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6-30

1906 Emanuel Pastreich - The mother of all summits



The mother of all summits





President Moon Jae-in and U.S. President Donald Trump are all smiles during a working dinner at the tea house in the grounds of the presidential Blue House in Seoul on Saturday. Yonhap

By Emanuel Pastreich



South Korea's President Moon Jae-in is grasping at straws, trying to squeeze some sort of political value out of yet another summit meeting with the inimitable U.S. President Donald Trump.

But whatever images may decorate the front pages of Seoul's mainstream newspapers over the next few days, the summit will not be able to cover up the fact that South Korea is a disaster.
It has lost its magic touch in most fields, most notably in the shipbuilding and automotive sectors, because of a dismal inability to embrace fundamental change. That means that the once up and coming South Korea has fallen behind China, and even behind Japan, in its transition into a low-carbon economy, to electric vehicles, and it has opened the floodgates for foreign capital while encouraging its citizens to waste their time at coffee shops checking their smartphones and acting all so fashionable.

Meanwhile, the advantages built up over 40 years of long-term industrial, scientific and social planning are being frittered away.

Everywhere in Seoul we see mom and pop groceries, hardware stores and restaurants adorned with "for rent" signs. Youth are right to be deeply worried about where the country is heading while the prospects for meaningful work ― let alone jobs that provide real retirement benefits and authority ― are dwindling regardless of how globally popular BTS may be.

And the progressive president whom voters were led to after the "candlelight revolution," the man who promised to meet ordinary citizens in Gwanghwamun Square regularly, could not be further from the youth of Korea trapped in dead-end jobs in convenience stores. If anything, he is spending more time with representatives of international investment banks and sovereign wealth funds than his people.

Moon, who is perfectly fine locking up the previous President Park Geun-hye for 30 years for actions not worse than those of many other Korean politicians, is delighted to meet Donald Trump as a representative of the United States. Trump's immigration policies are not only illegal but clearly intended to create an effective police state. That does not seem to have even crossed Moon's mind as an issue.

Summit meetings have become something akin to voodoo magic for President Moon. Somehow through the speech acts of Trump, announcing that he has received an "excellent" letter from Chairman Kim Jong-un, all problems can be solved and a road will open up toward peace, unification and prosperity for Koreans.

But talk is cheap, and Trump's talk is cheaper than that of a used car salesman.

The sanctions on North Korea are all in place and are now far worse than they were under the Park administration. Moon is incapable of making any demands of the U.S., or voicing criticism of U.S. policy, which is not only irrational, but psychopathic.

There has been no progress with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no exchanges between citizens from the North and South. Moon is silent about the reasons. Pyongyang has been so unimpressed by the servile manner in which Moon has followed Trump around (as opposed to the more independent Kim Dae-jung, or even the feisty Roh Moo-hyun) that it has essentially cut off all exchanges.

And now, the U.S. is so completely pinned down by conflicts on every side ― Venezuela, Syria, Afghanistan, Iran, Russia and China ― that Pyongyang sees a chance to start responding with threats again. For all we know, we will be back to nuclear tests in a few months. That is to say that we will be back to zero.

But things are even worse than that. The United States once played a complex presence in South Korea. It was the source of tensions with North Korea through behind-the-scenes support for the generals who ruled Korea for decades. But it also offered demands for peace and democracy, whether through the Peace Corps volunteers of the 1960s and 1970s, or through devoted Korean scholars and NGO activists who worked to defend Korean democratic activists against political persecution. Those Americans helped to get the truth out about Gwangju and Jeju and they pushed for an open society.

But that complex American presence is something for the history books now. As an American in Korea for the past 12 years, I have seen the shift.

The US embassy is increasingly isolated today. I have even witnessed open arguments between embassy staff at public events that suggest deep tensions resulting from the top-down administrative policy that has become common today.

Moon has put all his eggs in a basket held by an administration that has spent the past few months trying to start a catastrophic war with Iran for reason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peace, the rule of law or the interests of anyone but a tiny elite. Moon treats this nation engaged in various forms of economic warfare, manifested most grotesquely in Yemen, as if it was a reliable partner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Even Japan, which is run by a right-wing reactionary government that has flattered Trump from day one, is backing away from the wounded beast. The comments by Trump about ending the U.S.-Japan alliance were not an effort to promote internationalism and focus on climate change, but the worst kind of gangster diplomacy.

Those words about Japan cannot be taken back. Always perfectly in control of their expressions, the Japanese are nonetheless fundamentally rethink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We see the shift in the decision to invite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for a state visit in the spring.

But Moon seems to have bought into the Trump-focused approach to international relations to such a degree that he lacks even the strategic flexibility of Shinzo Abe.

The summit will represent the extreme of the contrast between images presented about the United States in the Korean media and the reality of what the U.S. has become.

Although the Korean media reports almost nothing of American war crimes in Iraq, Syria, Egypt, Afghanistan, Libya, Yemen and around the world, or about the criminal actions against immigrants undertaken by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fact that something is profoundly wrong in the United States is seeping through.

This is not the United States where Korean government officials studied back in the 1980s and 1990s. They do not want to recognize that painful truth, but it is becoming increasingly obvious.

The efforts of Steven Miller and Mike Pompeo, and other hatchet men, to remove everyone but yes men and hacks from the federal government altered the entire game. The only thing the U.S. government can do after decades of outsourcing, privatization and slashed budgets is to drop bombs and to pretend things are normal. Tariffs, sanctions and war have become but a sliding scale.

There is no one in the Trump White House who could possibly negotiate a meaningful treaty with North Korea, especially after the debacle of Trump walking away from a carefully orchestrated international agreement with Iran.

The time has come for ordinary Koreans to start formulating their own vision for what Korea can become. South Korea must kick its addiction to a media-driven, international finance determined, dead-end plan for engagement with North Korea via glitzy summits. South Korea has become literally the only nation that cannot criticize U.S. policy and lost the autonomy which the unification process was supposed to help restore.

FBI Urges Universities To Monitor Some Chinese Students And Scholars In The U.S. : NPR



FBI Urges Universities To Monitor Some Chinese Students And Scholars In The U.S. : NPR

FBI Urges Universities To Monitor Some Chinese Students And Scholars In The U.S.

LISTEN·3:583:58PLAYLIST

DOWNLOAD
EMBED

TRANSCRIPT

June 28, 201910:16 AM ET
Heard on All Things Considered


EMILY FENG

Enlarge this image


University administrators say the FBI, whose headquarters are shown above, has urged them to monitor some Chinese students and scholars.Manuel Balce Ceneta/AP

U.S. intelligence agencies are encouraging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to develop protocols for monitoring students and visiting scholars from Chinese state-affiliated research institutions, as U.S. suspicion toward China spreads to academia.

Since last year, FBI officials have visited at least 10 member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Universities, a group of 62 research universities, with an unclassified list of Chinese research institutions and companies.


WORLD
Visas Are The Newest Weapon In U.S.-China Rivalry

Universities have been advised to monitor students and scholars associated with those entities on American campuses, according to three administrators briefed at separate institutions. FBI officials have also urged universities to review ongoing research involving Chinese individuals that could have defense applications, the administrators say.

"We are being asked what processes are in place to know what labs they are working at or what information they are being exposed to," Fred Cate, vice president of research at Indiana University, tells NPR. "It's not a question of just looking for suspicious behavior — it's actually really targeting specific countries and the people from those countries."

In a statement responding to NPR's questions, the FBI said it "regularly engages with the communities we serve. As part of this continual outreach, we meet with a wide variety of groups, organizations, businesses, and academic institutions. The FBI has met with top officials from academia as part of our ongoing engagement on national security matters."

While law enforcement agents have discussed university monitoring of other nationalities as well, these FBI briefings addressed visitors from China in particular who are involved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
Article continues after sponsor message




WORLD
Stopping Key Tech Exports To China Could Backfire, Researchers And Firms Say

Such FBI requests are advisory, not mandatory. Administrators say the universities briefed by the FBI have not yet implemented additional monitoring protocols. They say they have pushed back because of skepticism of the threat level and because the FBI requests lack specificity in implementation.


WORLD
U.S. Move To Isolate Huawei Sends Ripples Through Global Supply Chain

Separately, intelligence officers have also briefed hundreds of American CEOs, investors and think tank experts on Chinese cybersecurity and espionage threats. "What we provide them is the classified information that we get from the collection priorities of China specifically: What they're trying to collect on, what they're interested in our campuses," William Evanina, director of the National Counterintelligence and Security Center, told NPR.

This March, U.S. intelligence officials briefed about 70 college administrators of the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according to university participants. The officials said the presidents should increase oversight of Chinese researchers and avoid research funding from Chinese firms like Huawei.

The presidents were "skeptical of many of the claims, but many of them receive U.S. government research money," says a participant briefed at the meeting and who is not authorized to speak publicly.

The nation's primary biomedical research agenc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is now investigating grant recipients for not disclosing collaboration or funding from China and for sharing peer-review grant material with Chinese researchers. "Foreign entities have mounted systematic programs to influence NIH researchers and peer reviewers," warned NIH Director Francis Collins in a memo sent to more than 10,000 research institutions last August.


WORLD
GitHub Has Become A Haven For China's Censored Internet Users

In May, the Commerce Department put Huawei on a trade blacklist, which prevents U.S. companies from selling products to the Chinese telecom firm without federal authorization. But the pressure to divest from research collaborations with Huawei and ZTE, another telecom company, began early last year, said three university administrators.

"For months up until [May], government officials were saying, 'We really don't think you should be doing business with Huawei,' " says Cate. "We said, 'Why don't you put them on a list and then we won't do business?' And they're like, 'Oh, the list process is way too slow.' "

The FBI visits have caused uncertainty among U.S. academics about whether to accept federal grants for research that may involve Chinese scholars. "We don't say you can't, because we don't have any legal authority to say they can't," Cate says. "But we say you should be aware there may be some sensitivity about this."

Several university presidents have issued statements this year reaffirming their commitment to Chinese researchers and students.

Last month, Yale University's president, Peter Salovey, said he was "working with my presidential colleagues in the Association of American Universities (AAU) to urge federal agencies to clarify concerns they have about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s. The AAU has encouraged agencies to use the tools already in place, such as export controls, while affirming the principle of open academic exchange for basic research."

Salovey's office declined to comment further when contacted by NPR.

Universities and companies use software that automatically reviews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s, commercial transactions and other exchanges and then matches them up with existing blacklists to ensure they do not violate export control laws.

Numerous universities, including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tanford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Illinois, have already cut off research collaborations with Huawei.

Besides Huawei, no other Chinese entities singled out to universities by the FBI are currently on a trade blacklist, according to the three university administrators.

That means any monitoring of specific Chinese individuals at the university level would have to be done manually, when admitting or employing them, possibly leaving a wide margin of error during evaluation.

"You're really looking at compliance systems that have to be rolled out on a department-by-department basis and person-by-person level to see if you're sticking research data in an envelope and mailing it to China," Cate says.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long accused China of stealing American technology, a key factor behind the trade war between the two countries.

Enlarge this image


FBI Director Christopher Wray addresses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on April 26 in Washington, D.C. Wray spoke about "the FBI's role in protecting the United States from today's global threats."Alex Wong/Getty Images

As the mood in Washington, D.C., becomes more aggressive toward China, intelligence agencies have been visiting not just universities but also American tech companies to dissuade them from collaborations with Chinese entities.

"We have to wake this country up to what China is doing," Sen. Mark Warner, Va.-D, said at the Brookings Institution last month. "For this reason, I have been convening meetings between the intelligence community and outside stakeholders in business and academia to ensure they have the full threat picture and, hopefully, make different decisions about Chinese partnerships."

