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16

알라딘: 하버드대학 교수가 들려주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

알라딘: 하버드대학 교수가 들려주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


하버드대학 교수가 들려주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 
존 마크 램자이어,아리마 테츠오 (지은이)
,류석춘,이우연 (옮긴이)미디어워치2024-01-03
원제 :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

































미리보기

정가
33,000원
판매가
29,700원 (10%, 3,300원 할인)
사회문제 일반 주간 32위|
Sales Point : 975

3.6 100자평(5)리뷰(0)
기본정보
516쪽
=====
목차
저자 머리말

제1장 일본제국의 매춘 연계계약: 상업적 매춘 시장에서의 신뢰할 만한 약속
1. 개요
2. 학자들과 매춘부들
3. 매춘 관련 법규
4. 연계계약
5. 공창제의 종결
6. 결론

제2장 위안부들, 그리고 학자들
I. 여성 본인들
II. 전쟁 이전 일본과 조선의 매춘
III. 주장의 기원과 정치
IV. 정대협 문제
V. 결론

제3장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
1. 개요
2. 전쟁 이전 일본과 조선의 매춘
3. 위안소
4. 결론

제4장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 비판에 대한 반론
전시 매춘 연구에 관하여: 앤드루 고든과 카터 에커트 및 석지영에 대한 반론
A. 단서
B. 경제학적 오해
C. 예비적인 예시
D. 앤드루 고든과 카터 에커트
E. 석지영
F. 의심스러운 “합의”
<제4장 부록 I>
에이미 스탠리, 한나 셰퍼드, 사야카 차타니, 데이비드 앰버러스 및 첼시 센디 샤이더,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 학술적 부정행위를 근거로 한 철회의 사례’에 대한 반론
A. 서언
B. 논박
C. 세부 사항
<제4장 부록 Ⅱ>
요시미 요시아키의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 논평(Yoshimi 2021a)에 대한 반론
A. 서론
B. 요시미 요시아키에 대한 반론
<제4장 부록 III>
위안부 계약에 관한 정보

제5장 위안부 문제: 북한과의 커넥션(존 마크 램자이어 ‧ 아리마 테츠오 공저)
I. 일본과 조선에서의 매춘 관련 규정
II. 위안소
III. 성노예설의 기원
IV.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의기억연대)
V. 학문
VI. 북한과의 커넥션
<제5장 부록> 위안부 계약에 관한 정보

부록A 램자이어-아리마-모건 3자 대담
부록B 한국 지식인들의 램자이어 교수 옹호 성명
부록C 램자이어 교수의 한국인에 대한 감사 인사

참고문헌
도표색인
인명/용어색인
언론/저작색인

접기



책속에서


매춘업소들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서 매춘부들을 덜 착취했다는 데 대해 놀랄 필요는 없다. 결국, 매춘업소들은 경쟁 시장에 있는 지속적인 플레이어였다. 매춘부들을 비교적 공정하게 대한다는 평판을 쌓은 매춘업소들은 매춘부를 더 적은 비용으로 채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심지어 일부 매춘업소는 신규 매춘부를 안심시키기 위해 지역 경찰서에서 승인한 표준 계약의 양식을 사용하기도 했다.

_<제1장 일본제국의 매춘 연계계약: 상업적 매춘 시장에서의 신뢰할 만한 약속> 중에서 접기
미국 위스콘신 주의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는 일본군이 “인간사냥식으로” “14세에서 20세 사이의 여성 20만 명”을 끌고 갔다고 서술하고 있다(관련해서 중국 쪽 소식통은 이를 40만 명으로 부풀리고 있다. 당시 조선의 인구 규모를 감안하면, 상당히 많은 수의 10대 소녀들이다. 자료에 따르면, 1935년 당시 조선에 살고 있던 15세에서 19세 사이의 소녀는 1,048,514명이었다. 그렇다면 지금 미국 학자들은 일본군이 조선의 소녀 5명 중 1명을 매춘부로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셈이다.

