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1-02

대가대 신학대학원 | 우리시대의 신학자 / 샌드라 슈나이더스, '신비'와 '삶'의 교차점을 찾다 - Daum 카페

대가대 신학대학원 | 우리시대의 신학자 / 샌드라 슈나이더스, '신비'와 '삶'의 교차점을 찾다 - Daum 카페
우리시대의 신학자 / 샌드라 슈나이더스, '신비'와 '삶'의 교차점을 찾다| 종교와 신학, 그리고...
stella|조회 52|추천 0|2012.10.26. 11:21
우리 시대의 신학자 / 샌드라 슈나이더스, '신비'와 '삶'의 교차점을 찾다

요즘은 종단과 교단을 막론하고 많은 종교 공동체들이 ‘영성(Spirituality)’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가끔은 종교와 관련 없는 행사에서도 이 단어를 발견하곤 합니다. 폭넓게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막상 영성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을 받게 되면 선뜻 답하기 어렵습니다. 영성이 도대체 뭘까요?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영성이란 인간의 영혼이 지니는 ‘품성’입니다. 그저 막연하게 타고나는 품성이 아니라, 인간을 초월하는 신비와의 관계 속에서 주어지고 다듬어지는 품성을 말하죠. 
조금 더 그리스도교적인 용어로 표현하자면, 영성이란 하느님을 만나고, 하느님께서 주신 생명에 참여하며, 하느님의 영께 귀를 기울이기 위해 필요한 우리들 영혼의 품성입니다.

이 간단한 정의를 종으로 횡으로 확대해서 생각해 본다면, 영성이라는 말이 실로 엄청나게 다양한 의미망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죠. 영성이란 특정한 시공간 속에 살고 있는 우리 인간들이 갖고 있는 품성이기에 우리가 속해있는 역사와 문화와 동떨어져 생각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이 특별한 품성은 하느님의 신비가 우리들 삶과 만나는 교차로에서 발휘됩니다. 따라서 크고 작은 삶의 사건들이 때로 우리가 이해하고 조정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다고 생각하는 한, 영성은 삶의 모든 것들과 관련을 맺습니다. 슬픔과, 기쁨과, 사랑하고 사랑받는 마음과, 절망하고 다시 일어서는 모든 순간들이 궁극적으로는 영성의 영역에 포함된다 할 수 있죠.

그렇다면 영성을 공부한다—혹은 영성신학을 한다—는 말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영성신학은 과연 무엇을 공부하는 걸까요? 영성신학이 신학의 다른 영역들과 구분되는 지점은 무엇일까요? 이번 주 제가 소개하려하는 미국의 신학자 샌드라 슈나이더스(Sandra M. Schneiders)가 이 질문에 답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샌드라 슈나이더스(유튜브 동영상 갈무리)
샌드라 슈나이더스는 성모성심수녀회(I.H.M.)의 수도자이자 캘리포니아의 예수회 소속 대학인 산타클라라 대학(Santa Clara University) 에서 신약성서학과 영성신학을 가르치는 북미의 신학자입니다. 로마의 그레고리안 대학에서 성서와 영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숱한 저작과 강연들 중에서도 특히 성서 속에 드러난 영성을 여성신학적으로 재조명한 글들을 통해 학계와 사목현장에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신학자입니다.샌드라 슈나이더스 외에도 많은 신학자들이 영성신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해왔지만, 제가 특별히 슈나이더스의 연구에 주목하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슈나이더스의 영성신학은 우선 영성의 영역을 학문적 주제로 끌어 오는 데 큰 공헌을 했을 뿐 아니라, 특히 그 과정에 있어 인간의 경험을 영성신학과 접목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되는 방법론들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06년에 출판된 <그리스도교 영성탐구: 샌드라 슈나이더스 헌정논문 모음집> (Exploring Christian Spirituality: Essays in Honor of Sandra M. Schneiders, IHM)에서 드러나듯, 슈나이더스의 영성연구는 신학이 교리적 틀에서 벗어나 그 접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학문영역들—철학, 문학, 심리학, 인류학, 자연과학—과 대화하고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자극하고 도전합니다. 이번 주에는 슈나이더스가 제시하는 영성신학의 접근방법론을 살펴보며 간략하게 영성신학의 기본적인 주제들을 소개하려합니다.