Chinese students have come under particular suspicion. More than 340,000 were studying in the U.S. last year,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Since last July,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particular,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must undergo additional screening, resulting in delayed visasfor hundreds of students.

In May, Republicans introduced legislation in the House and Senate that would deny visas to Chinese researchers affiliated with Chinese military institutions.

"The Chinese intelligence services strategically use every tool at their disposal — including state-owned businesses, students, researchers and ostensibly private companies — to systematically steal informa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FBI Director Christopher Wray said at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in April.

Former FBI agents say the bureau's recent visits to universities are merely an extension of long-running efforts to collaborate with the private sector and academia on national security issues.

"What the FBI has been doing is really more of an outreach and education program," says Todd K. Hulsey, a former counterintelligence official who retired from the FBI in 2014. Hulsey explained that such meetings began as early as two decades ago over concerns that Chinese student associations were fronts for Chinese intelligence recruiting: "It's to let these universities know that there is an existing threat to our economy."

National security concerns at universities increased after the 1991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which sent a wave of former Soviet bloc researchers to the U.S., says Edward Shaw, a former FBI special agent who retired in 2014.

Even back then, however, government agencies contacted universities with specific individuals of concern rather than presenting a broad list of institutions.

"It's casting a wide net," says Shaw. "When you're getting information from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other trusted sources that a specific person is in the country and you are more targeted, you're using your resources better."

NPR national security correspondent Greg Myre contributed reporting.

리처드 왓모어, 『지성사란 무엇인가?』, 서론 초벌번역[서언 추가]



리처드 왓모어, 『지성사란 무엇인가?』, 서론 초벌번역[서언 추가]




리처드 왓모어, 『지성사란 무엇인가?』, 서론 초벌번역[서언 추가]BeGray
2018.10.11 02:41댓글수8공감수 7


아래는 Richard Whatmore의 저작 _What is Intellectual History?_의 서론(introduction, pp. 1-11)을 한국어로 옮긴 초벌번역문이다. 다른 포스팅에도 언급한 바 있지만, 얼마 전 왓모어의 책을 읽으면서 한국의 학생 및 연구자들에게 지성사 방법론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라도 꼭 번역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뒤에 좀처럼 여유가 나지 않다가 간신히 어제 하루를 내어 서론만이라도 옮겨볼 수 있었다. 급하게 번역한 초벌원고인만큼 지금 다시 보니 첫 문장부터 마음에 들지 않는데, 어차피 만약 번역출간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전부 수정교열을 거칠테니 당장은 어색하더라도 손대지는 않겠다. 물론 실제로 옮기면서 확실히 붙잡지 못했다고 생각한 부분이나 대략의 뜻만 통하게 해두고 넘어간 대목이 여럿 있는터라 부족한 지점에 대한 지적은 감사하게 받겠다. 현재는 이 책의 한국어판 저작권을 구매한 출판사가 있는지부터 시작해 많은 것이 불투명한 상황이지만, 만약 늦지 않게 번역을 내어 많은 독자들에게 유용하게 읽힐 수 있다면 무척 기쁠 것이다.





[20181012- 서언(Preface, pp. vii-ix) 초벌 번역을 추가]











한국어 초벌번역: 리처드 왓모어, 『지성사란 무엇인가?』,

(Richard Whatmore, What is Intellectual History?, Cambridge: Polity, 2016)

역자: 이우창 / BeGray

최종 작업시점: 2018년 10월 12일



[p. vii] 서언(Preface)



이 짧은 책의 목적은 일반적인 독자들이 지성사란 무엇이고 지성사가(知性史家, intellectual historian)가 무엇을 하는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도록[to give ... a sense of?] 하는 것이다. 지성사는 현재 매우 활동적인 연구분야이다. 현재 역사학의 전지구적 전환, 트랜스내셔널적 전환, 비교연구적 전환(comparative turn), 공간적 전회, 시각적 전환(visual turn), 그리고 국제정치적 전환(international turn)에서 지성사가들은 최전선에 있다. 과학적 학설(scientific doctrines), 정념, 감각을 연구하는 지성사도 있고, 도시계획과 민족국가의 지성사도, 식인과 (보다 자연적인 형태의) 소비의 지성사도, 노동계급이나 전기(傳記), 찬송가(hymn)를 연구하는 지성사도 있다. 지성사를 정의하려는 그 어떤 시도도 모든 영역을 포괄하기란 불가능하게 보일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지성사를 정의하려는 시도는 또한 누군가의 개인적인 면모를 포함할 수밖에 없으며 희망컨대 그러한 약점이 이 책과 같은 입문서에서는 허용될만한[forgivable?] 것이길 바란다. 지성사를 정의하는 책은 과학의 지성사, 예술 또는 음악의 지성사, 혹은 인류학과 같이 1950년대부터 주목할 만한 저작을 배출해온 여러 분야들을 보다 직접적으로 다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근래에는 지성사와 철학사와의 관계, 지성사와 문학사와의 관계 또한 연구자들을 위한 비옥한 토양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독자들에게 이러한 영역들에 대한 유용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내가 이 책에서 하고자 하는 일이다. 책의 내용은 어쩔 수 없이 나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정해졌다. 나의 관심사는 지금은 전통적인 경로라 부를만한 과정을 통해 발전해왔다. 1980년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받은 일은 행운이었는데, 나는 그곳에서 [p. viii] 학생의 영감을 고취하는 “1750년 이전의 정치사상”과 “1750년 이후의 정치사상”이라는 제목이 붙은 두 과목의 학부수업을 통해 지성사에 입문하게 되었던 것이다. 당시에는 존 던, 마크 골디, 던컨 포브스, 퀜틴 스키너, 개러스 스테드먼 존스, 리처드 턱 및 다른 전문가들이 수업과 지도(tutor)를 맡고 있었다. 졸업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한 해를 보내면서야 나는 이미 스스로가 매우 독특한 지적 유파[tribe?]의 구성원이 되어 있었음을 깨달았다.

매사추세츠 주에 있는 케임브리지[, 즉 하버드 대학교]에서 나는 비할 바 없이 뛰어난 주디스 슈클라(Judith Shklar)의 수업 “계몽주의 정치 이론”(Enlightenment Political Theory)을 수강했다. 슈클라는 수업을 듣는 대학원생들이 지금 다루고 있는 역사적 저자의 텍스트와 현재의 정치적 물음을 연결시키도록 고무했다. 핵심은 과거의 저자들이 오늘날의 논쟁들을 마주한다면 어떠한 입장을 취할지 생각하는 데 있었다. 그런 식으로 상세하게 논의된 주제 중 하나가 ‘몽테스키외라면 미국의 국기를 불태웠을지의 여부’였다. 나는 이 토론이 괴상하다고[odd?] 생각했는데, 이는 그런 질문에 답변하기 위해 고민하는 일에 별다른 의미가 있는 듯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당시의 나에겐,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그런 식의 논의가 몽테스키외에 대해서든 정치사상의 (그게 역사적인 것이든 동시대적인 것이든) 본성에 대해서든 우리의 앎에 어떠한 기여도 해주지 못하는 듯 보였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나는 역사적 인물들의 저작을 읽을 때 핵심은 그들이 그들 자신에게 중요한 쟁점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있다고 배웠던 것이다. 과거의 저작이 현재의 정치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으나, 그러한 연관성은 복잡하고 간접적일 것이었다. 그와 대조적으로 슈클라는 그녀의 세미나를 수강하는 학생들이 자신들이 읽는 텍스트에서 논증을 찾아내어 그것을 현대의 논의와 견주면서 논하고 평가하고 판단하기를 바랐다. 슈클라는 학생에게 항상 질문하고 그 질문에 학생들이 스스로 답변을 내놓도록 독려하는, 많은 영감을 주는 선생님[teacher?]이었다.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만났던 튜터[tutors?]들과 달리, 그녀는 수업에서 어떤 주제를 다룰 때 자신의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며, 세미나를 과거에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exercise?]으로 바꿔버리지도 않았다. 나는 슈클라가 18세기 정치에 대하여 내가 평생 도달할 수 있는 수준보다[than I would ever have?] 더 높은 경지의 이해력을 지녔음을 알고 있었기에, 또 그녀가 바로 그걸 가르쳐주기를 원했기 때문에 더욱 절망스러웠다.

이 지점에 오면 내가 지성사를 어떠한 접근법에 기초하여 이해하는지가 분명해질 것 같다. 일부 독자들은 나의 입장에서 내가 흔히 지성사의 “케임브리지 학파”라 불리는 집단에 소속되어 있음을 선언하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사람들은 케임브리지 학파를 종종 지성사란 정치사상사(history of political thought)와 같다는 식의 주장과 엮고는 한다. [p. ix]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케임브리지의 저자들 및 다른 곳의 지성사가들에게 사상의 역사[history of ideas?]는 항상 정치보다 더 중요한 주제였으며, 어쨌든 정치는 경제학, 인류학, 자연철학 또는 여러 다른 분과영역을 통해서도 연구될 수 있는 대상이었다. 이 책의 목표 중 하나는 케임브리지 학파와 같은 라벨이, 비록 그것이 지성사의 정당성을 마련해준 일련의 선구적인 저작[path-breaking justifications of intellectual history?]들을 설명할 때 유용한 면이 있지만, 오늘날에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음을[can be abandoned?]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명칭은 더 이상 가장 뛰어난 몇몇의―그들 중 많은 수가 어떤 식으로든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연결되어 있긴 하지만―지성사가들에 의해 제기된 연구문제[research question?]를 말하는 용도로 쓰이지 않는다[no longer describes?]. 우리는 일반적으로 케임브리지와 엮이곤 하는 지성사가들이 영어권 전반에서 모방되고 있는 지성사의 다양한 접근법을 대변한다는 사실을 알아차릴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정치사상사가라는 꼬리표로 묶이곤 하는 개별적인 연구자들이 지성사의 확립에 기여한 바가 간과되어선 안 된다. 여기에서 그들 중 일부는 계속해서 지성사가들을 위한 의제를 설정해왔다는 사실을 강조해두자. 이 책에서 활용하는 논의[the arguments?]의 사례 중 다수는 정치사상사, 특히 장기 18세기 정치사상사에서 가져온 것들로, 이는 그곳이 내가 가장 자신 있게 다룰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This is the ground where I feel most secure?]. 이 책의 초고를 읽어준 익명의 검토자 한 명은 책 제목이 “정치사상사란 무엇인가?”가 되어야하는 게 아닌지를 묻기도 했다. 나의 의도는 지성사에 대한 입문서를 쓰는 것, 그리고 그러한 작업을 통해 여전히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학문분야들의 관계를 다루는 것이었다. 다른 곳에서도 말한 바가 있지만, 이 책이 제기하는 요점 중 하나는 지성사가 지금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는 것이다. 현재의 지성사를 구축한 창립자들 중 여럿은 이제 자신들의 최후의 작업이라 할 만한 저작들을 출판하고 있다. 동시에 이러한 선도적인 인물들이 보여준 방법과 사고방식이 여러 새로운 연구분야 및 문제에 적용되고 있는 중이다. 지성사가 이제 어디로 향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1p] 서론(Introduction)



잉글랜드 북서부 컴브리아의 윈더미어 호(湖) 동편 Ecclerigg Crag 에는 채석장이 하나 있었고, 그곳에서 생산한 슬레이트와 석재는 지역에서 중요한 건축물의 자재로 쓰이곤 했다. 18-19세기에 번성했던 채석장은 전용 부두가 따로 있었을 정도로 컸다. 역사의 일부가 된 그곳의 터에는 지금 호텔이 들어서 있고, 호텔 공터에는 커다란 평판 다섯만이 남아 있다. 수면 위아래에 놓인 임시로 덧댄 바위[ad hoc rocks?]에 더하여, 평판의 기반암에는 정교한 조각이 새겨져 있다. 그중 일부는 1835년에서 1837년 사이에 새겨진 것으로, 당시 채석장에 고용되었던 석공 장인 한 명이 자청하여 맨 슬레이트 위에 메시지를 적어놓았다. 조각에는 “넬슨”, “뉴턴”, “월터 스콧”, “워즈워스”, “제너”, “험프리 데이비”, “리처드 왓슨” 등 국민적·지역적으로 중요했던 명사들의 이름과 함께 그곳의 소유주였던 “존 윌슨”의 이름도 새겨져 있는데, 호반파 시인들의 친구이기도 했던 윌슨은 『블랙우즈 매거진』에의 기고와 에딘버러 대학교 도덕철학 교수직 재직(1820-51)으로 현지에서 잘 알려진 저명인사였다. 지역 학교에 기부한 여러 개별 인사들과 함께 도로 보수로 명성을 쌓은 “존 러든 매커덤”의 이름도 들어가 있다. 가장 커다란 평판 중 높이가 거의 5미터에 달하는 것을 보면 거대한 글자체로 쓰여진 “국채 8억 파운드 / 오, 하늘이시여, 우리나라를 구하소서! /[2p] 조지 3세, 윌리엄 피트 / 돈은 전쟁의 핏줄 / 웰링턴 육군 원수 / 영웅적인 넬슨 제독”이라는 문구가 석공 장인의 의견을 선언하고 있다.

