 수록 사건으로 인하여 궁지에 몰린 교학사 측에서 한국사 관련 사업을 완전히 중단하기로 결정하면서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뿐만 아니라 교학사 이름으로 나오는 한국사 관련 교재나 서적들도 역사의 뒤안길로 완전히 사라지게 되어버렸다.

5. 채택과 취소[편집]

채택 발표가 존재하기 전에 대구 지역 고교에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하도록 압력을 가한 것이 확인돼서 논란을 빚었다.

본래 2014년도에 교학사 교과서를 선택했다고 밝힌 학교는 다음과 같다.

이들 명단이 밝혀지자 동문뿐만 아니라 현직 교사, 심지어 재학생들의 반발도 있었다. 대표적인 경우가 수원 동우여고로 학생들이 교학사 교과서에 반대하는 대자보를 붙였다가 철거되는 일에 이어 국사 교사가 교과서 채택에 외압이 있었다는 글을 남겼다.

아래 명단에 있는 학교들은 2014년 1월 6일 오후 이후로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하기로 발표한 학교들이다. 이 시점에서는 상산고등학교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교가 교학사 교과서를 철회한 상태였다.
한민고를 제외하고 모두 채택을 철회했으며 한민고 역시 타 출판사 교과서를 사용하며 교학사 교과서로는 수업하지 않는다.

교학사는 이런 채택 반대운동에 반발하며 법적대응을 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새누리당도 마녀사냥식의 채택반대를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당사자들이 과거 금성출판사 등의 타사 역사교과서들을 '종북 좌파'라고 비난했던 전례를 생각할 때 도리어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소지가 크다.

학교별 결정이 거의 마무리된 2014년 1월 9일 집계로는 교학사 교과서를 역사 교과서로 정식 채택한 학교는 전국 1794개 고등학교 중 단 한 군데도 없어서 교학사와 이 교과서를 옹호해온 김무성 의원을 비롯한 새누리당과 교총, 보수 언론사와 보수계열 시민단체 등의 참패로 끝나자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등 여러 여권 정치인들과 보수 언론 등에서는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부 장관도 교육부 내의 교과서 편수조직을 강화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런데 그 가운데에서 부산 부성고등학교가 1월 27일경 학교 운영위원회를 열어 교학사 교과서를 단독 채택했다. 이 역시 내부 학생들과 교사들은 반발이 컸었다. 그리고 문제의 그 학교는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떨치기는 했지만 교학사 채택했단 이유로 친일 이미지가 제대로 씌워지게 되어 이듬해에 한얼고등학교로 교명을 바꾸면서 애국보수 학교임을 강조하였지만 결과는 실패. 2017년 현재도 지원자수가 계속 급감하여 모집 정원을 아무리 감축해도 여전히 정원미달에 처한 그런 현실이다. 부산에서는 이전부터 온갖 사건 사고로 인하여 이미지가 안 좋기로 유명한 특수지 고등학교(평준화 미적용 학교)였는데, 주변에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훨씬 좋은 선택지들이 즐비한 상황에서 이미지 회복용으로 쓰려다 실패한 것.

6. 문제가 되는 내용[편집]

주로 역사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와 한국학연구소 등에서 배포한 자료에서 발췌했다.

6.1. 선사시대 ~ 조선후기[편집]

이러한 획기적 변화(농경의 시작)는 서아시아 지방을 비롯하여 아시아 여러지역에서 기원전 8000년 경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세계 각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 기원전 8000년에 농경이 시작된 것은 메소포타미아 문명 한정이었다.
한반도와 중국동북지방에 거주하던 여러집단이 공동체로 조직화 되고 황허문명의 확장에 따른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기원전 1천년 동안 한반도와 그 주변지역에서 민족의 원형이 성립되기 시작하였다.
→ 한민족 형성과정의 중간에 황허문명의 확장을 집어넣어서 의미를 뒤틀어버렸다. 저 내용대로라면 한민족은 황허문명권에 속한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이건 청동기 발달사만으로도 납득불가능한 소리가 된다. 한민족이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는 더 연구할 필요가 있지만, 보통 정설로는 '신석기 시대 시작부터 한반도 원주민과 이북 이민족의 유입으로 형성'[25]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중국사의 입장에서보면, 황하문명이란 학설은 이미 1970년대부터 고고학적 성과로 인해 비판받은 학설이다. 장강이나 요하 일대의 신석기 유적이나 유물들이 발견되면서 황하와는 다른 수준 높은 문명이 있었던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황하 지역에서는 움집 단계의 가옥이 발견되는 반면에 장강 지역에서는 아예 건축을 하여 지상 가옥이 발견되는 사례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황하만이 인류가 발전하던 곳이 아니고 다양한 지역에서 인류가 문명을 구축해나가고 있었음이 밝혀져서 중국 학계에서는 황하가 아닌 중국 문명으로 표기하는 추세이며 황하 문명이라 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삼국유사(1281년)
→ 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는 1281~1283년 사이에 완성되었을 것이란 추정만 가능할 뿐, 1281년으로 단정 지을수는 알 수 없다.
부여는 산과 언덕 넓은 강물이 많아서, 한반도 지역에서는 가장 넓고 평탄하였으며
→ 22페이지의 서술. 부여의 위치가 넓고 평탄한 지역인 것은 맞지만 그곳은 한반도가 아니라 만주이다. 충청남도에 있는 곳을 얘기하는 거라면 맞긴 하다. 사실 이것도 틀리다. 더구나 산과 언덕이 많은데 넓고 평탄하다는 서술은 단순한 사실 오류마저 포함하고 있다. 최종 수정본이라고 맨 위에 제시된 링크에서는 '한반도 지역에서는'이라는 표현이 삭제 되며 수정.
그 후 고구려는 활발한 정복사업을 벌였고, 한군현을 공략하여 313년 경 낙랑군과 대방군을 정복하고, 요동지방으로 진출하였다. 옥저를 정복하여 공물을 받는 등 동쪽으로도 정복사업을 벌여나갔다.
→ 태조왕 시기에 옥저와 동예를 정복하였고, 미천왕 시기에 낙랑과 대방을 정복한다. 여기에는 거의 200년의 시간차이가 있고 옥저의 정복이 더 이르다.
"고구려 건국 초기에 연맹 국가 형성에 참여한 5개의 부족으로..." "거서간 - 혁거세 - 족장"
→ 고구려의 5부와 신라의 6부는 부족이 아니다. 이미 40년전의 학설인 폐기된 이론을 그대로 싣고 있다.
(안시성 전투) "양만춘 장군을 중심으로 군민이 합심하여"
→ 양만춘이란 이름은 후대(조선시대)의 첨부이며, 당시 안시성 성주의 진짜 이름은 알 수 없다. 안시성주문서의 4.1문단 참조.
신라하대에는 최치원을 포함한 6두품 출신의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골품제를 비판하고 중앙집권적인 유교 정치 이념의 실현을 주장하는 새로운 사상이 대두되었다.
→ 소수설이다. 최치원의 골품제 비판 의식부터 한계가 있었으며, 새로운 유교정치는 신라시대에 대두된 적이 없다. 유교정치는 조선시대에서야 이뤄졌다는 것을 생각해보자(다만 정치체계의 정비는 유교의 영향이 있음이 분명하다). 애초에 신라 하대의 6두품은 중앙집권적인 것이 아니라 호족과 연결되면서 지방분권적 성향이 강하게 등장하며, 이걸 순수하게 유교의 정치 이념화로 본다고 하면 학계의 대세는 신문왕 시기이므로 신라하대라고 볼 수 없다.
(고려시대의) 이부=관리의 인사, 병부=군사
→ 고려시대의 이부가 담당한 인사는 문관뿐이다. 무관의 인사는 병부가 담당했다.
(서경반란에) 차별에 불만을 품은 서북 지방의 농민이 호응하였으나
→ 묘청의 서경반란 장면인데, 고려시대에 서북지방민의 차별은 드러나지 않는다. 오히려 남북조시대 이후 폐허가 된 평양을 재건한 것도 고려왕조이다. 조선시대의 서북지방 차별을 고려에도 획일적으로 적용한 구문.
최승로의 상소문을 인용하여 중국중심의 천하관이라고 설명
→ 최승로 시기는 중국중심의 사대적 천하관이 유입되던 시기가 아니다. 오히려 수능공무원 시험한국사능력검정시험 등을 준비하면서 시무 28조 사료를 공부한 사람들이면 알겠지만 최승로는 유교의 도리는 본받더라도 의복과 같은 풍속은 고려의 것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게 각종 시험에 더 자주 나온다.
일부 조창에서는 전쟁과 재난에 대비하여 곡식을 비축하였다.
→ 근거가 없다.
향리 출신으로 중앙의 권력자와 줄이 닿지 않았던 이규보는
→ 이규보의 부친은 이미 호부 낭중을 역임한 중앙 관료였고, 이규보 본인도 최씨정권의 비호를 강하게 받아 순탄한 관직생활을 했다. 이규보가 권력자와 줄이 닿지 않았다면 그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이 최우의 책임하에 간행된 것을 설명할 수 없다.
향도는 종교행사 외에도 제방을 쌓는 등 마을 공동 작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 향도의 역할을 지나치게 과대 평가한 내용. 향도가 제방을 축조한 흔적은 없다.
고려는 금과 형제의 맹약을 맺었다(1125년)
→ 고려는 금과 형제의 맹약을 맺은 적이 없다. 처음 금이 형제의 맹약을 맺고 했을 때는 묵살하였고, 이후에 이자겸이 맺은 것은 사대의 맹약이다. 그리고 형제의 맹약을 맺자는 제의가 온 것은 1117년이고, 사대관계가 형성된 것은 1126년.
조선초기 역사 서술에서 편년체를 왕권강화적 입장, 기전체를 신권 강화적 입장이라고 서술.
→ 역사 서술 방법은 역사서 편찬자의 의도와 아무 상관 없다. 오히려 본기와 세가를 사용할 수 있는 기전체가 왕의 활약을 대놓고 언급할 수 있기 때문에 세종은 오히려 고려사를 편찬할 때 기전체 사용을 선호했고, 신하들은 고려사절요에서 편년체 사용을 선호했다.
강원도에는 대동법을 반대하는 이가 없다고 서술하다가 다른 곳에서는 대토지를 소유한 토호들이 충청도와 강원도에 존재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반발로 대동법이 잘 시행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 이랬다가 저랬다가 모순되는 서술을 하고 있다.
이양법은 모내기할 때 줄을 맞추어서 심기 때문에 벼와 잡초가 쉽게 구별이 되어서 김매기를 쉽게 할 수 있었다
→ 줄을 맞추어서 모내기를 하는 것은 일제강점기에 처음 시작되었다. 직파법과 비교할 때 이앙법이 김매기가 더 수월하다는 것은 맞는 얘기이긴 하나... 물론 역사 학습만화 등에도 줄맞춰서 모내기를 심는다는 식의 잘못된 묘사가 자주 등장한다.

