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29

간도특설대 - 위키백과, 나무위키, 일어위키, “‘간도특설대’는 일제의 이이제이였다” 길윤형

간도특설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간도특설대
間島特設隊
활동 기간 1938년 ~ 1945년
국가 만주국
소속 만주국군
역할 대분란전
규모 대대
본부 간도성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간도특설대(일본어: 間島特設(部)隊 간토 토쿠세츠(부)타이[*]) 또는 간도특설부대는 일본 제국의 괴뢰국인 만주국동북항일연군 (김일성이 일원)· 팔로군 (중국 혁명군)· 조선의용대 (김원봉이 일원) 등 중국 공산당 휘하의 조직을 공격하기 위해 1938년 조선인 중심으로 조직하여 1939년부터 본격적인 작전을 수행하였으며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존속한 800~900여 명 규모의 대대급 부대였다.


목차
1개요
1.1활동
1.1.1부정적 활동사례
2간도특설대 역대대장
3부대가
4조선인 군인
5각주
6참고 자료

개요[편집]

간도 특설대는 당시, 간도(間島)에서 반일-반만주국 투쟁(대표적인 조직은 중국 공산당휘하의 동북항일연군)의 활약으로 곤경에 빠진 만주국-일본 당국에 의해 설립되었다. 만주국(滿洲國)의 참의원을 지낸 이범익이 '조선 독립군은 조선인이 다스려야 한다'며 설립하여 대대장 등 몇몇 직위를 제외하고 조선인으로 채워졌다. 명칭도 이에 유래하였고, 일본군이 아닌 만주국군에 소속되었다.[1]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 등 다수의 항일조직은 군대, 관헌 등의 단속과 집단주거 마을건설에 의해 주민과 격리된채 은신하면서 게릴라전을 전개하였다. 이에 맞서 간도 특설대는 게릴라전에 특화된 부대로 육성되었다. 간도특설대는 1939년에서 1942년까지는 만주국 내에서 항일운동을 하는 동북항일연군 (1940~1941부터 동북항일연군 잔여병력 상당수 소련으로퇴각 1942년 소련적군88특별저격여단 개편 여단장 저우바오중 중국공산당. 김일성 제1영장,조선) 과 전투를 수행하였다. 1944년과 1945년에는 열하성과 하북성에서 팔로군과 전투를 수행하였다.[1]

활동[편집]

주요 토벌 대상은 한족과 조선인 그리고 양정우가 지휘자로 있는 동북항일연군 김원봉이 일원으로 있었던 조선의용대 중국공산 혁명군 팔로군이었다.[출처 필요]

부정적 활동사례[편집]

1939년 5월 특설부대는 일본수비대를 배합하여 안도현 서북차에서 야간 토벌을 진행하던 중 산림 속에서 불빛을 발견하고 체포를 하고 보니 산나물을 뜯는 부근 마을의 백성이었다. 그런데도 염천 대대장과 산천 중대장은 무고한 백성들을 죽여서 불에 태워버렸다.[2]

1939년 7월 1일 특설부대는 천보산 광산이 항일연군의 습격을 받았다는 급보를 받고, 도문 일본군 수비대와 협동 작전을 하여 천보산을 토벌했다. 교전 중 항일연군 전사 한 명이 희생되었는데 특설부대는 특설부대의 충혼비에 제를 지내기 위해 항일연군 전사자의 배를 가르고 간장을 꺼내 빈 통조림통에 넣었다. 그런데 그것을 메고 가던 민부가 허기를 달래려고 통조림인 줄로 알고 훔쳐서 먹다가 생고기인지라 버렸다고 한다.[2]

1941년 겨울 특설부대의 3개 중대는 원부시 대대장의 지휘 아래 안도, 돈화, 화전 등 3개 현에 대한 토벌을 진행, 제2중대와 기포중대의 3명 대원이 변복한 항일군 2명을 체포하였다. 하나는 제1중대의 취사반에서 잡일을 하게 하고, 하나는 기포련에서 말을 먹이게 하였는데, 취사반에 있던 사람이 도망을 한 것을 도목구에서 다시 붙잡아다가 부대를 명월구 공동묘지 앞에 집합 시키고, 총부의 부관 옥량 중위가 군도로 머리를 베고 시체 옆에서 목을 들고 기념 사진을 찍었다.[2]

1941년 1월 특설부대는 안도현 대전자에서 동쪽으로 약 30리 떨어진 산림에서 항일연군 여전사 4명을 체포, 압송 도중 강간을 시도하려다 실패하자 살해하였다.[3]

1942년 8월 특설부대 제1중대는 변의대를 조직하여 차조구에 가서 정보를 수집하는 중 논밭에서 일하는 농민 두 사람이 양민증이 없다는 구실로 형벌을 감행한 후 체포하였다.[3]

교전 중 전사한 이들에게는 《16용사 기념비》를 세웠으며, 만주국 국무원에서는 전사자 중 반장 오현상에게는 경훈장, 남일록(南日錄) 등 15명에게는 주국장을 발급하였고, 생존자 중 끝까지 저항했던 현학춘(玄鶴春)에게는 3급 무공장을 수여하였다.[3]

간도특설대 역대대장[편집]
초대 染川一男 소교
2대 渡辺捨五郎 소교
3대 園部市二郎 소교
4대 佐々木五郎 소교
5대 柴田清 소교
6대 藤井義正 소교
부대가[편집]

1939년 12월부터 1945년에 해산될 때까지 부대가로 불렀던 노래는 간도특설대의 정신을 잘 말해준다.[4]


시대의 자랑, 만주의 번영을 위한
징병제의 선구자, 조선의 건아들아!
선구자의 사명을 안고
우리는 나섰다. 나도 나섰다.
건군은 짧아도
전투에서 용맹을 떨쳐
대화혼(大和魂)[5] 은 우리를 고무한다.
천황[6] 의 뜻을 받든 특설부대
천황은 특설부대를 사랑한다.


조선인 군인[편집]

강제로 끌려간[출처 필요] 150여명의 조선인이 간도특설대의 장교로 복무를 했다. 이중 알려진 인물은 다음과 같다.

강재호
김찬규 (김백일)
송석하
김석범
신현준
이용
윤춘근
김홍준
박창암
마동악
백선엽 간도특설대 43년 2월~광복
최남근

이중 국군 창군 원로 자격으로 국립현충원에 묻힌 간도특설대 출신은 백선엽을 포함해 6명이다. (백선엽, 신현준, 김석범, 김백일, 송석하, 김홍준) 이들은 모두 2009년 친일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 반민족행위자다.[7]

각주[편집]

  1. 이동:가 일송정 푸른 솔에 선구자는 없었다, p. 58, 류연산
  2. 이동:가 일송정 푸른 솔에 선구자는 없었다, p. 59, 류연산
  3. 이동:가 일송정 푸른 솔에 선구자는 없었다, p. 60, 류연산
  4. 일송정 푸른 솔에 선구자는 없었다, p. 57 류연산, 2004년 2월 25일 발간
  5. 야마토 타마시이, 일본의 민족정신을 뜻하는 말
  6. 당시 쇼와 천황
  7. “백선엽이 구체적으로 독립군을 소탕한 사례는 나오지 않는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보고서(2009)》
.
참고 자료[편집]
신주백, 「滿洲國軍 속의 조선인 군인들」, 2002
류연산의 일송정 푸른 솔에 선구자는 없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안살림꾼》, 신명식, 역사공간, 2010년 11월 30일, ISBN 10-8990848741
바로 잡아야 할 우리 역사...1》, 역사문제연구소 지음, 역사비평사, 1997년 8월 31일, ISBN 10-8976962176

-----------------------------------------

간도특설대  나무위키

최근 수정 시각: 2020-07-28 10:20:37


분류
만주국
해체된 군부대



일본군
日本軍

[ 펼치기 · 접기 ]


1. 소개2. 상세
2.1. 창설 및 활동2.2. 만주의 ‘동양귀’ 시절2.3. 러허성 이동과 특설대 해산2.4. 광복 이후3. 미화4. 부대가5. 유사한 조직
5.1. 아사노 부대5.2. 회교부대5.3. 이소노 부대5.4. 오로촌 부대6. 특설대 장교 명단
6.1. 간도 특설대 복무 경력주요 인사7. 간도 특설대 복무 경력 의혹이 있는 사람
7.1. 박정희의 간도 특설대 복무 의혹?

