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25

알라딘: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알라딘: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김용옥 (지은이)통나무2019-07-25




































미리보기

화제의 책+알라딘 굿즈(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 3만원 이상)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 1,500원 할인)

마일리지
7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61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신간도서 단 1권도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오늘(17~21시) 수령
최근 1주 85.3%
(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종교/역학 주간 20위, 종합 top10 3주|
Sales Point : 40,131

9.0100자평(19)리뷰(9)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
무이자 할부








수량








기본정보

반양장본
248쪽

책소개
도올, <반야심경>으로 새로운 깨달음을 전해준다. 20대의 도올은 <반야심경>의 의미를 접하고 충격을 받는다. 그 이야기부터 시작하여 <반야심경>과 관련된 모든 것을 다룬다. <반야심경>은 대승불교의 핵심 경전이다. 이 경전이 탄생되기까지의 결정적 장면들을 생동감 있게 이야기한다.

싯달타에서 대승불교까지의 인도 불교사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또 공空사상이 전면에 등장하는 <반야심경> 텍스트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반야지혜의 구체적 내용을 현재 우리의 문제의식과 결부시켜 쉽게 설명해준다. 또한 이 책은 한국불교의 흐름과 그 본질적 성격도 재미있는 이야기로 전해준다.

선禪중심의 한국불교는 독특하다. 서산대사로부터 경허, 만공을 거쳐 성철, 법정으로 이어지는 우리 선 수행 전통의 도도한 흐름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우리 불교의 내밀한 인간적 모습과 큰 울림을 주는 선사들의 공안을 소개하면서 한국불교가 조선시대에 핍박을 받음으로 인해 오히려 순결한 수행풍토가 이어져왔다는 아이러니를 알려준다. 저자가 들려주는 위대한 수행자 경허의 이야기는 무엇이든 감동적이다.



목차


제1장 프롤로그
인연 17
철학을 전공하다 18
광덕사로 가는 길 19
최초의 해후: <반야심경> 밑씻개 20
첫 만남의 충격적 인상: 이것은 반불교다! 21
별당 용맹정진 22
소쩍새 울음의 신비 23
새색시의 인가 24
엄마의 공안 26

제2장 한국불교의 흐름과 그 본질적 성격
진짜 중과 가짜 중 28
이순신 장군과 서산대사 29
임진왜란: 멸사봉공의 자비 31
영규대사: 최초의 육지에서의 승전 32
비겁한 유생들의 작태 32
선조와 서산대사의 인연 33
정여립은 정말 모반을 꾀했을까? 34
선조의 애·증 콤플렉스 35
적서지별이 망국지본이 되다 36
말 탄 서산을 끌어내리는 유생들 37
이순신을 도운 승군의 활약상. 유정의 위대한 마무리 38
유정의 눈부신 활약상도 제대로 기록 안됨 38
서산과 해남 대둔사 39
임진왜란과 승과 40
서산의 입적시 41
거시기와 예수, 거시기와 철학 43
서산과 삼가귀감 44
경허 송동욱 45
독경하고 싶거들랑 천자문부터 46
천자문 돈오 47
불교와 한학, 그리고 해석학적 방법론 48
경허의 죽음 49
계허와 만화 51
경허 동학사에 오다, 구척 장신의 강백 52
천안에서 만난 귀신 53
죽음으로부터의 도피 54
콜레라균의 19세기 역사 55
소독이라는 개념을 모르는 불행 56
해월과 경허, 그리고 윤질 콜레라 57
동학 전도의 비결: 콜레라 58
말로 설파한 생사일여, 정말 생사일여냐? 59
경허의 용맹정진 60
이 진사의 문안 62
천비공처가 없는 소 63
성우로 다시 태어나다 65
소와 고삐 66
고삐 없는 소: 자유자재의 해탈인 66
사람이 없다 68
무사지인 69
천장사 이야기 69
개울 건넌 이야기 70
방하착의 의미 75
조주의 방하저 76
예수와 경허 77
경허의 보임 78
1880년대의 조선민중의 처참한 생활 79
49재 고사 80
머슴살이 김 서방, 이 서방이 모두 부처님이외다 82
49재: 윤회사상과 적선지가, 향아설위 83
법문과 곡차 84
묘령의 여인과 경허 84
경허는 포폄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이해의 대상일 뿐 95
만공과 동학사 야간법회 95
경허의 선풍이 20세기 조선불교를 지켰다 97
만공의 반왜색 항일투쟁 98
정화운동(1954~62)의 한계 98
명진의 이야기 100
마조와 은봉 105
안거 107
해인사 반살림 108
성철 스님의 입장 111
조선불교는 중국불교를 뛰어넘는다 112
한국의 불교는 선불교가 아니라 통불교이다 113
선불교: 인도불교의 중국화과정 114
선, 삼매, 요가 115
법상종이란? 116
댜나의 음역 속에 겹친 속뜻 117
교와 선, 이와 사의 구분은 있을 수 없다 118
임제 법문의 궁극적 의미 119

제3장 싯달타에서 대승불교까지 121
불교의 근본교리 121
삼법인 또는 사법인 122
행의 의미 122
연기 123
일체개고와 쇼펜하우어 124
일체개고의 문명사적 맥락 125
중동 사막문명의 테마: 죄 126
제2의 아담 127
제법무아 128
아트만 129
아트만이 없다=실체가 없다 131
열반적정 131
불교는 죽음의 종교 아닌 삶의 종교 132
불교의 알파 오메가 133
심리학과 무신론 134
무아의 종교 135
삼학과 사성제 135
유전연기와 환멸연기 136
팔정도와 삼학 137
불교사의 특징: 전대의 이론을 포섭하여 발전 139
지눌의 정혜쌍수 140
스님의 계 141
화두를 통해 득도할 수 없다 142
자기 삶의 화두만 유효하다 142
삼학과 삼장 143
싯달타라는 인간의 체질 144
성묵과 법담 144
반야란 무엇인가? 반야경의 이해 145
<8천송반야경> 146
<8천송반야경>의 산스크리트어 원전 147
<도행반야경> 147
월지국의 루가참의 기적 같은 번역 148
<8천송반야경>의 유일한 조형 149
<도행반야경>의 첫 3품 150
반야경의 성립은 대승불교의 출발 150
월지국은 어떤 나라인가? 151
월지국에서 쿠샨제국으로 152
쿠샨왕조의 성격: 포용적 문화, 불상의 탄생,
대승의 기반 153
현장의 <대반야경>이라는 거질 154
확대와 축약 154
<반야심경>의 심은 무슨 뜻? 156
반야경과 도마복음서 156
<금강경>과 <심경> 157
반야경과 대승불교와 선불교 158
우리나라 선불교의 뿌리는 선이 아니라 혜이다 158
우리나라 민중의 선택: 공안이 아닌 <금강경>과 <심경> 159
<심경>의 기초개념 파악을 위한 통시적 시각 159
서가의 책을 덮고 쉽게 이야기합시다 160
“대승”이라는 용어에 대한 엉터리 이해들 160
버스와 자가용 세단 161
성문승, 독각승, 보살승: 보살의 의미 162
싯달타가 과연 왕자일까? 163
자기파멸의 길, 자기완성의 길 164
업, 윤회, 열반 164
성문·독각은 자기가 불타가 된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165
아라한 166
전륜성왕 아쇼카의 등장 166
찬드라굽타가 개창한 마우리아왕조:
동서문명의 본격적 교류 167
결집 168
아쇼카왕 때의 제3차 결집 168
새로운 스투파문화 169
8만 4천 개의 스투파 170
기원의 문화 탑돌이, 개방된 성역의 형성 171
싯달타의 라이프 스토리 172
구라꾼, 보살의 등장: 승방정사에서 개방된 가람으로 172
탑이 있는 차이띠야, 보살가나의 등장 173
아쇼카에서 카니슈카로 174
부파불교시대까지는 부처님의 형상은 타부였다 174
스투파의 불감 175
대승불교는 초기불교와는 전혀 다른 성격 176
싯달타의 종교가 아니라 보살의 종교 176
재가자와 출가자의 구분이 없다: 삼보일체 177
난행도와 이행도를 다 포용 178
보살일승의 개방종교: 색신에서 법신으로 178
모든 인간은 보살이다: 불상존중=나의 성불 178
기독교역사는 대승기독교를 허락치 않았다 179
반불교 반종교의 시작 179
<심경>의 8종 180
대본과 소본 181
구마라집 <심경> 번역본의 문제점 181
제목의 해설 185
6바라밀의 등장 186
바라밀의 해석 187
계율과 지혜의 길항성 188
결론적 성격 191
벼락경 192
아상을 버린다 194

