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7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이종석)




노동자의 책 : 판매중인 도서 :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이종석 지음
출판사 - 역사비평사
초판일 - 2002-10-10
도서소장처 - 노동자의 책
조회수 : 419






● 책 소개

총 5부로 구성, 현대 북한사회의 현황과 사상, 체제를 조망한 저서. 북한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시작으로 2부에는 북한의 주체사상과 유일체제를 이론,역사,비교 사상적 관점에서 다루고 이어 북한의 정치 및 경제,김일성과 김정일의 카리스마에 대해 고찰했다.

이종석: 성균관대 행정학과 및 동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치학박사를 졸업했다. 2000년에 1차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이었으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과 통일부장관을 역임했다. 현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이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통일을 보는 눈"(2000, 도서출판 개마고원), "한반도평화통일론"(2012, 한울출판사), "북한의 역사 2: 1960-1994"(2011, 역사비평사),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2000, 도서출판 중심), "북한·중국관계: 1945-2000"(2000, 도서출판 중심), "분단시대의 통일학"(1998, 한울출판사), "현대북한의 이해"(1995, 역사비평사), "조선로동당연구"(1995, 역사비평사)외 다수가 있다.ⓕ



맨위로






● 목 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 북한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제1장 연구방법의 모색 = 23
1. 인식론적 수준 = 24
1) 내재적비판적 접근 = 24
2) 역사상황적 접근 = 27
2. 분석수준 = 28
1) 비교분석과 구조적 분석 = 28
2) 역사문화론적 분석 및 역사적 분석 = 30
3) 적대적 의존관계와 거울영상 효과 = 31
3. 분석기법수준 = 33

제2장 북한문헌의 담화 분석 = 35
1. 북한문헌의이중구조 = 37
2. 북한문헌의 담화체계의 특징 = 40
1) 담화의 은유성 = 41
2) 담화의 이중성 = 44
3) 간행시기별 서술의 차이 = 46
(1) 김일성 권력강화에 따른 서술의 변화 = 46
(2) '주체사관' 확립과 담화체계의 변화 = 48
(3) 혁명단계변화에 따른 담화내용의 변화 = 49
3. 담화 표기의 변화와 정치변동 = 50
1) 누락, 탈락, 삭제, 표기 혼선과 그 의미 = 51
2) 호칭변화와 위상변동 = 54
4. 북한 공간문헌의 유형과 특징 = 56
5. 실사구시적 북한연구의 필요성 = 59

제3장 북한역사와 시기구분 = 61
1. 북한역사의 시기구분론 = 61
2. 시기별 북한역사의 특징 = 68
1) '반제반봉건 혁명' 시기 (1945. 8 ~ 47. 2) = 68
2) '프롤레타리아 독재정권'의 성립과 한국전쟁 (1947. 2 ~ 53. 7) = 70
3) 전후 복구건설과 '반종파투쟁' (1953. 7 ~ 61. 9) = 74
4) 주체, 자립의 고창과 유일체제의 대두 (1961. 9 ~ 70. 11) = 80
5) 김정일 후계체제의 등장 (1970. 11 ~ 80. 10) = 82
6) 김정일 후계체제의 완성과 새로운 시련 (1980. 10 ~ 94. 7) = 83
7) 위기의 심화와 김정일체제의 출범 (1994. 7 ~ 현재) = 85

제4장 탈냉전기 북한연구의 동향 = 88
1. 1980년대 이후 북한연구의 특징 = 90
2. 분야별 연구 동향 = 97
1) 정치학 분야 = 97
2) 비정치학 분야 = 103
3. 시대별 연구 동향 : 상대적 풍요와 절대적 빈곤의 교차 = 105
4. 북한 연구방법을 둘러싼 논쟁 = 110
5. 북한체제 성격논쟁 = 113
1) 전체주의론, 사회주의적 조합주의론, 신전체주의론 = 114
2) 유격대국가론, 수령제론, 유일체제론 = 118
6. 과제 = 123


제2부 북한의 사상과 체제


제1장 주체사상의 내용과 역사 = 127
제1절 주체사사의 내용
1. 주체사상의 이원적 구조 = 128
2.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 = 129
3. 김일성주의 = 넓은 의미의 주체사상 = 135
4. 주체사상의 실천적 문제점 = 139
제2절 주체사상의 형성과 전개과정
1. 주체사상의 형성·전개의 단계구분 = 141
2. 주체사상 이전의 지도자상 : 마르크스·레닌주의 = 143
3. 주체확립의 문제제기 = 145
4. 자주성 선언 테제로서의 주체사상 = 149
1) 중·소 분쟁과 주체노선의 확립 = 149
2) 주체사상의 대두·발전 : "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 천명 = 158
5. '김일성 동지의 혁명사상'으로의 굴절 = 162
6. 김일성주의의 대두와 주체사상의 '보편적 이론화' 시도 = 167

