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28

[자주시보] 농업인의 날, 북 농민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②

[자주시보] 농업인의 날, 북 농민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②

농업인의 날, 북 농민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②
nk투데이 김혜민 기자
기사입력 2015-11-12

 
 
※ 11월 11일은 한국에서 '빼빼로데이'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이날은 국가기념일로 농업인(농민)의 날이다.
농업인의 날은 十(십)과 一(일)이 합쳐지면 土(흙)가 된다고 하여 11월 11일로 정해졌다고 한다.
농업인들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농업인의 날을 맞이하여 북한전문통신 NK투데이에서는 북한 농민들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한다.
첫 번째 글에서 농민들의 노동시간, 휴일, 휴가, 협동농장에 대해 소개해 드린 후 한국의 한 농민으로부터 협동조합이 국가에서 어떤 지원을 받고 있는지가 궁금하다는 요청이 있었다.
따라서 두 번째 글에서는 농촌 기계화, 협동조합의 재정운영, 북한사회에서의 농민의 지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농촌의 기계화
농민들의 삶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 바로 농촌의 기계화 수준이다.

2014년 가을에 열렸던 제10차 가을철 국제 전람회에 전시되었던 소형 트랙터.
2014년 가을에 열렸던 제10차 가을철 국제 전람회에 전시되었던 소형 트랙터.

그렇다면 북한의 기계화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민족21' 2009년 6월호에 따르면 북한은 1958년 기양기계공장('금성뜨락또르공장’의 전신)에서 소련 트랙터를 역설계(실물을 분해하면서 각종 부속들을 그대로 복제하여 다시 조립하는 방식)하는 방식으로 처음으로 트랙터를 자체 생산했다고 한다.

건국대 주성환교수의 자료 ‘북한의 농업’
건국대 주성환교수의 자료 ‘북한의 농업’

이후 북한은 꾸준히 트랙터를 자체 생산해왔으며 2008년 2월 4일 통일뉴스에 따르면 당시 금성뜨락또르(트랙터)공장에서 모든 부품이 100% 국산인 트랙터 '천리마-2000'을 내놓기도 했다고 한다.
건국대 주성환교수의 자료 ‘북한의 농업’에 따르면 북한의 농촌기계화는 기본적으로 단일작업용 농기계보다는 트랙터 중심의 연결작업용 농기계에 의한 종합적 기계화로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즉, 한 작업만이 가능한 이양기, 콤바인 등이 아니라 플라우(plow), 해로우(harrow), 로터베이터 등의 다양한 작업기를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트랙터를 중심으로 한 기계화가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기계화는 평야지대에서부터 산간지역 경사지까지로 확대 실시하고 또 지역실정에 맞게 실시하는데, 이를테면 평야지대에서는 대형의 트랙터를 산간지역에서는 중형의 트랙터를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고 한다.

그러나 90년대 사회주의의 몰락으로 인해 연료수입을 못하게 되면서 농기계들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해 농기계 이용률이 많이 낮아진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도 한국 농촌에 비해 농기계가 많이 도입되지 못한 것은 사실인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북한의 경제 사정이 호전되면서 농기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2015년 8월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정은 제1위원장은 농기계 전시장을 직접 방문하여 "농업부문에서 비료는 탄약과 같고 농기계는 무장 장비와 같다"면서 북한 내각에게 "농촌 기계화 비중을 더 높이기 위한 투쟁을 대담하게 밀고 나가라"고 강조했다고 한다.
또한 2015년 3월 12일 러시아의 소리에 따르면 최근 북한은 벨라루스와 농기계 공급 및 조립공장 설립에 대한 협력을 맺기도 했다고 한다.

협동농장의 재정적 운영
그렇다면 트랙터 등은 구매하는 것일까, 지원받는 것일까?
이외에도 협동농장이 국가로부터 전반적으로 얼마나 지원을 받고 국가에 토지사용료는 얼마나 내고 있을까?
NK투데이에서 연재하는 CJ Kang의 방북기에는 만경대협동농장 사례가 소개되어 있다.

04
만경대협동농장의 역사. 협동조합으로 전환된 이후 수확량이 크게 늘어났다고 한다. ⓒCJ Kang

첫 번째 기사에 이어 만경대협동농장 사례를 통해 부분적으로나마 협동농장 운영실태를 확인해볼 수 있다.

( 관련 기사 : [CJ Kang 방북기33]협동농장 수입은 어떻게 분배되는가? http://nktoday.kr/?p=5378 )

만경대협동농장은 채소농장 125정보(37만 5천평), 과수농장 33정보(9만 9천평), 논 200정보(60만평)의 토지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CJ Kang
채소 전문 농장. 비닐하우스가 보인다. ⓒCJ Kang
02
ⓒCJ Kang

우선 북한정부는 협동농장에 28대의 대형 트랙터와 10대의 소형 트랙터를 무상으로 지원해주었다고 한다.
또한 트랙터를 운영하기 위한 기름, 농장의 관리나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시멘트나 목재, 농사를 위해서 필수적인 비료까지 무상으로 지원해준다고 한다.
특히 만경대협동농장의 경우 비료를 흥남비료공장에서 받는다.
흥남비료공장은 북한 최대 화학비료공장으로 함경남도 함흥시에 있다.
흥남비료공장의 비료가 평양 인근의 만경대까지 오는 것을 보아 많은 협동농장에서 흥남비료공장 비료를 사용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국가로부터 지원을 이렇게 받는다면 국가에게는 얼마나 낼까?
우선, 채소나 과일의 경우 국가에 주는 것은 없다고 한다.
만경대협동농장에서 총 생산되는 채소가 15,000톤에서 16,000톤 정도라고 한다.

