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23

Jin Kaneko 任文桓임문환 愛と民族-ある韓国人の提言 日本帝国と大韓民国に仕えた官僚の回想

(3) Facebook:
 日本統治時代、李承晩政権時代に官僚として生きた韓国人は、韓国と日本の過去をどのように振り返っているか?
 光復期の熾烈な政治闘争(権力闘争)の勝者は李承晩だった。
 旧ソ連の占領下にあった北朝鮮との国家統合も失敗。1948年5月10日には国連監視下で初代総選挙が行われたが、金九や中道派の金奎植らは朝鮮半島の南北分断を固定化するとの理由で大反対、各地で総選挙阻止の武装闘争が展開が展開された。「済州島四・三事件」もその過程で起ったものだった。
 この北との分断は韓国国民を混乱させ、悩ませ国民分断も招いた。李承晩は確固とした国家建設のため国民統合も成功させ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わけだが、この「済州島四・三事件」後も、この李承晩路線に承服しない韓国国民に対して、強硬な国民統合政策による血生臭い事件が続くことになったのは、戦後韓国史の通り。韓国の国民統合は朝鮮戦争で一区切りついたが(朝鮮戦争が韓国国民の国民意識を高めた)、その後も、さまざまな形で、今日に至るまでこの国民統合の問題(国民分断の問題)が断続的に繰り返されてきてる。
 それはともかく、この初代総選挙に勝利したのが李承晩と韓民党(韓国民主党)である。金九らの政敵、あるいは南朝鮮労働党の政治勢力などとの光復期以来の権力闘争も、憤懣を内包しながらも、李承晩らの権力掌握ということで一区切りついた。
 李承晩は日本統治時代のほとんど朝鮮半島にいたことがなく、光復後南朝鮮に戻ったわけだが、そういうことで、彼には、いわゆる「三バン」のうち、ジバン(地盤)、カンバン(看板)がない。そういう李承晩を支えたのが全羅道を本拠としていた金性洙の湖南財閥だった。
 この金性洙を中心に結成されたのが韓民党であった。
 この初代総選挙によって韓民党が多数派を占める制憲議会で制定されたのが「第一共和国憲法」だ。
 この憲法では、この議会が大統領を選出すると定めていた。
 この結果、李承晩が1948年7月20日に大韓民国の初代大統領に就任。同年8月15日に朝鮮半島南部だけを実効支配する大韓民国政府樹立が宣言された。
 これによって、在朝鮮アメリカ陸軍司令部軍政庁(USAMGIK、日本で言えばGHQのような軍政当局)による韓国の軍政(占領)統治は終わった。この大韓民国建国は、同年9月9日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建国につながり、南北分断はされに固定されたことは、皆さんのご理解の通り。
 この南北分断は、今日の韓国においても、歴史における、あるいは政治のおける争点の一つになっている。
 この韓国建国(政府樹立)の翌月(9月)に制定された法律に「反民族行為処罰法」(1948年9月22日、法律第3号)がある。
 この法律によって1949年1月に反民族行為特別調査委員会が創設されて「親日反民族行為者」が法的に認定された。
 国内の親日派を糾弾・排斥する動きは、アメリカ軍政庁統治下の南朝鮮過渡立法議院時代にすでに活発化していたが、「反民族行為処罰法」は、これを韓国の主権回復によって国内法として正式に定めたものである。
 同法では、①韓国併合に加担した者は死刑か無期懲役、財産は全部または50%以上を没収、②朝鮮貴族に叙爵、または帝国議会議員だった者は5年以上の懲役。財産は全部または50%以上を没収、③独立運動家やその家族を迫害した者は死刑、無期懲役または5年以上の懲役。財産は全部または一部を没収--が規定されたほか、勅任官以上の旧朝鮮総督府の高等官3等以上、勲五等以上の官公吏も10年以下の懲役、または15年以下の公民権停止。財産は全部または一部を没収とされることになった。
 同法に基づいて設置された反民族行為特別調査委員会は、日本統治時代に朝鮮発展に貢献した主要人物、有名人、知識人が多く親日反民族行為者に認定し、彼らへの糾弾も始まった。
 任文桓さんは、日本統治時代、朝鮮総督府の高級官僚(キャリア官僚)だった。この「反民族行為処罰法」による親日派糾弾・排斥の矢面に立たされた人物の一人である。
 彼は1907年、全羅北道の錦山に生まれた。日本統治時代初期に学齢期を過ごしたが、教育機会に恵まれないことから、1923年に故郷の友人とともに日本へ渡航した経験を持つ。
 彼は当時、在朝鮮の日本人と朝鮮人の教育機会をめぐる不平等・差別に落胆。勉強がしたくて日本渡航を決意したそうだ。
 日本渡航後、任文桓さんは新聞配達夫、人力車夫、牛乳配達夫と職を転々としながら予備校に通い、同志社中学への編入学試験に合格。さらに東京帝国大学に進学。
 そういうことなので、任さんは日本渡航後、関東大震災を経験した。震災はまさに、任さんが日本にやってきた直後の1923年(大正12年)9月初めに起った。
 東京帝大在学中に高等文官試験に合格して、東京帝大を卒業した1935年に母国朝鮮に赴任。1923年(大正12年)から1935年(昭和10年)までの12年間を日本で過ごしたわけだ。