1. 소개[편집]
일본어 : 間島特設隊(かんとうとくせつた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만주군 육군 소속이었던 군사 조직. 이제는 말할 수 있다-만주의 친일파 편
오마이뉴스 기자 정운현 씨의 관련글 참조

1938년 10월 12일자 매일신보.# 간도 특설대 설립과 대원 모집을 알리는 기사. 덤으로, 그 왼쪽에 실린 기사의 "성대"는 경성제국대학을 의미한다.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 만주군에서 당시 중국 공산당의 지원을 받는 동북항일연군•팔로군 등의 게릴라 부대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938년에 만들어진 800-900명의 인원을 지닌 대대급 특설대.

2. 상세[편집]
창설 목적부터가 흠좀무한데, 만주국 참의원 이범익 등이 주장한 '조선 항일세력은 같은 조선인이 잡자’는 의견이 실제로 형성 과정에 영향을 주어 장교를 제외한 중간 간부와 일반 병사들은 다수가 조선인으로 채워졌다. 특히 일반 병사의 경우 전원 조선인 지원병으로 구성되었다.

즉, 간도특설대는 탄생부터가 조선 항일 세력 저지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독립군을 상대한 것 뿐만 아니라 간도특설대 소속으로 활동한 것 자체만으로도 틀림없는 부일(附日) 활동이고, 따라서 소좌(소령)급 이상만 의무 등재되는 것이 일단은 원칙인 다른 부대와 달리 사병을 포함해서 부대에 복무한 전원이 친일인명사전에 등록되어 있다.

다만 지원으로 이루어진 1,2기와 달리 3기의 경우, 지원이 아닌 발령이였다는 점과 중국 팔로군과의 전투가 주로 이루어 졌다는 점에서[1] 1,2기와 같이 3기 또한 친일반민족행위자에 해당되는지는 약간의 논란이 있다. 특히 3기 출신이자, 6.25 전쟁영웅인 백선엽의 죽음과 현충원 안장문제로 위 논란이 한동안 다시 회자되기도 했다.[2]

2.1. 창설 및 활동[편집]

초기 활동은 간도특무기관장 오코시 노부오 육군중좌의 통제 아래 이루어졌으며, 본격적인 활동은 1939년부터 시작되었다. 주로 만주 동쪽에서 활동하다가 1943년 말에 러허성으로 이동해 팔로군을 비롯한 중국 공산당 계열 항일부대 토벌 작전에 투입됐고, 나중에는 철석부대[3] 산하로 편입되면서 독립적인 보병대대로 개편되었다. 이후 일제가 패망해 상급 지휘부와 통신이 두절되었음에도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여전히 임무를 수행하다가 팔로군으로부터 패망 소식을 듣고서야 랴오닝성 진저우로 철수한 뒤 부대를 해산했다.

'중국조선민족발자취 총서'를 비롯한 연변 쪽 자료에 의하면 간도 특설대를 창설하자는 아이디어는 만주국 간도성 성장 이범익이 생각하였다고 한다. 일본의 환심을 사기 위해 일본군의 치안 환경에 맞추어 조선인 청년을 징모해 항일연군을 토벌하자는 특설부대 창설을 조선총독부에 주동적으로 건의하였고, 일제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창설을 결정하였다. 이 내용은 연변 쪽 자료에만 나오고 중국 쪽 자료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 일단 관동군 간도특무기관장 오코시 노부오 중좌의 통제로 창설되었다는 것은 확실한데, 이범익이 기여했다는 부분은 그가 조선인이었기 때문에 차별을 받아 무시된 것인지, 아니면 그냥 이범익이 거짓 주장을 한 것인지 확실치 않다.

간도특설대의 자세한 역사는 다음과 같다. 안투 현 치안대, 훈춘 국경감시대, 옌지 청년훈련소, 펑톈 만주군관학교, 기타 몇몇 만주군 부대에서 일본인과 조선인 장교를 특설부대 창설요원으로 뽑아 밍위에거우에서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들어갔으며, 1938년 9월 15일 만주국 치안부 산하 부대로 창설이 결정돼 그 해 12월 14일에 지원병 1기생 입대식이 거행되었고, 1939년 3월 1일 창설식을 갖고 열병식을 가졌다.

1기생의 경우 모집인원은 228명[4]으로, 지원조건은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 간도성 내 거주 조선인 남성 중 보통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과 일본어가 통하는 자로 제한되었다. 복무연한은 3년.

1938년 10월 25일 만주 각지에서 탄생 축하회가 열렸는데, 만주국군 비행대 소속 비행기가 간도성 내 각지 상공을 돌며 기념 비행까지 선보일 정도로 성대한 축하회였다. 1940년 1월에 2기생을 모집했을 때에는 조건이 보다 강화되어, 기본적인 사항은 1기 때와 같으나 나이가 만 20세 이상 22세 미만으로 상향되었으며, 형벌을 받은 일이 없고 군인이나 경찰의 전력이 없는 자로서 신원 보증을 위해 보증인 두 명 이상을 내세울 것이 요구되었다. 이후 일제 패망까지 7기에 걸쳐 병사를 징모했다. 전원이 지원병인 것은 1, 2기뿐으로, 3기부터는 만주국 전체에서 징병제가 실시됨에 따라 병사는 대다수가 징집병으로 채워졌다.

부사관과 사병은 전원 조선인이었으며 장교는 조선인과 일본인이 섞여 있었다. 1940년 1월 기준으로 일본인 부대장을 뺀 나머지 장교가 조선인, 일본인 각 일곱 명씩이었다.

창설 때는 본부에 부관, 군수, 의무 3실과 1개 보병련, 1개 기박련[5]의 2개 중대로 편성되었다. 보병련과 기박련에는 각각 3개와 2개의 내무반을 두었다. 중대 격인 연 밑으로 각각 소대와 분대 격인 배와 반이 있었다. 정예부대라 해서 기관총도 일본제 기관총이 아니라 무고장기관총을 받았다고 한다.

훈련과정은 4개월가량으로, 2기 지원병이 훈련을 끝낼 무렵인 1940년 12월에 1개 보병련을 신설함에 따라 보병 1, 2중대와 기박련으로 이뤄진 대대급 부대가 되었다. 통계마다 사소한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300여 명의 병력을 유지했으며, 전체 입대자의 숫자는 2,100명에 이른다. 당시 만주군의 장교를 키우는 군관학교의 교육과정에는 "비적 토벌"[6] 작전이라는 진짜 실전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간도특설대 역시 훈련 중에도 독립군 토벌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현지 부대에 위탁배속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에서도 “반도인 특설부대는 아직 제1기 교육도 끝마치지 않았지만 김일성, 최현 등 군소 비적 토벌을 위해 산악과 밀림 속으로 돌진했다”고 나온다.

관할 관구 사령부는 창설 당시에는 만주국 치안부 지린 주둔군 2군관구 사령부 관할이었다가 1939년 초부터 1943년 말까지는 무단장 제6군관구 산하로 들어갔다. 부대가 1944년 1월 러허성으로 이동배치된 후에는 무단장 제6군관구과 칭더 제5군관구 시령부의 지휘도 받았다. 부대장은 줄곧 일본인 장교가 맡았고 계급은 만주군 소좌나 중좌였다. 초대 부대장은 소메카와 가즈오였고, 후임 부대장은 와타나베 스테고로, 소노베 이치지로, 사사키 고로, 하시모토 기요시, 시바타 기요시, 후지이 요시마사 순이였으며 다른 일본군 부대와 마찬가지로 부대장 이름을 딴 소메카와 부대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최후에는 후지이 유격대 또는 지원보병대라는 명칭으로 통했다.

창설 목적에 맞게 임무는 항일, 항만주 세력에 대한 토벌이 주 목적이었고, 연변 지역을 중심으로 한 독립군 부대인 동북항일연군이 주 타격대상이었다. 열하성, 하북성 등지까지 활동반경을 넓히게 되면서는 팔로군과의 교전도 이루어졌다. 하지만 전투보다는 항일세력을 색출한다는 이유로 무고한 민간인들을 살상, 강간, 약탈한 것으로 더 악명이 높다.(...) 친일인명사전에 따르면 간도 특설대에게 살해된 항일무장세력과 민간인은 확인된 바로만 172명에 달하며, 이외에도 많은 사람이 억울하게 포로가 되거나 강간, 약탈, 고문을 당했다고 추정된다.