_<제2장 위안부들, 그리고 학자들> 중에서 접기
이용수는 처음에는 역사학자들에게 자신이 한밤중에 친구와 함께 가출을 했다고 말했다. 그녀의 증언은 한국의 학자들이 생존 위안부들의 전기(biography)를 모으던 1990년대 초에 수집되었다. 증언에 따르면, 이용수의 친구(분순이)가 그녀에게 “(집에서) 가만히 나오너라”고 재촉했고, 그래서 그녀는 “발걸음을 죽이고 살금살금” 자신의 친구를 따라갔다고 했다. 한 일본인 남성이 그녀에게 “빨간 원피스와 가죽구두”가 든 꾸러미(보퉁이)를 건넸고, 그녀는 너무 흥분해서 “선뜻” 그리고 “다른 생각도 못하고” 그 남성을 따라나섰다.
첫 증언 이후 약 10년 뒤, 이용수는 일본 측에 보상금과 사과를 요구하는 운동에 참여하면서 첫 증언과는 다른 증언을 하고 나섰다. 그녀는 2002년에 일본 국회를 방문하여 “14세의 나이에 총검으로 위협받아 끌려갔다”고 증언했다. 2007년 미국 하원에서는 “일본군에 의해 끌려갔다”고 증언했다. 미국 방문 직후 도쿄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는 “일본 군인들이 어머니를 부르지 못하게 내 입을 막고 집에서 끌고 갔다”고 했다.

_<제2장 위안부들, 그리고 학자들> 중에서 접기
소정희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다른 어떤 서구의 학자들도 옛 위안부들이 했던 증언의 신빙성 여부를 확인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들이 “성노예 서사”를 정당화하고자 보여 주고 있는 그 모든 집착과는 대조적으로 말이다. 대신에, 상당수 학자들이 옛 위안부들의 증언을 검증하려는 여러 시도들을 “선을 넘는 일이다”라고 강변하며 비난한다. 단지 눈치 없고 무례하다는 정도가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어떤 학자는 “이 서사에서 ‘증언’이 갖는 지위야말로 바로 이 서사를 민족주의적이고 여성주의적으로 만드는 가장 확실한 요소”라고 주장한다. 또 다른 학자는 “성노예 서사”의 진실성을 확인하려는 노력은, “여성들의 증언을 하찮게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위안부 출신 여성들이 거짓말을 할 수도 있다고 지적하는 것은 “성폭행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어쨌든 성폭행 피해자들이 동의를 했던 것처럼 묘사하여 피해자들을 불명예스럽게 만들려는 상투적인 전략”이라고 그들은 말한다.

_<제2장 위안부들, 그리고 학자들> 중에서 접기
1995년 일본이 옛 위안부들에게 처음으로 보상을 제시하자, 정대협은 옛 위안부들을 확실하게 위협했다. 다가오는 한국과 일본 간의 화해를 방해하기로 결심한 정대협은 옛 위안부들에게 보상금을 거부하라고 명령했다. 그래도 일부 옛 위안부들은 어쨌든 보상금을 받았다. (……)
일본이 1995년도에 아시아여성기금(Asian Women’s Fund)을 통해 보상금을 제시하자, 61명의 옛 위안부들이 정대협 대표의 명령을 무시하고 보상금을 받았다. 그 61명의 여성들은 일본에 면죄부를 줬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녀들 중에 7명은 이름이 공개됐고 그녀들은 불명예의 여생을 보내야 했다. (……)
한국계 미국인 인류학자 소정희도 역시 옛 위안부들의 두려움을 확인했다. 비록 일부 옛 위안부들은 뉴스에 계속 등장하기 위해 새로운 극적인 이야기를 만들어 내기도 했지만, “다른 옛 위안부들은 정부의 인증을 위한 초기 조사 이후에는 더 이상의 관련 증언을 단호히 거부했다.” 소정희는 “그녀들은 혹시 ‘말실수’로 인해 피해자 등록이 취소되고 이로 인해 복지 지원금 지급이 중단될까 봐 침묵을 지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_<제2장 위안부들, 그리고 학자들> 중에서 접기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존 마크 램자이어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하버드로스쿨(Harvard Law School)의 일본법연구(Japanese Legal Studies)를 위한 미쓰비시 기금 교수(Mitsubishi Professor)다. 1954년생으로, 어린 시절에 선교사인 부모와 함께 18살까지 일본 규슈 미야자키 현에서 살았으며, 일본어에 능통하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고센 칼리지(Goshen College)와 미시건대학(University of Michigan), 그리고 하버드로스쿨을 졸업했다. 로스쿨 졸업 후에는, 나중에 대법관이 되는 스티븐 브라이어(Stephen Breyer) 판사 밑에서 재판연구관으로 일했으며 이후 시카고 등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 학계로 진출한 후에는 UCLA대학과 시카고대학에서 법학을 가르쳤고, 1998년부터 하버드대학에서 교편을 잡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접기

최근작 : <하버드대학 교수가 들려주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

아리마 테츠오 (有馬哲夫)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와세다대학 사회학부 교수 재직하고 있으며, 매스미디어는 물론 미국과 일본의 방송사를 전공으로 하고 있다. 정부 공문서 연구의 전문가로도 잘 알려져 있다. 지은 책으로는 『‘위안부’는 모두 합의계약을 했다(「慰安婦」はみな合意契約をしていた)』(2021년), 『NHK 수신료에 대한 연구(NHK受信料の研究)』(2023년) 등이 있다.

