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23

알라딘: 서경식 다시 읽기 2

알라딘: 서경식 다시 읽기 2













소득공제
서경식 다시 읽기 2
회상과 대화 / 최종 강의
하야오 다카노리, 리행리, 도베 히데아키 (엮은이) 연립서가 2023-05-26
정가
22,000원
판매가
19,800원 (10% 할인) + 마일리지 1,100원
배송료
무료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소득공제 900원
수령예상일
택배 주문시 12월 25일 출고
(중구 서소문로 89-31 기준) 변경
전자책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

무이자 할부 안내

* 2~3개월 무이자 : 신한, 국민,현대,롯데,하나,삼성
* 2~4개월 무이자 : 농협
* 2~6개월 무이자 : 비씨, 우리

※ 제휴 신용카드 결제시 무이자+제휴카드 혜택 가능합니다.
※ 알라딘페이는 토스페이먼츠사 정책으로 5만원 이상 할부 선택이 가능하오니 필요시 다른 결제수단을 이용 부탁드립니다.
※ 오프라인결제/Non ActiveX 결제(간편결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페이코 등 간편결제/법인/체크/선불/기프트/문화누리/은행계열카드/ 알라딘 캐시와 같은 정기과금 결제 등은 행사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무이자할부 결제 시 카드사 포인트 적립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확인
보관함담기
선물하기
장바구니
구매하기



10
100자평 0편
리뷰 1편
세일즈포인트 526
479쪽
135*210mm
623g
ISBN 9791197758652




주제분류
신간알리미 신청
인문학 > 인문 에세이

선물하기
공유하기

이 책을 알라딘에 6,500원 (최상 기준)에 파시겠습니까?중고
알라딘에 팔기
중고
회원에게 팔기

중고 등록
알림 신청






서경식 다시 읽기 (총 2권)
신간알리미 신청
서경식 다시 읽기 2 - 회상과 대화 / 최종 강의
판매가 19,800원

서경식 다시 읽기
판매가 16,200원
전체선택
모두보기


























































관련 이벤트
전체보기



2023 올해의 책 Top10 + 작가 선정 올해의 책




12월 특별 선물. 드립백 세트 · 드립백 거치대 (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




책과 함께 무료배송 - 함께 사기 좋은 특가 도서 · 저가 도서 총집합




이 달의 적립금 혜택




모든 책 오늘 출고 서비스 오픈




함께 사면 무료배송. 1천원~4천원대 굿즈 총집합




이 시간, 알라딘 사은품 총집합!





책소개
순례자와 월경자의 눈길로 우리 시대와 문화를 살펴온 재일 디아스포라 지식인 서경식. 이 책은 그의 사상이 형성되고 수용된 궤적을 ‘회상’과 ‘대화’를 통해 되짚으며 ‘다시 읽는’ 시도다.

1부에서는 20년간 ‘인권과 마이너리티’의 쟁점을 설파하고 인문교육으로서의 예술학의 위치를 증명했던 도쿄경제대학에서의 마지막 강의록을 수록했다. 또한 시대의 목격자이자 증언자로서의 자신의 삶을 저작을 통해 회고하는 롱 인터뷰를 게재했다. 인터뷰에서는 서승, 서준식 두 형의 옥중투쟁을 지원하며 만난 일본의 진보적 지식인과의 연대의 기억과 함께, 학자가 아니라 ‘글쟁이’를 자임하며 ‘아마추어’의 입장에서 펼친 서경식의 비평 언어가 생생하게 전해진다. 그밖에 최덕효, 리행리, 조경희 등 영국, 일본, 한국 각자의 현장에서 활동하는 젊은 세대 재일조선인 지식인과의 대담은 디아스포라의 의미와 함께 ‘재일조선인론’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되짚어 볼 기회를 제공한다.

2부는 정년퇴임 기념 심포지엄 <현대문화와 휴머니즘의 미래를 묻다>의 기록이다. 일본 사회의 보수화와 퇴락하는 지성계에 맞서 함께 싸워온 오랜 동지들-우카이 사토시, 다카하시 데쓰야, 시부야 도모미, 모토하시 데쓰야-의 글을 통해 이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보편성’이란 무엇인가를 함께 고민하는 자리를 제공한다.

