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26

동아시아 인문산책 (일본편) - 성균관대학교 | KOCW 공개 강의

동아시아 인문산책 (일본편) - 성균관대학교 | KOCW 공개 강의





동아시아 인문산책 (일본편)

성균관대학교
이재석, 고은미,박삼헌,김병진,강해수






주제분류인문과학 >인문과학기타 >일본학
강의학기2016년 1학기
조회수1,448
강의계획서
1. 고대 한일관계의 허상과 실상

2. 13세기 동아시아의 무역과 전쟁

3. 천황의 도시,도쿄

4. 일본 근대 천황제와 생명주의

5. 신도와 일본문화 그리고 도의

차시별 강의

1. 4세기 양국관계의 성립과 전개 먼저 백제와 왜국 각각의 대외관계의 기조를 설명하고 이어서 백제-왜 관계의 성립을 보여주는 문헌사료와 유물 자료를 검토한다. 그리고 근초고와의 시대에 이루어진 양국의 통교가 4세기 후반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남하를 계기로 군사적 협조관계로 심화됨을 살펴본다.
2. 4-5세기 왜국의 상황 4~5세기 당시 왜국의 실태를 일본서기 등의 문헌 사료와 고고학적 발굴성과를 통해 설명한다.
3. 5-6세기 백제-왜 관계의 양상 5세기 웅진시대의 백제와 왜국 관계를 조망한 후 무령와-성와-위덕왕으로 이어지는 6세기의 양국 관계의 흐름을 설명하며 당시의 양국관계는 철저한 상호이익의 교환과계였으며 이것이 다시의 실상이었음을 설명한다.
4. 7세기 동아시아의 격동과 백제-왜 관계 마지막으로 7세기 동아시아의 격동기의 도래와 함께 동아시아 각국의 연쇄적 쿠데타의 발생, 백제의 멸망과 왜국의 백제지원 등을 설명하며 강의를 마무리한다.
5. 9~14세기의 동아시아 군주가 외교를 독점하는 책봉체제와는 달리 해상의 활동에 의해 동아시아가 연결되어 있었던 독특한 통상체제가 중심이 되었던 시대적 특징을 개관한다.
6. 송전(宋錢)의 유출과 일본선의 입국제한령-1 남송에서는 일본선이 너무나 많은 동전을 밀반출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일본선의 입국을 제한하자는 주장이 대두되었고, 실제로 1250년대에는 일본선의 입국을 제한하는 법령이 제정되기에 이른다. 1240년대에 확인되는 사례에 따르면, 일본선은 한번에 남송의 년간 주조량의 10% 이상의 동전을 밀반출 하고 있는데, 이렇게 대량으로 동전이 유출된 배경에는 동전과 지폐를 겸용한 남송의 화폐정책이 있었다.
7. 송전(宋錢)의 유출과 일본선의 입국제한령-2 남송은 국가재정에서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서, 무역관련 재정수입을 높이는데 주력해. 밀무역을 감독하는 일에는 소홀하기 쉬웠다.또한 남송은 군수품 확보를 위해서는 수출 금지품목인 동전이 해외에 유출되는 것도 어느 정도 용인하는 태도를 취했는데, 그 때문에 화약원료인 유황이나 해선(海船)의 재료가 되는 목재를 적재한 일본선이 입국하여 동전을 밀반출하는 상황을 금지하기가 쉽지 않았다.
8. 13세기 동아시아의 전쟁과 무역 남송은 몽골과의 군사적 긴장상태가 심화된 1250년대에, 남송과 직접 접촉하는 고려인, 일본인을 우대하여 양국을 송의 편에 서게 하려는 의도에서 표류민구제책이나 일본금에 대한 무역세를 면제하는 정책을 실시한다.
9. 도쿄 개관, 막말유신기 천도론 도쿄를 개괄하고, 막막유신기에 제기된 천도론의 핵심 내용을 이해한다.
10. 근대천황제의 공간, 도쿄 도쿄에 형성된 천황제의 상징 공간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그 의미를 파악한다.
11. 메이지신궁 외원의 형성과정 메이지천황 사후 조서오딘 메이지신궁의 외원이 지니는 정치적 의미를 이해하고, 그 현재적 의미를 생각한다.
12. 일상의 천황제 상징 공간 시부야 역 앞의 하치코 동상을 사례로 들어서, 일상생활 속의 천황제 상징 장치를 알아본다.
13. 일본의 전통적 생명관 오늘날 흔히 일본의 전통적 생명관이라고 알려져 있는 사고방식이 실은 근대의 서구 사조의 유입과 함께 재창조 된 것이라는 점에 대한 강의이다. '생명'이라는 단어 자체가 'life'의 번역어로 채택된 배경과 그 속에 담긴 내용이 어떻게 변형되었는지를 설명한다.
