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8

[뉴스룸에서-천지우] 주적은 이제 일본뿐인가 - 국민일보



[뉴스룸에서-천지우] 주적은 이제 일본뿐인가 - 국민일보

천지우] 주적은 이제 일본뿐인가
입력 2019-02-25 04:03



우리는 외국인들이 한국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몹시 궁금해한다. 아니, 궁금해한다기보다는 칭찬과 인정을 간구한다. 뼈를 때리는 팩트나 쓴소리는 바라지 않는다. 하지만 도움이 되는 것은 그런 말들이다. 우리 자신을 제대로 돌아보고, 다른 이들에 대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다. 일본과의 관계가 매우 나빠진 요즘, 일본인이 한국 사회를 분석한 책을 읽었다. 오구라 기조 교토대 교수가 쓴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는 정말 탁월하다. 그가 “이 책으로 한국에 관한 인식은 최종적으로 해결됐다고 생각한다”고 후기에 적었는데 허언이 아니다.

그는 한국이 주자학적 ‘리(理)’를 강력하게 지향하는 국가라고 설파했다. ‘리’는 보편적 원리, 도덕, 질서를 뜻하는데 유일하고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무언가에 도덕성이 강하게 부여되면 그것이 새롭고 지배적인 리로 부상해 낡고 부패한 리를 몰아내는 식이다. ‘민주화 대 산업화’ 식으로 세분화된 여러 리가 각축하기도 한다. 그는 한반도가 항상 위기 상황에 처했던 것이 한국인의 ‘리’ 선호를 강화시켰다고 했다. 더 이상 분열되지 않기 위한 최후의 접착제가 민족주의라는 리이며, 국가를 봉합하는 힘을 키우려 외부에 적을 만들었는데 그 주된 적이 북한과 일본이었다. 지금은 주적이 일본 하나만 남는 분위기다.

리를 지향하는 주자학적 세계관에선 이상의 역사가 현실의 역사보다 중요하며, 오욕으로 점철된 현실의 역사는 이상적 역사로 개조돼야 한다. 이 때문에 한국에선 ‘식민지배는 잘못된 역사이니 바로잡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인식이 강하게 호소된다고 오구라 교수는 설명했다. 과거사 문제가 국가 간 협정으로 다 해결됐다는 일본의 입장이 한국에선 씨알도 안 먹히는 이유다. 오구라 교수는 일본에서의 한국 인식이 너무나 왜곡돼 있어서 이 책을 썼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을 대등한 상대로 간주하지 않는 뿌리 깊은 자세, 포용력과 윤리가 결여된 정치가나 일부 국민의 편협한 발상, 한·일의 과거와 일본인의 죄에 무지하고 무관심한 많은 사람들’을 일본인 스스로 변혁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노력할 것이 없을까. ‘반일(反日)’은 한국 사회의 워낙 지배적인 ‘리’여서 한순간에 떨쳐내기는 어렵다. 하지만 여전히 너무나 손쉽게 이용된다. 마음에 안 드는 대상에는 악의 인증이나 다름없는 ‘친일파’ 딱지를 붙인다. 반일 감정을 자극하는 기사가 온라인상에서 주목을 많이 받으니까 언론은 일본 관련 이슈의 상당수를 반일 프레임으로만 다룬다. 실정으로 떨어진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싶은 정권은 전가의 보도처럼 반일 카드를 꺼내든다. 아사히신문은 지난 9일자 사설에서 “과거의 잘못으로 인한 문제들에 대해 일본은 언제나 성실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면서 “한국 사람들도 역사의 밝은 부분에도 주목하면서 앞으로의 양국 관계에 대해 고민했으면 한다”고 했다. 동의한다. 서로 이해하려는 노력 없이 계속 욕만 해댄다면 무엇이 바뀌고 해결되겠나.

수년 전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한국특파원으로 일했던 다니엘 튜더는 ‘익숙한 절망, 불편한 희망’이란 책에서 한국 정치에 대해 평했는데, 특히 당시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좌파 성향의 젊은 영국인인 튜더는 “다양성이 배제된 특정 그룹이 당을 주도하고, 끊임없이 학생운동 시절과 박정희를 운운하는, 즉 너무 과거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들로 뭉친 정당이 국민 전체를 대변하는 정당이라고 인식되기 어렵다”고 했다. 또 햇볕정책에 동의하면서도 “위험에 처한 북한 주민은 걸리적거리는 존재쯤으로 여기면서 자국민에게 잔인한 행동을 서슴지 않는 북한 지도부에는 무한한 호의를 베푸는 것, 이명박이나 박근혜가 마치 악마의 화신인 것처럼 이야기하면서 김정일이나 김정은 체제에는 관대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편협한 관점”이라며 “진정한 진보라면 다른 누구보다 북한 정부를 증오해야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사정 모르는 외부인의 단견으로 치부하지 마라. 이런 얘기를 귀담아듣고 성찰해야 발전이 있다.

천지우 정치부 차장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