3부는 서경식과 함께 예술적 프로젝트를 실천해 온 가마쿠라 히데야(NHK 디렉터)와 사키마 미치오(오키나와 사키마미술관 관장)와 나눈 우정의 대화다. 사회와 유리되지 않는 예술 행위 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전후’라고 표현되지만, 서경식은 70여 년의 자신의 인생 속에 한 번도 ‘전쟁’의 그림자가 걷힌 적이 없다고 말한다. 여전히 끊이지 않는 전쟁과 난민, 억압, 차별…… 그렇게 쌓여가는‘ 절망’ 속에서 우리는 서경식이 제안하는 어렴풋한 ‘희망’을 어떻게 발견할 수 있을까.
접기



목차


서문
―서경식과 그의 시대: 비평가로서, 활동가로서, 교육자로서(하야오 다카노리)
1. 자기 형성과 사색의 궤적
최종 강의
―인문교육으로서의 예술학(서경식)
인터뷰
―서경식, 저작을 말하다
(하야오 다카노리+도베 히데아키+리행리+모토하시 데쓰야+다카쓰 히데유키)
좌담
―서경식의 언론 활동과 재일조선인: 세대 간 대화
(서경식+조경희+최덕효+리행리)
2. 한일을 오가는 비평 활동의 다면성 ― 정년퇴임 기념 심포지엄 기록
발표 1 ‘재일’을 ‘생각하기’와 ‘재일’을 ‘살아가기’(우카이 사토시)
발표 2 책임에 대하여, 계속 물어 가는 것: 사반세기의 대화로부터(다카하시 데쓰야)
서경식의 응답
코멘트 1 ‘재일조선인의 쇼와사昭和史’라는 아포리아: 서경식과 포스트콜로니얼리즘(모토하시 데쓰야)
코멘트 2 서경식은 어떻게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가: ‘서경식 스쿨’의 일원으로서(시부야 도모미)
3. 예술 표현을 둘러싼 두 번의 대화
대화 1 가마쿠라 히데야 + 서경식 <영상 제작을 함께한 20년>
대화 2 사키마 미치오 + 서경식 <‘오키나와’라는 장소에서 예술을 생각하다>
감사의 글(서경식)
일본어판 후기 (도베 히데아키)
서경식 연보
서경식 주요 저작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P.54~55
(‘서문’에서)
전후 민주주의와 동아시아의 냉전이 긴장 관계를 갖고 있었던 1970년대와 1980년대, ‘포스트냉전’과 ‘포스트 쇼와’가 겹치며 역사 인식 논쟁이 격화된 1990년대, 남북한과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한편에서 ‘9·11’ 이후 대對테러 전쟁으로 군사적 긴장 관계가 더욱 첨예해진 2000년대, 원전 사고 이후 안으로 향한 ‘부흥 내셔널리즘’이 목소리를 높여간 2010년대까지 서경식은 흔치 않았던 시대의 목격자인 동시에 어떤 시대에도 체제나 머조리티를 냉철하게 꿰뚫어 보는 ‘마이너리티의 눈’으로 발신을 계속해서 이어 간 비평가였다. 재일조선인으로서의 민족 아이덴티티를 강하게 긍정하는 ‘민족주의자’(이 용어의 정확한 의미는 본문에서 설명될 것이다)이자, 서양문화(회화, 음악, 문학)의 전통에 정통하고 거기에서 가장 좋은 것을 길어 올리는 ‘인문주의자’,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제3세계의 학대받는 사람들과 연대를 모색하는 ‘새로운 보편주의자’, 그리고 일본의 대학이나 사회에서 학생과 동료, 시민을 항상 일깨워 준 ‘교육
자’였다. 한 사람의 인간이 떠맡기에는 너무나 무거운 짐을 서경식이 짊어져 왔다고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바라건대 이 책을 통해 서경식 선생의 다양한 저서가 다시금 읽힐 수 있기를.
접기