 彼は京畿道内務省学務課勤務を皮切りに彼の官僚人生が始まり、1938年には京畿道の龍仁(용인)郡守に就任したという経歴を持つ。今で言えば龍仁市(용인시)の市長のようなものだ。
 1945年(昭和20年)8月15日の光復時、彼は朝鮮総督府交通局の書記官を務めていた。
 李承晩政権は、任文桓さんのような官僚を多数追放したわけだが、当時の韓国政府は人材難。政府行政は滞り、経験豊富な日本統治時代の官僚を登用せざるを得なくなった。
 韓国の政治的実権を掌握した中枢の政治家は、行政に関して素人であまりにも稚拙だった。さらに官僚も経験者を排除してしまったので素人。
 政府機構がまともに動くはずはなく、北との緊張が高まり、また国内も政治的・経済的に疲弊・混乱が収まらない中、政府として機能しないという状況に陥ったわけだ。
 そういうことで、任文桓さんら公職を追放した元官僚らに助けを求めざるを得なくなったということである。
 任文桓さんも1948年、制憲国会法基礎専門委員・商工部次官として韓国政府に加わった。韓国政府中枢で、韓国の建国に関わったということである。
 1950年には金融通貨運営委員会委員、保健部次官を務め、翌1951年には農林部長官に就任した。
 その後彼は実業界に転じ、朝鮮商船社長、韓国貿易協会会長、海運組合連合会会長、全国経済人連合会理事・副会長、三洋観光社長、釜山プラザホテル社長・同会長を歴任。1993年6月19日に他界した。
 こういう経歴の人物なので、盧武鉉政権期の2008年に発表された民族問題研究所の親日人名辞典収録予定者名簿の中の官僚部門にリストアップされている。
 任文桓さんが初めて朝鮮総督府の官僚として京畿道内務省学務課で勤務を始めた1935年(昭和10年)時の朝鮮総督は第6代の宇垣一成である。
 翌1936年8月5日には南次郎に変わった。南は第2次若槻内閣で陸軍大臣であった人物で、朝鮮総督就任後、内鮮一体を唱え、朝鮮人の皇民化政策を推進した人物として知られる。朝鮮総督府が創氏改名を行ったのも南次郎総督の時期だ。韓国の日帝強占期の歴史叙述におけるヤマ場の一つではある。
 任文桓さんが朝鮮総督府の官僚を務めたのは、こういう時期から戦時期である。
 そして、彼は韓国建国草創期の大韓民国官僚として、朝鮮戦争期まで、韓国政府の内情をつぶさに見てきた。
 こういう人物が韓国で1975年に『愛と民族-ある韓国人の提言』(同成社)という自叙伝を刊行している。
 その邦訳が『日本帝国と大韓民国に仕えた官僚の回想』(草思社、 2011年6月25日刊)として日本でも出版され、2015年にはちくま文庫版が刊行されている。
 鄭大均さんは同書を「植民地世代が残したもっとも劇的ですぐれた自叙伝」と高く評価している。
 近く、この自叙伝を手に入れて読んでみようと思っている。
 当時の政治家・官僚の自叙伝・回顧録というと、私が読んでとても感心したのは、 『思想界』(韓国の雑誌)1966年2月号・3月号に掲載された 兪鎮午(유진오)さん の「韓日会談が開かれるまで」という寄稿記事。
 東亜日報は1974年5月に「秘話 第一共和国」という特集記事を掲載したが、これにも兪鎮午の「韓日会談が開かれるまで」が引用された。
 同様の関連図書として朴實(박실)の『韓國外交秘史』(麒麟苑、1979年12⽉)がある。
 兪鎮午さんは光復後、法学者として大韓民国憲法(第一共和国憲法)の起草に関与したほか、韓国政府樹立後は、政治家として李承晩政権中枢で活躍した。高麗大学校の総長にも就任した。
 任文桓さんと同様、民族問題研究所と親日人名辞典編さん委員会の「親日人物名簿」(2005年)にリストアップされた人物だが、彼の回顧も、渦中の当事者・関係者の振り返りとして、韓国樹立後の草創期の政府内部を生々しく知ることのできる手がかりの一つになっている。
 韓国では、任さんや兪さんは親日派に再認定されているから、彼の自叙伝はあまり顧みられないのかな?
 しかし、日本統治時代や建国草創期の韓国の状況を多様な視点から理解しようとすることは、とても大切です。
See translation
임문환씨는 일본 통치 시대 조선총독부의 고급관료(커리어 관료)였다. 이 '반민족행위처벌법'에 의한 친일파 규탄·배척의 화살에 섰던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1907년 전라북도의 금산으로 태어났다. 일본 통치 시대 초기에 학령기를 보냈지만, 교육 기회에 좋지 않기 때문에, 1923년에 고향의 친구와 함께 일본에 도항한 경험을 가진다. 그는 당시 재조선의 일본인과 조선인의 교육 기회를 둘러싼 불평등·차별에 낙담. 공부를 하고 싶어서 일본 도항을 결의했다고 한다. 일본 도항 후, 임분환씨는 신문 배달 남편, 인력거 남편, 우유 배달 남편과 직업을 전전하면서 예비 학교에 다니고, 동지사 중학에의 편입학 시험에 합격. 또한 도쿄 제국 대학에 진학. 그렇기 때문에, 임씨는 일본 도항 후, 관동 대지진을 경험했다. 지진 재해는 바로 임씨가 일본에 온 직후인 1923년(다이쇼 12년) 9월 초에 일어났다.