역사가는 이 부조를 보면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사회사가는 아마 채석장 노동자들의 사회적 위치, 노동조건, 작업장 너머의 삶과 함께, 계급, 젠더, 의례, 정체성 등을 참고하여 그들이 살아간 사회의 성격에 대한 정보를 찾아내고자 할 것이다. 경제사가는 노동자들의 비교임금, 당시의 경제적 조건, 그리고 현지의 다른 업계와 비교할 때, 보다 일반적으로는 국가적 경향과 비교할 때 채석장 고용의 상대적 위치가 어떠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찾아내고자 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연관된 조각들을 찾고 감정하는 일이 있을 수도 있다. 문화사가는 개인과 사회집단이 스스로를 표현하는 국민적, 지역적, 혹은 현지의 담론에 대해 숙고하거나, 좀 더 나아가 구체적인 역사적 인물들과 보다 넓은 사회집단 사이의 관계를 그려보면서 그들 간의 권력관계를 분석하고자 할 것이다. 지성사가는 말, 언어에서 출발해야만 한다. 부조의 제작자가 조각을 새기면서 전달하고자 하던 게 무엇이었을까? 왜 그는 바로 정확히 이러한 방식을 채택했을까? 그가 다른 곳에서 진술한 주장들은 어떠한가? 그러한 주장들의 계보는 어떠했으며 그것들은 어떻게 수용되었나?

지성사가의 작업은 특히 메시지의 뜻을 판별하기 어려운 경우, 혹은 이번 사례에서처럼 말이 혼자 새겨져 있거나 경구 풍을 띠는 경우에 어려워질 수 있다. 부조에 언급된 여러 개인들의 이름을 추적하는 작업은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 이름들은 현지의 지도적인 인사들에 대해 알고 있으며 그들의 지위를 겉으로나마 존중하는 사람, 특히 빈민을 위한 학교에 기부하는 일을 포함하여 자선행위를 높이 평가하는 사람의 존재를 보여준다. 그것은 또한 기술적 발명, 과학, 시와 문예, 군사적 용명과 영웅적 행위에 대한 존경심을 잘 드러낸다. 이름만 갖고는 이 이상으로 나아가기는 어렵지만, 평판 위의 문구들에 담겨진 주장들에 대한 분석이 남아있다. 문구는 나라가 국채로 인해 통탄할 만한 지경에 빠졌으며, 저축(saving)이 필요한 상황임을 말한다(“오, 하늘이시여, 우리나라를 구하소서![Save My Country]”). “돈은 전쟁의 핏줄”이라는 문구에서는 돈과 전쟁의 관계에 대한 명백한 적대감이 나타난다. 이러한 주장 곁에는 윌리엄 피트가 두 번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제작자가 피트를 [3p] 이전 세대의, 넬슨과 웰링턴에 대한 언급을 고려하면 아마 제작자 본인이 젊었을 시절의 전쟁광으로 생각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비록 이를 확인하는 일도 부인하는 일도 불가능하지만) 떠올리게 한다. 한편으로 전쟁의 규모와 결과에 한탄하면서 그러한 위인들의 탁월함을 애국적인 어조로 찬양하는 일은 그 세대에는 전형적으로 가능한 일이었다.

보다 유의미한 사실은 “오, 하늘이시여, 우리나라를 구하소서!”라는 인용구가 묘비명, 로체스터의 주교였으며 1732년 파리에서 망명 중 딸의 품에 안겨 사망했으며 바로 그 문구를 말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was held to?] 프랜시스 애터버리 박사를 위해 알렉산더 포프가 쓴 묘비명에서 바로 가져온 것이라는 데 있다. 애터버리 자신의 비문은 잘 알려져 있었는데, 사실 글귀는 다시 또 위대한 베네치아의 역사가 파올로 사르피 신부의 비문에서 가져온 것이었다. 신부는 임종의 자리에서 “베네치아가 지속되도록 하소서”(Esto perpetua)란 말과 함께 베네치아가 독립적인 주권권력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리라는 희망을 밝혔던 것이다. “돈은 전쟁의 핏줄”이라는 주장은,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프랜시스 베이컨이 이에 반박한 바가 있는데, 키케로의 필리포스 탄핵연설 제5편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라블레에서 테니슨에 이르는 다양한 저자들에 의해 되풀이되었다. 이러한 문구들은 Ecclerigg Crag의 석공 장인에게 어떤 의미를 지녔을까? 문구들은 18세기 문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사치와 상업사회의 확장을 한탄하며 또한 방탕한(libertine) 정념, 전쟁, 늘어나는 부채가 전자에 상응하여 무제약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모든 사회가 맞이할 끔찍한 결과를 예측하고 있었다. 데이비드 흄의 『정치적 논설』(Political Discourses)에 에세이 「국가신용에 관하여」(Of Public Credit)는 나중에 석공 장인이 물려받게 될 애가(哀歌) 문학의 훌륭한 예를 보여준다. 흄은 날이 갈수록 국채가 유럽의 국민국가에 가져오게 될 결과에 더욱 절망했고, 당시의 국제관계에 초래될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 도자기 가게에서 곤봉을 갖고 논다는 독특한 이미지를 사용했다. 요점은 도자기가 결국 박살나게 되는 것처럼, 이미 국가가 막대한 부채에 빠져버린 나라의 국내 경제와 시민 사회도 마찬가지의 운명을 맞이하리라는 데 있었다. 혁명 프랑스 그리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의 전쟁기간 동안 부채에 대한 공포는 정점을 찍었는데, 당시 부채는 총 국내 생산의 250%를 초과하였으며 이는 지금껏 한 번도 도달한 적이 없는 수치였다. 윌리엄 피트와 부채의 연계는 당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특히 1797년 정부가 영란은행의 금태환 의무를 정지시켰을 때 명확했을 것이다.

[4p] 부채로 인한 파산이나 전쟁에 대한 두려움은 데이비드 흄을 포함한 18세기 국민생활의 관찰자들의 눈에 영국(Britain)이라는 국가가 몰락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주원인이었다. 후대의 시점에서 보는 우리는 이후 “산업혁명”이라 불리게 되는 것의 불꽃과 연기를 18세기에서 읽어낼 수 있다. 어떤 역사가들은 영국 역사에서 18세기만큼 커다란 경제성장이 이루어졌던 때는 없다고도 주장한다. 마찬가지로 배질 윌리(Basil Willey) 및 다른 이들은 해당 시기를 자신감 가득한 빅토리아 시대의 전주곡으로서 국가적 안정성이 증대하던 때로 특징짓는다. 하지만 당시 사람들에게 18세기 영국은 위기에 빠진 신생 국가로서, 부채, 전쟁뿐만 아니라 제임스 2세 지지자들과 하노버 왕가 지지자들 간의, 휘그와 토리 간의, 국교도, 카톨릭, 비국교도 간의, 그리고 사회의 상업화를 옹호하는 이들과 적대하는 이들 간의 정치적 분열로 병들어 있는 곳이었다. 국가의 몰락이 곧 닥쳐오리라는 사실이 예견되어 있다는 점을 빼고 지금 미래가 보인다고 믿는 논평자는 거의 없었다. 거대한 변화가 목전에 놓여있다는 관찰은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고 불확실성의 감각이 만연했다. 애덤 스미스나 장-루이 드 롬(Jean-Louis de Lolme)처럼 영국의 전망을 바라봄에 있어서 침착하기로 정평이 나 있거나 심지어 낙관적인 것으로 유명한 저자들조차도 지금의 상황이 안정적이거나 지켜낼 가치가 있다고[worth preserving?] 생각하지는 않았다. 영국의 몰락과 패전을 예측하는 애가가 훨씬 더 만연했던 것이다.

영국이 프랑스 혁명가들 및 나폴레옹과의 전쟁에서 살아남아 경제·정치적인 권력에서 볼 때 유럽을 선도하는 국가로 부상하기까지 한 것은 그처럼 일군의 관찰자들이 보여준 의구심을 고려할 때 더욱 놀라운 일이었다. 그러나 다른 많은 나라들이 영국의 정체(polity)와 경제를 본받을 모델로 여겼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지성계에는 지금의 대성공이 진짜가 아니며 영국은 필연적으로 몰락할 것이고 자연스럽지 않은 발전이 정점을 찍은 끝에 도달한 정치적·상업적 우위는 더 지속될 수 없으리라는 느낌이 가득했다. 18세기의 부채 수준은 1830년대에 이르러서도 오직 매우 부분적으로만 감소했으며, 영국의 몰락을 한탄하는 오랜 비가(悲歌)는 여전히 메아리치고 있었다. Ecclerigg Crag의 석공 장인은 정확히 이러한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는 국가적 파멸에 대한 이전의 묵시록적인 두려움이 1830년대에도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그가 조각한 내용은 특정한 관념들이 지속되었다는 사실을, 그리고 ‘균형의 시대’(age of equipoise) 직전에조차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계속해서 이어졌다는 사실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5p] 석공의 언어가 중요하다면, 이는 우리가 그로부터 초기 빅토리아 시기에 대한 (때때로 망각되곤 하는) 관점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석공이 남겨놓은 언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과정은 과거의 사상을 접하는 우리에게는 숨겨져 있는 것, 즉 후대인들에 의해 버려졌거나 거부당하여 망각된 과거의 관념과 사상을 찾아 읽어내는 지성사의 역량을 잘 보여준다. 지성사가는 사라진 세계를 복원하기 위해, 과거의 폐허로부터 여러 관점과 관념을 되찾아내기 위해, 과거의 베일을 걷어내고 어떻게 그러한 관념들이 과거에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옹호자들을 설득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관념은, 그리고 그것이 만들어낸 문화와 실천은, 어떠한 이해 행위에서도 꼭 필요한 기반이 된다. 자유, 정의, 또는 평등과 같은 개념들을 명료하게 풀어내야만 하는 뛰어난 철학자들은 관념을 통해 자신의 활동을 표현한다. 문화적으로 중요한 인물들 또한 어느 사회에서든 관념의 표현을 통해 활동하며, 이는 어떤 형식의 것이든 대중문화를 상세히 재현하는 이들에게도 마찬가지다. 후자의 예를 한 가지 들어보자. 박물학 연구자이자 작가로 1927년 『수달 타카의 일생』(Tarka the Otter)의 출간 이후 유명해진 헨리 윌리엄슨(Henry Williamson)은 1964년 BBC 다큐멘터리에서 세계 대전에 관해 인터뷰를 받은 적이 있다. 그는 유혈 낭자했던 제1차 이에페르 전투의 여파가 아직 남아있던 1914년 크리스마스 날을 떠올렸다. 당시 기관총 부대의 이등병으로 플랜더스 참호에 있던 그는 독일 병사들과 친해졌는데, 그들은 전선의 위치에 따라[depending on the location along the line?] 수 시간에서 수 일 정도까지 지속될 영국군과의 자발적인 휴전을 막 결정지은 참이었다. 이 기간 동안 한 독일 병사와 이야기를 나누게 된 윌리엄슨은 독일 측이 “조국과 자유를 위해” 싸우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윌리엄슨은 독일이 전쟁을 시작했으며 자유를 위해 싸우고 있는 것은 영국 측이고 신과 정의는 의심의 여지없이 영국의 편에 있다고 응수했다. 윌리엄슨은 동부 전선에 있는 러시아의 힘으로 인해 전쟁이 곧 끝날 거라고 덧붙였다. 독일 병사는 다시 러시아 군이 와해 직전이기에 독일이 곧 승리할 것이며, 둘 중 어느 쪽도 상대방을 납득시키는 일이 불가능하니 논쟁의 의미가 없다고 답변했다. 이 때 의견을 주고받은 경험은 윌리엄슨의 전쟁관을 바꾸어놓았다. 그는 왜 양측의 병사들이 자신이 정의롭다고 확신하게 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없었다. 그리고 그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p6] 수많은 사람의 죽음과 국가들의 파괴만을 낳는 소모전으로 바뀌어버린 전쟁은 무의미해져버렸다[?\. 이후 1930년대에 윌리엄슨은 파시즘이 당시 서구 민주주의가 결여한 듯 보였던 어떤 도덕적 확실성을 제공한다는 믿음에 따라 그에 매력을 느꼈는데, 이는 영국과 독일 양측 모두 자신의 대의가 절대적으로 옳다고 확신하고 있음을 알게 된 1914년의 이데올로기적 깨달음이 초래한 직접적인 산물이었다. 그러한 확신을, 그 기원과 본성, 한계를 설명하는 일이 정확히 지성사가들이 (이상적으로는 어느 한쪽의 극단주의에 빠져들지 않으면서) 하고자 하는 일이다.