‘중국조선민족발자취 총서’, 조선족 작가 고 류연산의 저서 '일송정 푸른 솔에 선구자는 없었다' 등에 기록된 대표적인 만행은 다음과 같다. 일단 김춘선 연변대 역사민족연구소장이 국사편찬위원회에 제공한 중국측 사료집의 머리말에서 언급하였듯 본 자료의 1차적 목적은 자료의 대집성이었기 때문에 "본 자료집에 수록된 구비문헌자료들의 진실성과 사료적 가치에 대해서는 금후 진일보 검토되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는 점을 감안하고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

1939년 5월 일본수비대와 함께 안도현 서북차에서 야간 토벌을 진행하던 중, 산나물을 뜯던 인근 마을의 민간인을 체포해 살해한 뒤 시신을 불에 태웠다.

1939년 7월 1일 천보산 광산이 항일연군의 습격을 받자 도문 일본군 수비대와 함께 출동해 천보산에서 교전을 벌인 뒤, 충혼비에 제를 지낸다는 명목으로 항일연군 전사자들의 배를 가르고 내장을 꺼내 빈 통조림통에 넣었다. 통을 운반하던 민간인 부역자가 그냥 통조림인 줄 알고 허기를 달래기 위해 훔쳐 먹으려고 했는데 생고기인지라 버렸다고 한다.

1941년 겨울 안도, 돈화, 화전 등 3개 현에 대한 토벌을 진행하던 중 위장한 항일군 2명을 체포했다. 한 명은 탈출했다가 도목구 인근에서 다시 붙잡혔는데, 부관이었던 중위가 부대를 명월구 공동묘지 앞에 집합시킨 뒤 모두가 보는 앞에서 군도로 그를 참수하고 시체 옆에서 목을 들고 기념사진을 찍었다.

1941년 1월 안도현 대전자에서 동쪽으로 약 30리 떨어진 산림에서 붙잡힌 항일연군 여성 4명을 압송하던 도중 강간을 시도하다가 저항하자 살해했다.

1942년 8월 차조구에서 정보를 수집하던 중 논밭에서 일하던 농민 두 사람을 불심검문했는데 양민증을 갖고 있지 않자 폭행한 후 체포했다.

1944년 음력 7월 27일, 특설부대는 현지경찰과 합동으로 미윈 현 황거좡에 가 ‘식량 징수’(실제로는 식량강탈)를 하며 21명의 백성을 체포했다. 그중 한 농회 주임은 한달 동안 구금된 뒤 살해됐다.

1944년 9월, 특설부대가 스샤 진에서 30리 떨어진 곳에서 몽골 기병과 연합해 팔로군을 토벌 했으며, 쌍방 교전중 특설부대가 참패 했다. 특설부대는 돌아오는 길에 스샤 진 서쪽 20리 되는 부락에서 농가 20호에 불을 지르는 보복을 했다. 또 두명의 백성을 붙잡아 일본인 소노모토 유이치가 군도로 찔러 죽였다.

1944년 11월 5일 화이러우현 다슈이위(현재 베이징시 소속)에 주둔하던 만주군이 현성에 가 식량 운반을 하던 도중 팔로군의 습격을 받아 트럭 한 대가 소각되고 만주군이 몇 명 죽자, 만주군과 특설대 합동으로 일대를 토벌. 특설대는 현장 부근 마을에서 백성 두 명을 쏴죽이고 세명을 다치게 해 불구로 만들었다. 같은 날, 이들은 또 두명의 팔로군 제대 군인도 붙잡아 총으로 쏴 죽였다.

사실상 일본군의 일부이니만큼 당연히 똥군기도 강했는데, 부대 안에서의 구타나 욕설은 극히 평범한 일이었다고 한다. 4기생 안권현은 군사수칙을 잘 외우지 못한다는 이유로 지독한 구타를 견디다 못해 탈영해서 팔로군에 가담했다.(...)

출정을 나간 사병이 귀대시간에 늦자 상관에게 누를 끼쳤다고 자살하고, 위병근무가 철저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지적을 받자 그 분대원을 훈계한 분대장이 책임을 통감한다며 그 자리에서 권총 자살을 해 전군의 귀감으로 시달된 일이 있는 등 군기가 비정상적으로 강했다.

2.2. 만주의 ‘동양귀’ 시절[편집]

스스로를 ‘무적의 상승 부대’라고 하며 한번 호되게 당한 공비 무리는 다시 마주치기를 두려워해 피해갔다고 자화자찬 했지만, 주로 상대하는 조선인 독립군은 끈질기게 싸웠고 특설대의 인적 물적 피해를 강요하였다.

대표적인 전투인 1939년 8월 23일 다샤허 전투에서 숨진 특설부대원 16명을 기리기 위한 ‘16용사 전적비’는 조선 입장에서 보면 조선인 중심으로 편성된 항일연군 1로군 산하 3방면군 600명이 일본군 수비대와 특설대 지원 부대에게 결정적 타격을 입힌 쾌거이다.

생각해볼 점은 특설대의 경우 만군내 각종 대회에서 우승할 정도로 사격 실력 등이 뛰어난 정예부대이며 무기와 군수품이 만군 내 최상급 수준이였다.[7] 그에 반해 만주내 독립군들은 중국에서는 "고군(孤軍)"이라고 불렀는데, 중국 내에서 각종 보급을 받는 국공합작군에 비해 완전히 고립된 상태에서 싸우는 군대라는 뜻이다. 그럼에도 당시 항일연군은 엄정군기하여 민간에 피해를 안끼치고 보급품을 돈주고 구입한다는 일본측 증언이 있을 정도. 그에 반해 만주/일본군은 민폐가 심각했고 만주가 자신들의 조국 혹은 자신들의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무상징발을 일삼고, 독립군 협조 의심자에 대한 고문을 자행하여 원성이 자자하였다고 전한다.

2.3. 러허성 이동과 특설대 해산[편집]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근거없는 비난 성격이 강한 서술을 작성하지 않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제재될 수 있습니다.

특설대는 1943년 12월 러허성[8]으로 이동하였다. 사족으로 1943년 2월 특설대에 배속된 백선엽은 이 시기 게릴라 활동이 거의 봉쇄되었기 때문에 자신은 (단독부대로서의 골격이 갖춰진) 조선 독립군과는 싸운 적이 없다고 증언하였는데[9], 대신 러허성으로 이동해 중국공산당 산하 팔로군과 전투를 치렀다. 문젠 이 팔로군에 독립군으로 활동한 조선인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는 거지만.

일제는 남방전선으로 일본군이 대거 이동하자 이를 메꾸기 위해 만주국의 군대와 경찰 병력을 러허성으로 이동시켜 철도 경비와 토벌 등의 임무에 종사케 하였다. 특설대 역시 이러한 맥락으로 러허성으로 이동하였다. 이 무렵이면 만주군 내 다른 조선인 장교이든 특설대이든 똑같이 팔로군과 싸우던 시기였다. 즉, 특설대 백선엽이든 1944년 4월에 만군 8단 부관을 했던 박정희든 똑같이 팔로군과 싸우는 것이 주 임무였다.

이에 따라 특설대 역시 기존의 독립군 토벌에 특화된 특수공작대 성격에서 소모품인 알보병으로 변화하게 되었는데, 1944년 철석부대 산하로 들어간 것이 그 상징적인 사건이다. 철석부대라는 것은 물론 만주의 국훈인 “철석신념, 철석기율, 철석훈련”에서 따온 명칭으로 1만5,6천의 보병, 기병, 전차 합동의 전투 부대로 만주군 내에서도 ‘만족, 몽골, 조선, 일본인’ 혼성 부대로 전공이 있는 우수부대에서 선발, 충당하여 중국의 정규군인 팔로군과의 전투에만 전념하였다. 무기 등 보급품은 일본 정규사단인 갑(甲) 사단에 준해서 지급되었다. 특이하게도 따로 사령부가 없는 만주군에서 차출된 부대 연합체였다. 이때 정보반을 창설하여 모든 토벌에 정보반과의 조율이 있었는데 정보반의 적극 활용은 철석부대 상급부대인 북지특별경비대의 특징이였다. 철석부대는 다시 북지특별경비대에 소속되어 있었다. 약칭 특경은 헌병 사령관 가토 하쿠지로 중장의 지휘 아래 헌병대와 일반병 혼합의 치안작전 부대로 주로 철도 경비를 위한 일본군 10개 대대와 만주군 철석부대로 구성되었다.

