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9

이광수의 두 얼굴-박노자 교수 -

100년전 거울로 오늘을 보다] 18. 이광수의 두 얼굴-박노자 교수 - 중앙일보

[100년전 거울로 오늘을 보다] 18. 이광수의 두 얼굴-박노자 교수
[중앙일보] 입력 2003.06.12




한국 근대문학 초기의 대표적 작가 이광수(1892~1950)의 삶과 작품을 통해 개화기 이후 조선의 모습을 재조명해 보려고 합니다.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주변국과의 관계 속에서 조선의 역사를 성찰해 본 지난 회까지의 접근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국립대 교수앞으로는 예술.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과 사건을 통해 개화기를 되돌아볼 예정입니다. 첫째 인물은 이광수입니다. 박노자 교수는 이광수가 톨스토이의 비폭력주의를 버리고 힘을 숭상한 사회진화론으로 옮겨갔다고 지적하면서, 그를 통해 보편적 이상과 폭력적 현실 사이에서 갈등한 수많은 한국 근대인들의 모습을 떠올리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허동현 교수는 "이광수는 청년기부터 말년까지 친일을 해서라도 민족을 위하겠다고 자부한 '확신범'이었다"면서 그의 삶을 변절이라는 관점에서 단죄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청년 도스토예프스키는 인간이라는 수수께끼를 풀고 싶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그의 말대로 모든 인간이 다 수수께끼일 수 있지만, 저에게 특히 큰 수수께끼로 남는 사람은 이광수입니다. '한국 근대 소설의 아버지''최대 최고의 작가'로 받들어지기도 하고 '친일적인 위선자이며 자기밖에 모르는 소부르주아'로 매도되기도 했던 인물이지요.

다작으로 유명한 그의 수많은 작품에서는 너무나 상반된 두 인간의 모습이 동시에 보입니다. 한 인간형은 애정 문제를 탐구하면서 부처.예수의 자비와 사랑을 본받으려는 구도자의 모습을 하고 있고, 다른 한 인간형은 힘과 살인과 황인종의 단결을 예찬하고 친일적 파시즘의 특색을 강하게 드러내는 국가주의자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광수 최초의 소설로 여겨지는 '愛か(사랑인가)'(1909)를 보신 적 있습니까? 일본에 유학 중이던 이광수가 18세 때 메이지학원 동창회보에 일본어로 발표한 작품입니다. 문길이란 이름의 한 조선 소년이 일본의 미소년 미사오에게 느끼는 동성애적 감정을 뛰어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일찍 고아가 돼 남의 도움으로 어렵게 일본 유학 생활을 이어가는 주인공 문길은 작가 이광수의 분신으로 보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동성애를 철저하게 터부시했던 유교 사회 출신으로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과감하게 탐구한 이광수에게 찬사를 보내야 할 것입니다.

이처럼 연약하면서 번민과 고독에 지친 인간적인 얼굴은 초기 작품인 '어린 희생'(1910)에서도 보입니다. 폴란드 독립투사인 할아버지가 러시아 군인들에게 살해된 손자의 죽음을 복수하기 위해 러시아 군인들을 독살(毒殺)한다는 내용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마지막 구절에서 자신이 죽인 군인들이 자기 손자와 비슷한 또래인 것을 확인한 할아버지가 그들의 죽음에 탄식하고 서로를 죽여야만 하는 무자비한 세상을 개탄하는 장면입니다.

이처럼 살육을 개탄하고 자신의 은밀한 동성애적 감정을 탐구하는 데 몰두했던 문학소년 이광수는 어떻게 해서 일본의 힘을 찬양하고 전쟁 준비를 인류 최고의 수양으로 신격화한 1930년대의 이광수로 변신했을까요?

파시즘에 매몰된 1930년대의 이광수는 청교도적 도덕성으로 무장한 계몽지도자 이형식을 이상형으로 그리고 있는 '무정'시절의 이광수와도, 그리고 그의 초기 작품에 등장하는 부드럽고 개성적인 문학청년 이광수와도 너무나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이 두 얼굴의 수수께끼를 푸는 실마리는 이광수가 말년에 쓴 '그의 자서전'에서 찾을 수 있을 듯합니다. 그에 따르면, 1910년대 초반 도쿄 유학 시절의 이광수는 비폭력과 개인의 자유를 옹호했던 톨스토이의 가르침에 심취하고 일본의 기독교적 사회주의자들과 교제했습니다. 톨스토이를 통해 자애와 상부상조, 평등을 지향하는 새로운 세계를 열어 간 것입니다.

그러나 톨스토이의 갈망과 달리 유럽 국가들은 1914년부터 인류 역사상 최대의 살육극인 1차 세계대전에 돌입했고, 힘없는 조선은 힘있는 일본의 통치 밑에서 옴짝달싹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대세를 관망하던 와세다대 학생 이광수는 1915~1918년 사회진화론을 새롭게 발견하면서 힘있는 자만이 자유와 개성을 논할 수 있다는 입장에 서며 패배주의자 톨스토이를 저주하게 됩니다.

그때부터 말년까지 이광수는 적자생존.약육강식의 논리를 앞세운 사회진화론을 신봉하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어린 시절 접한 인류애의 이상을 완전히 팽개치지도 못했습니다. 그랬기에 '사랑'(1938)과 같은 작품에서 톨스토이주의와 불교적 자비론이 얽히고 설킨 것 아닐까요?

한국 근대 문학의 천재 이광수의 마음속에서는 상반된 두 개의 이념, 곧 톨스토이의 비폭력론과 허버트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이 논쟁을 멈추지 않았던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이 치열한 내면의 갈등은 한국 근대성의 갈등 구조를 그대로 닮은 것 같습니다.

인류 보편의 이상을 추구하면서도 살육과 폭력으로 점철된 세계의 법칙에 그대로 순종할 수밖에 없는 이율배반, 이는 너무나 많은 근대적 한국인들이 느꼈던 갈등인 듯합니다.

[출처: 중앙일보] [100년전 거울로 오늘을 보다] 18. 이광수의 두 얼굴-박노자 교수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