우리는 대중문화에서도 추가적인 예를 찾아낼 수 있다. 존 버컨(John Buchan)의 소설 『39계단』(The Thirty-Nine Steps, 1915)을 1935년 앨프리드 히치콕이 처음으로 영상화하여 개봉한 동명의 영화를 보자. 기관차 플라잉 스코츠맨(Flying Scotsman) 호가 에딘버러 웨이벌리 역에 도착한 장면에서, 추적을 피해 도망치는 주인공 리처드 해니(Richard Hannay)와 같은 칸에 탄 두 명의 잉글랜드인 여성속옷 판매업자 중 한 명은 그가 처음으로 마주친 (열차 창문을 통해 신문을 팔고 있는) 스코틀랜드인에게 “영어는 할 줄 아니?”(Do you speak the language?)라고 묻는다. 잠시 후, 해니가 에딘버러의 로랜드 북쪽에서 경찰에게 쫓기는 대목에서, 한 농부가 추위에 얼어붙은 해니에게 자신의 코트를 주었다는 이유로 부인을 때리기 시작한다. 나중에 『노인 부대』(Dad's Army)로 유명해지는 존 로리(John Laurie)가 분한 농부는 해니에게 입을 다무는 대가로 돈을 받은 뒤 다시 그를 경찰에 팔아넘기려는 사악하고 잔인하며 반사회적이고 거짓된 인물로 재현된다. 이처럼 전간기에 영국인들이 스코틀랜드인들에게 가졌던 편견을 한껏 드러내는, 그리고 스코틀랜드 칼뱅주의를 위선적이고 자기중심적이자 야만스러운 교리로 그려내는 영화적 재현은 그러한 민족적 스테레오타입이 기원, 유행, 쇠퇴하는 배후에 있는 관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면밀히 검토될 가치가 있다. 변형된 관념의 효과를 보여주는 보다 최근의 예로는 필립 K. 딕의 1968년 작 소설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를 원작으로 리들리 스콧이 감독한 1982년작 영화 『블레이드 러너』(Blade Renner)를 꼽을 수 있다. 2019년 로스앤젤레스의 디스토피아적 풍경을 그리는 이 영화에서, 거의 모든 등장인물은 끊임없이 담배를 피운다. 리들리 스콧이든 필립 K. 딕이든 세기가 바뀌어 2000년대가 되고나서 곧바로 다음과 같은 변화가 벌어질 것을 알 수는 없었다. 즉 흡연행위는 이제 더 이상 등장인물의 상태와 그가 취하리라고 짐작되는 태도를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대신 이 영화가 상상의 미래보다는 전후 시기에 대해 관한 작품임을 알려주는, 작품의 연대를 짐작하도록 하는 장치가 되었던 것이다. 복잡한 철학적 [7p] 발화를 다루든, 장기간에 걸친 문화적 실천, 혹은 국민적 편견이 자연스레 표현된 산물을 다루든, 지성사가들은 그러한 의견의 기원과 확산범위[extent?]를 설명하고자 하며, 이때 그 역사는 결코 간단하지 않다. 엘리자베스 라브루스(Elisabeth Labrousse)가 피에르 벨(Pierre Bayle)의 『역사적·비판적 사전』(Historical and Critical Dictionary, 1697)에 대해 쓴 내용을 보자:



관념의 역사는 다음 사실을 알게 해준다. 어떤 작품이 일단 그것이 원래 속해 있던 사회·역사적 맥락이 제거되고 보편적인 메시지를 담아내는 것으로 읽히는 과정에서, 작품은 기계적인 반복이나 관념의 정확한 성찰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텍스트의 해석을 찾아가는 애매모호함, 오해, 시대착오를 통해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삶과 관념을 재현하는 수많은 사례들은 미래에는 지금의 환경이 변화하리라는 기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So many representations of life and ideas are concerned with anticipations of expected altered circumstances?], 역사가 자신이 예언의 능력을 지녔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가지고 노는 일은 전형적이다.

이 모든 것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주장에 도달한다. 비록 경기순환이나 인구변천단계(demographic regimes), 수확고 등등을 연구하거나 하는 경우에서처럼 관념의 역할을 간과하는 게 가능해보일지 모르지만, 실제로 인간의 역사를 이해할 때 관념은 결코 도외시될 수 없다는 것이다. 모든 사람은 생각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사유를 매우 다른 외피들을 통해 제시한다.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 사람들이 진술하는 관념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관념들이 그것들을 형성한 보다 넓은 이데올로기적 문화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일은 섬세한 재구성의 노력을 요구한다. 관념의 의미를 알아내는 과제는 오직 역사적 해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그런 점에서 지성사는 인류학 및 연관 사회과학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민속지적 탐구작업과 매우 유사하다. 이는 클리퍼드 기어츠의 유명한 논문 「중층기술: 해석적 문화이론을 향하여」(Thick Description: Toward an Interpretive Theory of Culture)에서 가장 잘 묘사된 바 있다―기어츠는 문화가 기호(학)적이라는 지점에서 출발하는데, 이는 “인간은 자기 자신이 자아낸 의미라는 거미줄에 매달려 있는 동물”(man is an animal suspended in webs of significance he himself has spun)이기 때문이다.