제2장 주체사상의 비교 사상적 고찰 = 171
제1절 주체사상과 모택동사상의 비교
1. 주체사상과 모택동사상의 발생사적 상관성 = 172
1) 초기 주체사상에 대한 모택동사상의 영향 = 172
2) 북한-중국 갈등과 주체사상의 모택동사상과의 경쟁 = 174
2. 주체사상과 모택동사상의 인식론적 공통성 = 176
3. 주체사상과 모택동사상의 차별성 = 179
1) 구성체계상의 차별성 = 180
2) 당내 위상과 해석수준의 차이 = 181
4. 차별성의 체제적 반영 = 184
제2절 주체사상과 민족주의 : 그 연관성에 관한 연구
1. 분단민족과 민족주의, 그리고 주체사상 = 187
2. 북한의 민족주의와 민족개념 = 190
1) 북한지도부가 보여준 민족주의에 대한 언술 = 190
2) 북한의 민족개념 = 193
3. 주체사상의 민족주의적 정향성 = 196
1) '조선민족제일주의'와 민족주의 : 결합의 가능성과 한계 = 196
2) 주체사상의 전통문화 인식 : 민족주의적 정향과 반정향 = 199
4. '역사로서의 주체사상'과 그 민족주의적 정향의 변천과정 = 204
1) 1967년 이전의 주체사상 = 204
2) 1967년 이후의 주체사상 = 205
5. 평가 = 209

제3장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 210
제1절 유일체제
1. 유일체제의 개념과 특징 = 210
2. 유일체제의 이론적 기초 : 혁명적 수령관과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 212
1) 혁명적 수령관 : 내용과 문제점 = 212
(1) 내용 = 212
(2) 문제점 = 214
2)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 내용과 문제점 = 216
(1) 내용 = 216
(2) 문제점 = 220
제2절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1. 주체사상과 유일체제의 관계 = 221
2. 주체사상의 체제 규정성 = 222
1) '자주성 테제' = 222
2) '사상론' : 정치우선 사고의 일반화 = 224
3) '주체형 인간' = 227
3. 주체사상의 대중적 수용 메커니즘 : 유일사상체계 = 230
4. 주체사상의 비효율성 = 233


제3부 북한의 정치·경제


제1장 북한 주민의 정치·경제·사회관 : 규범과 현실 = 237
1. 북한주민의 가치관 형성 및 변화의 조건 = 238
2. 정치개념과 대중 - 지도자 관계 = 241
3. 북한 사회관의 논리적 기초 : 사회주의 대가정론 = 244
4. 집단주의 강조와 개인주의의 확산 = 247
5. 경제인식과 현실 = 249
6. 평가 = 253

제2장 조선노동당의 위상·조직·기능 = 254
1. 조선노동당의 사회적 위상 : 제도와 현실 = 255
1) 당의 국가사회 지도 = 255
2) 당의 국가사회 장악력 약화 = 256
2. 당중앙조직의 운용과 기능 = 259
1) 공식권력기구의 실태 = 259
2) 당 운용 기제 : 비서국 전문부서의 역할과 기능 = 263
3. 당내 정책결정과정 : 파격의 일상화 = 269
4. 조직변동과 당내 서열변화 = 274
5. 평가 = 279

제3장 북한의 헌법과 국가기관 = 281
1. 북한헌법의 변천과정 = 281
2. 1990년대 헌법개정의 내용과 특징 = 285
1) 사회발전단계의 하향조정 : 경제적 실용주의 측면의 확대 = 286
2) 유일지도체계의 이완과 국정운영의 책임분산 = 289
3) 국방관련 조항의 강화 = 293
4) 기타 = 295
3. 북한의 국가기관체계 : 기관별 기능과 역할 = 296

제4장 북한의 근로단체 : 청년동맹에 대한 연구 = 304
1. 사회주의국가 근로단체의 기능과 역할 = 304
2.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의 위상과 역할 = 308
1) 청년동맹의 중요성 = 308
2) 청년동맹의 위상과 역할 = 310
3. 청년동맹의 형성과 변화과정 = 314
1) 민주청년동맹의 형성과 발전 = 314
2) 사회주의노동청년동맹으로의 개편과 이후 변화과정 = 322
4. 당-청년동맹관계의 변화과정 = 328
5.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의 조직체계와 활동 = 332
1) 조직체계 = 332
2) 동맹 활동 = 335
6. 전환기의 청년동맹 : 미래에 대한 전망 = 338


제5장 유일체제의 경제적 영향 = 342


1. 유일체제하의 경제논리와 방식 : 내용과 한계 = 343
2. 유일체제의 경제적 비효율성 = 347


제6장 북한의 대외정책 = 351


제1절 탈냉전기 북한의 대외정책기조와 주변 4강 관계
1. 북한외교의 이념과 기조 = 351
1) 북한외교의 이념과 특징 = 351
2) 북한외교정책의 기조 : 이중전략의 추구= 353
2. 적대관계의 조정 : 북미·북일 관계 = 355
1) 북미관계 = 355
2) 북일관계 = 362
3. 전통적인 동맹관계의 조정 : 북중·북러 관계 = 365
1) 북중관계 = 365
2) 북러관계 = 369
제2절 외교기구와 충원과정
1. 외교기구와 직제 = 371
2. 외교관 충원 및 교육과정 = 373
1) 외교관 충원과정 = 373
2) 외교관 교육제도 = 376
제3절 탈냉전기 북한의 대남전략
1. '남조선 혁명론'의 좌절 = 379
2. '고려민주연방공화국' 통일방안의 내용과 한계 = 382
3. 대남전략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 : 1990년대 = 387
4. 남북관계와 북한체제의 상관성 : 이중적 관계 = 390