P.100~101
(‘최종 강의’에서)
미술관에서는 보통 그림엽서를 팔지요. 제가 두 장을 사라고 한 까닭을 말씀드리자면 우선 한 장은 자신의 추억으로 간직하라는 의미입니다. 저는 지금도 반세기도 더 전에 오하라미술관에서 사 온 나카무라 쓰네의 그림엽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머지 한 장은 소중한 사람에게 전해 주면 좋겠습니다. 친구든, 가족이든, 연인이든 소중한 이에게 “나 이런 곳에 다녀왔어.”라고 말하며 선물하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미술은 (미각이나 음악적 취향과 비슷한 면도 있겠지만)그 사람의 감각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부분까지 포함하여 나타내 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 이 사람 이런 걸 좋아하는 줄은 몰랐는데 멋진데!”라는 식의, 바로 그런 세계입니다.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중략) 미술은 주관적인 것이 가장 허용되어야만 하는 세계입니다. 남이 예쁘다고 하건, 더럽다고 하건 상관이 없습니다. 어떤 작품을 두고 있는 그대로 좋다고 말하는 사람, 그런 식으로 자기 스스로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인권에 대해서도, 정치에 대해서도, 경제에 대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통해 여러 가지 문제와 마주할 수 있습니다.
접기

P.256~257
(좌담-‘서경식의 언론 활동과 재일조선인’에서)
반세기 전 학생 시절, 재일본한국학생동맹(한학동)에 들어갔을 때, 처음으로 본명을 이야기하고, 이제 막 조선어를 공부하기 시작한 재일조선인 친구와 만난 적이 있습니다. 그는 미음(ㅁ) 받침 발음이 잘 되지 않아 자신의 성인 김을 일본식으로 ‘기무’라고 발음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런 사람도 있습니다. 그걸 비웃거나 창피 주지 않고, ‘기무’도 ‘김’도 모두 金이라고 감싸 안아 줄 수 있는 시야를 가질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너는 자기 성조차 제대로 발음 못하니까 더 이상 조선인이 아니다.”라고 생각할 게 아닙니다. 좀 더 말하자면 저는 만약 조선어를 한 마디도 못하더라도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식민지 지배 역사의 결과로, ‘나는 누구인가?’를 끊임없이 생각할 수밖에 없는 존재, 그런 사람이라면 충분히 대화할 수 있고, 같은 ‘조선인’으로서 만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접기

P.301
(발표 2 ‘책임에 대하여 –계속 물어가는 것’에서)
1980년대에 인문사회과학 영역에서 일반화된 ‘내셔널리즘 비판’과 ‘국민국가(비판)론’의 조류가 포스트모던 사상과 아이덴티티 비판론 등과 결합하면서, 리버럴하면 할수록 국가나 민족이라는 것은 이미 극복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만연했습니다. ‘재일일본인’이라는 말도 그중 하나인데, 실제로 국적을 가지고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누리면서도 ‘내적 망명자’나 ‘난민’ 등에 스스로를 빗대고, 국가의 구속에서 자유로운 듯 말하는 분위기가 지적 유행이 된 것 같았습니다. ‘국경 넘어’라든가 ‘월경’ 같은 말의 유행도 같은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졌습니다(참고로 서경식 선생의 저서 중에도 『월경화랑』이 있습니다만, 이건 그런 분위기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책입니다). 저는 그런 말에 위화감을 느끼면서도 내셔널한 것에 대한 회의감에서 당시 조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도 사실입니다. 국제회의나 심포지엄에서 다국적 연구자들과 교류를 거듭하면서, 자신이 일본 정부의 여권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한 듯 지식인을 향해 서경식 선생이 던진 비판은 정말 정수리에 일침을 가하는 것이었습니다.
접기

P.364
(‘코멘트 2-서경식은 어떻게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가’에서)
서경식의 글을 읽다 보면 자신이 지닌 초능력 때문에 스스로 고통 받는 이야기의 주인공을 떠올리게 된다. 타인의 것이든, 자신의 것이든, 인간의 추악한 면모를 남보다 갑절이나 예민하게 간파하는 통찰력이 서경식 본인의 인생을 괴롭게 하는 것은 아닐까. 물론 그를 괴롭게 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일본의 식민지주의인 이상, 그에게 책임을 돌리는 것은 적절치 않다. 이런 사실을 알면서도 인간의 추악함을 더없이 적확하게 언어화하는 서경식의 문장력에 나도 모르게 이런 생각을 하고 마는 것이다.
접기