기어츠의 용어 “중층기술”은 길버트 라일(Gilbert Ryle)의 유명한 사례에서 가져온 것으로, 라일은 자신의 오른쪽 눈꺼풀을 오므리는 두 소년의 예를 든다. 눈꺼풀의 씰룩거림은 어떤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이다. 다른 경우에 같은 동작은 때로는 친구들에게 의미를 전달하는 메시지가 된다. 이제 세 번째 소년은 윙크와 씰룩거림을 패러디하기 시작한다. 중층기술은 이런 예에서는 [8p] “씰룩거림, 윙크, 거짓 윙크, 패러디, 패러디 연습과 같은 행위들이 생산되고, 인지되고, 해석되는 의미구조의 계층화된 위계질서”(stratified hierarchy of meaningful structures in terms of which twitches, winks, fake-winks, parodies, rehearsals of parodies are produced, perceived, and interpreted)를 복원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중층기술”이란 용어는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나는 아직까지 그의 출판물이나 사적인 글쓰기에서 해당 표현을 찾아낼 수 없었다. 하지만 중층기술은 벤담이 특정한 관념의 의미를 설명할 때 추천한 일련의 절차에 잘 부합한다. 벤담은 여러 차례에 걸쳐서, 그리고 파리의 국민공회를 대상으로 설명할 때는 긴급한 태도로 다음과 같은 요점을 말한 바 있다. 정의나 자유와 같은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이해하기란, 마치 눈꺼풀의 움직임이 씰룩거림인지 윙크인지 알아차리기 힘든 것처럼, 어려울 수 있다. 해결책은 언어의 용법에 대한 정보를 가능한 많이 수집하여 작업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유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려주는 예시들을 참고하지 않는 한, 프랑스인들이 자유의 확립과 제국의 추구를 혼동하고 있다고 벤담 자신이 지적했듯 우리도 혼란에 빠지기 쉽다. 그에 따라 벤담은 자유가 무엇을 의미하고 또 함축하는지를 매우 정밀하게 살피고자 했고, 그러한 과정에서 자유가 강자가 약자를 착취하는 상황을 돕는 도구로 사용되는 예에서처럼 그것이 종종 “강제된 자유”(forced liberty)를 뜻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올림픽 대회가 단순히 조직화된 행정부의 유사한 형식을 지녔을 뿐인 시합들인지 아니면 건강하고 몸에 좋은 운동을 원하는 광범위한 욕망의 산물인지의 여부, 또는 암브로시우스 보스카르트(Ambrosius Bosschaert), 페테르 클라스(Pieter Claesz), 얀 다비드존 데 헤엠(Jan Davidszoon de Heern) 등 네덜란드 황금기의 정물화 화가들이 해골, 동물, 꽃, 곤충을 그릴 때 올바르게 살아가고 죽는 방법의 엠블럼, 유비, 상징물로 간주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튤립, 도마뱀, 나방을 그린 것뿐인지의 여부 등을 파악하는 작업은 오직 인간사회의 의견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엄밀하게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 모든 사실에도 불구하고, 지성사는 종종 혹평을 받곤 한다. 지성사는 오래 전부터 역사가, 철학자, 사회이론가들의 비판을 끌어왔다. 역사분석에서 전기적(傳記的) 정보를 토대로 특정 집단의 공통된 특성을 도출해내고자 하는 집단적 인물연구[prosopography?]를 옹호한 루이스 네이미어(Lewis Namier)는 일찍이 1930년에 출간한 『미국 혁명기의 잉글랜드』(England in the Age of the American Revolution)에서 관념 연구를 “헛소리”(flapdoodle)로 치부했다. 그에 따르면 인간 존재를 움직이는 진짜 동인은 각자의 이해관계(self-interest)이기 때문에, 사회적 행위의 참된 원천을 가려버리는 관념에 대한 주목은 연구자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한다는 것이다. 이어서 다양한 철학적 [p9] 입장의 지지자들도 관념이란 오직 사회 변화를 실제로 추동하는 진정한 원인들, 가령 규제되거나 규제받지 않은 경제적 요인, 무의식적인 자아, 알지 못하는 대중[unaware masses?] 등에 대한 참조를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관념은 따라서 세계에 대한 정보의 원천 중에서도 이차적인 위치에 놓일 뿐이다. 진정한 연구란 그러한 요인[forces]들이 나타내는 특권적인 맥락을 발견하는 일이어야만 하며, 관념은 오직 이러한 요인들을 참조해서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안토니오 그람시는 언젠가 역사가 베네데토 크로체의 “비열한 본디오 빌라도주의”(despicable Pontius Pilatism), 혹은 지식인의 역할이 필연적으로 인민 대중의 이해관계와 분리되어 그 위에 놓인 것처럼 바라보는 태도를 비난한 적이 있다. 크로체는 어떠한 입장도 취하지 않는다고, 모든 사안에 어떠한 책임도 지고 싶어 하지 않으며 공적인 대의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려 하지 않는다고 비난받았다. 오늘날의 지성사가들을 겨냥해도 유사한 공격이 가해졌다. 지성사가들은 현실의 문제에 어떠한 관련성도 결여한 관념론자나 고물(故物)수집가, “책에 대해 말하는 책들”(books talking to books)만을 옹호하는 이들, 엘리트와 탁월한 인물들만을 다루는 연구자, 따라서 사회를 이해하지 못하며 관념 바깥의 인과적 요소에 대해서는 어떠한 믿음도 없는 사람들로 불려왔다. 이 책은 현재 지성사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실천을 볼 때 지성사를 향한 이러한 비판들 중 타당한 말은 단 하나도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지성사가들은 관념이 자체로 사회현상에 대한 일차적인 정보이며, 관념에 대한 참조 없이는 기술될 수 없는 우리의 세계에 관한 여러 사실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중요하다는 점을 받아들인다. 그런 점에서, 관념은 그 자체로 사회적 요인[social forces?]이다. 관념이 다른 요인들에 의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역으로 관념 그 자체는 항상 인간 세계에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사항을 제외하면, 지성사가들 사이에 별다른 방법론적 합의점은 없다. 부분적인 이유는 지성사가들이 각각 20세기 후반부 또는 그 이전에 발전해온 무척 다양한 철학적 흐름들로부터 태어났다는 데 있다. 그 흐름들 중 일부는 뒤쪽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한 가지 강조할만한 사실이 있다면, 지성사가들의 문제 중 하나는 그들이 인문학의 여러 분야에 걸쳐 있으며, 따라서 각자가 속한 특정한 분야의 지배적인 방식에 의거해 스스로를 규정하는 일을 끝없이 행해왔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난점 하나를 꼽자면 지성사가들이 동료 역사가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느냐는 종종 문제가 되어 왔다. 관념을 “진짜 역사”(real history)를 구성하는 여러 요인에 부수적인 요소 정도로 간주했던 “제대로 된”(proper) 역사가들에게 지성사가들이 불편한 감정을 느낀다는 것은 흔히 제기되어온 쟁점이다. 도널드 윈치(Donald Winch)는 언젠가 [10p] 지성사가들은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할 때마다 “원정 경기”(away matches)를 치르듯 하곤 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 다행히도 오늘날엔 그런 광경이 덜 일상적이다. 이 책의 목적 중 하나는 지성사가들이 공유하는 영토를 규정함으로써 그들이 자신들이 홈 팀에 소속된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대린 맥마흔(Darrin McMahon)과 새뮤얼 모인(Samuel Moyn)은 오늘날 지성사의 문제 중 하나는 특히 연구방법론과 관련해 더 이상 서로 간의 논쟁이 벌어지지 않는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1960-70년대에 방법에 대한 논쟁이 한창 전개되면서 지성사 분야에서 최고의 저작 여러 권이 함께 나온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전제에 따르면 우리가 서로와 논쟁하기를 멈출 때 우리는 현실에 안주하여 더 이상 탁월한 저작을 산출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지난 수십 년 간 역사의 철학을 다뤄온 가장 중요한 연구자들 중 한 명인 마크 비버(Mark Bevir)는 자신의 저작 『사상사의 논리』(The Logic of the History of Ideas, 1999)가 방법론적 탐구의 황금시대가 끝나는 순간에 등장했다고 말했다. 존 버로우(John Burrow)는 다른 시각을 제시했는데, 그는 방법론의 빈곤에 대한 글에서 과거를 심문하는 단 하나의 방법을 발견하는 데 혈안이 된 연구자들은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되기 쉽다고 주장했다. 다른 연구자의[one's?] 인식론적 전제를 심문하는 태도를 포함하여 버로우가 “방법론적 전체주의”(methodological holism)이라고 부른 것의 추구는 종종 과거를 무시하는 태도나 과거의 사상에서 낯설지만 아마도 정당화될 수 있는 성격[justiable nature?]을 이해하는 일의 실패를 수반했다. 케임브리지의 지성사가 이스테반 혼트(Istvan Hont)는 한발 더 나아가 “방법론은 멍청이들에게나 필요한 것이다”(methodology is for stupid people)라고까지 말한 것으로 유명하다. 한 가지 짚어둘 만한 지점은 앤서니 그래프턴(Anthony Grafton)을 포함해 현재 활동하는 최고의 지성사가들 중 여럿은 방법론적 논쟁을 삼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나는 그러한 논쟁에 반대하지 않지만, 이 책에서는 방법론적 논쟁을 전혀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연구분야에 대한 입문서일 뿐 그 이상을 의도하고 있지 않으며, 나 자신의 고유한 견해를 덧붙일 생각도 없다. 그러나 동시에 이 책은 논쟁적인 의견충돌을 고무하고자 한다.

이어지는 내용은 일반적인 층위에서 사상사 연구의 역사 및 그러한 작업들이 오늘날까지 어떻게 수행되어 왔고 또 충돌하고 있는지를 기술하고자 한다. 역사를 살펴본 뒤에는 지성사의 방법과 실천을, 그리고 지성사가들이 역사 연구를 [11p] 현재의 문제와 무관하게 만든다는 주장이 검토된다. 책은 지성사 분야에서 최근의 발전에 대한 추가적인 성찰[speculation?]로 마무리 된다. 이 책에서 지성사 연구 전반에 걸쳐 수행되고 있는 광범위한 사례를 기대하는 독자가 있다면, 내가 대체로 나 자신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영역에서 사례를 골랐다는 사실을 말해두어야만 하겠다. 지성사가 고대 사상의 연구에서는 제한적인 영향만을 끼쳤다는 점을 언급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고전학”(classics) 자체가 오랜 시간에 걸쳐 확립된 그 자신만의 학문 분과 및 전통을 보유한 영역이라는 데서 기인한다. 마찬가지로 덧붙여야 할 사항은, 여기서 라인하르트 코젤렉(Reinhart Koselleck),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레오 스트라우스(Leo Strauss) 등과 연관된 지성사적 접근에 대한 기본적인 안내를 제공하기는 하겠으나, 나의 주 초점은 퀜틴 스키너(Quentin Skinner) 및 존 포콕(John Pocock)과 이어진 연구방법 및 실천에 맞춰져 있다는 점이다. 내 생각에 후자가 영어권 지성사가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접근법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동시에 지난 수십 년 간 지성사가들의 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쳐왔다는 게 그 이유다. 당연히 모든 접근법 사이에는 유사점 및 겹쳐지는 지점이 있으며, 그중 일부는 책의 마지막에서 다뤄질 것이다. “케임브리지 학파”의 저자들에 초점을 맞추는 선택이 어쩌면 실수일지도 모른다. 나는 2014년 9월 스웨덴의 우메오(Umeå) 대학교에서 지성사 전공 대학원생들을 위해 열린 학회에 참석한 적이 있는데, 곧바로 분명해진 점은 누구도 포콕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고 스키너의 방법론 논문들을 공부해본 학생들도 없으며 그들의 연구에 가장 중요한 영감을 제공한 저자는 푸코라는 사실이었다. 그곳의 스웨덴 학생들이 주로 수행하는 연구는 20세기 기술사에 관한 작업이었으며, 그 가장 흥미로운 결과 중 하나는 그들 중 많은 수가 과학 전공에서 학부생들을 가르치는 일에 고용되어 있었다는 것이었다. 장소에 따라 사정도 달라지는 법이다.
#방법#지성사

좋아요 7
공유하기
글 요소구독하기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댓글 8댓글 쓰기

비밀글2018.10.13비밀글입니다.
댓글 컨트롤 레이어 펼침

BeGray2018.10.15감사합니다^^ 이번에 그 동료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게 목표입니다 ㅋㅋㅋ
댓글 컨트롤 레이어 펼침

정기인2018.11.17오 쑥쑥 잘 읽히네요 :) 일단은 서론의 역할에 충실하게, 그 이후의 책을 읽고 싶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댓글 컨트롤 레이어 펼침

BeGray2018.12.05ㅎㅎ 내년 중에 읽을만한 번역으로 만들어보겠습니다!
댓글 컨트롤 레이어 펼침

ㄱㄴ2018.12.01좋은 글이에요 번역잘하셨는데 겸손하시네요
댓글 컨트롤 레이어 펼침

BeGray2018.12.05감사합니다 :) 아직은 초벌이고 완성품은 책으로 찾아뵐 수 있을 것 같습니다 ㅎㅎ
댓글 컨트롤 레이어 펼침

후배2018.12.04이 책 원서를 읽으면 2017년에 올리신 읽기목록의 큰 흐름은 볼 수 있을까요?^^
댓글 컨트롤 레이어 펼침

BeGray2018.12.05전부는 힘들고 일부 주제와는 당연히 이어진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ㅎㅎ

What Is Intellectual History? by Richard Whatmore | Goodreads

What Is Intellectual History? by Richard Whatmore | Goodreads


Blank 133x176
What Is Intellectual H...
 
by
Richard Whatmore

What Is Intellectual History?

 3.78  ·   Rating details ·  18 ratings  ·  2 reviews
What is intellectual history? Those who practice intellectual history have described themselves as eavesdroppers upon the conversations of the past, explorers of alien ideological worlds, and translators between historic societies and our own, while their critics have often derided them as narrow-mindedly studying the ideas of dead white men. Some consider the discipline to be among the most important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ecause it facilitates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ideological programmes and facilitates their rational evaluation.

In this engaging and refreshing introduction to the field, Richard Whatmore begin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intellectual history, before dissecting its various methodological debates. He presents various alternative ways in which we should think about intellectual history, as well as presenting his own very clear definition of the field. Drawing on a wide range of historical examples, Whatmore shows how ideas - philosophical, political, religious, scientific, artistic - originated in their historical context and how they were both shaped by, and helped to shape, the societies in which they originated. He ends by casting a critical eye over the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 history, and a brief discussion of how it might develop in the future.

What is Intellectual History? will become an essential textbook for scholars and students of intellectual history, philosophy, politics, and the humanities.
 (less)

COMMUNITY REVIEWS

Showing 1-46
 3.78  · 
 ·  18 ratings  ·  2 reviews

 | 
Eliza
Sep 27, 2018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2018
I bought this book in Oxford after getting excited about Intellectual History in the first place. This book was really helpful in understanding it properly, though the middle part was a bit boring and unhelpful at times because the case-studies were so in depth. Nevertheless, I feel I now understand more what intellectual history entails and what challenges it brings. Now on to study the relation with literary studies in general.
Karthick
Dec 19, 2018rated it really liked it
The best and most accessible introduction to a quite complicated and contested discipline.


문재인정부 1호 '간첩' 사건.. "이런 식이면 정상회담 왜 하나?" | 다음 뉴스



문재인정부 1호 '간첩' 사건.. "이런 식이면 정상회담 왜 하나?" | 다음 뉴스

문재인정부 1호 '간첩' 사건.. "이런 식이면 정상회담 왜 하나?"
김창인 입력 2019.06.18. 16:21 수정 2019.06.20. 11:00댓글 2
--
[문재인 시대에 국가보안법을 논하다 ③] 남북경협사업가 김호씨 인터뷰

------------
[오마이뉴스 글:김창인, 편집:김혜리]

2018년 8월 남북경협사업가 김호씨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되었다. 김씨는 중국법인을 통한 제삼자 무역이란 방식으로 북측 개발인력을 고용해 '얼굴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해오던 에이치비이노베이션의 대표였다. 검찰은 김씨가 '수억 원의 개발비와 군사기밀을 북한에 건넸다'며 국가보안법상 자진 지원, 금품수수, 편의 제공 등의 혐의로 기소하였다.