 도쿄 제대 재학 중에 고등 문관 시험에 합격하여 도쿄 제대를 졸업한 1935년에 모국 조선에 부임. 1923년(다이쇼 12년)부터 1935년(쇼와 10년)까지의 12년간을 일본에서 보냈던 셈이다. 그는 경기도 내무성 학무과 근무를 시작으로 그의 관료 인생이 시작되어 1938년에는 경기도 용인군수에 취임했다는 경력을 가진다. 지금 말하면 용인시의 시장과 같은 것이다.

 1945년(쇼와 20년) 8월 15일 광복시 그는 조선총독부 교통국의 서기관을 맡고 있었다. 이승만 정권은 임문환씨와 같은 관료를 다수 추방한 것이지만 당시 한국 정부는 인재난. 정부 행정은 정체되어 경험 풍부한 일본 통치 시대의 관료를 등용하지 않을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중추의 정치가는 행정에 관해서 아마추어로 너무 치열했다. 게다가 관료도 경험자를 배제해 버렸기 때문에 아마추어. 정부기구가 제대로 움직일 리는 없고, 북과의 긴장이 높아지고, 또 국내도 정치적·경제적으로 피폐·혼란이 맞지 않는 가운데, 정부로서 기능하지 않는다는 상황에 빠진 셈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임문환씨 등 공직을 추방한 전 관료들에게 도움을 구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임문환씨도 1948년 제헌국회법 기초전문위원·상공부 차관으로 한국 정부에 합류했다. 한국 정부 중추에서 한국의 건국에 관여했다는 것이다. 1950년에는 금융통화운영위원회 위원, 보건부 차관을 맡았고, 다음 1951년에는 농림부장관으로 취임했다. 그 후 그는 실업계로 돌아가 조선상선 사장, 한국무역협회 회장, 해운조합연합회 회장, 전국경제인연합회 이사·부회장, 산요관광사장, 부산플라자호텔 사장·동 회장을 역임. 1993년 6월 19일에 타계했다. 이런 경력의 인물이기 때문에 노무현 정권기 2008년에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사 사전 수록 예정자 명부 속 관료부문에 리스트업되고 있다. 

임문환씨가 처음으로 조선총독부의 관료로서 경기도 내무성 학무과에서 근무를 시작한 1935년(쇼와 10년) 때의 조선총독은 제6대 우가키 일성이다. 다음 1936년 8월 5일에는 난지로로 바뀌었다. 남쪽은 제2차 와카츠키 내각에서 육군대신이었던 인물로 조선총독 취임 후 내선일체를 창창하고 조선인의 황민화 정책을 추진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조선총독부가 창씨 개명을 한 것도 난지로 총독의 시기다. 한국의 일제강점기의 역사 서술에 있어서의 야마장의 하나이다. 임문환씨가 조선총독부의 관료를 맡은 것은 이런 시기부터 전시기이다. 그리고 그는 한국 건국초창기 대한민국 관료로서 조선전쟁기까지 한국 정부의 내정을 중얼거렸다.