01 (2)
만경대협동농장 채소밭. ⓒCJ Kang

이는 주로 남새(채소)도매소를 통하여 예약제로 판매하게 되고, 광복거리 주민들에게 제공된다고 한다.
채소를 판 대금은 모두 은행에 입금하고 농장원들에게 현금으로 분배하게 된다고 했다.
그렇다면 쌀 등의 곡류, 즉 알곡(쭉정이나 잡것이 섞이지 아니한 곡물)은 어떠할까?
만경대협동농장에서 생산되는 알곡은 연간 2,700톤이 되는데 그 가운데 700톤을 국가에 토지사용료로 낸다고 한다.

그리고 나머지 2,000톤을 농장원들에게 다음과 같이 분배한다.
농장원 개개인당 한 해 식량으로 260kg씩 분배되며 그 가족들에게도 한 사람당 필요한 만큼 분배된다.
예를 들어서 노동이 많은 사람에겐 350kg으로, 갓난 아기에겐 50kg으로 분배된다는 것이다.
농장원에게 1년 동안 분배되는 알곡 260kg을 계산해보면 하루에 분배되는 알곡은 720g이라고 한다.
이는 북한 도시 근로자의 3배 정도 되는 양이라고 한다.
참고로 한국인의 하루 곡물 소비량이 416g 정도니 한국과 비교해도 적은 양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분배하고도 남는 알곡은 농장원 1인당 1톤에서 2톤까지 수확량에 따라 남는 것을 분배한다고 한다.
결국 알곡을 충분하게 분배하며 채소와 과일을 판 금액은 모두 은행에 넣었다가 현금으로 분배하기 때문에 북한에서 수입이 높다고 볼 수 있다.
CJ Kang은 방북기에서 만경대협동농장 김태현 농장원이 노동자들과 비교했을 때 농장수입이 노동자들 수입보다 낫다고 주장했다고 언급했다.

ⓒ CJ Kang
ⓒ CJ Kang

북한 사회에서의 농민들의 지위
북한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수년간 농업 자체를 경제발전의 '주공전선(主攻戰線)'으로 제시해왔다.
즉, 북한이 농업을 국가의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제시한 셈이다.
게다가 그 흐름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2015년 1월 1일 오마이뉴스 보도에 따르면 올해 김정은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인민생활 향상에서 전변을 가져와야”한다면서 “인민들의 먹는 문제를 해결하고 식생활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농업을 3대축(농업, 축산업, 수산업) 중에 첫 번째로 꼽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농업을 중요시하는 북한에서 농민들의 사회적 지위는 어느 정도일까?
사회적 지위를 규정하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국가 운영 전반을 관할하는 국회나 의회에 농민들의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유효한 지표 중 하나라고 불 수 있다.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협동농장원(농민)들이 북한 최고인민회의(한국의 국회) 대의원의 비율이 10%에 달한다고 한다.

현재는 12기 최고인민회의이다.
현재는 12기 최고인민회의이다.

즉, 한국으로 따지면 국회의원 중 30여명이 농민인 셈이다.
북한 대의원들은 일반적으로 회의가 진행되는 회기 중에는 평양에 체류하며 대의원 활동을 하지만 평상시에는 원래 직장에서 남들과 똑같은 생활을 한다고 한다.
따라서 진짜 농사를 짓는 농민들이 대의원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 된다.

북한에서 농민들을 인정해주는 분위기로 인해 청년들이 농촌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만연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북한 농촌에는 청년들로만 꾸려진 분조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며 농촌진출이 활발하다고 한다.
2001년 5월 30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함남 함흥시 성천구역의 신흥고등중학교 졸업생들과 교원이 최근 도(道)내 신흥군 수곡협동농장 청년분조에 진출했는데 신흥고등중학교 졸업생들이 진출한 것이 이미 4번째라고 소개하였다.
또한 2006년 1월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당시 전국적으로 470여 개의 농촌 청년 분조(협동농장의 최하위 생산단위)와 청년 작업반이 새로 조직되었다고 한다.
즉 분조가 15명 정도라고 봤을 때 당시 7000여명이상이 농촌으로 동시에 진출한 셈이 되는 것이다.

※ 관련기사  :   11/11 농업인의 날, 북한 농민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①   http://nktoday.kr/?p=9142

김혜민 기자  NKtoday21@gmail.com    ⓒNK투데이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