그러나 석연치 않은 부분들이 연이어 드러났다. 먼저 경찰이 검찰에 제출한 구속영장 신청서에는 김씨의 체포 후 경찰 공용 핸드폰으로 발신했다는 '증거인멸 지령' 문자가 증거로 제시되었으나, 문자는 김 대표가 구속되기 한참 전에 '수신'된 문자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내용도 사건과 전혀 관련이 없는 엉뚱한 내용이었으며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착각해 해당 핸드폰으로 보내진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국정원이 김씨와 2년 이상 조력 관계를 유지해 왔다는 사실도 국정원 직원들의 진술로 밝혀졌다. 이들은 김씨가 진행하는 사업의 구체적 내용과 북한 개발자들과 협업한다는 것도 알고 있었으며, 격려금을 지급하기도 했다. 국정원이 사업 내용을 모두 알고 협력까지 했는데 어떻게 국가보안법 위반일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또한 검찰은 김호씨 회사의 얼굴인식 프로그램에 북한 측이 악성코드를 숨겨 놓았으며 이것이 검출되었다고 공소장에 적시했다. 그러나 김씨가 아무런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 국내 업체들에 판매 및 설치를 시도했다는 주장(사이버 테러를 시도했다) 역시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백신 업체에 따르면 검찰이 언급한 악성코드는 '오탐지'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사건에 대한 여러 의문점에 조작 가능성이 떠올랐고, 2018년 12월 서울중앙지법이 김호 대표의 보석 신청을 받아들이면서 불구속 상태로 재판을 받게 되었다. 청년담론은 문재인 정부 1호 간첩 조작 사건으로 불리는 이번 사건의 피해자 김호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인터뷰는 김 대표가 구속 상태였던 지난해 12월 말 서면으로 이루어졌으며, 아래의 내용은 해당 인터뷰를 바탕으로 형식에 맞게 재구성했다.
학생운동 중 감옥에서 읽은 책 덕분에 대북사업가의 길로



이미지 크게 보기
▲ 민가협양심수후원회,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2018년 8월 3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기업인 김호씨의 석방과 보안수사대 해체를 촉구하고 있다.
ⓒ 유성호

- 2002년 통일부에 정식으로 신고를 하고 북한 경제협력사업을 시작했다고 들었다, 대북 경협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는지 궁금하다.
"대학 시절 학생운동을 했고 감옥에 가기도 했다. 감옥에서 책을 많이 읽게 되었다. 당시 <북한을 움직이는 테크노크라트>라는 세계일보 기자 출신이 쓴 책을 읽게 되었는데 굉장히 흥미로워서 단숨에 읽었다. 교육과 농업, 과학 등 북한의 분야별 산업에 대한 소개가 담긴 책이었다. 내용에 미사일 기술과 인공위성 기술 소개가 있었다. 그런데 1998년에 북한에서 정말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 것이다. 세계 5번째라고 소개된 부분을 보고 이때 북한과 관련된 사업을 하겠다고 결심을 했다."

- 북측과의 협력 과정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해줄 수 있는지?
"2000년은 김대중·김정일 정상회담이 있었던 때라 북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지금보다 더 뜨거웠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 북한산 농산물, 건강식품 등이 많이 수입됐는데, 자본도 없고 직접 수입한 제품도 없어서 처음에는 수입된 제품을 섭외해서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였다. 당시에도 북한산 장명(버섯 추출물로 이루어진 건강식품)과 금당은 인기가 좋았다. 이렇게 쇼핑몰을 하다가 자체적으로 건강식품도 수입하고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떨어져 갔다. 아무래도 업체들이 영세하고 마케팅 능력, 자본력이 떨어진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하던 중 북한 프로그래머를 통해 IT 개발 외주 사업을 접하게 되면서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 외주 사업을 하게 되었다. 상품의 교류, 판매보다도 지식 사업이 더 효율적이고 전망이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북한의 사회적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악하지만 교육 시스템과 교육열은 높아 외주 결과물들은 성과가 좋게 나왔다. 이런 평가에 기반해 다양하고 다종한 IT 외주사업을 진행했다. 그중에 얼굴인식 외주를 받은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 지식산업이다 보니 인터넷 메일만 송·수신하게 되면 사업의 장소나 직접적인 인적교류 없이도 큰 문제가 없었다."

- 북한과의 협력 과정에서 어려움은 없었는지?
"신뢰할 만한 북쪽 파트너를 만나는 것과 중국을 거쳐 송금할 때 중개인이 필요하다는 점이 어려웠다. 그때나 지금이나 결제 방법이 문제였다. 현재 대북제재도 결국 은행 결제 문제다. 향후 대북 경제협력을 위해 이 점에 대해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해결방법은 여러가지지만 결국 의지의 문제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국가보안법 등 실정법이 문제라고 생각된다. 만약 유엔 제재와 무관하게 남북 민간주체들이 교역한다고 하면 어떻게 제재를 할 것인가? 미국하고 사업이 무관한 민간업체가 한 두 곳이겠나?"

"아이 앞에서 끌려나가... 마음이 매우 무거웠다"

- 2018년 8월 9일 서울지방경찰청 보안수사대에 체포되었을 때 어떤 상황이었나? 많이 놀랐을 거라 생각되는데.
"전날 지인과 술을 먹고 늦게 들어온 상태라 숙취 상태에서 둘째 아이와 함께 거실에서 자고 있었다. 당일 오전 7시, 경찰들이 현관문 너머로 잠깐 문을 열어달라 해 열어줬더니 국가보안법 위반 어쩌고 하면서 우르르 들어왔다. 잠이 덜 깬 상태에서 이게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인가 황당해 하고 있는데 사복을 입은 보안수사대 10여 명이 큰소리로 체포를 거론하길래 악을 쓰고 저항했다.

그러자 경찰은 이렇게 저항하면 그 자리에서 수갑을 채운다고 했다. 안 그래도 낯선 사람들이 좁은 집에 너무 많이 와 아이들이 놀란 상태였는데, 수갑을 차는 모습을 보여주면 좋지 않겠다고 생각해 바깥으로 끌려나갔다. 놀란 둘째 아이가 어쩌지 못하고 자는 척 불안해 하는 것을 지켜보니 마음이 매우 무거웠다. 수갑이 채워져 내려왔는데 아랫집에 사는 할머니께서 '이렇게 착실한 사람을 왜 데려가냐'고 걱정스러운 말씀을 건네셨고, 동네 골목을 지나 봉고차에 태워질 때까지 수많은 동네 사람들이 그 광경을 지켜보고 있었다. 지금 생각해도 둘째 아이에게 정말 미안하다."

- 경찰은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김호씨가 보내지도 않은 문자메시지를 구속 사유에 기재했다. 심지어 증거인멸 시도라고 표현했다. 하지만 수사관 휴대전화로 수신된 영문의 메시지는 '에어컨 수리를 위해 집에 방문할 예정'이라는 내용이었다. 어떻게 이러한 일이 생길 수 있는지 상식적으로 이해가 잘 가지 않는다.
"당시 조사실은 2평도 안 되는 공간이었다. CCTV가 설치되어 있었고 수사관 2명이 나를 지켜보고 있었다. 진술을 거부한 상태에서 외부와 연락해 변호인을 섭외해야 하는 상황이라 수사관에게 아내와 연락하고 싶다고 말을 했다. 경찰 공용폰을 건네받아 유일하게 외우고 있는 아내 연락처로 전화를 걸었는데 통화 중이어서 문자를 남겼다. 보낸 내용은 '민가협 양심수후원회 연락, 민변 연락'이었고 이후 다시 전화해 아내와 통화를 했다.

묵비권을 계속 행사하던 중에 장경욱 변호사가 도착했다. 압수물 등에 대해 확인을 하고 전화기, 외장 하드 등에 관해 조치를 한 듯 보였다. 변호사가 오기 전까지 폐쇄된 공간에서 침묵의 대치를 하고 있었기에 그러한 문자를 영문으로 보내면서 증거를 인멸하려 시도했다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 그런 시도를 했다고 믿을 대한민국 경찰은 어디에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경찰이 이러한 시도를 한 것은 아마 이들이 처음 그린 그림에서 뭔가가 빠져 당황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것을 조작하기 위해 나의 인신을 구속하는 무리수를 둬서라도 빠진 그림을 다른 방식으로 채워 넣어야 했던 것 같다. 이들은 압수한 내 휴대폰에 북한 김일성종합대학 정보센터 연구사 박두호로부터 받은 지령이 있을 거로 생각했고, 체포영장 또한 이 부분에 대한 확보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발부한 것 같다.

그런데 실제 내 휴대폰에 있는 내용은 지령은커녕 전부 내가 한 업무 지시밖에 없었다. 영장 조작은 사이버테러 프레임을 만들기 위한 계획적 조작으로 보인다. 검찰은 지령 수수 증거에 대한 압수물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적시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박두호-김호 대화록을 증거 목록에서 고의로 누락하고 법원에 제출하지 않은 것만 봐도 계획적 조작이라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원청-하청의 정상적인 관계를 지령-간첩으로 둔갑




▲ '국가보안법 김호 사건' 아들 좀 빼내 주세요 2018년 12월 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열린 국가보안법 폐지 촉구 기자회견에서 '국가보안법 김호 사건' 김호씨의 아버지 김권옥씨가 아들의 석방을 호소하고 있다.
ⓒ 연합뉴스

- 국가보안법 전문에는 '북한'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지 않는다. "국가의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 반국가활동을 규제함으로써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생존 및 자유를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김호씨는 영장실질심사를 진행하던 판사가 심문 당시 북한을 아예 적으로 규정하고 심문했다고 입장문에 심경을 밝힌 바 있다.
"영장전담판사가 북한을 적으로 규정하고 적이라는 단어를 입에 올릴 때마다 어떤 절벽을 마주한 것만 같은 절망감을 느꼈다. 이들의 사고 속에 북한은 여전히 적이었다. '공안조직이 증거 없이 구속하는 것도 가능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영장전담판사의 말을 들으며 구속이 될 것이라 직감했다. 심지어 제 변호사가 영장이 위조되었다고 말했지만 판사는 듣는 둥 마는 둥 했다. 그렇게 해서 구속이 됐다. 구속된 후에는 사이버테러 관련 참고인 진술에 고대 포렌식연구센터 등이 동원되었다.
공안조직이 씌우는 프레임은 협박에 기반한 반북 프레임이다. 재판부는 이러한 반북 프레임을 쉽게 수용하고 있었다. 이런 반북 프레임과 국가보안법이란 임의적이고 전근대적인 법 아래에서 법관의 독립적이고 양심에 따른 판결은 어렵다고 본다. 법 자체가 전근대적인 체계이니 말이다. 국가보안법이 사라지지 않는 이상 재판장은 독립적 판결을 하기보다 눈치를 볼 것이며 검찰이 내세운 반북 프레임에 의해 판결이 기울어질 것이다."

- 현대사회 법체계는 성문법, 즉 위법의 행위를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보안법은 법령 곳곳에 '기타'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모호성과 자의성이 지적받고 있는 이러한 조항들은 사실상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헌법 정신에도 어긋나는 국가보안법이 가져오는 가장 큰 폐단이 있다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의견을 묻고 싶다.