14. 근대적 생명관의 탄생 서구에서 근대적 생명관이 탄생한 것은 19세기 중엽에 들어서면서 세포설의 부상과 다양한 진화론의 전개 속에서 이루어졌다. 일본에서도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불교, 유교(주자학, 양명학)등의 리셉터를 통해 진화론이 수용되면서 근대적 생명관이 정착하게 된다. 다만 동양의 후발제국이었던 일본의 경우, 서구와는 달리'국가/민족'의 생명에 대한 담론이 빠르게 전개된다.
15. 20세기 생명주의의 전개 생명'을 근본적 원리로 삼는 사조는 서구에서도 동시기적으로 발양한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다른 합리주의나 유물론을 상회하면서 전 담론을 석권하게 된다. 또한 그 과정에 있어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연결점으로 일본의 역할이 강조된다. 그 파생의 각각의 경우를 들어 설명한다.
생명주의의 기이한 부활 이와같이 20세기 초엽에 활발히 전개된 생명주의가 '에로/그로/넌센스'와 같은 방향성을 보이자 정부로부터 검열과 탄압을 받게 된다. 또한 러시아 혁명이후, 세계대공황의 여파가 일본에도 밀어닥치자 마르크스주의의 부상과 함께 담론공간에서도 그 역할이 축소되어 갔다. 하지만 중·일 전쟁을 기점으로, 태평양전쟁으로 치닫던 시기에 천황을 '우주대생명의 출현'으로 보는 군국주의적 사고로 기이하게 부활하게 된다. 전우주적 보편성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전쟁의 명분을 제공하는 이데올로기로 활용되었던 것이다.
신도는 일본의 전통적 종교인가? 근대에 시작된 풍습으로서의 하쓰모데와 신전결혼식, 근대기의 '자립적 종교'로서의 신도의 등장
신도의 '국민적 종교'로서의 등장과 이후의 '국가신도' 체제 1920년대 초에서의 가토 겐지의 '국민(민족)적 종교'로서의 신도론, '일본신도'의 '대륙신도'로의 발돋음과 '국가신도'체제의 형성 및 그 종교성의 기제로서의 황도와 도의
메이지신궁 및 전후 '신도'론에서의 '도의'와 '공공성' 메이지신궁 조영의 '원점의 이야기', 메이지신궁을 둘러싼 도쿠토미 소호의 '윤리적 유기 국가'관 및 다나카 지카쿠의 '국체' 연구, 식민지기 '조선유도연합회'의 메이지신궁 참배
신사의 '공공성'과 야스쿠니 문제, 그리고 아베정권과 '일본회의' 전후의 신사본청의 설립 및 아시즈 우즈히코의 '신도적 정치의 이상'과 '도의', 공공공간으로서의 신사론과 그 '본질없는 공동성', 야스쿠니 신사와 '제사하는 국가', 신도정치연맹과 '일본회의'의 결성


연관공개강의

동아시아 인문산책성균관대학교 | 미야지마 히로시, 손병규, 다니엘 종스켄디크, 왈라번, 이영호, 하영휘, 임태승, 마리성학 김, 백우열, 김경호, 윤재석, 임중혁
동아시아 국제관계경희대학교 | 송석원
동아시아정치사국민대학교 | 김혜승
서양 근대와 동아시아강남대학교 | 강경락
동아시아 문화와 지역정체성한양사이버대학교 | 최성호

연관학위논문

동아시아 지역통화협력체제의 가능성과 한계 : 아시아통화기금 설립(AMF)을 중심으로 = Prospects and limits of the east Asian regional monetary cooperation :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the Asian monetary fund
중국의 동아시아 FTA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ina's Strategy for EAFTA
동아시아 국제분업의 변천 : 수직분업에서 수평분업으로 = The Changes in Labor division in East Asia
일본의 지역 개념 변화와 동아시아 지역주의 전략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공동체평의회의 인식과 활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경제협력의 제도화와 중국의 전략 : AMF, CMI, CMIM 사례를 중심으로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