제4장 <반야바라밀다심경> 주해 201
제1강 관자재보살에서 도일체고액까지 201
관세음보살과 사리불 201
<금강경>의 형식과 <심경>의 형식 202
관세음보살은 중성이지만
여성적 이미지가 강하다 203
관자재, 관세음의 뜻 204
관세음보살과 기자 이상호 205
관세음보살은 바로 너다 205
조견, 도, 일체고액 206
오온이란 207
식까지의 진화 208
제2강 사리자에서 역부여시까지 209
관자재보살이 오온개공을 상설한다 209
오온의 가합인 나는 결국 공이다 211
공의 세계가 영성계라구? 개똥이다! 212
싯달타의 깨달음은 연기 하나! 213
제3강 사리자에서 부증불감까지 214
<심경>의 육불은 <중론>의 팔불중도가 아니다 214
<심경>은 진공묘유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216
제4강 시고공중무색에서 무의식계까지 216
18계의 이해 217
불교인식론과 서양근세철학 인식론은 같은 계통 217
18계가 다 사라진다 219
제5강 무무명에서 무고집멸도까지 219
12지연기와 4성제의 부정 220
공의 철학이 아닌 무의 철학 222
제6강 무지에서 무소득고까지 223
총결론 223
우주론적 명제를 윤리적 명제로 224
법정 스님의 무소유 226
제7강 보리살타에서 삼먁삼보리까지 227
보리살타가 주어가 된다 228
공포와 몽상 229
동네 BYC내복상 대화 229
구경열반 233
무상정등각 233
제8강 고지반야바라밀다에서 진실불허고까지 234
무등등주 235
도일체고액과 능제일체고 236
제9강 설반야에서 보리사바하까지 237

제5장 에필로그 240

참고문헌 242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나는 충남 천안시 대흥동 231번지에서 태어났습니다.




P. 20 자아~ 이게 웬일일까요? 한 글자 두 글자, 센텐스 바이 센텐스, 주어, 동사, 부사, 형용사 따위를 맞추어가면서 그 뜻을 생각해보는 순간, 아니! 막연하지만 그 의미가 통달케 되면서 펼쳐지는 광막한 사유의 세계, 전 우주가 나의 의식권 내에서 기발한 춤을 추기 시작하는데 나는 정말 무지막지한 충격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P. 21~22 이것은 반불교다! 이것은 불교가 아니다! 이것은 불교의 모든 논리를 근본에서부터 파괴하는 전혀 새로운 논리다! 불교를 불교다웁게 만드는 모든 그룬트Grund(땅바닥, 근거, 기초)를 파멸시키는 다이나마이트다! 아니! 불교라는 종교가 도대체 어떻게 돼먹은 종교냐? 종교가 반종교의 논리를 자기의 최상의 언설로서 모시고 있다니!
P. 27 나는 그 순간 종교보다 인간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또 하나의 대오大悟였지요. 제도화 된 종교의 규범은 인간에게 덮어씌워진 겉껍데기라는 것! 껍데기는 가라! 나는 그 체험을 통하여 목사의 옷도 벗었고 승려의 옷도 벗었습니다. 그리고 무전제의 철학의 길만을 고집하며 여기까지 달려왔습니다.
P. 57~58 해월海月(1827년생)과 경허鏡虛(1849년생)! 나이는 해월이 한 세대 위이지만 이 두 사람은 같은 시기에 같은 민중의 현실을 바라보면서 같은 고민을 하고 있었습니다. 경허는 철저히 개인적이며 내면적 수양을 통해 새로운 정신사적 혁명을 수립하려고 했고, 해월은 철저히 공동체적이며 사회조직적 운동을 통해 정치사적 혁명을 수립하려고... 더보기
P. 36~37 서산대사가 팔도도총섭이 되어 의승義僧의 총궐기를 호소하니 순식간에 전국에서 5,000여 명의 승군이 조직되었다고 합니다. 서산대사의 역량이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알 수 있지요. 서산대사는 의승군을 거느리고 명군明軍과 합세하여 평양성을 탈환하고 서울을 탈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더보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9년 8월 2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김용옥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우리시대의 사상가. 고려대학교 생물과, 철학과, 한국신학대학 신학과에서 수학하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대만대학, 동경대학, 하바드대학에서 소정의 학위를 획득.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연변대학, 사천사범대학 등 한국과 중국의 수많은 대학에서 제자를 길렀다.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 등 80여 권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의 저술을 통해 끊임없이 민중과 소통하여 왔으며, 국학國學의 정립을 위하여 우리나라 역사문헌과 유적의 연구에 정진하고 있다.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2019년에는, K... 더보기


최근작 : <유시민과 도올 통일, 청춘을 말하다>,<도올의 마가복음 강해>,<도올 김용옥의 금강경 강해> … 총 101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통나무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유시민과 도올 통일, 청춘을 말하다>,<도올의 마가복음 강해>,<슬픈 쥐의 윤회>등 총 110종
대표분야 : 불교 8위 (브랜드 지수 60,219점), 고전 26위 (브랜드 지수 73,716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도올의 50년간 묻어둔 이야기!
50년 전 도올 김용옥은 방학을 이용하여 천안부근의 광덕사에 단기 출가 중이었다. 그 때 그는 평생 잊을 수 없는 체험을 하게 된다. 산사의 뒷깐에서 <반야심경>이란 문헌을 우연히 접하게 되고 그 뜻을 헤아리는 어느 순간, 그는 세상을 보는 눈이 확연히 달라지고 엄청난 흥분에 휩싸이게 된다. 그것은 일대 사건이었다. 그 때 그는 순우리말의 오도송을 발한다. 반야심경이 무엇이길래, 20대 초반의 철학도를 그토록 사로잡은 것일까? 저자는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이 이야기를 들려준다.