"기타의 표현물을 제작,수입,복사,소지,운반,반포,판매 또는 취득한 자는 그 각항에 정한 형에 처한다." - 제7조 (찬양·고무 등) 제5항
"반국가단체의 구성원 또는 그 지령을 받은 자와 회합·통신 기타의 방법으로 연락을 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 제8조(회합·통신 등) 제1항
"금품 기타 재산상의 이익을 제공하거나 잠복·회합·통신·연락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편의를 제공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 제9조 (편의제공) 제2항

"이번 사건과 관련해 말하겠다. 검찰은 반국가단체 구성원 또는 그 지령을 받은 자인 박두호씨와 회합 통신했다며 제7조(찬양·고무 등) 제5항, 제8조 (회합·통신 등) 제1항, 제9조(편의 제공) 제2항으로 공소 제기했다. 원청-하청의 정상적인 관계를 지령-간첩으로 둔갑했다. 정말 기가 막혔다. 이는 근대법이라고 할 수 없는 법이다. 마음만 먹으면 같은 방식으로 모든 남북경협 사업가들을 자기들 마음대로 처벌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식이면 남북정상회담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

게다가 이번 사건에 대해 여야, 진보·보수 가리지 않고 '침묵의 카르텔'을 유지하고 있다. 정상회담을 진행한 청와대나 여당조차 이번 사건 조작에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국가보안법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것 역시 보지 못했다. 그저 예외적인 사안으로 치부하면서 외면하고 싶은 것 같다. 또한 국가보안법 폐지 반대여론에 지레 겁을 먹은 게 아닌가 싶다. 하지만 국가보안법은 분단 모순과 외세의존 사대성, 폐단의 총아다. 그걸 생각해야 하는데 정치적 철학과 용기가 없는 생활 정치인들로서는 해결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이다."

- 부인은 탄원서에 김호씨를 "그저 집 한 칸 마련해 애들 행복하게 키우는 게 꿈인 똑같은 대한민국 국민"이자 "'적'을 이롭게 할 이유도 없고 처음부터 '적국'을 이롭게 할 목적으로 사업을 시작한 것도 아니"라고 적었다. 평소 가지고 있는 사업의 목표와 삶의 지향점이 무엇인지 들려줬으면 한다.
"남과 북이 같은 시각으로 세상을 보는 용기가 필요하다. 각자의 장점을 토대로 서로 협력을 해야 한다. 협력과 공존의 시각이면 충분하다. '우리 민족의 장점을 협력해 새로운 길, 새로운 가치를 만들자'는 나만의 목표가 있었다. 모범 사례를 하나 만들면 장벽을 허물어뜨릴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북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협력 지원해 국내 최초로 미국표준기술연구소에서 세계적 수준의 인공지능 기술력을 인증받았다. 이것이 사업의 목표였다. 우리가 힘을 합치면 세계 최고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도 가능하다고 본다. 이런 새로운 가치 창출의 길은 저의 작은 선례 외에 앞으로 다방면으로 많을 것이다."

- "지금도 누군가를 먹잇감 삼아 지켜보고 있으며 이들의 울타리는 국가보안법입니다"라는 입장문을 보고 부끄러움을 많이 느꼈다. 국가보안법이 그들만의 사상을 옹호하고자 하는 도구적 무기로 사용되고 있음에 동감한다. 마지막으로 못다 한 말이 있다면 부탁드린다.
"현실의 모순을 깨고 성공 사례를 만들고 싶었다. 그리고 그 성공담을 공유하고 싶었다. 그러나 혼자만의 걸음으로는 언제고 좌초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받은 관심과 도움, 격려를 감사하게 생각한다. 더불어 큰길을 가야 한다는 것이 이번에 느낀 교훈이다. 마지막으로 국가보안법 철폐를 위해 이번 사건이 쟁점화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간첩을 만들어내야만 생존하는 공안조직을 이번 기회에 철폐했으면 좋겠다. 변화에 대한 노력이 없는 가운데 일어난 남북회담과 이벤트는 사상누각일 뿐이며 그 진정성 또한 오래갈 수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분단모순에 정면으로 맞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실존적 고통과 맞부딪히는 실천도 필요하다. 이번 일을 계기로 다시 한번 뜻을 견고하게 세우려고 한다."
"국가보안법은 국민을 간첩으로 만드는 악법"



이미지 크게 보기
▲ 민가협양심수후원회,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2018년 8월 3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기업인 김호씨의 석방과 보안수사대 해체를 촉구하고 있다.
ⓒ 유성호

김호 대표는 지난해 발표한 입장문 말미에 "지나간 시간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건대 국정원과 보안수사대 등은 진짜 간첩을 잡는 조직이 아니며 국가보안법 또한 동족과 제 나라 국민을 간첩으로 만드는 악법일 뿐"이라고 썼다.

문재인 시대 들어 한반도 평화 체제와 공존·협력을 주요 국정 의제로 추진하고 있는 현 정부와 여당조차도 국가보안법 폐지에 대해서는 거의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김 대표와 같은 공안 조작의 새로운 피해자가 생겨나고 있다.

분단의 모순, 공안 통치, 국가보안법은 과거의 지나간 역사가 아니다. 그것을 보여주는 것만으로 김호씨 간첩 조작 사건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고 할 수 있다. 국가보안법은 평화로운 나라, 민주적인 세상을 만들기 위해 우리가 꼭 극복해야 하는 눈앞의 모순이다.
------------------

[기획-문재인 시대에 국가보안법을 논하다]
① 국가보안법은 산 자와 죽은 자를 가리지 않는다 ☞ http://omn.kr/1jn4t
② 평양냉면 칭찬? 마음만 먹으면 '국가보안법 위반'입니다 ☞ http://omn.kr/1jn5e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획문재인 시대에 국가보안법을 논하다

알라딘: 무진기행 - 김승옥 소설전집 1



알라딘: 무진기행 - 김승옥 소설전집 1




[eBook] 무진기행 - 김승옥 소설전집 1 | 김승옥 소설전집 1
김승옥 (지은이)문학동네2013-04-22







































전자책 미리 읽기 종이책으로 미리보기


종이책
13,000원 11,700원 (650점)
전자책정가
9,100원
판매가
9,100원 (종이책 정가 대비 30% 할인)
쿠폰할인가

종이책 페이지수 440쪽
----------------

책소개
'무진기행'과 제1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서울의 달빛 0章'을 비롯한 열다섯 편의 단편소설을 담았다. 작가는 서문에서 '서울의 달빛 0章'의 제목의 유래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힌다.

"나는 장편으로 구상하고 있던 '서울의 달빛'의 프롤로그 백오십 장을 써내고 서장(序章)이라는 뜻에서 '제0장'이라고 적어 보냈다. 그런데 이어령 선생께서 내게서 다음 제1장의 원고를 받을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며 본문 맨 처음에 붙어야 할 '0章'을 제목 밑에 갖다붙이는 바람에 제목이 되고 말았다. 책이 나온 다음에야 나는 제목이 괴상하게 길어졌음을 알았다."

'서울의 달빛 0章'을 집필하게 된 동기는 자신의 친구가 초혼에 실패하게 된 이야기를 들려준 것이었다고 한다. 그의 실패담에서 우리 시대의 독특한 비극을 본 작가는 그 비극성을 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작가의 상상력으로 변형, 과장시켜 형상화했다.


목차


작가의 말 ㅣ 나와 소설 쓰기

생명연습(生命演習)
건(乾)
역사(力士)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확인해본 열다섯 개의 고정관념
무진기행(霧津紀行)
싸게 사들이기
차나 한잔
서울 1964년 겨울
들놀이
염소는 힘이 세다
야행(夜行)
그와 나
서울의 달빛 0章
우리들의 낮은 울타리

내가 읽은 김승옥 ㅣ 스무 살에 만난 빛 - 신경숙
작가 연보


책속에서


첫문장
"저 학생 아나?" 나는 한(韓)교수님이 눈짓으로 가리키는 곳을 돌아보았다.




돈이 감촉을 가지고 있다는 건 기가 막힐 일이다. 호주머니 속에 별의별게 다 들어있는 경우에도 손은 콧종이와 오랫동안 넣고 다니어서 해진 종잇조각과 돈을 잘 구별해낸다. 그건 손의 신경이 예민해서가 아니라 분명히 돈에 감촉이 있기 때문이다. 돈이 손을 만져본다. 그러면 손은 부끄러운 듯이 홍당무가 되면서 가늘게 떤다. 돈이 슬그머니 손을 집적거려본다. 손은 정신을 차리려고 애쓰며 우선 옷깃을 여미고 도사려 보인다. 싫으면 관둬라, 돈이 배짱을 내민다. 손이 주춤거린다. 그러다가 발작적으로 부들부들 떨며 돈을 부둥켜안아버린다. 돈은 능글맞게 웃으며 손을 슬슬 쓰다듬어준다. 그러다가 앗차, 하는 사이에 돈은 사라지고 손은 별로 필요하지도 않은 물건을 쥐고 쩔쩔 매고 있다. 접기 - Narcolepsy
나는 내가 이사를 온 첫날 저녁, 할아버지 앞에 불려나가서 들은 얘기를 지금도 기억한다. 그것은 일종의 오리엔테이션이었다. 몇 가지 나의 가족관계에 대해서 묻고 나서, 할아버지는 갑자기, 내가 6.25 때는 몇살이었으냐고 물었다. 정확한 나이는 얼른 계산이 되지 않아서 열 살이었던가요, 하고 내가 우물쭈물 대답하자, 할아버지는 아마 그럴 거라고 하며 사변이 남겨놓고 간 것이 무엇인 줄을 모르겠군, 하고 말했다. 그래서 나는, 사변 전에 있었던 것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고, 있다고 해도 어린아이로서의 기억밖에는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무엇이 사변 후에 더 보태지고 없어진 것인지는 모르겠다고 솔직히 대답했다. 그러자 할아버지는 고개를 끄덕이고 나서 그것은 가정의 파괴라고 한마디로 얘기했다. 그렇게 말하는 투가 마치 내가 나쁜 일을 해서 책망이라도 한다는 것처럼 단호하고 험악했기 때문에 나는 정말 죄를 지은 기분이 되어 꿇어앉았던 자세를 더욱 여미었다. 89~90p 접기 - 책읽는노력가
낙선될 걸 알고 있었지만 다행히 심사위원들이 멍청이들이어서 당선될 경우도 없지 않다고 생각하여 당선소감까지, 아주 정직한 소감까지 써둔 것인데 한번 굉장히 정직해 볼 기회가 영 달아나버렸다. 정직해보고 싶은 기회를 주지 않는 게 세상이다, 라는 생각도 퍽 흔한 생각이지만, 이젠 내 고정관념 중의 하나이다. 가짜인 줄 알면서 왜 소설 응모를 했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대답한다. 돈이 필요했다. 돈을 얻어들이는 일이나 자신에 대하여 가장 정직한 일이었다. 돈이 필요했다면 왜 하필 그런 수단을 썼느냐, 그러니까 말이다, 앞에서 나는 말하지 않았던가, 수단은 흔히 목적을 배반한다고. 딴은 괘씸하기 짝이 없는 명제다. 하여든 어제 나는 낙심천만하여 찬바람이 휩쓰는 거리를 헤매다가 내 방으로 돌아왔다. 151~152p 접기 - 책읽는노력가
˝자기 자신이 싫어지는 것을 경험하신 적이 있으세요?˝




나는 그 여자에게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었다. 그러나 `사랑한다`라는 그 국어의 어색함이 그렇게 말하고 싶은 나의 충동을 쫓아버렸다.
(p.191) - jjinyyeop_n
이해와 감정은 별개의 문제라는 것을 발거한 것도 그때였다. 이 가족의 계획성 있는 움직임, 약간의 균열쯤은 금방 땜질해버릴 수 있도록 훈련되어 있는 전진적 태도, 무엇인가 창조해내고 있다는 듯한 자부심이 만들어준 그늘 없는표정 - 문화라는 말을 쓸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바로 이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인간이 희구하는 것이 아니었던가. 이 사람들은 매일매일 달리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어느지점과의 거리를 단축시키고 있는 셈이었다. 이것이 나의 그들에 대한 이해였다.
그러나 그 어느 지점이 무한하게 먼 곳에 있을 때도 우리는 그들이 거리를 단축시키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 더구나 나로하여금 기타 켜는 시간의 제약까지를 주어가면서 말이다. 차라리 이 사람들의 태도야말로 자신들은 걷고 있다고 믿으면서 사실은 매일매일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바로 그것이 아닐까, 빈민가에 살던 사람들의 그 끝없는 공전 같아 뵈던 생활이 이곳보다는 오히려 더 알찬 것이 아니었을까. 이것이 나의 감정이었다.