 이런 인물이 한국에서 1975년에 '사랑과 민족-한 한국인의 제언'(동성사)이라는 자서전을 간행하고 있다. 그 국역이 '일본 제국과 대한민국을 섬긴 관료의 회상'(초사사, 2011년 6월 25일 간)으로 일본에서도 출판되어 2015년에는 치쿠마 문고판이 간행되고 있다. 정대균은 이 책을 “식민지 세대가 남긴 가장 극적이고 뛰어난 자서전”이라고 높이 평가하고 있다. 가까이, 이 자서전을 손에 넣어 읽어 보려고 하고 있다. 

당시의 정치가·관료의 자서전·회고록이라고 하면, 내가 읽고 매우 감탄한 것은, 「사상계」(한국의 잡지) 1966년 2월호・3월호에 게재된 유진오(유진오) )씨의 「한일 회담이 열릴 때까지」라고 하는 기고 기사. 

동아일보는 1974년 5월에 '비화제일공화국'이라는 특집기사를 게재했는데, 이것에도 유진오의 '한일회담이 열릴 때까지'가 인용됐다. 같은 관련 도서로서 朴實(박실)의 『한국외교비사』(麒麟苑, 1979년 12위)가 있다. 천진오씨는 광복 후 법학자로서 대한민국 헌법(제1공화국 헌법)의 기초에 관여한 것 외에 한국 정부 수립 후에는 정치인으로서 이승만 정권 중추에서 활약했다. 

고려대학교 총장에도 취임했다. 임문환씨와 마찬가지로 민족문제연구소와 친일인명사전편씨위원회의 '친일인물명부'(2005년)에 리스트업된 인물이지만

그의 회고도 와중 당사자·관계자의 되돌아 보면서 한국 수립 후 초창기 정부 내부를 생생하게 알 수 있는 단서 중 하나가 되고 있다. https:
、「任 文 はは ム 恒 官大日 国 月に 僚 韓 の民帝 心 国 回 想にと 仕 え た ちくま文庫」というテキストの画像のようです
9
10 comments
1 share
Like
Comment
Share

10 comments

  • Yeongmook Choi
    才能があった人でしたね。
    1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 d
    Jin Kaneko replied
     
    1 reply
  • Takashi Wakaomi
    是非とも是非とも手に入れられて何回も読まれてくださいませ✨
    1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 d
  • Jin Kaneko
    大韓民国政府樹立国民祝賀式は1948年8月15日に行われ、韓国の人々は熱狂したわけだが、韓国に内情はとても深刻だった。
    No photo description available.
    •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 d
    Jin Kaneko replied
     
    4 replies
  • Jin Kaneko
     まあ、今日の韓国建国期の評価は、混乱、分裂・対立していますよね。別の言い方をすると、現在の政治的立場が入り込んで、とても偏ったものになっている。
     さらに、この偏りが文在寅政権の積弊清算・親日派清算で増大した。このため、日本との間の歴史認識をめぐる確執も大きくなったが、それ以上に、韓国国内の対立と分断を大きくした。
     歴史の政治利用、政治介入は、ろくな結果を招かないということを文在寅政権からも、ぜひ学んでいただきたい。… 
    See more
    李承晩は親日派か、評価めぐり進歩と保守が論争(1)
    S.JAPANESE.JOINS.COM
    李承晩は親日派か、評価めぐり進歩と保守が論争(1)
    李承晩は親日派か、評価めぐり進歩と保守が論争(1)
    1
    • Like
    • Reply
    • See translati



임문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문환(任文桓, 일본식 이름: 豊川文夫, 1907년 6월 11일[1] ~ 1993년 6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다.

일제 강점기에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한 뒤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조선총독부 관리로 근무했다. 제1공화국에서 장관을 역임하였고, 이후 경제인으로 활동하며 전경련 부회장을 지냈다. 박용곤의 처가와 사돈을 맺어 두산그룹과 혼맥이 연결된다.[2] 정치인 홍사덕의 장인이기도 하다.

2008년에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관료 부문에 선정되었다.

회고록인 ‘일본제국과 대한민국을 섬긴 관료의 회상’(한국어판 1974년, 일본어판 2011년)을 남겼다.