6.2. 조선말기 ~ 현대사[편집]

당시 명성황후는 조선 조정에서 시행되는 모든 정책에 관여하였고 더불어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다.
→ 명성황후의 권력이나 영향력이 얼마나 되었는지는 의문이지만, 결정권은 '공식적 권한'을 의미하므로 말이 안된다. 당시 조선에서 정책의 최종 결정권은 원칙적으로 왕 혼자만 갖는다.
양전사업. 당시 무분별한 거래로 소유권 관련 분쟁이 빈번하였는데... 지계를 발행하여 분쟁 조정 비용과 경제적 거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소지소유자에 대해 임시적 한시적 주인이라는 뜻의 시주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기본적으로 대한제국의 모든 토지는 황제 소유였다. 따라서 사적 소유권을 인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주라는 개념을 만들었던 것이다.
→ 중대오류, 대놓고 중대 오류라고 지적되었다. 왕토 사상은 명목상이고, 실제로는 토지사유제가 한참 전에 진행되었다는 것은 오래전에 확립된 이론이다. 더구나 이 부분 앞에서는 지계의 발급이 공식적인 소유권의 인정이므로 지주제를 강화시켰다는 내용도 있다. 왕토사상과 관련된 부분은 식민사관에서 정체성론을 언급할 때는 반드시 나오는 부분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법적으로 보면 경국대전에서 토지매매의 절차나 소송처리 등을 명기했고 또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세종 6년에 지방에 소재한 토지의 매매를 가능하게 했고 그 뒤로도 실록에 토지매매와 관련한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근대국가의 바탕에는 자본주의 경제가 존재하였고 정치적으로는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분립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 저건 현대 국가이다. 저 기준이면 황제국인 프랑스[26]프로이센~독일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오스만 제국, 러시아 등은 중세국가이다. 근대국가 성립 기준에서 자유민주주의의 확립은 되면 좋은거지 안된다고 근대국가로 안 부르지는 않는다. 이건 황제권을 언급한 대한제국을 까기 위해서 써먹은 표현이다. 대놓고 이 단락 제목이 근대국가 수립운동과 좌절이다.
식민지 국가에서 독립으로 가는 길을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길과 레닌의 반제 민족 해방 투쟁의 길로 언급.
→ 민족자결주의는 원래 "주의"가 아니며, 민족주의의 필수요소에 가깝다. 더욱이 레닌의 반제 민족 해방 투쟁과 같은 독립운동의 방법은 아니다. 더구나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는 베르사유 체제에 의해서 패전국의 식민지에게만 적용이 되었는데 당시 승전국이었던 일본 제국의 식민지인 조선이 독립을 할 수 있는 길 가운데 하나로 묘사하고 있다. 이건 미국 대통령 윌슨과 소련의 레닌이라는 이후의 냉전체제의 구도에 맞춰서 미국식 독립운동방법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허구적 방법론을 집어넣은 것이다. 실제로 독립운동의 방법론이라면 국제정세에 따른 외교독립론, 무장독립투쟁론, 사회주의혁명론 등으로 분류해야 한다[27].
일본은 식민지를 자신들의 체제와 문화에 일치시키는 '동화주의'를 실시하였고, 나아가 '융합주의'를 적용하였다.
→ 일반적인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저걸 기만적 문화통치와 민족말살정책이라고 부른다. 동화주의와 융합주의라고 하면 가르치는 교사도 알아듣기 어렵고, 일본의 의도를 비교적 온건하게 표현하게 된다. 물론 중립적으로는 "(강제)동화정책"까지는 받아들일 수 있으나, "융합주의"라는 말은 내선일체의 섬뜩한 뜻을 미화한 것이나 다름 없다.
연표를 넣으면서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과 한인애국단의 활동은 제외하고, 대신에 18개 밖에 없는 항목중에 물산장려운동과 진단학회 조직을 포함.
일제강점기에 학도병제와 지원병제, 징병령으로 30만을 징집 하였고, 강제 징용령을 통해서 70만을 징용하였다.
→ 일본측 자료보다 적은 숫자로 축소 언급했다.
미주지역에서는 장인환 전명운 의거를 계기로 대한인 국민회가 만들어져 신한민보를 발간하고 해외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 터무니 없이 과장된 서술로, 이 서술대로면 대한인국민회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나 만주지역에서 무장독립운동을 하던 단체보다 더 주도적인 단체가 된다. 미국내에서의 활동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승만을 띄워주기 위한 목적이다.
→ 반론 : 국민회를 강조한다고 이승만을 띄워주기 위한거라고 비난하는 것만 봐도 이 사람들이야말로 얼마나 역사에 무지한 사람들인지 잘 알 수 있다. 대한인국민회는 안창호가 주도하던 단체다. 결국 이 사람들의 비난 논리대로라면 안창호를 띄워주기 위한 목적으로 터무니없이 국민회를 과장한 것이다. 그리고 이승만은 장인환, 전명운의 스티븐스 저격사건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었다.
스티븐슨은 1904년 우리나라의 외교고문으로 임명된 인물로 일제의 식민지배를 찬양하던 인물이었다.
→ 스티븐슨이 제1차 한일협약(한일의정서)에 의해서 일본의 의도로 임명된 인물라는 것이 제외되었고, 당시는 대한제국 시기였으므로 "우리나라"라는 애매한 표현도 문제가 된다. 스티븐슨이 사망하던 시기는 일제의 식민지배가 시행되기 전이므로 식민지배를 찬양한다는 대목도 잘못되었다.
3.1운동은 국외로도 확산되었다. 만주와 연해주는 물론, 미주지역의 동포들도 필라델피아에서 독립선언식을 갖고 시가행진을 벌이며 일본의 무자비한 식민통치를 국외에 알렸다.
→ 만주와 연해주의 독립투쟁이 축소되고, 상당한 분량을 미국 필라델피아의 독립선언식에 투자하였다. 사진까지 넣어서 언급한 이승만 등이 참여하였다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반론 : 필라델피아 선언은 거짓말도 아니고 주요 독립운동 역사가 맞으므로 문제될 것 없다.
한인대표자 회의에 참여하였던 사람들의 사진으로 정한경, 서재필이승만 등의 참여하였다.
→ 이건 한인 대표자 회의의 사진이 아니라 한인 자유대회의 사진이다. 그래서 수정권고를 받았으나 무시하고 그대로 대표자로 수록했다.
베이징 대학생들과 시민들이 군벌 타도와 친일 관리 축출 등을 요구하며 전개한 5.4운동의 격문으로
→ 5.4운동의 가장 큰 이유는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일본이 산동반도(산둥성)의 독일 제국 식민지 등을 차지한 것(21개조 요구)에 대한 반일 운동이다. 일본 이야기를 싹 빼고, 중국 내부 불만으로 일어난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남의 나라 역사도 왜곡하고 있다.
이후 1948년 7월 17일 선포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대한민국이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였다고 명시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였다고 명시한 것은 1987년 개정된 현행헌법의 전문이다. 제헌헌법의 전문에서는 '3.1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 세계에 선포한 위대한 독립정신을 계승하여...'라고 되어 있다. 현행헌법과 제헌헌법의 전문도 확인하지 않고 실은 것이다.
임시정부는 미국 워싱턴에는 구미위원부(대표 이승만)을 두고 필라델피아에는 한국통신부(대표 서재필)을 두어