<반야바라밀다심경>, 대승불교혁명의 매니페스토!
<반야심경>의 반야(prajñā)는 완전한 최고의 지혜를 뜻한다. 부처님 입멸한지 약 500년 후에, 인도의 영민한 불교인들은 초기불교의 무아사상을 끝까지 밀고나가 모든 실체적 사유를 부정하는 공空사상을 정립하였다. 이 공사상을 철두철미하게 체득하는 것이 반야지혜이고, 이 반야지혜의 완성이 반야바라밀다(prajñāpāramitā)이다. 이 때 혁신적 불교 세력이 등장하여 반야바라밀다를 중심 테제로 내세우며 치열한 대중운동을 펼친다. 이것이 대승불교운동이다. 반야지혜사상으로 기존 불교의 번쇄한 이론체계를 무너뜨린 것이다. 이 대승불교운동은 새로운 불교를 탄생시킨 불교혁명이었다. 대승불교운동은 다양한 반야부 경전을 만들어내었다. 팔천송반야경을 시작으로 이만오천송반야경, 금강경, 십만송반야경 등 반야경전은 그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반야심경>은 이 방대한 반야경을 한자漢字 260자로 압축한 대승불교의 핵심 경전이자, 반야지혜사상의 결정판이다.

세상에서 가장 짧은 경전, 그러나 가장 강력한 경전!
이 책의 원전 텍스트로 삼은 현장 번역의 <반야심경>은 동아시아불교 최고의 경전이다. 불교인들 대부분이 외우고 있다. 절집에서 진행하는 모든 불교의식에는, 참여하는 사부대중이 함께 이 <반야심경>을 봉독하면서 그 순서를 시작한다. 이 경전에 들어있는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란 말은 한국인 누구에나 친숙하다. 현재 유튜브에는 힙합음악으로 만든 ‘반야심경 리믹스’가 젊은이들에게 대단한 인기이다. 이처럼 <반야심경>은 늘 우리 곁에 있다. 이 책은 이 <반야심경>의 메시지를 현재적 의미로 늘 환기시키고자 한다. 일체개공一切皆空의 공사상을 그대로 느껴보고, 반야지혜를 제대로 추구하자는 것이다. 모든 것은 연관된 사태 속에서 일시적 현상만 있을 뿐이다. 그러니 누구든지 고착된 이념의 사슬에서 벗어나라는 것이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사탕이었던 것 같다. 무슨 뜻인지도 모르면서 <반야심경>의 무려 260개의 글자를 외우도록 끌어당기던 막강한 힘은. 아이에게 사탕은 돌멩이계의 다이아몬드다. 초등학교 고학년 즈음이었나. 몇 살 때인지 기억은 가물가물 하지만 워낙 달달 외웠던 탓에 아직도 익숙한 유행가 후렴구처럼 툭 치면 '고득아뇩다라~'가 바로 튀어나올 정도이다. 어머니께서 공양주로 일하시던 동네 절에서는 주말마다 어린이 법회를 열었다. 언니, 동생들과 법당에 들어가 절을 하고 밥을 먹고 스님의 말씀도 종종 들었던 기억이 난다. 딱히 작정하고 불교를 믿은 것은 아니었다. 어머니가 계신 거기, 절이 있었고 학교 가듯 친숙한 장소였던 까닭이다.

코를 막고 양파를 먹으면 달짝지근하고 사각거리는 그것이 양파인지 사과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우리는 냄새와 함께 맛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코를 틀어쥔 손을 떼어내는 순간 매콤한 냄새가 훅 스치며 “이런! 양!파!” 임을 깨닫는다. 반가웠다. 이제 양파 맛이 나는 양파가 양파임을 알게 될 거라서. 단지 글자의 배열에 지나지 않던 글귀의 뜻을 알려줄 책이라는 생각에 기대가 되었다. 단순한 몸짓에 지나지 않던 그의 이름을 불러 꽃으로 피어나기 직전의 두근거림이랄까.



후아! 그래서 대체 ‘반야바라밀다심경’이 무슨 뜻이냐고요! 제목까지 가는 길은 멀고도 광활했다. 불교의 4법인, 연기, 동양 문명의 테마, 3학, 팔정도, 사성제, 계정혜, 슐로카, 3품, 금강경, 선불교, 대승불교, 삼승, 비구, 아라한, 6바라밀, 오온, 육불, 이런 십.팔.계! 영화 <알라딘>에 나올 법한 양탄자를 타고 마음은 슝 날아갈 준비를 마쳤건만 푸르르 고장 나서 불시착한 채로 비포장도로를 꿀렁거리며 지나온 기분이다. 멀미, 멀미, 이건 멀미였다. 거침없이 밀려드는 불교 지식의 쓰나미를 감당하지 못한 나는 책을 집어던지고 싶은 유혹을 ‘언젠간 가겠지, 이 또한 지나갈 거야’ 이제껏 없던 불심으로 뿌리쳤다. 여러 스님들과 싯달타의 이야기가 펼쳐질 때만 해도 제법 여유가 있었단 말이다. 145쪽에 와서야 ‘반야’가 지혜 혜(慧)의 음역임을 알았다. 숨이 찼다.

TV 속에서 클립 영상으로 보던 저자는 거침없는 인물의 표상이었다. 그의 책은 처음 접한다. 강연 투로 서술된 책속의 문장들은 거침이 없었지만 혼자만 거침없고 장황하다는 느낌이다. 종교와 철학과 문화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보유하신 분이라는 것은 잘 알겠는데 그 서술방식이 나와는 잘 맞지 않는다. 예컨대 나는 한 걸음씩 계단을 오르기를 원하는데 저자는 한달음에 올라갔다 다시 내려와서 설명하고 다시 불쑥 올라가는 방식이다. 다소 어수선하게 오르락내리락하는 저자의 걸음을 따라가다 지쳐버린다.



기다리던 부분은 4장 <반야바라밀다심경> 주해가 시작되는 201쪽부터 등장하였다. 하아! 이 스무 장을 보기위해 200쪽의 걸음을 동동거리며 기어왔던가. 막상 해설은 명쾌하고 이해하기 쉬웠다. 그것도 배경지식이라고 꾸역꾸역 종이에 메모하면서 공부한 효과가 마지막 장에 와서 효과를 발휘했다. 이러려고 그렇게나 열심히 불교의 흐름과 용어를 펼쳐놓으셨던가. 머쓱해졌다.