1960년대 초 출생지인 금산의 어려운 중고교 학생들을 위해 장학금을 희사하기도 했다. 어려웠던 학창 시절 본인이 독지가들로부터 받았던 도움에 대한 보답이었다.

약력[편집]

  • 1907년 : 전라북도 금산(현 충청남도 금산) 출생
  • 1932년 : 오카야마현 제6고등학교 졸업
  • 1935년 :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졸업
  • 1934년 : 고등문관시험 행정과 합격
  • 1935년 : 경기도 내무부 학무과
  • 1937년 : 경기도 용인군 군수
  • 1938년 : 녹기연맹 가입
  • 1940년 : 조선총독부 식산국 사무관
  • 1944년 : 조선총독부 광공국 서기관 겸 교통국 서기관
  • 1945년 : 강원도 관광부 광고업마저 겸 민정관
  • 1948년 : 제헌국회법 기초전문위원 및 상공부 차관
  • 1950년 : 금융통화운영위원회 위원
  • 1950년 : 보건부 차관
  • 1951년 : 농림부 장관
  • 1952년 : 조선상선 사장
  • 1953년 : 한국무역협회 회장
  • 1954년 : 해운조합연합회회장
  • 1958년 : 동화제지 사장
  • 1966년 : 전국경제인연합회 이사,부회장
  • 1966년 : 삼양관광 사장
  • 1972년 : 부산프라자호텔 사장
  • 1977년 : 부산프라자호텔 회장

각주


===

여섯 번 國籍을 바꾼 한 엘리트 관료의 回想
농림부 장관을 지낸 任文桓 회고록을 독파중.

趙甲濟    
 http://www.chogabje.com/board/view.asp?C_IDX=45129&C_CC=AZ
==

李承晩 정부 초기 농림부장관을 지냈던 任文桓(임문환) 선생은 1907년 출생에 1994년 별세이다. 그의 회고록이 작년에 일본어판으로 나왔는데, 제목은 ‘일본제국과 대한민국을 섬긴 관료의 回想’(草思社)이다. 1974년 한국어판으로 쓴 것을 번역했다. 해설을 쓴 鄭大均씨(수도대학 동경인문과학 연구과 교수)는 ‘식민지 시대가 남긴 가장 뛰어난 회상록’이라고 평했다.
  
  任씨는 책에서 자신을 ‘여섯 번 국적을 바꾼 사람’이라고 했다. 대한제국-일본-미군정-대한민국-敵治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다시 대한민국을 거치면서 生死를 오고간 이야기가 파란만장하다.
  
  그는 식민지 엘리트이자 독립한 조국의 건설 엘리트였다. 1907년 충남 錦山 출생, 16세에 일본에 건너가, 同志社 중학, 舊制제6고등학교(오카야마), 동경제대 법학부를 거쳐 1934년에 고등문관 시헙 행정과에 합격하였다. 拓務省(탁무성)에 채용된 그는 조선총독부로 부임, 경기도 학무과, 지방과를 거쳐 1938년 고등관이 된 뒤 용인군수를 역임하고, 총독부 殖産局産金課에서 근무하다가 1944년에 서기관으로 승진, 鑛工局 기계과에서 근무중 해방 될 때는 강원도 광공부장으로 발령된 상태였다.
  
  해방 후엔 美군정 때 한국임시정부행정연구위원을 지냈고, 헌법기초에 참여하였으며, 李承晩 정부 출범 이후 상공부차관, 보건부차관, 농림부장관을 역임하였다. 장관 사임 후엔 조선상선 사장, 한국무역협회 회장 등을 지냈다.
  
  이 책의 後記에서 任文桓씨는 이렇게 썼다.
  <나는 勉學의 全기간을 통하여 힘 있는 일본인의 助力과 學友들의 우정을 받았으며, 이는 나의 인간형성에 귀중한 도움이 되었다. 반면 체제로서의 일본에 대하여 식민지 민족으로서 고통스러운 생각이 많은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조국이 독립한 현재, 지리적 위치상 밀접한 관계를 끊을 수 없는 兩國 민족에 대한 요망사항을 쓰고 싶었다.>
  출판사는 이렇게 소개한다.
  <戰前엔 일본의 체제 안에서 동포의 이익을 지키기 위하여 마음고생을 많이 하였지만 戰後엔 ‘친일반역자’의 레테르가 붙었다. 그럼에도 그는 일본 시절에 습득한 ‘청렴과 양심’의 규범을 잃지 않고 직무를 다하였다. 이 책엔 자신의 체험을 가해자나 피해자의 史觀으로 처리하려는 태도가 일체 보이지 않는다.>
  
  任文桓 씨는 자신의 생애를 이렇게 표현하였다.