→ 임시정부는 구미위원부를 정식으로 설립한 적이 없다. 구미(외교)위원부는 이승만이 독단적으로 설립한 것이고, 초기 대표는 이승만이 아니라 김규식이었다. 그러나 조직 개편으로 김규식이 한달만에 부위원장으로 물러나고, 이승만이 선출되었다가, 5개월 만에 임시정부와의 갈등으로 다시 물러나고 현순 목사가 대리 1년, 서재필이 대리 7개월을 재임했다. 특히 현순 목사는 이승만의 독단(공채금과 애국금 문제, 주미대사관 문제)과 대립하다가 사임한 이후에야 완전히 무력화된 구미위원부에 이승만이 다시 취임했다. 그는 무려 1948년까지 재임하고 후임자로 심복인 임병직(후에 외교부장관)을 임명했다.[28][29]
(이승만의 국제연맹의 위임통치 청원서에서) 그리하여 한국을 극동의 완충국 혹은 1개 국가로 인정하게 되면, 동아 대륙에서의 침략전쟁이 없게 될 것이며
→ 사실은 '그리하여 한국은 극동의 완충국으로 만들어 놓으면, 어느 일국 이든지 동아대륙에서 침략전쟁을 쓰지 못할 것이며'이다. 본문에서는 완충국으로 두는 것과 함께 독립한 하나의 국가로 인정해달라는 식으로 언급하는데, 이것은 띄어쓰기를 자기 맘대로 해서 의미를 조작한 것이다. 위임통치청원에 하나의 국가로 인정하는 방법도 있다는 식으로 물타기 한 것이다.
이러한 국면을 타개하고자 임시 정부는 1923년 1월 상하이에서 국민대표회의를 개최하였다
→ 국민대표회의는 임시정부를 비판하기 위해 개최된 것이지, 임시정부가 개최한 것이 아니다.
이승만의 국제 연맹 위임통치 청원이 알려지면서 임시 정부에 대한 불만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 이후 침체에 빠진 임시정부는 1925년 3월 이승만을 탄핵하고...
→ 이건 이승만에 대한 불만이지 임시정부에 대한 불만이 아니다. 전형적인 물타기 수법. 이후 이승만을 탄핵하는 이유를 빼고 임시정부의 침체를 강조하여서, '침체에 빠진 임시정부가 분위기 쇄신을 위해서 이승만을 탄핵하였다'라는 이미지를 심어주는 서술을 하고 있다.
→ 반론 : 당시 이승만은 임시정부 대통령이었으므로 이승만에 대한 불만은 곧 임시정부에 대한 불만이 맞다. 그리고 위임통치안은 이승만뿐만 아니라 안창호김규식도 비슷하게 가지고 있던 구상이었다.
→ 재반론 : 우리가 나라의 지도자를 비판할 때 반드시 나라자체를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몇 년 전 박근혜, 혹은 현재 문재인 대통령을 비판하는 모든 사람이 대한민국 자체를 비판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지도자에 대한 불만이 전국가조직에 대한 불만으로 반드시 이어진다고 단정할 수 없다.
3.1운동을 통하여 독립의지를 대내외적으로 과시하였으니, 이제는 실력을 양성하여 독립역량을 기르고 외교활동을 통하여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을 받아 독립을 하자는 새로운 전략이 제기되었다
→ 외교독립론과 실력양성론이 하나의 틀에서 함께 이루어졌다는 듯이 언급하고 있는데,말도 안되는 조합이다. 특히 3.1운동 이후에 전개된 실력양성운동은 외교독립론보다는 조선총독부의 문화통치 지침에 더 큰 영향을 받았었다.
윌슨 : 미국의 28대 대통령으로 프린스턴 대학 총장을 지냈으며, 이승만 대통령의 지도교수이기도 하였다.
→ 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를 독립운동의 한 축으로 격상시켰는지(즉 이승만 띄우기) 잘 보여주는 대목으로, 이것도 잘못되었다. 우드로 윌슨은 이승만의 학위 논문 제출 당시 총장이었을 뿐, 지도교수는 아니었다. 무엇보다도 교과서에 굳이 대학총장이었다든가 지도교수였다든가 하는 내용은 기술할 필요성이 낮은 내용이다. 미국 대통령이었던 것만 적어줘도 충분하다.
이승만은 국제연맹회의에서 만주지역 한국인들의 삶을 추적한 저서인 '만주의 한국인'을 제출하여
→ 만주에는 하루도 살아본 적이 없는 이승만이 무슨 수로 만주지역 한국인의 삶을 추적하는 저서를 쓰겠는가? 저 글은 리튼 보고서를 발췌한 것에 불과하다. 차라리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기 전에 일본의 영미 공격 야욕을 꿰뚫어본 일본 내막기(Japan inside out)를 언급하면서 이승만을 띄워 준다면 모를까, 전형적인 무리수다.
→ 반론 : 해당 만주의 한국인들이라는 책은 리튼 보고서에서 내용을 발췌하고 이승만이 자신의 코멘트를 추가하여 만든 이승만의 저서가 맞으며[30] 서영해의 출판사에서 출판도 되었다.
이승만은 당시에 한국인들이 가장 존경하고 신뢰하는 지도자였다. 그는 직접 자신의 목소리로 방송을 함으로써 국민들과 더욱 친밀하게 되었고, 광복후 국민적 영웅이 될 수 있었다.
→ 애초에 이승만은 당시 한국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지도자가 아니었다. 한국내에서 가장 신뢰받는 지도자라면 국내에 머물고 있었던 여운형(33%)이지 이승만(21%)이 아니었다.[31] 이승만이 방송한 미국의 소리 단파 방송은 듣는 것만으로 체포될 수 있는 문제인데다 애초에 라디오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 반론 : 같은 기관에서 조사한 내각이 조직될 경우 대통령에 알맞은 인물에선 이승만이 뽑혔다. 그리고 이승만은 여운형의 조선인민공화국에서조차 지도자로 추대했을 정도로 좌우익에서 인지도가 높았다. 라디오 타령은 왜 하는건지 모르겠지만 이승만은 일제강점기 35년 내내 국내에서 매우 유명한 독립운동가였다. 일제의 금지명령으로 하루 밖에 시행하지 못했지만 1920년대에 동아일보에서 조사한 민족 지도자 투표에서도 1위는 이승만이었고 1940년대에도 이승만은 가장 유명한 독립운동가 중 한명이었다. 그가 당대 최고의 정치적 명망가였다는 것은 학자들도 인정하고 있는 사실이다.[32]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0년대 들어서 국제 사회로부터 승인을 받으려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 임시정부 승인 획득 운동의 주역은 이승만이었다.
→ 1940년대 임시 정부 승인이 논란이 되었고, 임시정부를 승인하려고 했던 주요국가는 중화민국이었다. 그리고 임시정부 승인운동의 비중이 더 큰 쪽은 충칭 임시정부 요인들이다. 반면 이승만이 거주하던 미국의 경우는 미군정이 이후에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점령군의 위치를 유지한 것처럼 승인운동? 그런거 신경도 안 썼다. 이 교과서에서 임시정부 승인운동을 다룬 항목에서 이승만은 자그만치 독자적인 항목("이승만의 임시정부승인획득운동")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 본문이 있는 페이지(293P)에만 이승만의 이름은 9번이나 등장한다.
→ 반론 : 충칭의 임시정부 요인들이 임시정부 승인운동 비중이 더 크다는 어떠한 근거도 없다. 중화민국은 임시정부를 승인하지도 않았다. 충칭 요인들이 중국에서 관련 활동을 나름 했겠지만 국제연맹, 미 대통령, 미 국무부, UN 등 실질적인 국제 기구들과 강대국을 상대로 임시정부 승인 활동을 가장 활발히 벌인건 이승만이 맞다.
1943년의 카이로 선언과 OSS 부대와 한국광복군의 협력 등은 ... (이승만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 카이로 회담에서 한국의 즉각적 독립을 주장한 것은 중국의 장제스이다. 당연히 장제스에 영향을 준 것은 미국에 있는 이승만이 아니라, 충칭의 김구, 조소앙, 김규식 (어쩌면 윤봉길의 의거)등이다.
→ 반론 : 이 부분은 아직 논란이 있는 부분이며 명확하게 뭐다라고 말 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장제스라고 확정할 수도 없다. 정일화가 저술한 카이로 선언에 따르면, 프랭클린 루스벨트와 그의 특별 보좌관 해리 홉킨스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이에 대해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루스벨트가 카이로 선언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는 했으나, 전체적으로 볼때 장제스의 역할이 더 컸으며, 이승만을 비롯한 미국의 독립운동가들이 루스벨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단정할수는 없지만, 그 영향력은 장제스를 움직인 김구의 기여보다 크지 않다고 반론했다. 이렇게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그리고 이승만은 OSS와 연줄이 있었고 OSS 부책임자였던 굿펠로우를 만나 관련 작전을 추진한 것도 역사적 사실이다.

