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28

“민중개념의 형성 과정은 한국이 소중하게 간직할 문화” - 경향신문

“민중개념의 형성 과정은 한국이 소중하게 간직할 문화” - 경향신문





“민중개념의 형성 과정은 한국이 소중하게 간직할 문화”백승찬 기자 myungworry@kyunghyang.com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공유 더보기
댓글1
입력 : 2015.07.28 21:52 수정 : 2015.07.28 21:54인쇄글자 작게글자 크게


‘민중 만들기’·‘사람들은…’ 발간 이남희·마이클 최 UCLA 부부교수


1988년 3월, 노엄 촘스키의 미국 노스웨스턴대 강연이었다. 시카고 지역사회에서 풀뿌리 운동을 하던 이남희씨(55)는 질문 기회를 얻으려 손을 내지르는 한 아시아계 청년을 바라보고 있었다. 보수적인 미주 한인 사회에서 촘스키의 강연에 올 사람은 없다고 여겼다. 그 청년은 재미교포 2세인 마이클 최(50)였다. 둘은 얼마 뒤 연애를 시작했고, 92년 결혼했다.


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아시아학 부교수, 정치학과 교수로 각각 재직 중인 이남희씨와 마이클 최가 서울대, 연세대의 하계 강좌 참석차 방한했다. 이 교수는 역사학을 전공했고, 최 교수는 경제학을 전공한 뒤 정치학으로 방향을 틀었다.


전공은 다르지만 둘의 학문은 상보적이다. 이 교수는 신간 <민중 만들기>(후마니타스)에서 한국의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민중이 ‘대항 공론장’이 되는 과정을 살폈다. 70~80년대의 지식인들은 국가에 대한 대항 주체로 민중 개념을 ‘발명’했다는 것이 요지다. 최 교수는 <사람들은 어떻게 광장에 모이는 것일까>(후마니타스)에서 대중이 지식을 형성하고 같은 목표를 향해 움직이는 과정을 설명했다. 핵심 개념은 ‘공유 지식’, 즉 “내가 안다는 사실을 상대가 알고, 상대가 안다는 사실을 내가 알고, 이 사실을 서로 아는 상태”를 말한다. 이 교수가 민주화운동의 ‘내용’을 설명한다면, 최 교수의 이론은 이를 설명하는 ‘형식’인 셈이다.



‘민중’과 ‘대중’을 연구하는 이남희(왼쪽)·마이클 최 교수 부부. | 권호욱 선임기자 biggun@kyunghyang.com


▲ “한국 지식인들은
70~80년대의 상황서 민중의 개념 형성하고
그 내용에 부합하는 다양한 저항적 시도”
- 이남희 교수


▲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그에 따른 집단 행동은
인간만이 가진 힘”
- 마이클 최 교수


■ 대항 공론장으로서의 민중


- 민중을 ‘minjung’으로 표기했다.


이남희(이하 이) = 민중의 복합적 요소를 하나의 단어로 풀어쓰는 것도, 번역하는 것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민중을 ‘people’로 번역하면 개념이 왜소해진다. ‘minjung’으로 표기하면 서구 학계에서 관심을 받기도 쉽다.


- ‘민중’이란 말 자체가 한국 사회에선 고리타분한 인상도 있다.


이 = 당연할 수 있다. 민중이란 단어가 주는 힘, 호소력, 정서는 70~80년대의 산물이니까. 하지만 민중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은 한국 사회가 소중하게 간직해야 할 문화다. 한국 지식인들은 굉장히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민중 개념을 형성하고, 이 내용에 부합하는 다양한 저항적 시도를 해왔다.


- 한국에서 70~80년대민주화운동사는 정치학·사회학의 영역일지언정 역사학에서는 잘 다루지 않는다.


이 = 아직 그 시대에 대해선 객관적 거리가 형성돼 있지 않다고 하는 이가 있지만, 시간이 지난다고 객관성이 저절로 확보되는 건 아니다. 역사는 결국 인문학이고 스토리텔링이다. 이론 역시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이 교수는 대학원 진학을 앞둔 84년 국제 인권단체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귀국했다가 한국 민주화운동의 역동성을 목격했고, 미국에 돌아가서는 대학원 진학을 포기한 채 지역사회의 시민운동에 투신했다. 89년 대학원에 진학한 것도 논문 형태로나마 한국의 민주화운동 경험을 보편화해 알리고 싶어서였다.


- 앞으로 ‘민중’ 개념 같은 또 다른 대항 공론장이 형성될까.


이 = 물론이다. 형식과 내용이 다를 뿐이다. 소수자 운동, 협동조합 등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가. 주류에 대한 대안적 움직임이 반드시 정치운동의 형태를 띨 필요는 없다.


■ 집단행동이야말로 인간의 힘


- 소셜 미디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크게 발전했는데, 이런 상황은 공유 지식 형성에 도움을 주나.


마이클 최(이하 최) = 소셜 미디어는 공유지식 형성에 도움을 주면서도, 또 내용이 각 개인에게 맞춰져 제공되기에 공유지식을 만들지 못하기도 한다. 어떤 지식이 공유지식이 되기 위해선 매스미디어에 의해 다뤄져야 한다. 얼마 전 스코틀랜드 독립투표에서 독립파는 소셜 미디어에, 반대파는 매스미디어에 의존했는데 결국 반대파가 이겼다.


- 한국에선 1000만 관객 영화가 종종 나온다. 공유지식 전파 속도는 문화권에 따라 다를까.


최 = 텔레비전 초창기에는 인구의 3분의 1이 같은 프로그램을 보곤 했다. 그러나 요즘은 좀 달라 더 이상 같은 뉴스를 함께 보지 않는다. 자신의 세계관을 만족시켜주는 프로그램만 봐 그 바깥의 다른 세계관을 가진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 정치적 양극화 심화에는 이런 요인도 있는 것 같다.


- 감정적으로 볼 때, 당신의 이론은 인간이란 줏대 없이 타인에게 쉽게 동조하는 존재라는 느낌을 준다.



최 = 미국 내 동성결혼에 대한 생각은 매우 급격히 변했다. 다른 사람이 ‘괜찮다’고 생각한다는 사실을 알자, 나도 ‘괜찮다’고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다.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른 점이 있다면, 아주 오래전부터 정교한 집단행동을 했다는 사실이다.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그에 따른 집단행동이야말로 인간이 가진 힘이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507282152485#csidx72db5d99784699684abdbe768f33065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