  <도전에 대한 그(주: 회고록에서 필자는 자신을 3인칭으로 서술)의 생애에 걸친 應戰은 늘 혼자서였다. 일본체제의 走狗였던 인간으로서, 즉 일본인의 엘리트코스를 올라간 인간으로서의 더렵혀진 이력서와 절개 없는 남자라는 烙印만은 끝내 끊어버릴 수 없어 오늘까지 그의 삶을 점점 더 괴롭히고 있다. 바우덕(어릴 때 별명)의 인생은 잡초인생이었다. 國籍이 여섯 번이나 바뀌는 가운데, 異민족과 동포의 발에 번갈아 가며 짓밟혔다. 그럼에도 살아서 번성한 삶이었다. 제국주의에 의한 弱肉强食이 美德으로 치부되었던 20세기의 지구상에는 이런 인생이 수억인에 이를 것이다. 이 책은 그러한 방대한 불평등 가운데 극히 일부를 기술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1984년 월간조선 8월호에 필자가 썼던 ‘조선총독부 高官들의 그 뒤’라는 기사 중 일부를 소개한다.
  
  <총독부 관료 출신들이 만든 (도표의) 日韓협회 안에는 고등 문관 시험 합격자들의 모임인「십일회」(十日會)가 따로 조직되어 있다. 매달 10일에 만나 점심을 같이한다고 그런 이름이 붙었다. 모두 39명. 敗戰 때는 대부분 총독부 과장이나 도청 부장이었던 70대, 80대 노인들이다. 39명 가운데 약 60%인 24명은 도쿄제국대학 출신, 약 20%인 8명은 경성제대 출신이다. 이 비율은 당시의 조선총독부 관료들의 學脈(학맥) 분포와 비슷할 것이다.
   
    1980년대까지는 일본의 上流사회가 도쿄대학 출신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 역대 수상은 거의가 도쿄帝大 출신이었고 大藏省(대장성)의 과장급 이상 간부 중 도쿄 대학 출신이 62%. 통산성에선 63%, 운수성에선 53%, 건설성에선 58%, 문부성에선 66%나 됐다. 대기업체 사장의 약 26%가 도쿄 대학 출신이란 통계도 있었다.
   
    조선 총독부도 총독(전부 군인출신)밑에서 실무를 장악했던 고급 관료들은 거의가 도쿄제국대학 출신이었다. 「십일회」의 한 사람인 요코야마 고세이(橫山莘生)씨는 경북 경찰부장 출신인데 귀환 후 동북관구 행정감찰국장(한국의 감사원에 해당)을 지냈고 당시는 회사 사장이었다. 이 사람의 세 딸은 모두 도쿄대학 출신에게 시집갔다. 도쿄대학 출신이 같은 대학출신을 사위로 맞는 풍습은 일반화되어 새로운 귀족 사회가 이뤄지고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었다.  
    「十日會」의 주요 회원들을 보면 야스다 무네쓰구(총독부 철강과장·前 대장성 동경 재무국 차장·변호사), 야마모토 야노스케(황해도 경찰부장·모리오카 시장·변호사), 미야사카 간코(총독부 사무관·전 참의원 사무총장), 아마기 이사오(전북 경무과장·전문부성 사무차관·방송 교육개발센터 소장), 와카바야시 마사다케(감포항 경비대장·전 임야청 장관), 무라카미 마사니(총독부 지방과 사무관·전 시즈오카縣 경찰본부장·회사 사장) 등등. 이들 十日會 회원의 경력을 살펴 보면 공통점이 있다. 패전 때 총독부 중간 간부, 귀환 후 복직, 관료사회의 頂上部까지 승진, 퇴임 후 유관단체나 기업체로의 轉職이란 공식적인 코스를 밟았던 것이다. 고급 관리들이 퇴임 후 관련기업체나 협회 임원으로 나가는 것은 일본도 한국과 마찬가지인 모양이다.
   