더보기



밑줄긋기
P.188딸기아빠
다시 말하지만 ‘후쿠시마‘는 근대 일본이 다시 태어나 ‘갱생‘할 수 있다는 희미한 기대를 갖게 한 사건이지만 일본은 그 기회를 놓쳤습니다. 거꾸로 말하면 그 일로 인해 일본이 새로운 전체주의로 나아가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할수도 있습니다.




추천글
한겨레: 한겨레 신문 2023년 5월 26일자 '책&생각'



저자 소개
엮은이: 하야오 다카노리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서경식 다시 읽기 2>,<다시 후쿠시마를 마주한다는 것> … 총 17종 (모두보기)
1973년에 태어났다. 도쿄경제대학 전학공통교육센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ユダヤとイスラエルのあいだ:民族/國民のアポリア(유대와 이스라엘의 사이: 민족/국민의 아포리아)』(青土社, 2008), 『國ってなんだろう?:あなたと考えたい「私と國の關係」(나라란 무엇일까?: 당신과 생각해보고 싶은 ‘나와 나라의 관계’)』(平凡社, 2016), 『パレスチナ/イスラエル論(팔레스타인/이스라엘론)』(有志舍, 2020), 『希望のディアスポラ:移民·難民をめぐる政治史(희망의 디 아스포라: 이민·난민을 둘러싼 정치사)』(春秋社, 2020), 『殘餘の聲を聽く―沖縄·韓國·パレスチナ(잔여의 목소리를 듣다―오키나와·한국·팔레스타인)』(오세종·조경희와 공저, 明石書店, 2021) 등이 있다.


엮은이: 리행리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서경식 다시 읽기 2>,<서경식 다시 읽기> … 총 2종 (모두보기)
1987년에 태어났다. 도쿄경제대학 전학공통교육센터 전임강사로 재직 중이다. 「脫植民地と在日朝鮮人女性による攪亂:「解放」後の濁酒鬪爭からみるジェンダー(탈식민지와 재일조선인 여성에 의한 교란: ‘해방’ 후 탁주투쟁으로 본 젠더)」(『ジェンダー史学』 13호, ジェンダー史學會, 2017), 「『東亞新聞』からみる酒造規則と在日朝鮮人(『동아신문』으로 보는 주조 규칙과 재일조선인)」(『社會科學』 49권 3호, 同志社大學人文科學研究所, 2019) 등의 논문을 썼다.


엮은이: 도베 히데아키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서경식 다시 읽기 2>,<감정 기억 전쟁>,<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읽는다> … 총 6종 (모두보기)
1974년에 태어났다. 도쿄경제대학 전학공통교육센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沖縄戰の記憶が今日によびかけるもの(오키나와전투의 기억이 지금 호소하는 것)」(成田龍一·吉田裕 編, 『記憶と認識の中のアジア·太平洋戰爭(기억과 인식 속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岩波書店, 2015), 「マルクス主義と戰後日本史學(마르크스주의와 전후 일본사학」(『岩波講座 日本歷史22 歷史學の現在(이와나미강좌 일본역사22 역사학의 현재)』, 岩波書店, 2016) 등의 논문을 썼다. 공저로 『觸發する歷史學:鹿野思想史に向き合う(촉발하는 역사학: 가노 마사나오 사상사와 마주하다)』(日本經濟評論社, 2017) 등이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서경식과, 그의 시대를 다시 읽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원래 이런 식의 책은 오랜 시간 학문을 갈고 닦은 연구자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성격을 지니거나 그래야 합니다. 저는 본격적인 연구자가 아니라, 그저 ‘아웃사이더’이며 업적이라고 불릴만한 연구도 없습니다. 그럼에도 주저하던 마음을 접고 제안을 승낙한 까닭은, 저라는 존재에 흥미와 관심을 가진 사람이 있는 이상, 기꺼이 스스로를 소재로서 내어 드리고 도마 위에 몸을 뉘여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의 출간과 관련해 서경식은 위와 같은 말로 자신의 마음을 전했다. 2022년 3월 일본에서 출간된 이 책은 도쿄경제대학 교수 서경식의 정년퇴임을 맞아 마련한 기획(마지막 강의, 심포지엄, 인터뷰, 대담과 좌담)을 모은 것이다. 하지만 서경식이라는 개인을 통해 전쟁과 폭력, 차별의 상흔으로 가득한 이 시대를 성찰하는 기회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례적인 고별 강연집이나 기념 논총과는 구별된다.
비슷한 시기인 2022년 2월, 한국에서는 예술가, 소설가, 평론가, 번역가, 편집자, 기자, 동료, 제자 등 17명이 모여 서경식과의 인연을 되짚으며 그의 글과 사유를 반추했던 문집 『서경식 다시 읽기』가 출간되었다. 엄밀히 말하면 후속편은 아니지만, 감히 이 책에도 같은 제목을 붙인 이유는 단지 서경식뿐만 아니라, 우리의 시대를 읽기 위한 또 하나의 참고서가 될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재독의 방법은 이 책의 원제 그대로 바로 ‘회상’과 ‘대화’이다.