중국측에서는 이 시기의 간도특설대가 만주 시절과 달리 “음험하고 악독했다”라고 주장한다. 혐의자를 사격장의 과녁에 묶어놓고 쏴 죽였다거나, 팔로군 동향에 관한 정보를 캐기 위해 마을 주민을 집단으로 고문했다거나, 군도로 혐의자를 참수했다는 식이다. 무고한 백성을 살해했다거나 지역에 따라 주민 수보다 사살 또는 체포된 사람이 더 많을 정도로 특설대의 토벌은 극심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1945년 8월이 되면 본토는 대규모 공습에 이은 핵폭탄 투하로 초토화되고 소련군 170만명이 세 방면에서 만주로 돌진해 온다. 이 시기에는 몽골계나 만주계 만주군이 잇달아 반란을 일으켜 일본인 장교가 연금 혹은 살해되되었는데 만주해군 야야마 무쓰네 중위가 부대로 돌아와 보니 부대 내 일본계 장교가 몽땅 살해되어 있어 겨우 도망갔다거나, 박정희의 만주군관학교 동기인 류펑줘가 일본인 행세하는 조선계 일본군을 쏴죽이고 동포인 만주 정치범들을 풀어주던 등 대 혼란기였다. 더불어 천황의 항복선언문을 통지 받고 특설대가 소속된 철석부대중 만주계인 철심부대는 일본계 장교들을 구금하고 국민당군과 팔로군중 저울질 하다가 대거 국민당군에 투항하여 하루아침에 국민당군 행세를 한다. 이후 ‘동북보안 제2총대’로 개칭하여 가장 먼저 창춘(신징)에 입성하는 등 국민당군으로서 활동하게 된다. 철석부대중 몽골기병으로 구성된 철혈부대는 아예 일본장교들을 살해하고 팔로군 진영에 합류한다.

특설대는 8월 20일까지 일제의 항복선언도 통지받지 못하다가 팔로군에게 항복선언을 전해듣고야 진저우로 철수하였다. 이들은 마지막 부대장인 후지이 요시마사 소령의 지휘 아래 8월 26일에야 진저우에 도착하였다. 특설부대 300명은 부대 해산식까지 가지고 일본인 장교 이탈 후 선임 중대장 김백일 대위의 지휘 아래 선양(펑톈)에서 여비를 지급받고 해산한다. 소련군에 포로로 잡힌 관동군 출신 조선인들은 상당수가 시베리아로 끌려가서 엄청난 고생 끝에야 귀국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들에게는 나름 행운이었던 셈이다.

이때까지 헤이룽장 성에서 교육 받던 특설대 신병 보충대는 소련군과 전면 교전에 동원되었다가 8월 24일밤 남쪽으로 도주하여 간도 왕칭 현 바이차오거우까지 1000여리를 도보 행군하여 8월 31일에야 스스로 해산했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귀국하여 돌아가거나 해방 후 입지강화를 위해 숫자를 크게 보여야 했던 광복군에 흡수처리되지만 난립하는 군사조직을 정비하려던 미군정에 의해 해산하여 역시 개인 자격으로 귀국하였다. 마지막 간도특설대장 후지이 요시마사와 초대 대장 소메카와 가즈오, 그리고 중간에 특설대장을 역임했던 하시모토 기요시는 소련에 체포 된 60만명중 포함되었다가 전후 복구 사업을 위해 몽골에 나눠준 1만 2318명에 포함되어 몽골에 갔다가 거기서 셋 다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0]

2.4. 광복 이후[편집]

아이러니하게도, 이들 중 일부는 해방 이후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그래도 군 경력이 있다고 북한의 침공에 맞서 한국을 지켜내는데 일익을 담당하게 된다. 사실 이런 이면엔, 반공도 있지만 당시만 해도 북한이 남한보다 친일파 청산에 더욱 힘을 썼다고 알려진 상황에서 북한이 38선을 넘어 쳐들어왔는데, 전쟁에서 남한이 지면 독립군 중에서도 특히 사회주의 계열 독립군들을 토벌한 자신들은 숙청 1순위가 될 것이 뻔했기에 더 용을 쓰고 이들을 막았다는 견해도 있다.

3. 미화[편집]


소수민족들의 특수부대 가운데서 조선인 부대가 가장 강력했고 유명했다. 일본군, 만주군이 못 해내는 작전을 간도특설대가 가서는 거뜬히 해치우곤 했던 것이다. 특설대는 전투도 잘했지만 선무공작에도 능해 지방민들의 환심을 샀다. 작전 때 무자비하고 잔학한 일본군과는 극히 대조적이었다고 한다. 조선인의 공적 평가에 인색한 일본인들도 간도특설대에 대해서는 ‘상승의 조선인부대’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만주군, 관동군 안에서 벌어지는 총검술, 격투기, 사격 등 무술대회에서는 특설대가 주로 우승기를 차지했다. 특설대는 문주의 5족 사이에서 경쟁하며 살고 있는 ‘’‘우리 동포들에겐 큰 긍지와 희망을 안겨주었다.’‘’ 각 교민 단체에서는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각종 연예단을 보내 위문했고, 뜻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이 부대가 쌓은 전투 경험과 군사지식이 조국 독립에도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일본 육사 출신 전 합참의장 장창오 육군대장. 1982년 11월 10일 중앙일보 기고


간도특설대에 근무한 창군 원로, 장관, 고위관료들은 수십 명에 달하지만 그들 중 자발적으로 당시 일을 고해한 사람은 없다. 잘해야 2006년 8월 세계일보 기자에게 당시 일을 담담히 털어 놓은 이용철도청장 정도이다. 심지어 미화하는 경우도 있다.

위에서 써놓은 장창오의 글을 간도특설대 미화의 일반적인 논조이다. 그런데 위에 글에도 나오지만 누구를 상대로 싸웠는지가 나오지 않는다.

종종 간도특설대가 만주의 공비들을 상대로 싸웠다는 식의 글이 보인다. 예를 들어 ‘일본군도 아닌 만군에 복무한 것이 무슨 문제가 있느냐’, ‘만주에서 상대한 군대는 공산군이었다’. 즉, 당시는 독립군이 전부 궤멸하여 만주를 떠난 상태이고 공산주의자들만 팔로군 등의 중국 군벌들과 함께 남았다는 것이다. 물론 당시 만주국은 사실상 일본의 괴뢰국이었고, 사회주의 계열의 조선인 군대도 엄연히 항일군대였으니 이는 억지가 있는 주장이다.[11]

혹자는 당시 만주 독립군 중 민족 계열은 궤멸하여 생존자들은 임시정부를 찾아 떠났고, 사회주의 계열은 중국이나 소련 측에 흡수되어 그들의 군대 안에서 독립군 활동을 했으니 사실상 독립군으로서의 의미가 퇴색되었다는 주장도 하는데, 그래따짐 사실상 중국 국민당 직속부대나 마찬가지였던 한국 광복군도 의미가 퇴색된다. 참고로 이때 사회주의 계열 독립군들은 김원봉처럼 한국 광복군에 합류한 케이스도 있었고, 팔로군에 있다 해방 이후 북에 넘어가 연안파처럼 정치 세력을 형성한 케이스도 있었다. 물론 결국엔 김일성한테 죄다 숙청당하지만.

1937년 간도성 거주 조선인은 46만 명으로 총 인구의 71%이며 해방 후 또한 중국 당국이 공인한 옌벤의 “항일열사” 3,125명[12] 가운데 조선인 비율은 3,026명(96.8%)이다. 즉 중국의 항일군으로 정의내릴 수는 있을 것이다. 나중에 이들의 다수는 6.25 전쟁에서 중공군 측 조선의용군으로 참전하게 된다. #

일본인 간도특설대 복무자인 고모리야 요시이치 만군 중위는 간도특설대가 상대하였던 항일군 세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그들은 잡군이 아니고 반만항일군이라고 칭하며 실로 군기 엄정한 부대였다. 복장도 좋았고 장비도 중화기를 갖춘 부대였다. 그들은 물자를 조달할 때 상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부역 차출에 임금을 지불했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의 호감을 샀다.”

간도특설대 복무자 중 가장 유명한 백선엽은 자신의 저서 '대게릴라전-아메리카는 왜 졌는가'에서 자신이 추격한 게릴라들 중 조선인들이 많이 섞여있었다며, 자신이 동포들에게 총을 겨눈건 사실이고 이를 비판받아도 어쩔 수 없다고 했으나 끝내 명확한 사과는 죽는 날까지 하지 않았다. 게다가 여기서 그는 “우리가 진지하게 토벌했기 때문에 한국의 독립이 늦어진 것도 아닐 것이고, 우리들이 역으로 게릴라가 되어 싸웠으면 독립이 빨라졌으리라는 것도 있을 수 없다.”라며 자신의 행적을 어쩔 수 없었다는 식으로 합리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신현준 전 해병대 사령관 역시 “그때 나는 만주국 내에 특별히 한국인만으로 구성된 특수부대를 창설하려는데는 어떤 특별한 정치적인 목적이 있지 않은가 생각하면서도, 자신은 단지 하급 간부 요원 가운데 한 사람에 불과한 처지라, 내게 부여되는 임무를 완수하는 데만 최선을 다하리라 다짐했다.” 라며 해방된 이후에도 별다른 심적 부담을 느낀 흔적을 보이지 않았다.

