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21

고영범 텍스트 안에서 근거를 찾아 분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지 않는 평론은 신뢰하지 않는다.

(2) Facebook: 고영범

내 개인적인 취향인데, 영화든 문학이든 연극이든, 텍스트 안에서 근거를 찾아 분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지 않는 평론은 신뢰하지 않는다. 평자가 뭘 봤는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그 위에 유명한 사람들, 특히 정신분석학자들 이야기를 덮어씌우기 시작하면 그 순간이 대충 이별의 순간이다.
.
다른 사람들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나는 음악, 특히 서양의 고전음악을 꽤 오래 들어왔지만 인상비평 수준으로도 말하는 게 어렵다. 근거를 마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음악의 근거라면 악보--악보를 보고 음으로 치환시키는 능력, 그리고 그 역의 경우--를 이해하는 능력일텐데, 나는 음을 듣고 악보를 구성해내는 능력은커녕, 악보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음악을 듣는 즉시 악보를 꺼내서 비교해보는 것조차도 쉽지 않다. 악보를 읽으면서 따라가는 것 정도는 가능하지만, 그야말로 따라가기 급급할 뿐이다. 다른 말로 하자면, 수십 년 가까이 거의 하루도 빼놓지 않고 음악을 들으며 지냈는데도, 음악이라는 언어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공부를 좀 했는데도 그렇다. 그리고, 소리/음에 관한 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게 거의 없다.
.
그래서, 정말 신기한 게, 곡도 곡이지만, 곡을 넘어서서 연주에 대해 평을 하는 경우들이다. 어떻게 저게 가능한지, 나로선 정말 알 수 없다. 아무리 익숙한 곡을 아무리 인상깊게 들어도, 일이분 이상 되는 분량의 연주를, 그것의 인상을, 그 인상에 대한 내 생각을 정확히 기억하는 건 나로서는 불가능하다. 몇 명의 특징 있는 연주자의 연주를 악보를 옆에 놓고 한 열 번쯤 반복해서, 비교해 가면서 들으면 가능해지려나?
.
얼마 전에 있었던 클라이번 경연에서는 서른 명의 참가자들이 예선에서 모두 Hough의 Fanfare Toccata를 연주해야 했다. 그리 길지 않은 곡이고 구조가 매우 선명해서(바로 이 점 때문에 나는 현대음악을 자주 듣는 편이다. 현대음악은 대개 구조가 더 선명하게 부각되고, 구조가 선명하면 좀 더 분명하게 들리는 것 같은 착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주자 별로 비교해 보기 좋을 것 같았다. 그런데, 어떤 이의 연주를 들을 때에는 그의 특징적인 표현을 조금 알아먹을 거 같았다가, 다른 연주자의 같은 곡을 들으면 앞의 연주자의 연주에 대한 기억이 바로 사라진다.
.
이런 걸 두고 막귀라고 하는 건지. 아니면 그냥 기억력이 버들치 수준인 건지. 아무튼, 어떤 연주자의 연주가 어떻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 무슨 소린지 알 것 같다가도 사실은 그냥 막막하다. 대신 좋은 점도 있다. 웬만하면 다 괜찮다는 거.^^ 예선 탈락자들 몇 명의 연주를 들었는데, 매우 재미있다. 길을 내주는 대로 따라가면서 듣고, 즉시 다 까먹었지만. 근데, 사실은 뭘 듣고 있는지 정확히 모르면서 이렇게 계속 듣는 거, 이거야말로 신기한 일이다. 오늘도 음악을 두 시간 정도 들은 거 같은데, 도대체 뭘 들은 건가?
김희숙, Seokhee Kim and 149 others
53 comments
Like
Comment

53 comments

Most relevant

  • Trittico Il
    특히 정신분석학자들 이야기를 덮어씌우기 시작하면 그 순간이 대충 이별의 순간이다__그냥 확 가슴팍을 찌르는 느낌입니다. ㅎㅎㅎ
    9
  • Joon Jo
    찌찌뽕~ ㅎㅎ
    5
  • Eunmee La
    제가 그래요.
    음악을 좋아해서 듣고, 노력해서도 듣는데
    분별하는 귀도 먹통이고 말로 표현하는 것은 더구나 난망입니다 ㅠㅠ
    Eunmee La replied
     
    2 replies
  • Sung Jin Joh
    대충 이별의 순간...ㅋㅋㅋ
    2
    고영범 replied
     
    1 reply
  • Sukyoung Kim
    공부를 안 하고도 공부를 좀 하신 분과 별로 다를 바 없다니, 뭔가 개이득인 기분입니다.
    6
  • 김건희
    저는 정신분석 1도 모르는데 왜 찔끔하는거죠?
    2
    김건희 replied
     