→ 애초에 이런 서술들은 이승만의 행보 자체를 실제 독립운동사에서 양적으로 과장하고 있다. 분량의 측면에서 불공정하며, 단순히 사실 왜곡만 비판할 문제가 아니다.
→ 반론 : 그렇게 따지면 다른 교과서도 특정인의 행보를 양적으로 과장하는건 마찬가지다. 같은 잣대로 따진다면 어떤 교과서는 김구의 행보가 양적으로 과장됐다고 비판할 수도 있고 임시정부의 행보가 양적으로 과장됐다고 비판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식의 비난은 합리적이지 않다.
→ 재반론 : 그렇다면 다른교과서도 과장되었다고 비난하면 되지 특정인의 행보가 과장된 것에 대한 비판이 합리적이지 않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주장이다.
우리민족에 의한 전문교육기관 설립에 명륜전문학교를 포함
→ 명륜전문학교는 조선총독부가 성균관을 접수한 후 개명하여 설치한 경학원, 경학원에서 설립한 명륜학원에서 다시 명륜전문학교로 이어진다. 그리고 그 후신인 성균관대학교에서도 이걸 인정한다. 조선총독부 관련 이야기만 빼고.[33]
레닌의 피압박 민족의 독립과 해방에 대한 지원은 국제 공산당 운동에서 러시아 공산당이 동아시아 지역의 공산주의 운동에 대하여 지도력을 발휘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서유럽 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 러시아 공산당이라는 표현보다는 국제 공산당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1920년에 결성된 조선청년연합회의 장덕수의 그른
→ 해당 글은 장덕수의 글이 아니라 조우의 기사로, 전혀 다른 사람의 글을 읽게 하고 사료해석까지 시키고 있다. 애초에 단체명칭도 조선청년연합회가 아니라 조선청년회연합회이다. 교학사 교과서에는 장덕수의 활동을 조선청년회연합회 활동과 동아일보 주필경략만 강조하고, 친일경력은 누락하고 있다.
(광주학생운동은) 신간회의 지원활동에 힘입어 전국적 항일 투쟁으로 발전하였다.
→ 이것 역시 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그대로 가져온 부분이다. 신간회가 진상조사단을 파견하여서 항의한 것은 사실이지만, 광주학생운동의 발발과 확산 자체에 대해서는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다. 현재는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사회주의계 단체의 영향력이 강조되는 입장이지만, 여기서는 신간회의 활동을 강조하느라 이걸 모두 신간회의 공로로 돌리고 있다. 다만 이는 교학사만의 문제보다는 다른 교과서에도 존재하는 문제. 대수능이나 평가원 시험에도 이와 같은 인식을 반영한 문제가 나온 적이 있다.
코민테른에서도 노선이 전환되어서 한국 공산주의자들에게 민족주의자들과의 연대파기와 독자적 운동을 지시하였고, 공산주의자들은 신간회 해소를 주장하였다. 결국 민족주의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신간회는 해체되고 말았다.
→ 신간회 해소의 이유를 코민테른의 지시로 돌리고 있다. (이는 과거 금성교과서 등에서도 나왔던 부분임.) 실제로 신간회가 해소된 이유는 광주학생운동 이후에 신간회의 지도부의 붕괴에 있다. 허헌 등이 체포된 이후에 지도부가 된 집행위원장 김병로는 좌파와 (물리적 충돌수준으로) 대립했던 송진우나 최린 등 훗날의 자치론자와 손을 잡으려고 했다[34]. 이는 신간회의 강령인 일체의 기회주의를 배격하고라는 부분에 배치되는 측면이라고 여겨져 사회주의자들이 반대했다. 이 때문에 신간회는 해소후 재창당이라는 목적으로 일단 해소되는데, 이 과정에서 반대한 주류인 이들은 위에서 언급한 민족주의자들이다. 다만 거꾸로, 김병로는 우파측에서는 좌파에 대한 타협론자로 치부되었다.
이병도와 손진태 등은 '역사를 있는 그대로 서술해야 한다'는 실증 사학의 입장에서 한국사를 연구하는 학풍을 세웠고, 이들의 역사연구는 일제 식민 사학을 배격하고 우리 역사를 바로 세우려고 하였다
→ 이병도의 실증사학을 한 순간에 민족주의 사학으로 만드는 서술이다. 실증사학의 주요점은 '객관적인 서술'이기 때문에 '우리'역사를 바로 세우는 것은 실증사학보다는 민족주의사학에 가깝다. 다만 완전히 틀렸다고 보기도 어려운 것이, 결과적으로 실증사학은 식민사학을 통해 의도적으로 왜곡된 한국사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바로 잡는데 기여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병도의 주장도 현재는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하다고 비판 받고 있으며, 손진태의 경우 아예 민족주의 사학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주제열기 - (1930년대 명동거리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나라의 도시 모습과 큰 차이가 없다. 이러한 명동 거리의 생활 모습은 당시 우리나라 사람에게 어떻게 다가 왔을까?
→ 일제의 식민통치를 긍정하고 미화할 우려가 큰 질문이다. 특히나 명동은 당시 조선인이 아닌 일본인들이 주로 살던 경성 남촌의 번화가였다.
이에 일제는 곤궁해진 농민을 무마하기 위해서 자작농 육성을 목표로 하는 농촌진흥운동을 전개하였다. ... 일제도 자작농지 설정사업을 강화하여 지주에게 소작지를 팔도록 강요하기도 하여 지주제도 쇠퇴하였다. ...(박스 자작 농지 설정 사업은) 총독부가 종전의 소작제도 개선책의 한계를 인정하고, 소작농 1 가구당 5단보의 농지를 소유하도록 저리의 정책자금을 대출하여 자작농을 육성하기 위한 사업이었다.
→ 총독부가 쌀을 보다 많이 뜯어가기 위해 추진한 농촌진흥책을 자작농 육성사업인 것처럼 왜곡해서 그 의도와 내용을 미화하고 있다.
경성부의 경우 한국인들은 청계천 이북의 북촌과 마포 등을 중심으로 거주하였던 반면에, 일본인들은 청계천 이남의 남촌과 용산 등에 거주하였다. 즉, 한국인들을 내쫓은 것이 아니라 일본인들의 신시가지를 조성하였다.
→ 일본인들의 침략이 별 것 아니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대목이다.
그 밖에도 많은 사람들이 일제의 침략전쟁에 직간접적으로 협력하고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각급학교에서 황국 신민화 정책에 참여할 수 밖에 없었고, 일반인들도 징용이나 징병에 응해야 했다.
→ 강제로 수탈한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응해야 했다라는 식으로 수동적 인정을 더하면서 일제의 수탈을 약화시켰고, 동시에 친일파의 논리인 당시는 어쩔 수 없다는 이야기를 다른 계층을 통해서 되풀이하고 있다.
현지 위안부와 달리 한국인 위안부는 전선의 변경으로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
→ 249페이지에 나와있는 서술. 끌려갔다는 서술을 단순히 따라다녔다는 서술로 바꿈으로써 위안부를 단순히 창녀라 폄하한 것도 폄하한 것이지만, 만약 현지 위안부가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같이 끌려가지 않았다는 저 말도 안 되는 설득력 없는 서술이 진짜 거짓이라면 외교적 문제로까지 번질 수 있다! 추가로, 저 '한국인 위안부' 용어도 일본측의 용어인 '조선인 위안부'에서 고쳐진 것이다. 결국 각계의 비판을 받아 해당 부분은 '끌려다녔다'로 수정이 되었다.