최근작 : <하버드대학 교수가 들려주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세계 제1의 권력자가 된 보통 사람들> … 총 8종 (모두보기)

류석춘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전 연세대학교 사회학 교수로 2020년도에 정년 퇴임했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전공 분야는 발전사회학, 경제사회학, 동남아시아연구 등이다. 「한국사회학」 및 「동남아시아연구」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일본 교토 도시샤대학 등에서 교환교수를 지냈다. 연세대 이승만연구원 원장(2010~2015년), 박정희연구회 회장(2016~2017년)을 역임했다. 최근 저서로는 『박정희는 노동자를 착취했는가』(2018년)와 『유교와 연고』(2020년)가 있다. 접기

최근작 : <유교와 연고>,<대한민국 승리의 길>,<박정희는 노동자를 착취했는가> … 총 18종 (모두보기)

이우연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조선시대-식민지기 산림소유제도와 임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한국경제사 전공)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방문연구원, 규슈대학교 한국학연구센터 교환교수를 지냈고 현재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의 산림소유제도와 정책의 역사 1600~1987』(2010년), 『반일 종족주의』(2019년, 공저) 등이, 옮긴 책으로는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2020년), 『위안부와 전쟁터의 성(性)』(2022년) 등이 있다.

최근작 : <반일 종족주의와의 투쟁>,<반일 종족주의>,<한국의 장기통계 : 국민계정 1911-2010> … 총 1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2021년 초,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법경제학국제논총(IRLE)」에 위안부 문제 관련 기존 통설인 ‘강제연행’설과 ‘성노예’설을 부정하는 논문을 발표해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존 마크 램자이어(John Mark Ramseyer) 하버드로스쿨 교수. 마침내 그가 한국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이론과 입장을 본격적으로 설명하는 기회를 갖게 됐다.

『하버드대학 교수가 들려주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미디어워치 출판사)은 화제의 논문인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2021년), 해당 논문을 둘러싼 비판에 대한 반박(2022년), 그리고 역시 해당 논문의 근간이 된 일제시대 상업적 매춘 시장에 대한 연구(1991년) 등 램자이어 교수의 위안부 문제 핵심 논문 5편을 엮은 모음집이다. 그 중요성과 가치 면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는 이 논문 모음집의 한국 출간을 위해 그간 국내에서 ‘반일 종족주의’와의 투쟁에 앞장서 온 전문 연구자 류석춘 전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와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 팔을 걷어붙였다.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은 일본과 조선 바깥 군 기지 인근의 매춘업소로 자국의 공창(公娼)제도를 확대했다. 공창제도는 국가가 관리하는 매춘으로 특히 위생 관리에 유리하다. 일본군은 이로써 성병으로 인한 군사력 약화를 방지하고자 했는데, 이러한 시책에 따랐던 국가(군) 관리 매춘업소를 ‘위안소’라고 불렀다. 이 위안소에서는 ‘위안부’라고 불리는, 일본과 조선에서 모집된 여성들이 일했으며, 위안소와 위안부는 당대 공창제도하 매춘업소와 매춘부 사이에서도 일반적이었던 ‘연계(年季)계약(indenture contracts)’을 맺었다. 이 계약의 핵심은 바로 여성을 위한 고액의 전차금(선금), 그리고 끝이 정해진 수년의 근로기간이다.

위안부에 대한 역사적 진실은 실상 이처럼 램자이어 교수의 설명처럼 싱겁디싱거운 것에 불과하다. 문제는, 오늘날 서구와 한국, 일본의 학계 중 일부 목소리 큰 세력이 위안부를 전혀 학계답지 않은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램자이어 교수가 겪은 필화(筆禍)의 배경이다. 이런 배경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가.

지난 세기말, 극좌파적 사고를 가진 일군의 학자들과 운동가들은 일본군이 평범한 조선의 여성을 위안소로 ‘강제연행’했고, 위안부는 곧 ‘성노예’였다고 주장하며 세력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위안부 문제를 ‘전쟁범죄’로 특정 지은 이 새로운 개념은 1983년도에 요시다 세이지(吉田清治)라는 일본공산당 출신 작가의 거짓말에서 시작됐다. 이 거짓말은 특히 1990년대를 풍미하면서 한국에서는 북한과 연계된 한 위안부 지원단체(정대협)를 중심으로 마치 진실인 양 수용됐고, 관련 소동은 결국 몇몇 옛 위안부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과거 ‘전쟁범죄’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는 사태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그러나 한국과의 관계 개선 압박, 그리고 근현대사 관련 연구 부족이라는 혼란 속에서 일본 정부가 관련 사과(고노담화)를 하는 지경에 이르고, 어쩌면 그저 해프닝으로 끝났을 문제는 그야말로 극단으로 치닫게 된다. 일본의 굴복을 확인한 유엔에서도 일본을 규탄하는 두 개의 보고서(쿠마라스와미 보고서, 맥두걸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상황은 걷잡을 수 없게 되고, 세기가 지나면서 한국과 일본 양국 관계는 위안부 문제로 인해 파탄 일보 직전까지 이르게 된다.