   東大 출신 한국인 10명의 운명
   
    「十日會」회원들의 순탄한 人生 역정과 퍽 대조적인 그룹이 있다. 任文桓씨가 쓴「도쿄 제국 대학 법학부 졸업자 10명의 운명」(80년 9월1일치 「友邦」)에 따르면 1932~1935년 사이 任씨와 함께 법학부에서 공부했던 한국인은 모두 10명이었고 전부가 고등문관시험에 합격, 한 사람을 제외하곤 모두 관리가 되었다. 이들 중 가장 먼저 죽은 것은 진염종씨. 신익희는 상해에서 귀국 직후 고등문관시험 합격자 출신들을 끌어 모아 신생 국가의 기본 정책을 입안토록 했다. 진 씨는 추운 사무실에서 과로하다가 40세에 병들어 죽었다.
   
    任文桓씨가 임시수도 부산에서 보사부 차관으로 있을 때 동창생 김희덕의 부인(총독부 학무국장의 딸)을 만났다. 남편이 신장병으로 死境을 헤매고 있다는 것이었다. 찾아가 보니 낡은 상점 건물 2층에 20명의 환자들이 의사도 없이 눕혀져 있었고 그 가운데 과거의 도쿄제국대학 엘리트가 누워 있었다. 『일본에 가서 좋은 약을 써 봤으면…』하고 김희덕은 말했다. 이틀 뒤 그는 숨졌다. 장수철은 고문(高文) 외교관 시험에 합격한 뒤 일본 외교관으로 해외 근무를 했다. 거기서 망명 독립 운동가들로부터 협박을 많이 당했다. 성격이 비뚤어져 친구도 의심하게 되더니 대구 어느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가 병을 얻었다. 입원중 세례를 받았다. 간호원만 혼자서 臨終하는 가운데 죽었다. 未婚이었다.
   
    박성대는 한국 전쟁 중 부산에서 검사장을 지낸 뒤 변호사를 개업, 활동하다가 곧 숨졌다. 강명옥도 비슷한 시기에 죽었다. 장, 박, 강씨는 모두 전쟁 중에 얻은 병으로 不惑의 나이를 넘기지도 못했다. 이충영은 정치가적인 소질이 있는 사람으로 촉망받던 터였다. 해방 전에 이미 사법관을 그만두고 변호사가 되었다. 한국 전쟁 때 서울을 빠져 나오지 못했다. 납북되어 生死를 모른다. 장수길은 한국 전쟁 중 식산은행장이 되었다가 자진 越北했다.
   
    그는 총독부 재무국의 사무관이었는데 총독부 고등경찰도 그의 사상을 알지 못했다. 60세를 넘어 他界한 사람은 장경근과 고병국 둘뿐이다. 장경근은 일본 망명 생활에서 돌아와 곧 죽었다. 지금 살아남아 있는 것은 任文桓씨 뿐이다. 任씨는 『나의 중·고·대학 동창생은 전부 일본인이지만 8할 이상이 지금도 원기왕성하게 유복한 생활을 보내고 있다. 그 원인이 어디 있는지, 오래 사는 게 좋은 건지, 나는 모르겠다』고 했다.
   
    「十日會」와 도쿄대학 출신 한국인 10명의 운명을 비교해보면 총독부 출신들이 패전으로 손해를 보았다고 하지만 同시대의 한국인이 겪은 고난에는 도저히 비교가 안 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한국인 10명, 그것도 가장 우수한 知能을 가진 엘리트들이 겪은 질병, 갈등, 전쟁, 망명은 日帝 식민통치가 남긴 분단과 분열의 유산에서 비롯된 면이 있다.
   
    그런 점에서 「십일회」회원들은 가해자이고 한국인 10명은 피해자이다. 문제는 일본에서 내가 만난 총독부 후예들 중 어느 누구도 총독부의 이 제도적, 역사적 책임을 말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들에게는 개인 책임만 있을 뿐, 총독부의 책임이나 국가의 책임 같은 건 자신들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별개의 문제로 존재하고 있는 듯하였다.>
  ,,,,,,,,,,,,,,,,,,,,,,,,,,,,,,,,,,,,,,,,,,,,,,
  
  1951년 초 李承晩 대통령은 日帝 총독부 관료 출신인 任文桓(임문환) 씨를 농림부 장관에 임명하였다. 任씨는 차관엔 일본 고등문관 시험 同期인 李泰鎔씨를 임명하였다. 任씨는 국회에 인사차 갔다. 국회는 그가 親日派라고 인사를 받아주지 않았다. 국회에서 돌아온 그를 李 대통령이 불렀다.
  
  任씨는 회고록에서 가까이서 본 李 대통령을 이렇게 평하였다.