잘못된 내용뿐만 아니라 역사교과서라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누락된 부분이 상당히 많다. 독도와 동해표기가 빠진 지도를 사용한점, 임시정부 수립년월이 연표에서 빠진 점, 심지어 훈민정음에 대한 설명이 누락되고 한글에 대해서 겨우 한 줄 서술되어 있다. 한글이 문화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대충 서술한 것이다.

6.3. 국제정세에 대한 서술 오류 및 왜곡[편집]

이 교과서는 국제정세에 대해서도 상당히 왜곡되어 있는 잘못된 서술들이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대표적으로 오키노토리시마 암초에 대한 서술부분이다.

교학사 교과서 p351에 내용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동북아시아의 해양 국가인 일본은 일찍부터 해양 개척에 노력하였다. 서구 열강의 동북아시아 진출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하여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근대화된 일본은 국력을 신장시켜 영토를 확장해 나갔다.... (중략)... 1896년에는 일본에서 1.800km떨어진 태평양의 무인도 미나미토리시마에 개척단을 파견하여 1898년 자국 영토로 선포하였다. 1922년에는 일본의 최남단 섬 오키노토리 섬에 측량선을 보냈다가 1931년 영토로 편입하였다.

오키노토리시마 암초은 일본에서만 영토로 주장할뿐, 전세계적으로는 암초로서, 섬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는 분명히 일본 측 입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격. 도리어 오키노토리 섬을 왜 일본이 섬으로 만들려고 하는지를 생각한다면 그 정체성 또한 의심되는 노릇이다. 자세한 것은 오키노토리시마 암초 항목참조.