슈나이더스는 우선 영성신학이란 그리스도교 신앙의 ‘산 경험’들을 연구하는 학문의 한 영역이라고 정의합니다. 신앙이란 신학의 모든 영역에 공통적인 주제이자 궁극적인 목표이겠지만, 영성신학은 이 신앙이 인간의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표현되는 현상과 그 표현되는 방식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다른 신학과 구분됩니다. 다시 말해 영성신학은 인간의 경험에 의한, 그리고 경험을 위한 신학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경험이란 지극히 주관적이죠. 한 사람의 경험이 다른 이들과 소통되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말, 글, 예술작품, 행위 등등—‘텍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영성신학의 자료는 ‘텍스트로 표현된 인간의 주관적인 신앙경험’입니다. 신학의 다른 영역들은 이 주관적인 경험이 녹아든 텍스트를 단지 일차적인 자료로 삼습니다. 이 날것의 자료를 통해 이론을 도출해 내거나, 보다 보편적인 구조를 찾는데 관심을 쏟지요. 그러나 영성신학은 텍스트를 통해 표현된 그 경험 자체, 그 경험이 말해주는 인간의 삶에 집중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슈나이더스는 폴 리꾀르(Paul Ricoeur, 프랑스 철학자, 1913 ~)의 표현을 인용해 영성신학이란 “인간 개인에 관한 과학” 이라고 주장합니다.

슈나이더스는 그리스도교 영성에 접근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으로서 역사적, 신학적, 그리고 인류학적 접근을 제안합니다. 그중 첫째, 역사적 접근은 주관적인 경험이 텍스트가 될 수 있도록 자료화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역사가로서 영성연구를 하는 이들의 주된 작업은 다른 학문 영역의 역사가들과 마찬가지로 흩어져 있는 인간의 경험들을 발굴하고, 추적하고, 경험들 간의 관계와 유형을 파악하여 신뢰할 만한 텍스트를 구축하는 것이지요. 베긴들, 아빌라의 데레사, 도로시 데이, 마더 데레사 등등 수많은 개인들의 초월과 신비 경험을 우리가 읽고 배우고 공부할 수 있는 텍스트로 만드는 것이 이들이 작업입니다.




모든 역사가들이 역사란 ‘사실’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대한 해석’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전제로 삼아 작업을 하지만, 영성을 연구하는 역사가들은 이 사실과 해석의 간극에 더욱 더 예민합니다. 영성이란 것이 워낙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이죠. 신비의 ‘경험’을 교리나 규범이 아니라 ‘경험’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형성의 배경에 존재하는 권력을 관찰하고, 저자의 독특한 상황과 정치적 관계망을 파악하며, 또 텍스트를 해석하는 역사가 자신의 의도를 자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러기에 영성을 연구하는 역사가들은 다른 분야의 역사가들보다도 더 절실하게 근접학문에 대한 개방성을 추구합니다. 심리학적, 사회학적, 정치학적, 성정치적, 미학적, 수사학적, 과학적 연구가 총동원되어야 하죠.

슈나이더스가 두 번째로 제시하는 영성신학의 접근방법은 신학적 방법론입니다. 신학적 방법론은 개개인 영성의 지정학적 정체성을 살피는데 유용합니다. 개개인의 신앙 경험은 대부분 역사성을 갖고 있는 특정 종교와 관련을 맺습니다. 한 그리스도인의 영성이 그리스도교 영성인 까닭은 그/녀가 갖고 있는 영혼의 품성이 그리스도교 전통을 통해 전승되는 규범적 텍스트와, 그/녀가 속해 있는 신앙 공동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고 발전했기 때문이죠.