4. 부대가[편집]


시대의 자랑, 만주의 번영을 위한
징병제의 선구자, 조선의 건아들아
선구자의 사명을 안고
우리는 나섰다. 나도 나섰다.
건군은 짧아도
전투에서 용맹을 떨쳐
대화혼(大和魂)[13]은 우리를 고무한다.
천황의 뜻을 받든 특설부대
천황은 특설부대를 사랑한다.


5. 유사한 조직[편집]

이들은 대부분 대소전을 위해 준비한 부대이다. 간도 특설대 출신자들이 항상 하는 얘기가 소수민족 부대중에서 간도 특설대가 가장 용맹하며 실적이 뛰어났다고 하는데, 창설 목적 자체가 다른 소수민족 부대는 대소전 준비이고 조선인 부대는 항일독립군 토벌이니 비교 대상이 아니다. 백선엽이 간도 특설대의 임무를 “일본과 소련 사이에 전쟁이 벌어지면 소련 영내에 들어가 교량이나 통신시설 등 중요 목표를 폭파하는 것”이라고 위증한 것도 이러한 흐름에 묻어가려는 시도이다.

다만 중국/일본쪽 자료를 보면 만주쪽 특수부대중 간도 특설대가 가장 먼저 등장한다. 백계 러시아 부대가 창설일이 더 빠르고, 회교도 부대가 규모가 더 크지만 간도 특설대를 더 중시하는 것이다. 만주군 내에서 특설대의 위상이 확실히 높기는 했던 것 같다.

5.1. 아사노 부대[편집]
1937년 관동군 명령으로 소련에서 망명한 백계 러시아인과 탈주한 소련군인을 모아 편성한 부대. 부대장은 아사노 상교이며 하사관 이하 사병은 전원 러시아 인으로 하얼빈 쑹화 강 부대에 250명, 하이라얼 부대에 150명, 헤이룽장 성 하이린시 부대에 50명 가량 있었다. 창설 목적은 소련에 대한 정보 수집과 모략 공작을 비롯해 전쟁 돌발 시 소련 영내로 잠입해 유격대 활동을 벌이며 주민 봉기를 유도하는 것이다. 간도 특설대 창설 명령이 1938년 9월에 나왔으니 이쪽이 소수민족 부대로는 원조이다.

하지만 진실은 참모장 구르겐 냐골란 중좌와 백계 러시아인 사무국원의 태반이 NKVD 요원이었다.

5.2. 회교부대[편집]
1939년 무슬림인 병사들을 모아 펑톈 북대영에 1개 여단을 편성했다. 소련을 상대로 유격전을 펼치는 것이 창설 목적. 병영 내 이슬람 성원을 설치해주기도 했으나, 중국인들이 인근에서 돼지고기를 많이 먹어 갈등이 심했다.

5.3. 이소노 부대[편집]
1941년 5월 가나가와 싱안 특무기관장의 주도로 몽골인 기병 제대병을 모아서 구성했다. 부재장은 이소노 소교. 부대규모는 3개 중대로 여기는 사병들만 몽골인이며 장교와 하사관은 전원 일본인이다. 관동군 정보부의 통솔을 받았다.

5.4. 오로촌 부대[편집]
우랄알타이계 퉁구스 종족인 오로촌족 전체 인구 3000명중에서 장정 300명에게 38식 보병총 등을 주며 포섭하였다. 소련 공작원의 국경 침투를 막고 유사시 게릴라 부대를 편성해 소련군을 교란하는 것이 목적이다. 소련군도 만주로 진격할 때 독자적으로 키운 오로촌 특수부대원을 활용했다고 한다.

6. 특설대 장교 명단[편집]
김석범 전 해병대 사령관이 집필한 <만주국군지>에 간도특설대에 복무한 조선인 장교 명단이 만주국육군군관학교 기수별로 정리되어 있다.

봉천군관학교
4기: 강재호, 박봉조, 이원형
5기: 김백일(김찬규), 송석하, 신현준(신봉균), 김석범, 최경만, 석희봉, 김홍준, 윤춘근, 문이정
6기: 도요타(조00), 김용기
7기: 최남근, 최재한
8기: 태용범
9기: 백선엽, 윤수현, 손병일
군의관
마동악, 계병락, 전남규
신경군관학교
2기: 이재기(이정린), 김묵(김명철)
육군훈련학교[14]
7기: 이용(이집룡), 김충남, 최재범, 박춘식, 최병혁, 김용호, 이용성, 이동준, 이봉춘, 방태욱, 이덕진, 구동욱

창설요원은 장교로는 김상찬 대위(군수관), 마동악 대위(군의관), 강재호, 이원형, 박경조, 김백일, 신현준 소위이며, 하사관으로는 대부분 국경감시대 출신인 김대식, 방관득, 홍청파 상사 등 10명이다.

단, 사병의 경우 “몸과 마음이 우수한 인재가 쇄도해서 지원해 각지의 대표적 청년이 입대했다. 그중에서는 혈서를 쓴 지원자도 있었다.(고모리야 요시이치 특설대 장교)”라는 증언이 있을 정도로 열렬한 친일파들이지만 장교들의 경우 만주군의 인사 방침과 개개인의 근무평가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순수하게 자원에 의하여만 입대 가능한 조선인 만주군 장교들은, 특설대 복무 여부와 관계 없는 처음부터 친일파들이다. 다시 말하자면 만군 장교출신자들은 자신이 특설대 복무는 안했다고 일제에 대해 충성도가 약하거나 친일행적이 없었다는 것이 아니다.
6.1. 간도 특설대 복무 경력주요 인사[편집]

신현준[15](봉천군관학교 5기 출신) : 간도 특설대 창설 요원. 두차례에 걸쳐 3년 4개월 근무.
김석범[16](봉천군관학교 5기 출신) : 간도 특설대 부(副)대장, 조선계 최선임. <만주국군지>를 썼다.
김대식[17](훈춘국경감시대 반장 출신)
박창암[18]: 하사로 복무했다. 이 사람은 유일하게 친일파 명단 관련에 제외되어 있다. 만주군 장교인 박승환이 비밀리 만든 건국동맹 군사분맹에 포섭된 몇 안되는 인물이었기 때문.
송석하[19](봉천군관학교 5기 출신)
김백일(봉천군관학교 5기 출신): 김백일의 본명은 '김찬규'로 만주군 장교로 복무한 경력이 있는데, 특설부대 창설 때부터 활동해왔던 인물로 일제 패망 때까지 쭈욱 간도 특설대로 복무했을 만큼(패망 당시 계급이 대위였다.) 가장 커다란 활동을 했다고 한다. 광복 이후에는 자신의 만주군 장교 시절을 감추고 싶었던지 '청천백일'의 '백일'로 이름을 바꾸고 월남했다.[20]
최남근(봉천군관학교 6기 출신): 간도 특설대 출신으로 광복 이후 월남하여 좌익계열 군인으로 활동한다. 여순사건때 숙군 과정에서 지목 당해 총살된다.
백선엽[21](봉천군관학교 9기 출신) : 1943년 2월 부임. 시기적으로 간도지역 항일 무장운동이 소원해진 때여서 독립된 부대로서의 조선 독립군과 직접 교전해보진 못했고, 대신 러허성으로 이동하여 (조선인이 섞인) 공산당 팔로군과 전투에 종사하였다라고 주장한다. 다만 팔로군에 속해있던 관련 기록이나 본인 저서에서도 스스로 밝혔듯 게릴라로 활동하던 조선인들과 싸운건 사실이다.

7. 간도 특설대 복무 경력 의혹이 있는 사람[편집]

정일권(일본 육사 55기)

7.1. 박정희의 간도 특설대 복무 의혹?[편집]
결론부터 말하자면 복무한 적 없다.