어떻게 보면 비슷한 케이스인 대한민국의 이어도의 경우를 보면 교과서든 사전이든 명백히 국토 최남단의 섬은 마라도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어도는 엄연한 섬이 아닌 해상 암초이자 종합과학기지로 표기되어 있지 어느 나라처럼 무지성으로 마구 우기지는 않는다.

여기에 교학사 교과서 p8, p238에 초등 학생도 알 수 있는 기본 지식조차도 틀렸다.

6.4. 5.16 군사정변에 대한 서술 논란[편집]

5.16 군사정변의 경우 서술만 놓고 보면 제2공화국이 무능해서 일부 군인들이 정변을 일으켰다는 식으로 흘러가며 윤보선과 미국도 인정했다고 언급된다. 이 서술만 보면 5.16이 정당했다는 해석도 가능한 상황. 당초에는 장준하의 5.16 지지선언문도 실으려다가 막판에 철회했다고 한다.

게다가 5.16 당시 혁명공약을 서술하면서 맨 마지막 내용을 누락했는데 그게 '혁명이 완수된뒤에 정권을 민간에 이양하고 군으로 복귀하겠다'라는 것. 이건 최종 수정판에서 추가하긴 했지만.

6.5.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서술 논란[편집]

폭동설을 주장 한 것은 아니지만 서술에 왜곡이 있었다.
“이에 5월 18일 광주에서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학생의 시위가 일어났다. 하지만 진압군이 투입되면서 대규모 시위로 번지게 되었다(5.18 민주화운동), 충돌은 유혈화되었고 시위대의 일부가 무장을 하고 도청을 점거하였다
5월 18일에 시위가 일어나고, 시위 이후에 공수부대가 투입됐다는데 사실이 아니다. 일단 5월 18일에 계엄군이 먼저 정치금지하고 예비검속해서 사람들을 구타하고, 야간공부하던 학생들을 먼저 공격한 바 있다. 시위는 그 뒤에 일어났다. 학생들이 시위한건 그 뒤였고. 그 뒤에도 4시에 공수부대 7여단이 진압을 시작했는데 시위학생뿐만 아니라 무관한 학생들과 시민들을 무차별로 진압봉과 개머리판으로 갈겨대고 군홧발로 갈기고 대검으로 찔렀다. 대검으로 무차별로 찔렀다는걸 국방부 진상규명 보고서에서도 인정하는 점이다.

게다가 충돌이 유혈화되고 시위대의 일부가 무장을 하고 도청을 점거했다는 표현도 애매모호한 서술이다. 계엄군의 폭력을 명시하지 않고 유혈충돌이라는 이름으로 얼버무리며 시위대의 일부의 무장이라는 표현을 쓴것도 은근히 폭동설을 조장하려는 목적이 아닌가라는 의구심을 낳는 대목이다. 대놓고 소설은 안 썼지만 교묘하게 왜곡하고 있는 것.

결국 이에 대해서 비난과 비판을 받은 탓인지[35] 최종 수정판에서는 비교적 선후관계를 명확하게 서술했다. 최종 수정판에서는 계엄군의 무자비한 진압이라는 부분을 추가했으며 신군부가 언론을 통제하고 교통을 차단해서 광주시민들을 폭도로 몰았다는 부분도 추가되었다. 또한 초판에서 누락시켰던 계엄군의 발포사실을 명시했다. 그나마 광주광역시와 5.18 단체들의 항의가 조금 먹히긴 한듯.

6.6. 공산주의에 대한 지극히 자의적인 해석[편집]

교과서 320쪽과 321쪽, 2페이지에 걸쳐서 냉전 체제시기의 세계정세를 다루고 있다.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공산주의 체제를 대치시켜 '어째서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옳고 공산주의 체제가 그릇되었는지'를 주장하는데 할애하고 있으며, 여기에 어떤 분석이나 고찰보다는 자유민주주의의 우월함을 설파하는데 무게를 두고 있다.
자유민주주의 체제는 개인의 자유와 인권을 확보하고 시장경제를 통하여 경제를 발전시킨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국가 내 모든 국민에게 동등한 시민권을 부여하는 것을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공산주의 체제는 모든 점에서 자유 민주주의 체제와 달랐다. 개인의 자유와 인권보다는 공산당 또는 공산주의적 정당이 권력을 독점하고 사회를 지배하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경제에 있어서도 시장경제보다는 국가의 계획과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계획경제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국민에게 동등한 시민권을 부여하는 대신 노동자와 농민 계급의 적을 만들어 이들과 투쟁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2013년 검정을 받고 통과한 교과서 내용

예로, 스탈린주의가 파시즘화가 되어간다고 비판하는 글을 근거로 공산주의는 곧 파시즘이란 해석을 유도했다. 스탈린주의=파시즘, 공산주의=파시즘 이런 공식을 교과서에 써놓고 있다.

6.7. 남북통일 노력 평가절하[편집]

한국사 검정기준에 의하면 북한의 사회변화와 오늘날의 실상을 살펴보고, 남북한 사이에 전개된 화해와 협력을 위한 노력을 파악한다라 하고 있다. 그런데 교학사 교과서는 이 단원에서 남북한 사이에 전개된 화해와 협력을 위한 노력을 거의 기술해놓고 있지 않고 있다.

340쪽부터 349쪽까지 총 10쪽에 걸친 북한의 실상과 남북한의 통일노력 단원에서 겨우 2페이지에서만 남북한의 통일노력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그마저도 앞의 2개 항은 북한의 침략을 다루고 있으며, 뒤의 2개 항만이 민간인 교류와 통일노력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그 통일노력도 대체적으로 북한의 선전체제에 활용되었다며 평가절하 하고 있으며 남북한 사이에 있었던 각종 협정문에 대해서도 전문을 다루지 않고 간단한 서술만 하고 있다.

하지만 수능에서는 남북한 사이의 각종 협정이나 합의서, 공동선언(7.4 남북공동선언, 남북기본합의서, 6.15 공동선언 등)의 전문이 등장하며, 그 전문이 언제인지 파악하고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를 아는지 모르는지 물어보는 문제를 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학사 교과서는 언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 수 없게 서술이 되어 있으며, 어떤 협정문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고 있지 않다. # 그래서 가장 문제가 많이 나오는 통일을 위한 노력 소단원의 수능문제에서 불리할수 있다. 저격 이런 문제등이 겹쳐 박홍근은 아예 수능 절반 틀릴거라고 비난하기도 교학사 한국사교과서로 수능준비하면 절반은 틀려 물론 EBS없이 교과서 만으로 수능친다 자체가 객기지만

6.8. 공신력 없는 자료 출처[편집]

자료의 출처가 뒤에 실려있는데, 개인 블로그디시인사이드엔하위키 미러싸이월드[36]가 출처로 표기되어 있다. 문제는 서비스업체의 주소만 적은 것이다.

attachment/2013 ...
엔하위키 미러가 교과서에 실렸다. 해당 사이트는 사실 유무를 떠나, 공신력을 갖춘 곳이 아니며, 본관인 리그베다 위키가 있는데 미러링 사이트인 엔하위키 미러를 출처로 표기하였다.