서경식의 마지막 강의, <인문교육으로서의 예술학>

2021년 3월 코로나 긴급 사태가 해제된 직후, 여전히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어렵게 성사되었던 그의 도쿄경제대학 ‘최종 강의’는 예정했던 장소를 더 넓은 곳으로 변경해야 했을 정도로 수많은 졸업생과 재학생, 동료가 모여 들었다. 그가 마지막 강의의 테마로 삼은 주제는 바로 미술. 『나의 서양미술 순례』 이후, 통일 독일의 근대미술을 거쳐(『고뇌의 원근법』), 최근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는 일본 근대 미술의 이단자들(『나의 일본미술 순례1』), 그리고 전 세계의 디아스포라가 만들어내는 아트(『디아스포라 기행』)까지 30여 년 이어져온 서경식의 미술 관련 저술 속의 작가들이 등장한다. 브뤼헐, 나카무라 쓰네, 조반니 세간티니, 반 고흐, 오토 딕스, 케테 콜비츠, 펠릭스 누스바움, 데이비드 강......그리고 강의를 맺으며 그는 미술관에 (자주) 다니기를, 전시를 보고 나면 마음에 들었던 작품의 엽서가 있다면 ‘두 장’ 사서 오기를 당부 한다. 자신의 ‘미의식’을 표명하라는 의미다. ‘미의식’이란 ‘예쁜 것을 좋아하는 의식’이 아니라, ‘무엇을 미라고 하고 무엇을 추라고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의식이라는 서경식의 지론이 어떻게 펼쳐지는지, 인문 교육으로서 예술학이 가진 의미를 그의 최종 강의를 통해 듣는다.