박정희가 만주군 장교로 복무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것은 맞지만, 한땐 여기에 더해 간도 특설대에 복무했다는 주장이 제기된 적도 있었다. 주재덕의 서적 탄백서[22]에서 박정희가 간도 특설대원으로 근무하였다고 적힌 것을 보았다고 차상훈이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의 결전편에서 증언을 실었다. 탄백서란 내용을 바탕으로 한 박정희 간도 특설대 근무설의 골자는 1939년 대사하 전투에 참여하여 무공훈장까지 받은 간도 특설대원 마츠모토란 인물이 있는데 그 인물이 박정희가 아니냐는 것이다. 심지어 박정희가 간도에서 독립군 토벌하러 나갈 때마다 "요시 토벌이다!"(...)라는 전투함성을 지르곤 했다는 루머도 퍼졌었는데, 이 떡밥을 물었던 것이 반박정희 성향의 재미 언론인 문명자와 만화가 백무현, 그리고 과거 박정희 항목의 편집에 참여한 일부 위키러들이었다.[23]

다만 이를 뒷받침할만한 근거는 그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고, 이 설에서도 정작 박정희의 이름이나 박정희의 일본식 이름인 다카키 마사오는 언급되지 않았다. 사실 박정희는 1939년 9월까진 교사로 근무했고 동년 10월에 시험을 쳐서 1940년 4월에 만주군관학교에 입학했는데 위에서 언급한 마츠모토란 자는 박정희가 입학하기 전부터 복무했다는 기록이 있다. 게다가 박정희가 창씨개명을 한 것은 1940년 2월 17일인데 창씨개명을 하기도 전이고 군관학교 입학을 하기도 전인 1939년에 전투에 참여해서 일본 이름을 댈 수는 없는 노릇이다.

오마이뉴스의 기자 정운현과 연변의 역사학자 박창욱도 박정희 간도 특설대 근무설을 조사한 끝에 간도 특설대 명단에 박정희는 없으며 임관 이후 만주군에서 전투에 참여한 기록도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24] 그외 박정희와 같이 복무했던 조선인 장교들의 증언에 따르면, 박정희는 단(연대) 을종부관[25]이라서 직접적인 전투 경험은 없었다고 한다. 마츠모토란 자의 정체도 박정희가 아닌 현학춘이란 자로 밝혀졌다.

---
[1] 허나 문제는 이 팔로군에 당시 독립군의 핵심전력이라 할 수 있는 조선 의용대가 섞여있었다.(...) 당시 중국의 국공합작에 따른 여파로 중국에서 활동하던 독립군들 역시 한국 광복군과 조선 의용대가 각각 국민당, 공산당 세력과 함께 했기 때문. 일각에선 간도특설대가 실제로 독립군과 교전한 역사는 생각보다 짧다는 식으로 말하며 간도특설대 활동 시기에는 동북항일연군 정도가 만주에서 활동하고 있었다고 하지만, 사실 팔로군에도 독립군이 상당수 섞여있었기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말이다. 물론 이런거 떠나서 상기했듯 소속으로 활동한 것 자체가 부일 활동이기도 하고.
[2] 사실 이 말부터가 어찌 보면 좀 웃긴게, 백선엽 본인부터가 본인이 쓴 '대게릴라전-아메리카는 왜 졌는가'에서 자신이 추격한 게릴라들 중 조선인들이 많이 섞여있었다며, 자신이 동포들에게 총을 겨눈건 사실이라고 자백한 바 있다.
[3] 만주국의 국훈인 철석신념, 철석기율, 철석훈련에서 명칭을 따온 북지특별경비대 산하 부대. 북지는 화베이 지방을 가리킨다.
[4]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에는 250명 모집에 1,000여 명이 응모했다고 나와 있다. 2개월 전 동아일보에는 288명으로 나오는데, 1차 선발 이후에 이런저런 사유로 탈락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5] 기관총과 박격포를 장비한 화기중대를 말한다
.[6] 당시 일본군은 단순한 도적 말고도 한국 독립군을 포함한 항일세력 또한 비하하여 비적이라고 지칭했다.
[7] 한 가지 사례로, 특설대는 일본제 기관총이 아니라 중국군에서 노획한 zb26을 지급받았다.[8] 열하성(熱河省), 1955년 폐지되며 허베이성, 랴오닝 성, 내몽골 자치구에 나뉘어 편입.
[9] 예를 들어 동북항일연군 같은 경우 1942년을 전후해서 이미 소멸상태였다.
[10] 몽골의 사망자 명부에 위 간도특설대장 3인방의 이름은 있는데 출생연도와 계급이 불명으로 되어 있기에 추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들이 장교 신분을 숨기기 위해서 계급 등을 안 밝혔을 수 있다.
[11] 애초에 제국주의가 판치던 당시만 해도 약소국을 돕는 컨셉이라도 취하던건 사회주의 세력이 많았기에(오죽하면 쑨원조차 중국 쌈싸먹을 궁리만 하던 기존 제국주의 국가 대신 소련과 손을 잡을 정도였다), 독립군이 이쪽으로 쏠리는 것도 어찌보면 인지상정이었다.
[12] 일제 침략 초기부터 1945년 9월 3일까지 기준이다
.[13] 야마토 다마시이, 일본 제국주의자가 주창하는 일본인의 전통적 정신.
[14] 신징 군관학교 출범으로 펑톈 군관 학교의 역할과 위상이 애매해 지자 하사관중 소위 후보자를 골라 단기 교육하여 초급 장교를 양성함. 특히 7기는 전원 간도특설대출신
[15] 초대 해병대 사령관
[16] 2대 해병대 사령관
[17] 3대 해병대 사령관[18] 예비역 소장[19] 예비역 소장[20] 90년대 후반 차인표가 주연한 국군홍보 영화 님의 침묵이 바로 김백일을 소재로 했다. 아무래도 부끄러운 과거 때문에 일제 때 모였던 친구들이라는 명칭으로 넘어간다.[21] 육군 예비역 대장[22] 중국어로 坦白书. 과거를 솔직하게 털어놓은 글이라는 뜻인데 정치적으로 자아비판하는 책이란 뜻으로도 쓰인다.[23] 혹자는 망언과 날조로 유명한 이시하라 신타로의 발언을 별다른 의심의 여지없이 증거라고 올려놓기도 했다.(신타로는 박정희한테 일제 시절을 호의적으로 평하는 말을 본인에게 직접 들었다고 했으나 당시엔 시행하지 않은 의무교육을 들먹이는 등 이마저도 불분명하다.) 더 가관인건 이 당시 항목 수정에 가담했던 나무위키 관리자 중 한명은 녹색당 당원이었다.[24] 현재는 삭제되어있다. 출처 확인바람.[25] 단장(연대장)을 보좌하는 것도 아니고, 단장을 직접 보좌하는 상위(대위) 계급의 갑종부관을 보좌하여 단기(연대기) 관리 및 명령 전달 임무만을 하는 보직이라고 한다.
---

間島特設隊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ナビゲーションに移動検索に移動
間島特設部隊
創設1938年(康徳5年)
解散1945年(康徳12年)
国籍満州国の旗 満州国
軍種 満州国軍
兵科陸軍
任務対反乱作戦
規模大隊
本部間島省
主な戦歴第二次世界大戦
間島特設部隊(かんとうとくせつぶたい、朝鮮語간도특설대間島特設隊)は、かつて満州国に存在した朝鮮人部隊。通称間島特設隊

概要[編集]

それまでの1935年(昭和10年)に設置された朝鮮人国境監視隊が解体され国境警察に編入されたことを受け、そこの下士官を基幹要員として満州国軍隷下として1938年(昭和13年)12月(1939年3月とも[1])に間島省明月溝で創設された。おもに間島地域で徴募された朝鮮人兵士により組織され、士官は隊長と中隊長の一部が日系軍官で、それ以外は満州国軍官学校で教育を受けた朝鮮人士官が配属された。所属は満州国軍であったが、部隊の建設や教育、また作戦への投入はすべて日本軍の支配下にあった。編成当初の指揮官は染川一男少校で、部隊本部と第1、第2連、機関銃連で編成され、総兵力は360名であった[1]。のちに2個歩兵連、機迫連の編制となった。機迫連は重火器中隊で、重機関銃迫撃砲を装備して歩兵の支援に当たる。歩兵分隊も優秀なチェコ製軽機関銃(ZB26)を装備するなど、当時の日本軍に勝る火力を持つエリート部隊であった。植民地軍の性格を持つ部隊であったが、日本軍の対ソ攻勢計画の一翼を担う任務を与えられていた。これは同年に起こった張鼓峰事件の戦訓を取り入れたもので、対ソ戦の際には単独でソ連領内に浸透し、破壊工作などの特殊作戦に従事する予定であった。対ソ戦は実現しないまま、部隊は間島地域でのゲリラ討伐戦に投入された。抗日勢力の掃討を目的とした[2]
1939年(昭和14年)から1941年(昭和16年)まで、日本の野副討伐隊の討伐作戦に参加し、その働きぶりは日本軍からも「常勝の朝鮮人部隊」[1][3]と高く評価され朝鮮人独立運動勢力の掃討に貢献した。昭和19年には満州国軍北支那臨時派遣隊(鉄石部隊、加藤泊治郎中将)直轄として戦局が悪化した華北戦線に投入され[4]、日本軍の一翼として八路軍系の中国軍と戦った。終戦時は鉄石部隊に配属されて北支の治安戦に従事[1]。部隊は第二次世界大戦終結にともない解体されたが、この部隊出身の士官は、初期の大韓民国陸軍で重要な地位を独占した[3]。連隊長クラスや将軍にまで昇進したものも多く、大韓民国建国後の反乱鎮圧や共産系ゲリラ討伐に活躍し、後の朝鮮戦争でも戦った。