참고로 해당 사진의 원출처는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도록이며, 교수신문에서 이 사실을 명백하게 밝히면서 기사에서 인용한 것을 다시 리그베다위키 이용자가 그냥 퍼온 것을 엔하위키미러에서 미러링으로 퍼 간 것이다.

external/www.cdp...
우익 교과서라지만 자주민보의 자료를 인용했다. 우익주장 반론 근거 좌우 균형 해당 자료는 수카르노의 사진으로, 사진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저작권에서는 분명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애초에 자주민보에 수카르노 사진의 저작권이 있을 리 없으니. 다만 시기적으로 꽤 지난 사진이라 그냥 돌아다니는 것을 썼다고 볼 수 있는 여지는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교 교수들은 학생들의 리포트에서 리그베다 위키는 물론, 그나마 편집 규정이 깐깐한 편인 위키백과도 참고 자료로 활용하지 못하게 한다.[37] 편집이 쉬운 위키 특성상 위키에 적혀있는 오류가 이를 참고한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기 때문이다. 애초에 위키피디아 측에서 위키백과의 내용은 학술 자료로 인정되지 않음을 명시해놓았다. 당장 다른 교과서랑 비교해 보면 매우 큰 차이가 있다.

교학사 교과서의 참조 인용, 사진자료 출처 페이지는 3장에 달하며, 타 교과서보다 매우 많다. 지학사는 정확히 1장이다.[38]

물론 참조 인용과 사진자료 출처 페이지가 많은 것 자체는 문제 없지만, 이러한 현상은 이미지의 저작권 문제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교과서 제작 과정에서의 사진은 이미지 업체에서 구매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따라서 사진 자료 출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게티이미지, 유로크레온 등의 이미지 업체이다. 비용은 사진 1장당 10만원에서 15만원선. 그러나 교학사는 이것을 검색에 의존하여 그냥 인터넷 상의 사진을 싣는 방식으로 일관하였으며, 출처 기록을 보면 이런 이미지 업체와의 거래 내역이 거의 전무하다. 즉, 가격 절감을 위해 구글링에 의존했다고 보는 편이 맞을 듯.[39]

이렇게 저작권을 무시하고 사진을 쓰는 건 사실 출판계에서는 오랜 관행이었으나[40], 최근 들어 점차 저작권법이 중시되면서 변화가 일어나는 편이다. 그러나 현재 교학사는 2년이 넘는 심각한 임금 체불로 젊은 편집자가 없이 나이 든 편집자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용을 최대한 쓰지 않으려고 했던 만큼, 예전 방식을 그대로 사용했고 그 과정에서 출처가 복잡해지고 장수가 늘어났다고 보는 편이 맞을 것이다.

그리고 일명 학도병의 편지라고 불리는 어머니께 보내는 편지관련 문제도 있는데 교학사에서 구글에 확인없이 인용한 사진을 교과서에 제대로된 검토없이 편지를 작성한 학도병의 사진이라고 실은적이 있고 이때문에 잘못알고있는 사람이 꽤 있다.

7. 관련 타임라인 정리[편집]

7.1. 2013년 5월[편집]

7.2. 2013년 8월[편집]

  • 8월 30일, 교학사 외 한국사 논란의혹을 일으킨 8종의 한국사 교과서 검정 최종통과
  • SNS를 타고 이슈화 시작, 민주당 지도부측이 SNS를 통해 전의원 반발의사를 내비추었으나, 일부 의원이 불참 혹은 개인사 문제로 동참이 늦어져 손발이 따로논다고 까였다.

7.3. 2013년 9월[편집]

  • 9월 4일,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국회에서 근현대 역사교실을 발족, 새누리당 원내수석 부대표외 현역 새누리당 의원 100여명[41]이 즉시 가입을 신청함[42]
  • 9월 10일한국역사연구회를 대표로한 4개 역사단체가 교학사 오류공개 설명회를 열었다. 그리고 엔하위키 미러가 많이 배우신 학자들에게 까였다
  • 9월 11일교육부는 문제가 된 8종의 교과서를 10월 말까지 수정보완하라는 방침을 발표하며 적극 대응에 나섰다.
  • 9월 15일, 교학사 외 교과서 집필진이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교육부 수정지시 거부"를 발표

7.4. 2013년 10월[편집]

  • 10월 21일, 교육부가 8종 교과서의 수정 및 보완 권고사항 총 829건을 발표

7.5. 2013년 11월[편집]

  • 11월 29일, 교육부 장관령으로 교과서 수정 및 보완 권고사항을 전건 수용한 리베르스쿨에 대한 수정명령 취소
  • 11월 29일, 교육부 장관령으로 리베르스쿨을 제외한 7종 교과서가 고수중인 오류 41건에 대한 수정명령 통지

7.6. 2013년 12월[편집]

  • 12월 4일, 교과서 집필진 교육부 수정명령에 대한 취소소송과 효력정지가처분신청을 제기
  • 12월 10일, 출판사들이 집필진의 협의 없이, 교육부의 수정안을 수용한 수정판을 제출해 교육부가 최종 승인
  • 12월 19일, 7개 역사단체가 교학사 최종본의 오류 652건을 발표
  • 12월 30일, 전국 고등학교가 2014년 교과서 선정내역을 발표

7.7. 2014년 1월[편집]

7.8. 2014년 2월[편집]

7.9. 2014년 3월[편집]

  • 3월 1일삼일절에 보수단체들이 교학사 교과서를 현장판매하겠다고 밝혔다.
  • 3월 10일, 리베르 스쿨 등과 마찬가지로 3.1 운동에 대해 폭력적인 면모를 보였다고 기술한 것이 보도되었다. 리베르스쿨과 함께 3.1 운동의 전개 양상에 대해 폭력적인 면모를 보였다고 기술한 교과서 중 하나라고. 사실 기술 자체는 '비폭력-평화적으로 일어난 운동이 농촌으로 퍼지면서 헌병대, 주재소 등을 습격하고 친일파를 습격하는 등'의 사실 자체는 문제가 없으나 '폭력적'이라는 부분에서 해당 사항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는 주장이다.

8. 관련 문서[편집]