<반야바라밀다심경>은 600권이나 되는 방대한 저술의 핵심을 260개의 문자로 요약한 단행본이다. ‘심경’은 핵심을 요약한 경전이란 뜻이다. 이 책에 나온 것은 삼장법사 현장이 저술한 것이다. ‘반야’는 ‘지혜’를 의미하는 음역이며, ‘바라밀다’는 ‘극치, 완성’을 의미한다. 합치면 ‘지혜의 완성’이다. 반야경은 대승불교의 출발이다. ‘대승’은 ‘큰 수레’로 대중을 향해 열려있는 불교이다. 대승불교는 보살의 불교이다. ‘보살’은 ‘보리살타’의 줄임말이다. 지혜와 깨달음을 의미하는 ‘보리’와 본질, 실체를 의미하는 ‘살타’가 합쳐진 말로 깨달음을 지향하는 사람, 그 본질이 깨달음인 사람이다. 이는 수행자에 국한된 소승불교가 대중에게로 확대됨을 의미한다. 당신도 보살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반야심경>의 지향점은 무(無)이다.



책속에 언급된 일화와 이론들을 읽어가는 과정에서 일상에 바로 적용하여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는 팁을 몇 가지 얻었다.

첫째, 경허 스님의 이야기를 통한 ‘방하착(放下着)’이다. 정작 여인을 업고 개울을 건넌 스님은 여인을 내려놓았는데, 이를 지켜본 사미승은 그 생각을 계속 내려놓지 못하며 생각으로 여인을 업고 가는 셈이 되었다는 메시지이다.

유난히 피곤한 하루였다. 종일 실험 평가를 하느라 5분도 쉬어보지 못했다. 화학 실험이라 안전사고가 일어날까 예민했고 빈 시간이면 다음 반 실험을 위한 준비에 분주했다. 피곤의 극치는 마지막 반에서 터졌다. 평소 수업 태도가 그지 같아서 들어가기 전에 몇 번 릴렉스를 한 다음 들어가는 반이다. 역시나 나머지 반들에게서는 일어나지 않던 일이 발생한다. 지금 생각하면 사고를 일으킨 것도 아니고 단지 내말대로 실험하지 않은 것뿐인데. 순회하는 내 눈에 띤 장면은 지시약을 1방울 넣으라는 나의 주의사항을 깔끔하게 저버리고 뚝뚝 떨어지는 방울들과 보란 듯이 보라색과 진청색으로 그득 채워진 홈판 이었다. 원래대로라면 희미한 파스텔 톤으로 눈물 몇 방울 정도의 양이 들어있어야 할 그곳이, 보여서는 안 되는 색깔을 띤 단청 색 찰랑거리는 오줌단지가 되어버린 거다. 이거 누가 그랬어! 늘 그렇듯 결과는 있으나 원인 제공자는 밝혀지지 않는, 심증은 있으나 물증이 없는 상황이다. 사실 아이들 입장에서는 누가 그랬다고 말하기도 어려웠을 거다. 조원 전체를 태도에서 감점을 한다고 버럭 하니 몇 마디씩 변명이 쏟아진다. 심증 가던 그 아이는 바로 옆의 조였다. 아이의 문장 하나가 마음에 꽂힌다. 아이들이 방해된다고 만져보지 못하게 해서 떨어뜨려보고 싶어서 한 방울 넣어본 거예요. 족히 10방울은 넘어 보이는 색깔을 현미경 수준으로 축소한 아이의 마음이 순간 사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색깔 확인은 다 한 거야? 예. 얼른 뒷정리 해.

퇴근 후 집에 돌아오니 아까의 버럭이가 스멀스멀 되살아났다. 경허 스님의 ‘내려놓음’이 생각났다. 그 순간까지 버럭이를 놓지 못하고 업고 왔구나. 뭐 좋은 거라고 붙들고 있나, 얼른 내려놓아야지. 마음이 편안해졌다.

둘째, 연기(緣起)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싯달타 깨달음의 핵심이다. ‘어떠한 사물도 그것 자체로 단절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없으며, 반드시 원인이 있으며 그 원인의 변화가 오면 결과는 반드시 변하게 마련입니다.(p123)’ 사랑이나 사람이 변하는 것도 연기의 관점에서 바라보니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졌다. 변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한 일이었던 거다. 저절로 일어나는 것은 없는 것이었던 거다. 의식하지 못한 원인들이 계속 쌓이고 쌓인 것이 갑작스럽다고 느껴지는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조금 더 세심하게 잘 바라봐야함을 깨달았다. 분명 최초의 한 방울이 있었을 거다. 그걸 인지하지 못했던 것을.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이나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일 터이다.

셋째, 저자의 표현대로 하면 ‘나는 좆도 아니다’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자기 비하와는 전혀 다른 의미일 터이다. 나를 바라보며 겸손해지고 욕심을 버리라는 의미라 해석한다.



<반야심경> 해설을 음미해보니 나의 생활 패턴에 대한 학문적인 지지 기반이라도 얻은 듯 뿌듯하다. 어렴풋이 해답을 얻었다. 비행기를 타고 뿌연 구름 속을 지나며 여기로 가는 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드는 순간 시야가 탁 트이며 맑아진 공간으로 들어와 버린 느낌이랄까.

260개의 문자 중 자주 등장하는 한자는 공(空)과 무(無)이다. 몇 번이나 나올까 헤아려본다. 공은 7번, 무는 21번이다. 흥미로운 점은 초반에는 공이 계속 등장하다 무가 나타나면서 릴레이 바턴을 이어받은 듯 공이 없어진다는 점이다. 무소유와도 연결이 되는 없을 無. 글자의 의미와 느낌이 참 좋다.

어느 순간부터 갖고 싶은 것이 떠오르지 않는다. 50대에 들어서면서 심장 언저리를 맴도는 생각이다. 물건을 볼 때면 이것도 결국 사라질 거라는 생각이 드는 거다. 무소유를 지향하기로 했어. 나를 위한 물건을 사는 일이 줄었다. 지금 가진 옷, 구멍 날 때까지 입을 거야. 주변인들에게 웃으며 말하는 나. 옷을 사지 않으니 마음이 편해진다. 그나마 소비하는 분야가 책인데 지금 책장에 꽂힌 책이라도 다 읽자 하니 현저하게 구입량이 줄었다. 허무함이라 표현하기에는 부족한, 홀가분하다는 느낌이 섞여 점점 자유로워지는 기분이 든다.



사물에도 기가 있어 색으로 표현된다면 어떨까. 손길이 닿은 횟수만큼 다른 색으로 진화하는 거다. 손이 많이 닿은 물건일수록 찬란하고 화려한 빛을 뿜어내고 전혀 닿지 않는 것은 흑백으로 음영 처리되어 콕콕 집어내어 버릴 수 있도록. 무소유의 관점에서 집안을 바라보니 버릴 것이 하나 둘 눈에 들어온다. 몇 년 간 손길이 닿지 않은 것을 찾으면 되는 거다. 서른 한 가지도 넘게 골라내는 재미가 붙는 중이다. 버리니까 공간이 생기고 공간이 생기니까 숨통이 트인다. 물건 대신 공간을 얻는다. 새로운 공간이 신선한 공기로 채워져 덩달아 가벼워진다.