    2 replies
    6 h
  • Seokhee Kim
    찌찌뽕2~
    2
  • 김채하
    버들치 수준
    바로 접니다...!!
    바보라는 단어 보다 ..있어보이는데요 ㅎ
  • 김채하
    반가운 글
    동지가 있구나 싶어 외롭지 않은 이 기분?
    전 정말 저한테… 
    See more
    2
    고영범 replied
     
    1 reply
  • 조애경
    넘나 공감되어요!! 흑... 쌤이 이런 말씀을 해주시다니 왤케 이해받는거 같은 느낌이 들죠?😂
    김보균 replied
     
    2 replies
  • 권용선
    예전에 카네기홀에서 가디너가 시대악기로 베토벤교향곡 연주한다길래 보러갔었거든요? 옆자리 아저씨가 악보(무려 스코어!)룰 착 펼쳐들고 ‘한 음이라도 놓치기만 해봐라’는 듯, 맹렬하게 듣(읽)는 걸 신기하게 보던 기억이 문득 나네요 ㅎ 그런 경지는 모르겠고, 음악이 신기한 게 연주자의 내면의 깊이나 태도 같은 게 문득 느껴질 때가 있는데, 그럴 땐 뭔가 뭉클해요 ^^
    • 고영범
      권용선 그런데 이 느낌이 왜, 어떻게 왔을까? 여기에 대한 답이 가능하지 않다는 게 갑갑한 거죠. 그리고 그렇게 느꼈다는 기억 말고는 사실은 기억의 내용이 없고
      2
    • 권용선
      고영범 경험일 수도 있고, 상상력일 수도 있고, 심져 그날의 분위기 일 수도 있고…ㅎ 그게 뭐기 됐든 깔끔하게 답할 수 있다면, 예술이 시시해지지 않을까요? 내가 모르는, 말할 수 없는 ‘무엇’이 거기 있어서 나를 끌어당긴다, 질문하게 하고 생각하게 한다, 이런 영역에 매혹되는 것 같아요 저는.
    • 고영범
      권용선 저도 결국 그런 거인 거 같은데, 지금 뭐가 끌어들이는 거야?! 이런 질문에 대한 대답이 하나도 명쾌하질 않은 거죠. ㅎㅎ
  • Kyunga Shin
    생각이 깊으시니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십니다. ㅎㅎ
    저는 음악은 철저히 연주자의 것이고 지휘자가 있는 경우는 지휘자의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악보와 다르게 연주했다고 왈왈거리는 사람들 이해 못합니다. 책도 마찬가지잖아요. 작가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해석하는 독자가 있는데 그 독자가 틀린 것이라고 말할 수 없는 것처럼요.
    그리고 또 음악은 감상자의 몫이 있는 거죠. 똑같은 음악을 듣고 어떤 사람은 기쁨을, 어떤 사람은 그것이 승화된 슬픔이라 느낄 수도 있으니까요.
    3
    • 고영범
      Kyunga Shin 대체로 동의합니다. 그런데 그 '감상자의 몫'에서 감상된 내용, 그렇게 얻은 인상, 그것의 음악적 근거가 뭐냐는 게 제 궁금증입니다. 문학이나 회화, 영화 같은 것들에서는 추적해보면 그 근거/근거없음이 대개 명백히 드러나는데, 음악에서는 별로 그렇지 않단 말이죠...
      2
    • Kyunga Shin
      고영범 문학이나 영화는 분명한 텍스트가 있는 장르라서 그럴 것 같구요. 회화도 추상은 음악처럼 정확한 텍스트를 읽어내긴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어쨌든 감상자의 몫이 있다고는 해도 전문 비평가가 감상 비평에 머무는 것은 믄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고영범
      Kyunga Shin 전 음악도 텍스트가 명확하게, 이중으로 있다고 생각하긴 해요. 그 두 개의 텍스트 사이의 간격/연결에 대한 이해가 충분치 않은 게 문제죠.
    • Kyunga Shin
      고영범 역시 복잡하심.. ㅎㅎㅎ
    • 고영범
      Kyunga Shin 악보와 연주. 이 두 가지가 음악의 텍스트이고, 이건 다른 장르에는 없는 요소죠. 둘 다 못 알아먹어서 탈이지만요. ㅎㅎ
  • 미냐미냐
    위로와 평화를 주시는 말씀이십니다^^
  • Moosung Kang
    필설로 하는 음악 이야기… 그게 언어로 될 것 같으면 음악이란 언어는 왜 따로 있겠냐 하는 생각을 하는 버들치 한 마리 여기 있습니다.
    Moosung Kang replied
     