[1] 장세옥 부여고 교사와 김남수 대전외고 교사는 이명희 교수의 제자로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에서 학사를 마쳤으며, 특히 장세옥 부여고 교사는 박사 또한 공주대 역사교육과에서 마쳤고 당시 논문 지도 교수가 이명희 교수였다. 김도형 사단법인 통일미래사회연구소 박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수료자로 권희영 교수의 제자다. 다만 이처럼 학연으로 연결된 관계는 다른 교과서 저자진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보통 저자진 구성은 대표 저자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출판사의 컨택을 통해 구성되는 경우가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주로 친분을 따라가는 만큼 특정 학연에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가령 지학사 한국사 교과서(2011 교육과정)의 경우 집필진이 모두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국사학과 출신이다.[2] 당시에는 실제 구성원 중에 역사학 전공자는 절반 이하며, 학술대회를 개최한적도 없고 학회지, 논문집을 펴낸 적도 없는 곳으로,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회원 단체도 아니다.[3] 한국현대사학회 전·현직 회장인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와 이명희 공주대 교수가 집필자로 참가한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참여하였다.[4] 교육부 검인정 교과서의 최종 합격 공지는 8월 30일에 있었다.[5] 참고로 다른 출판사와 마찬가지로 교학사도 검정 통과가 확정된 직후부터 자신들의 홈페이지에 2014년에 적용되는 교과서를 교사들이 볼 수 있도록 pdf로 모두 공개하고 있다.[6] #역사학계 "발명 수준" 야권 "우편향"..교학사 교과서 오류 비판 확산[7] 2008년, 금성출판사에서 낸 한국근현대사 교과서가 좌편향되었다며 논란이 된 일을 가리킨다.[8] 교학사 측의 공식적 입장은 출판사 공식 사이트의 공지 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명 공지 사항에 관련 보도 자료로 오른쪽 기사 등을 링크하고 있다. #뉴라이트 역사교과서 논란…교학사 “오해다” #교학사 교과서에는 '안중근 의사'가 테러리스트라고 표현되어 있지 않다[9] 실제로 일부 사람들이 본사에 전화를 걸어 '대표이사와 직원들을 죽이겠다'는 식의 협박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교학사 "협박 심해 한국사 교과서 발행 포기 검토[10] #참고용으로 '교학사' 쓰겠다는데… 서울디지텍高에 "학교 폭파" 협박[11] #‘우편향 현대사’ 발행 교학사, 채널A와 ‘수상한 밀월’[12] #교학사 교과서에 가하는 몰매, 정당한가[13] 동아일보 가문의 시조격 되는 인촌 김성수를 염두에 둔 듯하다. 인촌이 조선 민족의 실력 양성에 힘썼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니 각자가 알아서 판단해야겠으나, 대체적으로 인촌이 일제 말기에 변절해 총독부 전시체제에 협력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법원, 인촌 김성수 친일행적 인정…일부 취소 여기에 빼도박도 못할 친일파들까지 '애국자'인 것 마냥 사실왜곡한 사례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장덕수나 최남선같은 경우가 있겠다. 이밖에도 교학사 집필진의 현대사 서술이 과도할 정도로 이승만 전 대통령을 지지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아일보가 스스로 무덤을 파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다. 해방 후 제2대 부통령에 당선되었던 김성수는 정작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이 장기집권을 획책하는 모습에 반발했고, 1952년 5월에 발췌개헌안이 통과된 후 이승만과 자유당이 대한민국의 헌정질서를 파괴한다고 강력하게 비판한 후 부통령직에서 사퇴했기 때문이다.[14] #교학사의 '학도병 이우근' 구글서 찾아 쓴 엉뚱한 사진[15] #[16] #[17] #[18] #[19] #[20] 60세 이상의 '더 이상 문제 삼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은 21.4%[21] #[22] 지학사 교과서와 공동 채택.[23] 이 학교 홈페이지에 버젓이 1월 3일에 이와 같은 내용이 올라와 있었는데 경북도 교육청에서는 모르고 있었다.[24] 비상교육교과서와 공동 채택.[25] 민무늬 토기에서 빗살무늬 토기로의 변화는 이런 이민족의 유입을 보여준다. 「한국사통론」참고[26] 메이지 유신이 벌어지던 시기의 프랑스는 나폴레옹 3세가 통치하고 있었다.[27] 민족자강운동은 실력을 쌓는 과정이라면 몰라도 독립운동의 방법으로 보기는 좀 어렵고.[28] 과거 이 부분은 왜곡된 내용이 적혀 있었는데 이승만의 5개월간의 불화와 서재필의 대리 기간을 제외하였으며, 김규식과 이승만은 갈등을 빚지 않았다(다만 이승만이 김규식에게 자신의 편을 들지 않는다고 불만을 표시한 적은 있다). 현순의 경우 서재필과 주미대사관 설립 문제로 갈등을 빚긴 했다. # 한겨레 기사 # 동아일보 기사 모두 같은 서술을 하고 있다.[29] 사실 구미위원부를 임정이 설립했다는 서술은 교학사 교과서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한국사 교과서와 역사 교과서의 고질적인 오류이다.[30] 실제 해당 책에도 Extracts from the LYTTON REPORT with Comments by Dr. Syngman Rhee 라고 밝히고 있다.[31] 참고로 김구가 18%. 대통령으로 적합한 이에서는 이승만이 44%를 받긴 했다(김구 30%, 여운형 8%, 기권 18%. 응답률 50%). # 다만 이건 서울지역만의 조사다. 문제는 이 설문조사를 행한 선구회라는 곳이 당시 얼마나 저명성이 있었으며, 또한 당시의 문해율 또한 고려해야 한다. 한편 당시 해외교포가 가장 많았던 만주와 북간도 지역에서 이승만은 인지도가 매우 낮았고, 비판을 당하는 형편이었다. 그러나 문해율을 걸고 넘어질거면 여운형이 1위인 조사도 마찬가지다.[32] "한국이 일본의 패망으로 해방을 맞았을 때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고의 정치적 명망가는 이승만이었다. 구한말 개혁세력의 일원이었고, 상해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그가 항일구국의 오랜 망명생활에서 돌아왔을 때, 정치성향의 좌우를 막론하고 누구도 그의 명망을 따를 수 있는 지도자는 없었다. 그의 명망은 해방 직후 여운형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조선인민공화국이나 그의 적대 세력이었던 한민당이 모두 아직 귀국도 하지 않은 그를 지도자로 추대할 정도였다." - "제 1공화국의 선거제도와 선거" 황수익(서울대 정치학과 교수)[33] 성균관에서 경학원으로 넘어갔기 때문에 1398년 개교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학교의 흑역사인 명륜전문학원 시절 자체를 민족학교라고 언급함으로써 족보세탁을 한 셈이다.[34] 이들이 자치론을 찬성하게 되는 것이 1930년대의 일인것은 맞다.[35] 교과부에서도 지적 받았다고 한다.[36] 출처 표시가 cyworld.com이다.[37] 정 위키 사이트를 참고하고싶다면 그 원출처로 들어가서 내용을 다시 확인하고, 그 원출처를 참조 문헌에 표기하면 된다.[38] 학사와 학사는 엄연히 다른 회사이다! 이름도 비슷하고 로고도 은근 비슷하다.[39] 실제로 다른 과목에서도 마찬가지의 방식을 썼으며, 예전에는 롤러코스터 사진이 합필갤 합성인게 발견되기도 했다. 나중에는 학습지에서 합성사진을 또 못 알아본건지 실수로 실었다가 이때 받은 비난과 겹쳐 한국사 관련 사업을 접게 될 정도.[40] 다만, 한국의 저작권법 25조에서는 교과서에 대해 저작권의 예외를 두고 있기 때문에 법적으로 교과서에 한해서는 사진같은 공표된 저작물을 저작권을 무시하고 일단 마음대로 가져다 써도 된다. (저작권자의 권리에 대해서는, 사후에 법적으로 정해진 보상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처리한다.)[41] 당시 새누리당 소속 의원의 70% 정도.[42] 즉시가입 신청덕에 짜고치기 고스톱 의혹이 나왔다. 국회내에서 발족한 데다 즉시 가입신청을 한 국회의원들도 신분이 확실해 사소한 절차를 생략 한것이지만 이 절차 생략으로 인해 날치기 논란이나 짜고 치는 고스톱 의혹이 나왔다.[43] 그런데 위에서 언급된 대구 등 일부 지역의 학교운영위 차원에서 내려온 교학사 교과서 채택을 종용한 일에 대해서는 교육부가 조사 요구를 거부했다. 이 점에서 야당과 시민단체는 교육부의 조사야말로 교학사 교과서를 억지로 살려주려는 정부 차원의 외압이라고 비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