법경제학을 전공한 학자인 램자이어 교수는 권력과 정치라는 요소를 배제하고서, 당대 ‘위안부’라고 불렸던 여성들이 어떻게 위안소로 가게 됐는지 그 실상을 계약구조의 논리로 담담히 설명한다. 그 경로는 일본에서도, 조선에서도 동일했다. 물론, 여성들 중 일부는 사기꾼 모집업자에게 속아서 그 일을 하게 됐다(이는 특히 조선에서 심각했다). 또 일부는 학대하는 부모의 압박에 시달려 그 일로 내몰렸다. 그러나 상당수는 공창제도하 다른 민간 매춘부와 마찬가지로 지독한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스스로 그 일을 택했다. 관련한 압도적인 사료들은 램자이어 교수가 소개하는 게임이론의 ‘신뢰할 만한 약속(credible commitments)’ 개념이 매춘부 문제뿐만 아니라 위안부 문제에도 명백히 적용됨을 가리킨다. ‘강제연행’도, ‘성노예’도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행여 독자들은 이러한 학문적 결론이 옛 위안부들의 고통 어린 증언 내용과는 너무 동떨어진 것이라 놀랄 수도 있다. 램자이어 교수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러한 상황은 이질적이거나 새삼스러운 것이 아닙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제에서 증거가 서로 상충되는 경우는 종종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에 학자들은 관련된 증거를 면밀히 조사하고 어떤 결론에 도달한 뒤, 자신들의 논리로 이 문제를 설명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독자들도 증거와 논리를 스스로 따져 보고 자신만의 결론에 도달해야 합니다. 학계가 제 기능을 하려면 어떠한 결론도 처음부터 배제되어서는 안 됩니다.”

『하버드대학 교수가 들려주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 한국어판 출간과 비슷한 시기에 일본에서도 램자이어 교수의 위안부 문제 논문집 『위안부 성노예설을 램자이어 교수가 완전논파(慰安婦性奴隷説を ラムザイヤー教授が完全論破)』가 발간됐다. 실제로, 램자이어 교수가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 논문을 발표한 이래, 이 논문에 대해 다른 학자들의 통설을 그대로 반복하여 반론하는 이외에 어떤 믿을 만한 사료로 실증적 차원에서 반론이 시도된 경우는 국내외를 통틀어 전무했다.

램자이어 교수는 박유하·이영훈·지만원·류석춘·송대엽 등의 실명을 거론하며 “한국은 위안부 문제 통설에 도전하는 학자들이 잠재적으로 감옥까지 갈 수 있는 위험 국가”라고 경고한다. 한국에서의 언론·학문·표현의 자유에 대한 억압 문제가 명실공히 세계 최고 권위의 대학 교수에 의해 폭로된 것이다. 어쩌면 위안부 문제의 진실보다 우리 사회가 더 뼈아프게 받아들여야 할 진실이 아닐 수 없다. 접기


북플 bookple
로그인 하면 내가 남긴 글과 친구가 남긴 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평점
분포

3.6






“하버드 교수”는 왜 파냐? 하버드 역사학과와 동아시아학과의 일본사, 한국사 전공 교수들이 이구동성으로 마크 램지어 논문 비판한 것은? 역사학자도 아니면서 일본에서 의심스러운 연구비 받고 일본정부 스피커 역할하는 로스쿨 교수가 ‘하버드’라는 이름으로 억지 권위를 얻으려 드네
affectio 2024-01-04 공감 (6) 댓글 (0)
Thanks to
공감





류교수의 용기! 응원합니다.
strad11 2024-01-26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책을 파는 알라딘도 걸를건 걸러서 파시길 부탁드려요
포피 2024-02-05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별 하나도 아깝다
차양99 2024-01-31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내용을 읽어보면 정말 사건이나 기록을 바라보는 시각이 한심하기 그지없다. 이런 책을 한 대학교 교수가 희망도서 신청해서 나는 정리해서 올린다. 하... 이런책을 학생들이 읽을 생각하니 끔찍하다. 출판사부터가 한숨나온다.
jperf7 2024-01-2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