    2 replies
  • 장인용
    저는 아무 생각 않고.
  • Park Yuha
    언제나 고샘 글 동의하지만 이 글은 앞부분만 동의..
    같은 곡도 연주자에 따라서 확연히 다르고(당연한 말이지만 신인들은 그 차이가 별로 없고), 그건 ‘악보’(텍스트)에 불과한  물질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전달하는 문제이니 당연히 평이 가능하다고 생각.
    혹시 Hidekazu Yoshida 라는 사람의 음악비평이 영어 번역이 안됐는지 모르겠는데, 되어 있다면 한번 읽어 보세요. 일본에서 음악비평으로 독보적이었던 사람이죠. 글 자체가 너무 좋아 학부때 아주 좋아했던 사람이고요.
    吉田秀和 - Wikipedia
    JA.M.WIKIPEDIA.ORG
    吉田秀和 - Wikipedia
    吉田秀和 - Wikipedia
    2
    • 고영범
      Park Yuha 확연히 다르다는 걸 순간순간 알 거 같긴 한데, 그게 다른 이유를 근거있게 설명하는 문제인 거 같아요. 물론 감각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능력이 유난히 뛰어난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만, 그런 사람들이 그 능력의 근거를 충분히 드러내서 말하는가(물론 이것 역시 충분한 지면의 확보 같은 문제가 같이 가는 거겠죠만) 하는 데는 의문이 있다는 거죠. 영화에서 한 장면이 내게 어떤 느낌을 만들어낼 때, 그 느낌이 왜 일어났는지는 분석을 통해서 그 근거를 찾아낼 수 있고, 어떤 비평가는 그런 작업을 해냅니다. 음악비평가(아마추어와 프로를 막론하고)들은 자기가 받은 느낌에 대해서는 더 자주 이야기하는데 그 근거에 대해서 설명하는 경우는 별로 본 적이 없는 거 같아요(에... 제가 그래서 음악비평을 잘 안 읽었고 그러다보니 누가 업계 선수인지도 사실 잘 모르긴 합니다...). 말씀하신 이 분은 한 번 찾아보겠습니다.^^
      2
    • Park Yuha
      고영범 네, 무슨 말씀인지 알 것 같긴 해요. 내가 소개한 사람도 그걸 하고 싶어 했던 듯. 덕분에 그 사람에 대해서 쓸 생각이 들었어요.^^
      동시에 도무지 귀 기울일 마음이 들지 많는 생경한 비평 많다는 거 저도 인정합니다.😊
    • 고영범
      Park Yuha 소개해주신 히데카주 요시다라는 이는 정말로 다재다능한 사람이었더군요. 저작물도 많은 것 같은데, 아쉽게도 영문으로 번역이 된 건 하나도 없네요.
    • Park Yuha
      고영범 그렇군요. 거기까지 관심있는 사람이 별로 없었나 봐요. 다른 분야는 별 시시콜콜한 것까지 다 나오던데. 
    • 고영범
      Park Yuha 자기들에 대해서, 더군다나 자신들의 문화적 정전canon에 대해 이야기하는 아시아인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는 거겠죠 뭐. ㅎㅎ
    • Park Yuha
      고영범 그런 거겠죠.^^
  • 김영숙
    네 그래서 저는 그런 평가들에 허세가 있다고 생각해버리는 나쁜 마음 까지 갖고 사는 막귀 클래식 애호가입니다 ㅎ
  • Stellar Park
    음.. 버들치가 기억력이 나쁜지 어디에 나와있어요? (버들치가 반짝반짝 이쁜게
    다~ 아무것도 기억하지 않으니 해맑아서 그런건가요..ㅎㅎㅎ)
    저는 이렇게 어려운 비평 영역은 잘 모르겠고요,
    암튼,
    저는 막귀라서 연주회장 가서 들으면 다 좋더라구요.😁
    (공연장 분위기를 사랑하는 건지도요..)
    고영범 replied
     
    1 reply
  • 김현숙
    찌찌뽕 3
    난 버들치 알인 듯.ㅋㅋ
  • 김미선
    음악 이라면 마음이 따라가는 쪽으로 현실도 결부시켜 즐겁게 듣습니다. 나무 밑에 앉아서 잎들이 바람따라 춤추면 거기에 어울리는 음악을 듣고 마음에 평화가 물결칩니다.
    고영범 replied
     
    1 reply
  • 유형진
    오랜만에 유쾌한 글입니다. ㅎㅎㅎㅎ 기억력이 버들치 라닛. 고쌤 기억력은 참 귀여우시구나…..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