隊長[編集]

  • 初代 染川一男少校
  • 2代 渡辺捨五郎少校
  • 3代 園部市二郎少校
  • 4代 佐々木五郎少校
  • 5代 柴田清少校
  • 6代 藤井義正少校

所属した人物[編集]

満州国陸軍軍官学校
  • 姜在浩朝鮮語版(中央陸軍訓練処4期生、第2連長、韓国陸軍少領)
  • 金白一(本名金燦圭、中央陸軍訓練処5期生、間島特設隊連長、韓国陸軍行政参謀副長、作戦参謀副長、第1軍団長朝鮮戦争で移動中に航空事故死)[5]
  • 申鉉俊(中央陸軍訓練処5期生、間島特設隊機迫連所属、韓国海兵隊司令官)[5]
  • 金錫範(中央陸軍訓練処5期生、日本陸士55期相当、間島特設隊情報班責任者、韓国海兵隊司令官)[3]
  • 崔楠根(中央陸軍訓練処7期生、「麗水・順天事件」後の第4旅団参謀長。同反乱に際しての不審な行動を問われ、後に共産主義分子と認定され銃殺
  • 白善燁(中央陸軍訓練処9期生、日本名白川義則、間島特設隊情報班主任、韓国陸軍参謀総長)[3]
  • 任忠植(志願兵、韓国合同参謀議長)[5]
  • 朴蒼岩(志願兵、陸軍准将)

脚注[編集]

  1. a b c d 藤田 2004, p. 189.
  2. ^ ハン・スンドン (2013年3月10日). ““抗日武装軍”を討伐したその手で大韓民国の要職を接収”ハンギョレ 2015年7月24日閲覧。
  3. a b c d ハン・スンドン (2013年3月10日). ““抗日武装軍”を討伐したその手で大韓民国の要職を接収”ハンギョレ 2015年7月24日閲覧。
  4. ^ 藤田 2004, p. 185.
  5. a b c 白善燁『若き将軍の朝鮮戦争』草思社〈草思社文庫〉、2013年、96頁。

参考文献[編集]

関連項目[編集]

外部リンク[編集]

---
백선엽 회고록, “‘간도특설대’는 일제의 이이제이였다”
등록 :2020-07-13

[정치BAR ㅣ 길윤형의 알고싶어]
한국전쟁 영웅 백선엽의 일제 시기 굴곡된 삶
창씨명 ‘백천의칙’은 윤봉길이 죽인 일본 대장과 같아

간도특설대의 대게릴라전 “특필할 성과 거둬”
“한국인 토벌…비난 받아도 어쩔 수 없다 생각”

일부서 주장하는 ‘야스쿠니 합사’는 불가능한 일

아직 건강하던 시절의 백선엽 장군(왼쪽). 2005년 6월24일 워싱턴에서 열린 한국전 참전 기념행사에 참가하고 돌아온 백선엽 예비역 대장을 윤광웅 당시 국방부 장관이 맞이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10일 작고한 한국전쟁의 ‘영웅’ 백선엽은 일제 시기 일제 괴뢰국인 만주국의 ‘간도특설대’에서 활동했다는 이유로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단죄된 인물입니다. 그러나 그가 간도특설대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했는지는 지금껏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습니다.

이 ‘공백’은 최근까지 학계에서 백선엽의 창씨명을 특정하지 못했다는 사실에서 잘 드러납니다.(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2009년 보고서에도 그의 창씨명은 나와 있지 않습니다) 많은 이들이 궁금해 하던 백선엽의 창씨명이 밝혀진 것은 <한겨레> 대기자를 지낸 김효순이 2014년 저서 <간도특설대>를 펴낸 뒤였습니다. 이 책에서 김효순은 백선엽의 상사였던 옌지 헌병분단장 소네하라 미노루의 회고록을 인용해 그의 창씨명이 백천의칙(白川義則)이었다고 밝혀냅니다.

‘백천의칙’을 일본어 이름을 읽는 관행대로 읽으면, ‘시라카와 요시노리’가 됩니다. 시라카와 요시노리….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름 아닌가요?

시라카와 요시노리는 1932년 4월 상하이 훙커우(홍구, 지금은 루쉰)공원에서 윤봉길 의사가 던진 폭탄에 맞아 죽은 상하이파견군 사령관입니다. 둘의 이름이 한자까지 똑같이 일치하는 이유를 명확히 알 순 없습니다. 그야말로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고, 무언가 깊은 곡절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1920년에 태어나 평양사범학교를 나온 ‘영명한’ 백선엽이 당시 동아시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윤봉길의 의거와 그 희생자의 이름을 몰랐을 리 만무합니다. 백선엽이 왜 자신의 이름을 백천의칙으로 바꿨는지 너무 궁금하지만, 100살의 나이로 숨지는 순간까지 백선엽은 자신의 창씨명은 물론, 창씨명을 그렇게 정한 이유에 대해 철저히 침묵을 지켰습니다.



일본 육군대장 시라카와 요시노리.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윤봉길 의사가 던진 폭탄에 의해 숨졌다. 관동군 사령관, 육군 대신 등을 역임했다.
----
백선엽이 간도특설대에서 근무하게 된 경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939년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한 백선엽은 이듬해 만주국 장교가 될 수 있는 만주 펑톈군관학교에 입교합니다. 당시 똑똑한 조선인 청년에게 일본군 혹은 만주국 장교가 된다는 것은 신분상승을 의미했습니다. 박정희는 신징군관학교 입교를 위해 “견마지로를 다하겠다”는 편지까지 썼습니다. 박정희도, 그보다 세살 어렸던 백선엽도 매우 출세지향적 인물이었던 셈입니다.

1941년 12월 2년제인 펑톈군관학교를 졸업한 뒤 1942년 만주국군 보병 제28단에서 견습사관을 거쳐 소위로 임관했습니다. 이후 1942년부터 1943년 1월까지 만주 북부의 자무스에서 신병훈련소 소대장으로 근무하다 1943년 2월 만주 간도성에 있던 항일독립군 탄압부대인 간도특설대에 배치됐습니다.

백선엽은 이후 여러 회고록에서 간도특설대 시절 생활에 대해 짧은 기록을 남겼습니다. 조선인(본문에선 한국인)으로 여러 민족적 모순을 느끼면서도, 맡은 바 임무에 충실했던 젊은 시절 백선엽의 모습을 ‘날 것 그대로’ 느낄 수 있습니다.

펑톈 만주군관학교를 마치고 42년 봄 임관하여 자무스 부대에서 1년간 복무한 뒤 간도특설대의 한인부대에 전출, 3년을 근무하던 중 해방을 맞았다.

그동안 만리장성 부근 열하성과 베이징 부근에서 팔로군과 전투를 치르기도 했다. 간도특설부대에는 김백일, 송석하, 김석범, 신현준, 이용, 임충식, 윤충근, 박창암 등과 함께 근무했다.