회고를 통해 드러나는 이 시대의 아포리아

1971년 유학생 간첩단 사건으로 영어의 몸이 된 서승, 서준식 두 형의 석방 운동으로 시작했던 자신의 비평 활동을 회고하는 서경식의 롱 인터뷰에서는 그 과정에서 만났던 스승과 선배들을 향한 그리움과 존경을 담은 이야기가 펼쳐진다. 후지타 쇼조, 히다카 로쿠로, 야스에 료스케, 고자이 요시시게, 이바라키 노리코, 가토 슈이치 등 전후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의 계보가 어떻게 이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의 사상적 기반을 형성했는지가 드러날 것이다.
한편 일본의 실천적 지식인 우카이 사토시는 서경식의 본격적인 저술(비평)을 ‘정치범의 동생’이라는 보통명사의 입장에서 ‘고유명사로서의 서경식’을 표현하기 위한 활동으로 평가한다. 그러면서 “아무리 해도 일반적인 고유명사는 되지 않는, 아니 될 수 없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했다며 이렇게 언급한다. “정치범의 동생이라는 입장과는 별도의, 또 하나의 ‘보통명사로서의 서경식’으로 향하는 벡터vector가 항상 존재했기에 다른 작가에게서는 볼 수 없는 긴장감이 저에게는 늘 느껴졌던 것입니다.”(본서 280쪽) 이러한 평가는 바로 1990년대 냉전 이후, 이른바 포스트모던의 사상적 파고가 높았던 변화의 시대에 서경식이 서 있던 위치를 이야기해준다. 역사수정주의자나 보수·극우파 세력과 결연히 맞선 것은 물론, 힘을 잃고 퇴락해가던 좌파, 리퍼럴 세력에게도 비판의 날을 거두지 않아야 했던 고된 시기의 기억 역시 함께 싸웠던 동지 우카이 사토시, 다카하시 데쓰야, 시부야 도모미 등의 발언을 통해 전개된다.
간혹 서경식의 사상적 근원이나 동경이 서양을 향해 편중되었다는 오해가 생겨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은 그가 서구 근대가 주창했던 보편주의가 아니라, 제국에 억압된 각지의 마이너리티 동지(유대인, 팔레스타인인, 재일조선인 등)가 연대할 수 있는 또 다른, ‘새로운 보편성’을 모색해 갔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즉 “근대 자본주의 세계 체제 속에서 발생하는 인간 소외, 국가·민족과 개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순, 머조리티majority와 마이너리티minority의 긴장 관계, 권력과 폭력이 자아내는 어두운 양상이, 동양과 서양 어디에서나 생겨나는 ‘인간성’을 둘러싼 아포리아(난문)”이라는 점(하야오 다카노리, 본서 47쪽)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지난한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 것인가를 함께 고민하는 일이 바로 우리의 책무가 될 것이다.

저/역자 소개

지은이
우카이 사토시
1955년에 태어났다. 히토쓰바시대학 명예교수이다. 저서로 『주권의 너머에서』(신지영 옮김, 그린비, 2010), 『저항에의 초대』(박성관 옮김, 그린비, 2019), 『응답하는 힘―상처투성이 세계를 다시 읽기 위하여』(박성관 옮김, 글항아리, 2020), 『テロルはどこから到來したか(테러는 어디에서 도래하는가)』, 『まつろわぬ者たちの祭り』(インパクト出版會, 2020) 등이 있다.

다카하시 데쓰야
1956년에 태어났다. 도쿄대학 명예교수이다. 저서로 『기억의 에티카―전쟁·철학·아우슈비츠』(고은미 옮김, 소명출판, 2021), 『희생의 시스템 후쿠시마 오키나와』(한승동 옮김, 돌베개, 2013), 『국가와 희생―개인의 희생 없는 국가와 사회는 존재하는가』(이목 옮김, 책과함께, 2008), 『책임에 대하여―현대 일본의 본성을 묻는 20년의 대화』(서경식과 공저/한승동 옮김, 돌베개, 2019), 『デリダ(데리다)』(講談社, 2015/초판 1998), 『日米安保と沖縄基地論爭(일미안보와 오키나와기지 논쟁)』(朝日新聞出版, 2021) 등이 있다.

모토하시 데쓰야
1955년에 태어났다. 도쿄경제대학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ディズニー・プリンセスのゆくえ(디즈니 프린세스의 행방)』(ナカニシヤ出版, 2016), 『「愛の不時着」論(‘사랑의 불시착’론)』(ナカニシヤ出版, 2021)등이 있다.

시부야 도모미
1972년에 태어났다. 도쿄경제대학 전학공통교육센터 준교수로 재직 중이다. 『立身出世と下半身(입신출세와 하반신)』(洛北出版, 2013), 『日本の包茎(일본의 포경)』(筑摩書房, 2021) 등이 있다.

가마쿠라 히데야
1962년에 태어났다. NHK 수석 디렉터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隱された戰爭(은폐된 전쟁)』(論創社, 2020), 『アレクシエーヴィチとの對話(알렉시예비치와의 대화)』(서경식과 공저/ 岩波書店, 2021) 등이 있다.

사키마 미치오
1946년에 태어났다. 사키마미술관 관장이다. 저서로 『アートで平和をつくる(아트로 평화를 만들다)』(岩波書店 岩波ブックレット, 2014) 등이 있다.