삶은 수학이 아니다. 3-3=0 이라는 수식의 수학적 결론은 0이지만 삶에서는 + 와 – 가 제로로 되는 과정이 고스란히 흔적으로 남는 까닭이다. 무(無)로 돌아가는 과정이란 이런 걸까. 매순간 변화하는 나에게서 무언가를 더하거나 덜어내면서 0으로 가까워지려는 노력을 하는 과정 말이다. 감당하기에 버거운 물건들을 소유했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은 물건을 덜어낼 시기이다. 조금 더 과감하게 버릴 생각이다. 감정이 될 수도 있고 관계이거나 사물이 될 수도 있는 무언가를 향한 치열한 영점 조절을 해볼 작정이다.







p112, 8째줄 : 못했다는데 → 못했다는 데

p130, 밑에서 3째줄 : 영예 → 명예

p169, 2째줄 : 있어났는데 → 일어났는데
나비종 2019-09-21 공감 (8) 댓글 (0)






어릴 때 본 만화 중에 이런 내용이 있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스틱스 강'에 죽은 이가 빠지면 존재 자체가 소멸한다고.


살아있던 아킬레우스는 스틱스 강에 몸을 담가 아킬레스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불멸이 되었는데, 죽은 이는 존재 자체가 소멸된다니... 그 강렬한 느낌을 잊을 수가 없었다.



그리고 찾아 온 의문. 존재 자체가 소멸된다는 건 어떤걸까? 지금 내가 생각하는 것, 경험한 일, 내가 맺어온 관계들... 나와 관련된 모든 것들이 사라지고, 나라는 인식 자체도 사라진다는 걸까? 아무리 의심하고 의심해도 내가 생각한다는 것은 의심할 수 없다는,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고 했던 데카르트의 말조차도 허공 중에 재가 되어버리고 말 '그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존재 자체가 없다... 이건 또 '공(空)'과는 다른데 '무(無)'랑은 같은 걸까? 있던 존재가 없어진다는 건, 존재했다는 기억조차 사라진다는 걸까? 사실 사람이 죽으면 육체는 흙으로 돌아가고, 시간이 흐를수록 기억에서 잊혀지지만 영혼은 남아서 천국이든, 지옥이든, 도리천이든 어디든 있다고 생각했다. 귀신이 되어 이승을 떠 돌수도 있고, 천국에 갈 수도 있고, 극락에 갈 수도 있고... 이렇게 말이다. 주로 우리가 무서워하는 귀신들은 바로 이렇게 죽어 혼만 남은 존재니까, 잘은 모르지만 죽는게 끝은 아니라는 걸테다.



하지만... 소멸된다는 건, 무(無)가 된다는 건 어떤 걸까? 그 존재가 존재했다는 자체가 사라지는 건.. 그 존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억, 의식 이런 것들이 모두 사라진다는 걸까? 그게 가능한 걸까? 분자, 원자 등 우리가 물질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를 총동원해서 가장 작은 입자를 말한다 한들, 그조차 사라진다는 건데, 그럴 수 있는걸까?



나는 내 존재가 없어지길 바라는걸까? '아무것도 아니다'와 '없음(無)'은 다른걸까?



그렇게 생각을 하던 와중에 웃었다. 이런 게 집착인 걸까. 아 모르겠다. 하면서 말이다. 그러면서 또 웃었다. 데카르트는 생각하는 자신을 발견했다는데, 나는 그냥 내가 정말 모르는구나..를 알 뿐이다. 다행이네, 모른다는 걸 알아서.



그리고 이렇게 웃고 있는 나도, 모르는 나도, 알고 싶은 나도 모두 나이지만 또한 지나가는 나라는 걸. 그래서 이 느낌을 잊고 싶지 않아서 이렇게 적어본다는 걸. 하지만 글로 적은 이 느낌은 또한 내가 방금 느꼈던 그 느낌과는 다르다는 걸 어렴풋이나마 느끼게 되어 씁쓸해졌다.



나는 여전히 '나'라는 인간에 얽매여 있다. 내가 세운 기준에 미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며 그런 인간이 되려고 한다. 그런데 왜? 그런 인간이 되면 뭐가 좋은걸까? 내가 기분이 좋아지나? 떡이라도 생기나? 아니 아니 그런 걸 다 떠나서 그런 인간이 될 수는 있는건가?



나는 지금 무얼 하고 있는걸까?



시간이 흐르지 않는 것이라면 이 모든 것은 한낱 먼지인걸까?



정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이 생각, 저 생각 떠다니다가 익숙하게 울리는 벨소리에 놀라 펄쩍 뛰었다. 아, 정말 놀랐다...



통화를 하고, 다시 생각하고 싶었는데 딱 저기까지만 생각나고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는 못했다. 갑자기 배가 고프고, 뭔가 먹고 싶고, 목이 마르고... 몸이 온 몸을 내던지며 나에게 원하는 바를 외쳤기 때문이다.



결국 내가 내린 결론은 '위(胃)'를 다스려야 하나.. 였다. 무가 되든, 공이 되든 이 육신이 나를 부르는데 결국 난 존재가 없어진다거나, 공이 된다거나 하는 문제에 앞서 배고픔부터 달래기로 했다. 그게 사는 건가 보다. 이런 생리적인 현상들을 뛰어넘기엔 난 너무나 부족하니까.



시작은 참 커다랬는데... 마무리는 좁쌀만하네. 그래도 웃으며 끝내고 싶다. 하하




























































꼬마요정 2019-08-28 공감 (14) 댓글 (0)




오래전부터 생각했다. ‘무’와 ‘공’은 어떻게 다를까. 어떻게 하면 ‘고’가 사라질까. 잔잔한 만족은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여전히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만족한다.
꼬마요정 2019-08-22 공감 (11) 댓글 (0)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14)
전체 (19)

공감순







이 분 책은 처음 읽는다. 역시나 어렵다.
내려놓자. 번뇌를...
munsun09 2019-08-20 공감 (31) 댓글 (0)
Thanks to
공감





오래전부터 생각했다. ‘무’와 ‘공’은 어떻게 다를까. 어떻게 하면 ‘고’가 사라질까. 잔잔한 만족은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여전히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만족한다.
꼬마요정 2019-08-22 공감 (11) 댓글 (0)
Thanks to
공감





어려울 것이라는 걱정과 다르게 무척 재미있는 이야기 책 같다.
Jane 2019-10-12 공감 (11) 댓글 (0)
Thanks to
공감





정말 작정하고 쉽게 쓰신 책같다. 그래서인지 내겐 쉽지않았지만 도전할 수 있었다 감사하고 고맙고 그렇다 개인적으로 올해의 책이 되지않을까 싶다
ferrone 2019-08-19 공감 (6) 댓글 (0)
Thanks to
공감





도올 선생의 자기고백. 단숨에 읽힌다
알퐁소 2019-08-03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리뷰

구매자 (5)
전체 (9)