나는 45년 8월9일 소-만 국경을 돌파해서 만주의 중심부로 진격하는 소련군을 만나 무장해제를 당했다.
<백선엽 회고록 군과 나>(1989년)-----
간도성 옌지현에 있던 간도특설대는 조래의 국경감시대를 모체로 하여, 1938년 12월에 창설되었다. 당초에는 보병 1개 중대와 기관총, 박격포를 장비한 기박 1개 중대로 구성되어 있었고, 나중에 보병 2개 중대로 증강되어 대대 규모가 되었다. 부대장과 간부 일부가 일계 군관이고 나머지 전부는 한국계 군관이었다. 간도성 일대는 게릴라(동북항일연군 등 항일무장독립세력)의 활동이 왕성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계속하여 치안작전을 수행하느라 바빴는데, 간도특설대의 본래 임부는 잠임, 파괴공작이었다. 지금으로 말하자면 특수부대, 스페셜 포스로서 폭파, 소부대 행동, 잠입 등의 훈련이 자주 행해졌다. 만주국군 중에서 총검대회, 검도, 사격 대회가 열리면 간도특설대는 항상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중략)

내가 간도특설대에 착임 (
임명된 직무에 취임함)  하였던 1943년 초두에는 게릴라의 활동은 거의 봉쇄되어 있었지만, 그때까지는 대단했다고 한다. 관동군 독립수비대와 만주국군은 1939년 10월부터 41년 봄까지 여기 동부만주에서 대규모의 게릴라 토벌작전을 수행하였다.(김일성이 포함된 동북항일연군은 1940년 9~11월 사이 관동군과 만주군의 토벌 작전에 못 이겨 ‘고난의 행군’을 거쳐 소련 영토로 피신했다-편집자 주) 최전성기의 관동군의 위신을 걸고 철저하게 시행된 작전이었다. 그 중에서도 항상 대서 특필할만한 전과를 올렸던 것은 간도 특설대였다.
<젊은 장군의 조선전쟁, 백선엽 회고록>(2000년, 일본어판)
----

1939년 3월에 촬영한 간도특설대 간부 사진.

(간도특설대는) 소규모이면서도 군기가 잡혀 있던 부대였기에 게릴라를 상대로 커다란 전과를 올렸던 것도 당연한 일이었다. 우리들이 추격했던 게릴라 중에는 많은 조선인이 섞여 있었다. 주의주장이 다르다고 해도 한국인이 독립을 위해 싸우고 있었던 한국인을 토벌한 것이기 때문에 이이제이 (以夷制夷 [이이제이] 적을 이용(利用)하여 다른 적을 제어(制御ㆍ制馭)함  )를 내세운 일본의 책략에 완전히 빠져든 형국이었다. 그러나 우리가 전력을 다해 토벌했기 때문에 한국의 독립이 늦어졌던 것도 아닐 것이고, 우리가 배반하고 오히려 게릴라가 되어 싸웠더라면 독립이 빨라졌다고도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동포에게 총을 겨눈 것은 사실이었고, (그 때문에) 비판을 받더라도 어쩔 수 없다.
<대 게릴라전-미국은 왜 패배했는가>(1993년, 일본어판)

일부 시민단체에서 백선엽은 대한민국 국립현충원이 아닌 일본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가능한 일일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불가능’합니다.

야스쿠니신사는 1868~1869년 보신전쟁 이후 일본 내외의 여러 전쟁에서 일왕을 위해 숨진 이들을 모시기 위해 만든 신사입니다. 이후 청일전쟁, 러일전쟁, 1차 세계대전,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일왕의 이름으로 수행된 여러 전쟁에서 숨진 이들이 합사돼 있습니다. 현재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이들은 246만6000여명으로 이 가운데 2만1000여명이 조선인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백선엽은 자연사했으니 야스쿠니 신사의 합사 대상이 아닙니다. 재미 있는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순직한 자위대 대원들도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되지 못한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야스쿠니 신사가 어떤 성격의 신사인지 잘 보여줍니다.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이 일왕의 이름으로 수행한 여러 침략 전쟁을 미화하기 위한 시설입니다. 이런 시설에 전후 순직한 자위대원들이 들어올 자리는 없습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953417.html#csidxa20db7fe08a4f9c9d6e87fe3585bdfa
---

일송정 푸른 솔에 선구자는 없었다

류연산 지음 | 아이필드 | 2004년 02월 25일 출간
책소개이 책이 속한 분야역사/문화 > 한국사 > 개화기 > 일제시대재만 조선인의 친일 행적에 관한 보고서.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알려졌던 인사들의 친일행위를 명확히 밝히고, 새로 드러난 친일파들의 반민족행위를 고발한 책이다. 저자는 만주 현지와 국내를 수차례 왕래하면서 자료를 찾고 생존 관련자들의 증언 채록한 성과물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공백으로 남아 있던 역사의 페이지, '친일'의 실체를 파헤친다.저자소개저자 : 류연산작가 자세히 보기 관심작가 등록저자가 속한 분야문학가 > 현대문학가>소설가저자 류연산소설가. 1957년 중국 길림성 화룡시 서성진북대촌 출생. 서성중학교 졸업 후 3년간 농사를 짓다가 1978년 연변대학 조선어문학부에 입학했다. 대학 졸업 후 지금까지 연변인민출판사 문예편집부에 근무했다. 현재 종합편집부장, 연변작가협회 이사이자 소설분과위원회 주임으로 활동중이다. 저서로 소설집 [황야에 묻힌 사랑], 수필집 [서울 바람]이 있고, 장편 역사기행문 [혈연의 강], 인물전기로 [아나키스트-류자명전] [중국 조선족 정초자 - 심여추 평전] 등이 있다. 최근 한국에서 역사기행문 [민주 아리랑]을 펴냈다.

목차- 서문1. 일송정 푸른 솔에 '선구자'는 없었다2. 우렁이 속 같은 세상3. '선구자'로 변장한 친일파 유령들4. 이범익과 충성의 선물 - 간도조선인특설부대5. 박정희와 신경육군군관학교6. 최윤주와 간도 '조선인거류민회'7. 박석윤과 민생단, 그리고 친일파의 명분과 생리8. 전성호와 민생단9. 봉오동전투와 최진동10. 정일권과 일본 관동군 헌병대11. 일제치하 만주에서의 최남선과 그의 문인들12. 친일파 김동한과 소설가 박영준13. 견마와 주구 - 한희삼, 이영춘, 김일로14. 만주제국 협화회와 윤극영15. 재만 조선인 어용인들의 한마당 - 반도사화와 낙토만주16. 친일파는 살인자17. 죽음의 철학- 부록 : 중국 조선족 음악가 김종화 선생의 증언- 추천사 : 류연산 선생의 뜨거운 조국애 / 김삼웅책 속으로하긴 당시 만주에 왔던 문인들은 대개 자기의 한 단락 역사를 말할라치면 “일제의 탄압을 피해서”라는 상투적인 어구를 자기의 역사에 대한 금상첨화로 착각하고 가첨하기를 즐기는가 보다. 백과사전은 유치환에 대해서도 “1940년에는 일제의 압제를 피하여 만주로 이주”라고 했던 것이다. -p28
이것이 바로 <선구자>가 독립운동가의 탈을 쓰고 중국으로 들어오게 된 경위이며 일부 조선족 학자들이 곧이곧대로 믿고 선전을 하게 된 과정이다. … <선구자>는 조두남이 나름대로 가사를 고치고 서투른 사기술로 치욕의 역사를 아름답게 포장하여 한국 국민을 상대로 보급한 노래일 뿐이다. 결코 일송정과 역사적 관련이 없다. -p43
아마 정일권의 만주에서의 행적을 알았다고 한다면, 옛 간도의 중심인 용정에 친일파의 초상을 걸어달라는 주책은 부리지 않았을 것이 아닌가? -p130----출판사 서평지난 연말 국회에서 부끄러운 일이 벌어졌습니다.《친일인명사전》 지원 예산 전액 삭감’ 바로 그것입니다. 총선을 의식한 선심성 지역예산을 8천억 원이나 적자 편성해놓은 국회의원 나리들이, 수십, 수백억을 차떼기로 주고받는 배포 큰 大盜들이 겨우 5억원에 불과한 민족의 과업을 외면하고 만 것입니다.그러나 인터넷 강국 대한민국 네티즌들이 두고만 보겠습니까? ‘우리가 한다!’ 하더니 열 하루만에 5억 원 이상을 모금해 국민감정에 편견을 버리지 못하는 국회의원들을 두 번 죽이는(!) ‘쾌거’를 이뤄냈던 것입니다. 예산을 삭감한 국회 예결위원장의 ‘눈물의 성금’은 되돌려주는 여유까지 부렸다지요. 이럴 때 대한민국은 살맛납니다.이 책의 주요무대인 만주에서는 이미 해방과 함께 친일파를 청산했답니다. 북한사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지요. 그러나 남한에는 지금도 친일파 청산 얘기가 나오면 머리를 흔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무슨 까닭일까요?‘과거사 바로 세우기’는 전세계적인 흐름입니다. 아직도 국회에 계류 중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법안'과 '일제강제동원진상규명법안', '동학명예회복법안', '한국전재민간인희생진상규명법안' 등 과거사 관련 4대 법안이 하루빨리 통과되어 후손들에게 역사의 부끄러움을 함께 가르쳐야 합니다.조선족 동포인 이 책의 저자는 과거사가 청산되지 않은 조국을 이해할 수 없어 합니다. 부끄러운 과거는 고백하고 반성해야 떳떳한 역사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