  <老志士라기보다는 百獸(백수)를 호령하는 老獅子(노사자)의 인상이었다. 위엄이 몸에 붙은, 鐵의 의지를 가진 達人이었다. 가까이 가면 나보다 키가 작아 보였는데, 떨어져서 보면 뼈대가 굵어 백발의 몸이 나보다 훨씬 크게 보였다. 악수를 해보니 굵은 손아귀에서 뜨거운 피가 흐르는 듯하였다.>
  
  대통령이 물었다.
  "君은 오늘 국회에 갔다가 인사를 거절당했다면서?"
  "그렇습니다. 친일파라고 거절 당하였습니다."
  "그런 걸 알면서 차관까지 친일파를 임명, 世風을 거스르겠다는 건 신중하지 못해. 다른 사람으로 바꾸세요. 李泰鎔은, 姓名을 보니 우리 집안인 듯한데, 그건 별개 문제요."
  
  그런 말을 하는 대통령의 표정은 손자를 타이르는 자상한 할아버지 같았다. 자존심이 강한 任 장관도 승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엄격한 얼굴로 돌아온 대통령은 이렇게 덧붙였다.
  
  "일본 정부는 하와이에 있는 나의 목에 거액의 현상금을 건 적이 있다. 그래서 내가 일본을 싫어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는 듯해. 그러나 그런 개인문제는 옛날에 잊었어요. 지금 내가 일본과 러시아를 걱정하고 있는 것은, 우리 나라의 장래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러시아는 그러나, 공산당이기 때문에 어떻든 민주주의에 지게 되어 있어요. 그 정도로 알고 주의만 하면 되어요. 일본은 다릅니다. 미국에 밀착하여 민주주의와 함께 번영할 것입니다. 내가 비행기를 타고 가면서 내려다 본 일본은 산 꼭대기까지 저수지를 만들고, 비탈도 논이었습니다. 밤에 지날 때 내려다 보니 전등불이 끊어지지 않고 산과 평야에 이어졌어. 저렇게 좁은 땅에 저렇게 많은 사람이 모여 있으니, 영원히 행복하게 살 수가 없어. 머지 않아 장사나 무엇이든 이름을 빌려 가장 가까운 우리나라로 몰려오게 될 것입니다. 그때야말로 일본을 잘 알고 있는 당신들 親日派가 나라를 지켜야 합니다. 지금은 일단 自重하시고, 시험대에 오른 君부터 불어오는 바람을 피하는 데 전념하셔야 해요."
  
  任 장관은 '놀라운 술회였다'고 썼다.
  <그때 謹嚴(근엄)하기 짝이 없던 노인의 자세와, 저 멀리 바라보던 노인의 眼光은 지금도 나의 기억속에 그대로 살아 있다. 일본인과의 대결에 親日派의 등장을 기대한다는 것은, 日帝시절 그들이 맡았던 곡예사로서의 努苦를 알아준 부탁이 아닌가? 친일파를 일본의 개(犬)라고 보았다면 일본인이 다시 올 때 그들이 原주인을 보고 꼬리를 흔들 것이 분명하므로 그런 중요한 일을 맡길 리가 없다.>
  
  滿軍 장교 출신 박정희는 정권을 잡자, 日帝 관료-군인 출신들을 요직에 등용, 경제개발과 국가 근대화 사업을 맡긴다. 이들이 일본을 잘 다루고 일본도 이들을 믿고 한국을 도왔다. 李 대통령의 예언대로 知日派로 변신한 親日派 출신들이 한국을 일본에 예속시키지 않고 주체적 발전을 성공시키는 데 중심이 되었다. 앞으로 5년이면 한국의 구매력 기준 1인당 국민소득이 일본을 능가한다고 한다(IMF 예측). 식민지였던 나라가 식민지 종주국을 따라 잡는 것이다.
  
  任文桓 씨처럼 식민지 관료 생활을 하면서 日帝와 동포 사이에서 곡예사 역할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들의 勞苦를 기억함과 동시에 이들이 그때 익힌 기술을 국가 발전에 쓸 수 있도록 도와준 이승만과 박정희의 안목에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 2012-05-20, 16:05 ]







愛と民族 (ある韓國人の提言) 사랑과 민족 (어느 한국인의 제언) / 임문환 회고록 / 일어 원본
任文桓 | 同成社

[중고] 愛と民族 (ある韓國人の提言) 사랑과 민족 (어느 한국인의 제언) / 임문환 회고록 / 일어 원본

구매 만족도 97.8% 평균 출고일 1일 이내 상

10,000원
(0% 할인)
배송비 : 3,000원


길벗책방
파워셀러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보관함 담기

이동
/ 1페이지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