리뷰쓰기

공감순





문장가


반야심경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하지만 문장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일흔이 넘은 분의 글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이야기를 풀어가는 솜씨나 문장력이 뛰어나다. 글이 살아서 꿈틀거리는 것 같아 눈을 뗄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에 몰입하게 하는 묘한 마력이 있다. 우리 시대의 글쟁이라고 하는 고종석이나 진중권, 김훈하고는 또 다른 엄청난 흡입력이 있는 문장이다. 최소한 글의 다이나믹한 생동감이나 통찰력에서는 고종석이나 김훈이 크게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도올은 당대의 문장가다.
이철우 2019-07-27 공감(18) 댓글(0)
Thanks to
공감




영점 조절




사탕이었던 것 같다. 무슨 뜻인지도 모르면서 <반야심경>의 무려 260개의 글자를 외우도록 끌어당기던 막강한 힘은. 아이에게 사탕은 돌멩이계의 다이아몬드다. 초등학교 고학년 즈음이었나. 몇 살 때인지 기억은 가물가물 하지만 워낙 달달 외웠던 탓에 아직도 익숙한 유행가 후렴구처럼 툭 치면 '고득아뇩다라~'가 바로 튀어나올 정도이다. 어머니께서 공양주로 일하시던 동네 절에서는 주말마다 어린이 법회를 열었다. 언니, 동생들과 법당에 들어가 절을 하고 밥을 먹고 스님의 말씀도 종종 들었던 기억이 난다. 딱히 작정하고 불교를 믿은 것은 아니었다. 어머니가 계신 거기, 절이 있었고 학교 가듯 친숙한 장소였던 까닭이다.

코를 막고 양파를 먹으면 달짝지근하고 사각거리는 그것이 양파인지 사과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우리는 냄새와 함께 맛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코를 틀어쥔 손을 떼어내는 순간 매콤한 냄새가 훅 스치며 “이런! 양!파!” 임을 깨닫는다. 반가웠다. 이제 양파 맛이 나는 양파가 양파임을 알게 될 거라서. 단지 글자의 배열에 지나지 않던 글귀의 뜻을 알려줄 책이라는 생각에 기대가 되었다. 단순한 몸짓에 지나지 않던 그의 이름을 불러 꽃으로 피어나기 직전의 두근거림이랄까.



후아! 그래서 대체 ‘반야바라밀다심경’이 무슨 뜻이냐고요! 제목까지 가는 길은 멀고도 광활했다. 불교의 4법인, 연기, 동양 문명의 테마, 3학, 팔정도, 사성제, 계정혜, 슐로카, 3품, 금강경, 선불교, 대승불교, 삼승, 비구, 아라한, 6바라밀, 오온, 육불, 이런 십.팔.계! 영화 <알라딘>에 나올 법한 양탄자를 타고 마음은 슝 날아갈 준비를 마쳤건만 푸르르 고장 나서 불시착한 채로 비포장도로를 꿀렁거리며 지나온 기분이다. 멀미, 멀미, 이건 멀미였다. 거침없이 밀려드는 불교 지식의 쓰나미를 감당하지 못한 나는 책을 집어던지고 싶은 유혹을 ‘언젠간 가겠지, 이 또한 지나갈 거야’ 이제껏 없던 불심으로 뿌리쳤다. 여러 스님들과 싯달타의 이야기가 펼쳐질 때만 해도 제법 여유가 있었단 말이다. 145쪽에 와서야 ‘반야’가 지혜 혜(慧)의 음역임을 알았다. 숨이 찼다.

TV 속에서 클립 영상으로 보던 저자는 거침없는 인물의 표상이었다. 그의 책은 처음 접한다. 강연 투로 서술된 책속의 문장들은 거침이 없었지만 혼자만 거침없고 장황하다는 느낌이다. 종교와 철학과 문화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보유하신 분이라는 것은 잘 알겠는데 그 서술방식이 나와는 잘 맞지 않는다. 예컨대 나는 한 걸음씩 계단을 오르기를 원하는데 저자는 한달음에 올라갔다 다시 내려와서 설명하고 다시 불쑥 올라가는 방식이다. 다소 어수선하게 오르락내리락하는 저자의 걸음을 따라가다 지쳐버린다.



기다리던 부분은 4장 <반야바라밀다심경> 주해가 시작되는 201쪽부터 등장하였다. 하아! 이 스무 장을 보기위해 200쪽의 걸음을 동동거리며 기어왔던가. 막상 해설은 명쾌하고 이해하기 쉬웠다. 그것도 배경지식이라고 꾸역꾸역 종이에 메모하면서 공부한 효과가 마지막 장에 와서 효과를 발휘했다. 이러려고 그렇게나 열심히 불교의 흐름과 용어를 펼쳐놓으셨던가. 머쓱해졌다.

<반야바라밀다심경>은 600권이나 되는 방대한 저술의 핵심을 260개의 문자로 요약한 단행본이다. ‘심경’은 핵심을 요약한 경전이란 뜻이다. 이 책에 나온 것은 삼장법사 현장이 저술한 것이다. ‘반야’는 ‘지혜’를 의미하는 음역이며, ‘바라밀다’는 ‘극치, 완성’을 의미한다. 합치면 ‘지혜의 완성’이다. 반야경은 대승불교의 출발이다. ‘대승’은 ‘큰 수레’로 대중을 향해 열려있는 불교이다. 대승불교는 보살의 불교이다. ‘보살’은 ‘보리살타’의 줄임말이다. 지혜와 깨달음을 의미하는 ‘보리’와 본질, 실체를 의미하는 ‘살타’가 합쳐진 말로 깨달음을 지향하는 사람, 그 본질이 깨달음인 사람이다. 이는 수행자에 국한된 소승불교가 대중에게로 확대됨을 의미한다. 당신도 보살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반야심경>의 지향점은 무(無)이다.



책속에 언급된 일화와 이론들을 읽어가는 과정에서 일상에 바로 적용하여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는 팁을 몇 가지 얻었다.

첫째, 경허 스님의 이야기를 통한 ‘방하착(放下着)’이다. 정작 여인을 업고 개울을 건넌 스님은 여인을 내려놓았는데, 이를 지켜본 사미승은 그 생각을 계속 내려놓지 못하며 생각으로 여인을 업고 가는 셈이 되었다는 메시지이다.

유난히 피곤한 하루였다. 종일 실험 평가를 하느라 5분도 쉬어보지 못했다. 화학 실험이라 안전사고가 일어날까 예민했고 빈 시간이면 다음 반 실험을 위한 준비에 분주했다. 피곤의 극치는 마지막 반에서 터졌다. 평소 수업 태도가 그지 같아서 들어가기 전에 몇 번 릴렉스를 한 다음 들어가는 반이다. 역시나 나머지 반들에게서는 일어나지 않던 일이 발생한다. 지금 생각하면 사고를 일으킨 것도 아니고 단지 내말대로 실험하지 않은 것뿐인데. 순회하는 내 눈에 띤 장면은 지시약을 1방울 넣으라는 나의 주의사항을 깔끔하게 저버리고 뚝뚝 떨어지는 방울들과 보란 듯이 보라색과 진청색으로 그득 채워진 홈판 이었다. 원래대로라면 희미한 파스텔 톤으로 눈물 몇 방울 정도의 양이 들어있어야 할 그곳이, 보여서는 안 되는 색깔을 띤 단청 색 찰랑거리는 오줌단지가 되어버린 거다. 이거 누가 그랬어! 늘 그렇듯 결과는 있으나 원인 제공자는 밝혀지지 않는, 심증은 있으나 물증이 없는 상황이다. 사실 아이들 입장에서는 누가 그랬다고 말하기도 어려웠을 거다. 조원 전체를 태도에서 감점을 한다고 버럭 하니 몇 마디씩 변명이 쏟아진다. 심증 가던 그 아이는 바로 옆의 조였다. 아이의 문장 하나가 마음에 꽂힌다. 아이들이 방해된다고 만져보지 못하게 해서 떨어뜨려보고 싶어서 한 방울 넣어본 거예요. 족히 10방울은 넘어 보이는 색깔을 현미경 수준으로 축소한 아이의 마음이 순간 사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색깔 확인은 다 한 거야? 예. 얼른 뒷정리 해.