옮긴이
김지영
근대기 한국과 일본을 오가던 미술가들에 대한 관심 아래 동아시아 근대미술사를 연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미술을 배우러 간 조선인유학생들을 주제로 2018년 도쿄예술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한반도로 귀국하지 않고 재일조선인이 된 미술가도 다소 다루었다. 현재는 식민지 시기 조선에서 활동한 일본인 미술가들의 흔적을 쫒고 있다. 논문으로 「초현실주의 화가 마나베 히데오(김종남)의 생애와 작품 ― 제1세대 재일조선인의 정체성에 대한 사례 연구」, 「전화황(全和凰)의 생애와 예술 ― 재일조선인으로서의 의식의 조형화」, 「대구 근대화단의 일본인 미술가의 규모와 한일 미술 교류」 등이 있다.

신민정
20세기 전반, 국경과 민족, 문화를 초월해 제작 활동을 행한 한국과 일본의 예술가들과 그들의 작품, 미의식의 수용과 변용 양상을 트랜스내셔널의 관점에서 연구해 왔다. 2021년 도쿄대학에 제출한 박사논문에서는 파견, 유학, 종군, 사생여행 등 공적·사적 레벨에서 행해진 예술가들 및 작품의 이동을 다각적으로 검토하며 화가들 개인의 역사적 기억을 소환하고, 이를 통해 당시 한일 화단과 사회의 맥락을 이해하고자 했다. 또한 이러한 예술가의 ‘월경越境의 경험’이 식민지-제국 체제와 구조 속에서 한국 근대미술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 제시한 비전과 한계를 생각했다. 지금은 예술을 둘러싼 중심과 주변의 문제, 불온한 이미지가 내포하는 시대성과 사회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에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배운성의 파리 시기 ― 잡지 『프랑스-자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인 화가에게 있어 ‘조선적인 것’의 의미 ― 이시이 하쿠테이의 기행서 『그림여행』에 나타난 타자인식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최재혁
도쿄예술대학에서 일본·동양미술사를 전공하고 2014년 근대기 일본과 괴뢰국 만주국 사이를 경합·교차했던 시각표상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근현대미술 연구와 일본 예술 및 인문서 번역을 하면서, 출판사 연립서가에서 책을 만들고 있다. 공저로 『아트, 도쿄』, 『美術の日本近現代史 ― 制度・言說・造型』, 『서경식 다시 읽기』, 『비평으로 보는 현대 한국미술』이, 번역서로 『무서운 그림2』, 『인간은 언제부터 지루해했을까 ― 한가함과 지루함의 윤리학』, 『성스러운 동물성애자』 등이 있다. 2011년부터 서경식이 쓴 『나의 조선미술 순례』, 『나의 이탈리아 인문 기행』, 『나의 영국 인문 기행』, 『나의 일본미술 순례1 ― 일본 근대미술의 이단자들』을 비롯한 미술 관련 글을 번역하고 있다.
접기

0
100자평

1
리뷰

2
마이페이퍼

읽고 싶어요 3명
읽고 있어요 0명
읽었어요 2명



구매자 분포




0% 10대

0%


0% 20대

0%


0% 30대

9.5%


23.8% 40대

14.3%


11.9% 50대

21.4%


4.8% 60대

14.3%
여성 남성



100자평
게시물 운영 원칙

카테고리
현재 0/280byte (한글 140자 이내)
스포일러 포함
등록
구매자 (0)
전체 (0)

등록된 평이 없습니다.


마이리뷰
쓰기
구매자 (1)
전체 (1)


딸기아빠 2023-06-29
메뉴
기회로서의 후쿠시마
다시 말하지만 ‘후쿠시마‘는 근대 일본이 다시 태어나 ‘갱생‘할 수 있다는 희미한 기대를 갖게 한 사건이지만 일본은 그 기회를 놓쳤습니다. 거꾸로 말하면 그 일로 인해 일본이 새로운 전체주의로 나아가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할수도 있습니다.- P188
공감 (0) 댓글 (0)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