제4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김정일


제1장 김일성 연구 = 395

제1절 김일성 평전
1. 김일성, 그는 누구인가 = 395
2. 출생과 성장 = 397
3. 항일무장투쟁의 전개 = 399
4. 해방과 유일지도자로의 부상 = 406
5. '민족해방'의 야망이 빚은 참화, 한국전쟁 = 412
6. 위기의 시대, 1950년대 중반 = 418
7. 주체사상의 기치를 내걸다 = 424
8. 격동의 1960년대 후반 = 427
9. 유일체제시대로의 이행 = 432
10. 신화와 현실을 오갔던 지도자 = 435
11. 위기와 변화의 격랑에서 사망한 김일성 = 438
제2절 김일성의 정체규명
1. '가짜 김일성론'의 내용 = 440
1) '가짜 김일성론'의 내용과 그 주창자들 = 440
(1) 이명영 교수의 주장 = 440
(2) 허동찬 씨의 주장 : 2인의 김일성론 = 442
2) '가짜 김일성론'에 대한 국내외 반응 = 444
2. '가짜 김일성론'에 대한 반박 = 446
1) 이명영 교수의 주장에 대한 반박 = 446
2) 허동찬 씨 주장에 대한 반박 = 452
3. '가짜 김일성론' 대두의 배경 = 455
4. '김일성신화화'의 허구 = 458
5. 평가 = 461
제3절 김일성 카리스마 연구
1. 김일성 카리스마의 특징 = 462
2. 김일성 카리스마의 생성배경과 유지수단 = 463
1) 김일성 카리스마의 생성배경 = 463
2) 김일성 카리스마의 유지수단 = 465
3. 변질된 카리스마, 김일성 개인숭배 = 466
4. 김일성 카리스마의 귀결 : 김정일로의 대물림 = 469
제4절 현대북한과 김일성의 유격대 동료들
1. 현대북한과 항일무장투쟁 = 472
2. 현대북한을 이끈 김일성의 유격대 동료들 = 476

제2장 김정일 연구 = 490
1. 출생과 성장 = 491
1) 출생에 얽힌 쟁점 : 백두산 출생의 신화 조작 = 491
2) 성장과정 : 해방 ~ 1964년 = 493
2. 권력부상 (1964∼1974. 2) = 497
1) 당4기 15차 전원회의와 김정일의 부각 = 497
2) 당내 권력 강화 = 499
3) 후계자 공인 = 501
3. 전당 장악 (1974.2 ~ 1980. 10) = 503
4. 후계체제의 확립과 수령승계 (1980. 10 ~ 현재) = 510
5. 김정일의 통치력 = 519
1) 조직관리능력 = 520
2) 사상정책과 문예관 = 523
3) 경제관과 외교력 = 526
4) 김정일과 군대 = 528


제5부 북한위기와 변화전망


제1장 북한의 위기대응과 한계 = 533
제1절 북한위기의 원인과 지도부의 인식
1. 북한위기의 현황 = 533
2. 위기의 원인 = 535
1) 경제 내적 요인 = 535
2) 정치적 요인 = 538
3. 북한지도부의 위기인식 = 539
제2절 김정일정권의 위기 대응과 한계
1. 위기극복을 위한 생존전략 = 542
2. 정치적 측면 = 544
1) 군사국가의 제도화 = 544
2) 강성대국의 제창 = 548
3. 사상적 측면 = 549
4. 경제적 측면 = 554
1) 점분산형(點分散型) 개방정책의 추진 = 554
2) 경제관련 헌법조항의 실용주의적 수정 = 556
3) 비공식 경제 분야의 확산 = 557
5. 평가 : 위기관리방식의 한계 = 558

제2장 북한체제의 위기수준과 변화전망 = 563
제1절 북한체제의 위기분석 수단
1. 개념의 정립 : 북한체제, 북한붕괴 = 563
2. 북한체제의 위기측정 수단(1) : 기존 논의의 검토 = 565
3. 북한체제의 위기측정 수단(2) : 대안모색 = 568
4. 급변사태 가능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 573
제2절 북한체제의 위기수준과 변화전망
1. 급변사태가 발생할 것인가 : 급변사태 가능 지표 점검 = 575
2. 위기는 얼마나 심화되고 있나 : 점진적 위기진행 지표의 점검 = 581
3. 북한체제의 현황 : 지표종합 및 결론 = 585
4. 북한체제의 미래와 변화전망 = 587
1) 북한체제의 단기적 미래 전망 : 급변사태 가능 지표를 움직이는 변수 분석 = 587
(1) 변수분석 = 587
(2) 종합적인 단기 전망 = 592
2) 북한체제의 장기 전망 = 592


부록 : 북한 행정개요 = 596
참고문헌 = 599
인명 찾아보기 = 631
사항 찾아보기 = 638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