퇴근 후 집에 돌아오니 아까의 버럭이가 스멀스멀 되살아났다. 경허 스님의 ‘내려놓음’이 생각났다. 그 순간까지 버럭이를 놓지 못하고 업고 왔구나. 뭐 좋은 거라고 붙들고 있나, 얼른 내려놓아야지. 마음이 편안해졌다.

둘째, 연기(緣起)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싯달타 깨달음의 핵심이다. ‘어떠한 사물도 그것 자체로 단절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없으며, 반드시 원인이 있으며 그 원인의 변화가 오면 결과는 반드시 변하게 마련입니다.(p123)’ 사랑이나 사람이 변하는 것도 연기의 관점에서 바라보니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졌다. 변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한 일이었던 거다. 저절로 일어나는 것은 없는 것이었던 거다. 의식하지 못한 원인들이 계속 쌓이고 쌓인 것이 갑작스럽다고 느껴지는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조금 더 세심하게 잘 바라봐야함을 깨달았다. 분명 최초의 한 방울이 있었을 거다. 그걸 인지하지 못했던 것을.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이나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일 터이다.

셋째, 저자의 표현대로 하면 ‘나는 좆도 아니다’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자기 비하와는 전혀 다른 의미일 터이다. 나를 바라보며 겸손해지고 욕심을 버리라는 의미라 해석한다.



<반야심경> 해설을 음미해보니 나의 생활 패턴에 대한 학문적인 지지 기반이라도 얻은 듯 뿌듯하다. 어렴풋이 해답을 얻었다. 비행기를 타고 뿌연 구름 속을 지나며 여기로 가는 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드는 순간 시야가 탁 트이며 맑아진 공간으로 들어와 버린 느낌이랄까.

260개의 문자 중 자주 등장하는 한자는 공(空)과 무(無)이다. 몇 번이나 나올까 헤아려본다. 공은 7번, 무는 21번이다. 흥미로운 점은 초반에는 공이 계속 등장하다 무가 나타나면서 릴레이 바턴을 이어받은 듯 공이 없어진다는 점이다. 무소유와도 연결이 되는 없을 無. 글자의 의미와 느낌이 참 좋다.

어느 순간부터 갖고 싶은 것이 떠오르지 않는다. 50대에 들어서면서 심장 언저리를 맴도는 생각이다. 물건을 볼 때면 이것도 결국 사라질 거라는 생각이 드는 거다. 무소유를 지향하기로 했어. 나를 위한 물건을 사는 일이 줄었다. 지금 가진 옷, 구멍 날 때까지 입을 거야. 주변인들에게 웃으며 말하는 나. 옷을 사지 않으니 마음이 편해진다. 그나마 소비하는 분야가 책인데 지금 책장에 꽂힌 책이라도 다 읽자 하니 현저하게 구입량이 줄었다. 허무함이라 표현하기에는 부족한, 홀가분하다는 느낌이 섞여 점점 자유로워지는 기분이 든다.



사물에도 기가 있어 색으로 표현된다면 어떨까. 손길이 닿은 횟수만큼 다른 색으로 진화하는 거다. 손이 많이 닿은 물건일수록 찬란하고 화려한 빛을 뿜어내고 전혀 닿지 않는 것은 흑백으로 음영 처리되어 콕콕 집어내어 버릴 수 있도록. 무소유의 관점에서 집안을 바라보니 버릴 것이 하나 둘 눈에 들어온다. 몇 년 간 손길이 닿지 않은 것을 찾으면 되는 거다. 서른 한 가지도 넘게 골라내는 재미가 붙는 중이다. 버리니까 공간이 생기고 공간이 생기니까 숨통이 트인다. 물건 대신 공간을 얻는다. 새로운 공간이 신선한 공기로 채워져 덩달아 가벼워진다.

삶은 수학이 아니다. 3-3=0 이라는 수식의 수학적 결론은 0이지만 삶에서는 + 와 – 가 제로로 되는 과정이 고스란히 흔적으로 남는 까닭이다. 무(無)로 돌아가는 과정이란 이런 걸까. 매순간 변화하는 나에게서 무언가를 더하거나 덜어내면서 0으로 가까워지려는 노력을 하는 과정 말이다. 감당하기에 버거운 물건들을 소유했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은 물건을 덜어낼 시기이다. 조금 더 과감하게 버릴 생각이다. 감정이 될 수도 있고 관계이거나 사물이 될 수도 있는 무언가를 향한 치열한 영점 조절을 해볼 작정이다.







p112, 8째줄 : 못했다는데 → 못했다는 데

p130, 밑에서 3째줄 : 영예 → 명예

p169, 2째줄 : 있어났는데 → 일어났는데
- 접기
나비종 2019-09-21 공감(8) 댓글(0)
Thanks to
공감




우리 불교의 힘_ 반야와 함께 살아 있는 불교




얼마전까지 제주도 4,3항쟁, 여순민중항쟁을 피끓는 심정으로 강의하더니, 다시 동학을 이야기하고 이제는 불교, 그것도 반야심경으로 내달리는 저자의 왕성한 에너지에 입을 다물기 어렵다. 저자의 모든 책이 그렇지만, 이번 반야심경은 자신의 리얼한 체험을 바탕으로 쓴 글이라 더욱 피부에 와 닿는다. 한국불교는 지구상 유일하게 선의 기풍이 살아있는 불교라고들 한다.종교의 갈래를 말하기보다 우리 자신의 역사를 온전히 제대로 이해하는 데 이보다 더 좋은 가이드가 없을 것 같다. 명진 스님의 연애 편지 이야기, 명진 스림과 성철 대종사와의 공안 대결, 경허 대선사의 파란 만장한 구행 이야기 등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감동이 있다.
- 접기
lovejnj 2019-07-29 공감(4)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서론이 112 페이지까지이고 113페이지 부터 바로 들어가겠다고 해놓고 195쪽까지 금강경 이야기 하시고, 198쪽부터 비로소 반야심경 이야기 해주신다. 고소 당한 걱정이 크신듯하여 여러 곳에 울분을 써 놓으셨다. 강한 듯 하시지만 책 여기저기 본인 삶의 고뇌를 써 놓으셔서 책이 아닌 ‘강의’를 듣는 듯 했다. 책을 쓰시면서도 이런 저런 딴이야기를 쓸 수 있다는 점이 신기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딴 이야기는 재미있을 수 밖에 없다. 편집자 말을 일도 안들으시고 본인이 다 하신 듯 하다.