물론 모든 영성이 그리스도교 영성이어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그러나 스스로 자신의 영성이 그리스도교 영성이라 생각한다면, 그 영성은 그저 신비롭고 경이롭고 놀라운 것들에 반응하는 감수성 이상의 것을 의미합니다. 개개인의 즉흥적이고 일시적인 신앙 경험도 중요합니다만, 그리스도교 영성이라는 정체성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교회 전통과 신앙 공동체와 의식적이고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으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영성에 관한 신학적 접근은 한 그리스도인의 영성에서 구체적으로 그리스도교적인 것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작업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목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성에 관한 질문에 있어 신학은 ‘정답’을 찾기를 의도적으로 기피하고, 행위나 태도에 대한 ‘판단’을 끊임없이 보류해야 합니다. 영성신학은 신학적 명제와 지침을 마련할 수 있는 구성적 시도보다도,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들이 신학의 규범적인 성격들과 만날 때 형성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영성에 대한 신학적 접근방법을 택하는 이들은 무엇보다도 영성의 영역은 서술되고 규정될 수 있는 것들 보다 훨씬 깊고 넓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신비에 관한 질문은 영원히 질문으로 남아있어야 하니까요.

슈나이더스가 세 번째로 제시하는 접근 방법은 인류학적 접근 방법입니다. 영성신학에서 인류학적 접근을 이야기 할 때는, 다양한 인류학의 주제들 중에서 특히 궁극적 가치를 향한 인간의 자기초월적인 능력에 주목합니다. 인간은 왜,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경로를 통해 초월적인 영역에 관심을 가지는지 탐구하죠. 인류학적 연구 방법은 역사적, 신학적 연구방법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방법론 입니다. 신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비에 접근하는 인간들의 삶의 조건들과 상황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인식과 함께 발전하게 되었죠. 인류학적 접근 방법으로 말미암아 영성신학은 학제간 연구의 성격을 확대하고, 인간이 신비와 대면할 때 제기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의식들을 더 정밀하게 구체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영성이 단지 형이상학적이고 심리적인 영역에 관계할 뿐이라는 편견을 깨고, 현대인의 삶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견인하고 있죠. 인류학적 접근방법은 신학적 방법론과는 상보적인 관계를 갖습니다. 인류학적 영성연구가들이 보편주의, 절대주의, 규범주의로 나아가기 쉬운 신학적 영성연구들을 구체적인 삶의 정황과 맥락 속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신학적 영성연구가들은 자칫 상대주의로 빠지기 쉬운 인류학적 영성연구가들에게 과연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영성이란 무엇인가, 규범성은 왜 필요한가를 일깨워주기 때문이죠.

신학과 영성을 연구하는 신학자로서, 저는 많은 이들이 영성이란 단어에 대해 선입견을 갖고 있다는 것을 가끔 발견합니다. 그 선입견들은 때로 영성신학이 도피주의적인 신앙인의 태도를 용인하고 있다고 지레 짐작하고 비판합니다. 샌드라 슈나이더스의 글과 책들은, 영성신학이 오히려 신학의 영역들 중에서 가장 집요하고 가장 끈기 있게 인간의 삶의 조건들에 대해 탐구할 수 있는 연구분야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신학적 질문을 언제나 구체적인 한 인간의 삶의 자리와 맞닿게 하고, 또 그 삶의 자리로부터 신비로 나아가는 길들을, 끝없이 열려 있는 수만 가지 길들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신학의 영역이 영성신학입니다.

샌드라 슈나이더의 책들 (아직 한국에 번역된 책이 없습니다.)

Prophets in Their Own Country: Women Religious Bearing Witness to the Gospel in a Troubled Church (2011), 
Selling All: Commitment, Consecrated Celibacy, and Community in Catholic Religious Life (2001); 
Finding the Treasure: Locating Catholic Religious Life in a New Ecclesial and Cultural Context (2000); 
With Oil in Their Lamps: Faith, Feminism, and the Future(2000); 
Written That You May Believe: Encountering Jesus in the Fourth Gospel (2003); and 
The Revelatory Text: Interpreting the New Testament as Sacred Scripture (1999).








조민아 교수
미국 에모리대학에서 구성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미셀 드 세르토의 시각을 확대 해석해 중세 여성 신비가 헤데비치(Hadewijch)와 재미 예술가 차학경의 글을 분석한 연구로 논문상(John Fenton Prize)을 수상했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