-김승옥 「무진기행」<역사> 107쪽, 문학동네 김승옥 소설전집1 접기 - 그렇게혜윰



저자 및 역자소개
김승옥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41년 12월 23일 일본 오사카에서 출생. 1945년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해방이 된 해에 전남 순천으로 이사해 정착했다. 1965년 서울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했다. 196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생명연습」 당선 이후로 『서울 1964년 겨울』(제10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서울의 달빛 0장』(제1회 이상문학상 수상작) 『무진기행』(1968년 대종상 각본상 원작) 등 감각적인 문체, 언어의 조응, 소설적 완결성에서 탁월한 글을 남겼다.


수상 : 1977년 이상문학상, 1965년 동인문학상
최근작 : <가짜와 진짜>,<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한 고교생 필독 소설선 1>,<무진기행> … 총 82종 (모두보기)




젊어서 여자한테 대차게 까였나
2016-02-29 공감 (8) 댓글 (0)
Thanks to
공감





많은 작가 및 일반인들이 책을 왜 필사하는 지 알겠더라. 문장이나 이야기의 구성이 정말 찰지다.
빨간감자 2013-10-21 공감 (4) 댓글 (0)
Thanks to
공감





고등학교 때 사서 몇번을 보고 여러권 선물하고 누군가 빌려줬다 잃어버리고 십년만에 전자책으로 다시 사서 이제 잃어버릴 일은 없겠죠. 젊은 나이에 좋은 글 잘쓰던 작가가 절필해서 더 많은 작품 못남긴게 아쉽습니다.
반유행열반인 2014-06-25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예술이다..작가가 천재다. 어떻게 젊은 나이에 이런글을 쓸 수 있는건지..다수의 사람들이 느꼈을지 모르는 그런 감정을 이렇게 글로 멋지게 표현 할수 있다니 ㅜㅜ조르바에 나왔던 말이 생각난다 .
쉐기쉐기몽쉐기 2014-12-05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60년대의 기적>, <감수성의 혁명>. 또 다른 무슨 수식어가 필요할까. <서울의 달빛 0장>을 읽다가 그건 정말 젊음과 감수성, 그리고 60년대의 분위기가 만들어낸 안개와 같은 기적임을 깨닫다. 그 연약함은 결코 야만의 70년대를 견뎌내지 못한다. 다른 선집들엔 없는 <건>이 실려 있다는 것도 매력.
생쥐스뜨 2014-03-13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리뷰

구매자 (13)
전체 (39)

리뷰쓰기

공감순





˝무진˝은 어디에 있는가?




처음 '무진기행'을 접하고 "무진"이 어디에 있는지 지도에서 한참을 찾았습니다. 오랜 세월이 지나 하얀 기억입니다만, 꼭 한번 가보고 싶어서......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빚어진 부조화와 사회병리현상을 허무주의적 시각으로 풀어낸 김승옥의 대표작으로 먼 기억 속의 소설을 다시 끌고와서 옛시절을 그려봅니다. 무진기행은 느낌과 냄새의 소설입니다. 먼저 안개를 '이승에 한이 있어 여귀가 뿜에서 놓은 ......, 제약회사에 다니면(모든 약이 있으므로) 잘 죽지 않으리라는....., 아득한 기억의 통금 싸이렌(1982년 1월 5일 해제) 등 아련한 추억과 함께 요즘 세대 젊은이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이 많을 것입니다. 세대차를 지나 격세지감입니다.



같이 수록한 단편소설 중 '생명연습'은 과부가 된 엄마의 불륜과 엄마를 죽이고자 하는 삼남매의 음모가 가득하고, '건(乾)'은 빨치산의 시체를 보고도 별로 무섭지 않았던 무덤덤한 시대의 아픔을, '역사(力士)'는 동대문 인근 하숙집에서 펼쳐지는 여러 인간군상의 이야기를,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는 도시에서 살다 돌아온 누이의 말없음과 말없는 누이를 걱정하는 어머니의 애처러움이, '확인해본 열다섯개의 고정관념'에서의 구멍난 양말과 '이(虱)' 이야기는 낮설게 다가왔고, '싸게 사들이기'는 옛날 헌책방의 추억을 되살리게 하였으며, '차나 한잔'에서는 신문 만화가의 일상과 고뇌를, '서울 1964년 겨울'은 서울이란 섬에서 둥둥 떠다니는 고독한 세남자의 그림자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들놀이'는 갑질하는 사장 밑에서 놀아나는 기업체 사원들의 애환을, '염소는 힘이 세다'는 전후 가장이 없는 3대의 애잔한 생활사를, '야행'에서는 인간내부의 깊은 욕망을 훔쳐보듯 묘사하고 있으며, '그와 나'는 대학을 막 진학한 두청년을 비교하며 가식에 대한 비판을, '서울의 달빛0章'은 도대체 줄거리를 잡을 수 없는 아득함으로 머리를 하얗게 만들었고, '우리들의 낮은 울타리'는 글쓰며 먹고사는 작가의 애환을 그리고 있습니다.


- 접기
oldboy 2017-09-18 공감(22) 댓글(2)
Thanks to
공감




밤사이에 진군해온 적군처럼..




읽고 나면 이미지로 남는 글들이 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이 그랬던 것처럼 고등학교 언제쯤 ‘배웠던’ 것 같은

[무진기행]도 그런 기억으로 남아 있는 소설이었다. 그냥 뿌연 안개만 기억이 나는.

덩달아 옷까지 젖어드는 듯한... 느린.. 소설.



그러다가 알라딘에서 소설 쪽을 즐겨보는 분의 짧고도 강렬한 추천을 보고는

주저없이 주문했다. (사실은 바보같이 옛날 절판된 책을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었다가

나중에야 문학동네에서 새로 김승옥 전집을 출간했다는 걸 알게 됐다.=.=)

그러나 전집이라는 건 언제나 나 같은 사람에게는 부담스런 것인지라, [무진기행]을

담고 있는 1권만 주문했다.



이 전집의 첫번째 책인 이 책은 60년대에서 70년대 초반의 글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염소는 힘이 세다’처럼 결국엔 그 현실의 힘들에 끌려서 살아가게 되는 이야기들, 소년이

그렇게 ‘현실적인 사람’으로 성장하는 이야기, 혹은 그렇게 살아가야 하는 것에 대한 연민,

회의, 도피, 혼란들이 느껴진다. 그 비릿한 시대에 대한 어찌할 수 없는 인식이었으리라.



그의 글이야 말로 무진의 안개마냥 ‘밤 사이에 진군해온 적군들처럼…’ 어느새 내 주변의

공기마저도 바꿔버리는 것 같다. 카리스마 있고 감수성이 넘친다. 작가의 뛰어난 문장력

에 또 한번 감탄하였음을 물론이다. 그의 글을 아주 좋아하게 됐지만, 좋아할수록 더 조심

스러워하는 나인지라, 한 박자쯤은 쉬었다 그의 전집 2권을 보게 되지 않을까 싶다.



경고

그러나 약간은 들뜨기 마련인 12월에 읽기에는 너무 우울한 소설들이 아닌가 싶군요.

^--^
- 접기
북극곰 2004-12-09 공감(6) 댓글(0)
Thanks to
공감




나는 심한 부끄러움을 느꼈다.



작가 김승옥에 대한 전설적인 극찬을 확인하고자 책을 펼쳤다.

자욱한 안개가 유일한 특산물인 무진(霧津).
나의 쓸쓸함과 부끄러움이 묻혀있어 머리 속 봉인해 놓았던
그 곳으로 부끄러움을 숨기고자 다시 돌아온다.

첫사랑 희를 떠나보내고 제약회사의 딸이자 이혼녀인 아내를 만난
나는 이 휴가만 마치고 돌아가면 제약회사의 전무가 되어 있을 것이다.

무진에는
나를 흠모하고 동료교사 박인숙을 짝사랑하는 후배 박.
나에게 열등감을 느끼던 동창 조. 그는 세무서장이 되어있다.
그리고 박과 조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즐기고 있는 음악선생 박인숙이 있다.

음악선생 박인숙은 오페라 나비부인의 '어느 개인 날'을 잘 부르는 소프라노다.
박인숙은 그들 모두가 처음 만난 자리에서 유행가 '목포의 눈물'을 부른다.
후배 박은 그녀를 짝사랑하기에 그런 그녀의 모습을 받아들일 수 없다.
하지만 속물이 되기는 싫기에 단지 그 자리를 피한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 박인숙과 나만 남게 되고,
그녀는 서울로 데려가 달라며 떼를 쓴다.

그녀와의 연정은 일주일로 기한으로 했지만,
갑작스런 전보에 하루만에 끝이 난다.

나는 또다시 부끄러움을 무진에 묻고,
내 모든 행동을 긍정하며,
무진을 떠난다.

덜컹거리며 달리는 버스 속에서 나는, 어디쯤에선가, 길가에 세워진 하얀 팻말을 보았다.
거기에는 선명한 검은 글씨로 <당신은 무진읍을 떠나고 있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라고 씌어 있었다.

나는 심한 부끄러움을 느꼈다.

Maria Callas


이별하던 그날에 사랑하는 그이는
네게 말했다오 오 나비여
그대가 기다리면 내 꼭 돌아오리라

어떤 개인날 바다 저편에
연기 품으며 흰 기선이 나타나면
늠름한 내 사랑 돌아오리라


하지만 마중은 안 나갈 테요
나 홀로 그님 오길 기다릴 테요
사랑은 이 언덕에서 맞을 테요
그대는 부르겠지 나비여

그러나 나는 대답 않고 숨겠어요
너무 기뻐서 죽을지도 모르니까요
내 사랑이여 내 님이여
그대는 반드시 돌아오리라

- 접기
키튼 2006-04-17 공감(4) 댓글(0)
Thanks to
공감




2005.3.4 무진기행-김승옥


최고, 최고, 두말 할 것 없이 최고의 작가. 교과서에서나 나오는 수능 대비형 작가 따위가 아니라, 정말 좋은 작품을 남기신 최고의 작가. 교과서에서 나오는 분이라 약간 딱딱할 것을 예상한 본인에게 정말 충격을 주었음. 염소는 힘이세다. 미치도록 세련된 문체. 최고.
김동훈 2006-07-14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무진기행


15개의 단편이 빼곡히 들어 있다.시대가 시대라 낯선 단어들이 꽤 등장하고작가는 벌써 칠순을 넘긴 나이다.많은 글을 쓰지 않았지만 계속 썼으면 좋았을 작가였다.다른 후배 작가들도 아쉬움이 많은 선배가 아니었을까 한다.유명한 무진기행은 다른 곳에서도 몇 번 보았는데 자신의 작품과 나란히 놓으니 느낌이 사뭇 다르다.안개에 싸인 시대.안개에 싸인 듯 한 나의 시간.지은이와 함께 버스를 타고 무진의 안개속을 같이 내려가고 있는 느낌으로...책속에서 몽롱히 있다 빠져나왔다.글이 꽤 쫀쫀하다.
보라마녀 2015-01-28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