반야심경의 내용중 12연기를 비로소 이해한 듯하고, 육근과 육경과 육식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해 주셨다. 다소 거친 표현은 도올 선생님의 BGM이다.
- 접기
wind takes youth 2019-08-23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우리 모두가 보살이다




도올선생 책의 재미는 곁가지에 있다. 책의 중심테마를 이야기하면서 뻗어나가는 곁가지가 풍성하기 때문이다. 때로는 그 곁가지가 너무 지나쳐 간혹 중심테마를 미처 다 보여주지 못한다는 부작용이 있긴 하지만 말이다.



이번책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는 반야심경을 해제한 것이 중심테마다. 반야심경을 풀이하고 이야기하기 위해 스무살 때 화장실에서 보게된 반야심경과의 인연에서 시작해, 조선시대 불교사의 중심인물을 훑고 내려온다.



그러면서 뻗쳐내려가는 곁가지 중 주의깊게 새겨들을만한 구절들이 있다.




30년 동학의 민중조직건설의 비결은 다름 아닌 콜레라와의 전투였습니다. 희한하게도 괴질귀신은 동학도들을 피해간다는 소문이 전국에 유포된 것이죠. ... 하여튼 19세기 조선에 상륙한 콜레라는 한편으로 동학혁명의 기초를 구축시켰고, 한편으로는 새로운 선불교의 정신혁명을 촉발시켰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역사라는 것은 항상 동일한 국면을 놓고도 다양한 인물들이 다양한 테마를 전개해나가는 것이죠. 59쪽







새로운 선불교를 선보였던 경허 또한 콜레라에 걸린 마을을 지나치며 느낀 생사일여의 무너짐을 통해 용맹정진의 계기를 갖게 된다. 이처럼 어떤 한 사건이 운명을 쥐고 흔들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물론 그 사건 단 하나의 조건으로 그렇게 된 것은 아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인연처럼, 수많은 원인들이 쌓여서 그 하나의 큰 사건이 운명을 촉발시킨다. 하지만 그런 큰 사건을 맞이하면서도 그것이 자신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사건임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결코 변화는 찾아오지 않을 것이다. 사건과 그것에 대한 반응이 어떻게 행동으로 나타나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지금, 그곳에서 당신에게 일어나고 있는 그 사건이 운명적 사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채는 눈과, 그것에 대해 행동할 줄 아는 손발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하나의 사건을 넘어 환경이나 배경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삶에 대한 시선의 차이도 있다.






고조선 고구려문명의 테마가 생이고, 인도문명의 테마가 고라고 한다면 중동문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테마는 역시 죄입니다. 사막에서의 삶은 공동체의 영역이 매우 좁으며, 대자연의 순환이라는 생생지도에서 단절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대지를 생명의 근원으로 인식할 수 없으며, 땅에 대한 애착과 신념이 없습니다. 따라서 하늘을 수직적 관계 속에서 초월적 존재로서만 인식되고, 우주의 순환이라는 시공범주를 벗어나 버리죠. 그런데 사막의 사람들이 이 하나님이라는 존재자에 대하여 갖는 의식은 죄라고 하는 한계상황을 통해 매개됩니다. 126쪽



지금의 나를 이루는 것은 나 혼자만의 독단적인 것이 아니라, 내가 처한 환경과 역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그렇기에 절대적인 그 무엇이란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아무튼 이런 곁가지를 지나 불교와 반야심경에 마주친다.








누구든지 석가모니를 생각하고 석가모니를 본받고 석가모니의 말씀을 실천하기만 하면 석가모니가 될 수 있다. 그러한 각성, 자각이 든 사람을 보리살타, 즉 보살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죠. 보살은 보리를 구현한 존재, 보리를 향한 존재, 보리의 실현이 그 본질인 사람, 보리가 체화된 사람이라는 뜻이지, 비구보다 더 낮은 단계의 사람도 아니고, 스님을 섬겨야만 하는 공양주보살도 아닙니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불교라는 전체체제에 엄청난 변화를 주게 되었습니다. 비구중심의 승방정사에서 탑중심의 거대한 가람으로 불교중심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죠. 173쪽




싯달타가 보리수 밑에서 깨달은 것은 연기 하나입니다 연기라는 것은 이 우주의 모든 사태는 그것을 가능케 하는 무수한 원인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관계망 속에서만 이벤트, 해프닝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연이라는 것도 인은 주원인이고, 연은 그 주변에 묻어 있는 수없는 보조원인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연이 사라지면 존재는 소리 없이 사라지고 맙니다. 그것이 공입니다. 213쪽



자, 그래서 반야심경은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을까.사법인(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 열반적정)과 연기(유전연기 - 고제(과) 집제(인) 와 환멸연기 - 멸제(과) 도제(인)), 대승의 실천원리 6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등을 통해 삶의 지혜를 건네고 있다. 뜬구름같은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먼저 부를 찬양하고, 물질적 소비를 권유하며, 쾌락에 탐닉하는 시대의 정신을 알아챌 필요가 있을 성싶다. 그리고 이런 시대적 배경 속에서 과연 우리는 어떤 정신으로 삶을 향유하는 것이 진정한 행복인지를 고민해보아야 할 것이다. 반야심경 또한 이런 이야기를 건네고 있는 것이기에.


















경허스님 법문- 삐뚤어진 나무는 삐뚤어진 대로 곧고, 찌그러진 그릇은 찌그러진 대로 반듯하며, 불량하고 성실치 못한 사람은 그대로 착하고 성실함이 있느니라.

불교의 경직된 계율주의를 본질적으로 거부. 우리를 짓누르고 있던 모든 속박으로부터의 해탈을 구가하는 자유로운 영혼. 96쪽



한국의 불교는 불교의 원래의 모습을 통째로 보전한 통불교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경허 같은 사람이 고뇌하고 있는 것은, 훌륭한 선사가 되기 위한 노력이 아닐, 단지 불교가 가르쳐준 근본 진리를 통해 참다운 인간이 되고자 하는 아주 보편적이고, 기본적이고, 상식적인 인간학의 과제상황이었습니다. 113쪽



선이니 삼매니 요가니 하는 말들이 뭐 대단히 어려운 철학적 용어가 아니라 정신집중 정도의 아주 비근한 인도말의 다양한 표현일 뿐이라는 것이죠. 116쪽



종교는 기원(빔)입니다. 화를 피하고 복을 비는 것은 인간의 지극히 평범한 심원이고 종교의 본질에 속하는 것이죠. 탑돌이도 기원의 문화입니다. 170쪽



금강경이 말하는 벼락은 나와 대상 사이의 집착에 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나에게 내려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멸집이다. 193쪽 그림 풀어보면


- 접기
하루살이 2019-11-13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더보기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