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04

시오노 나나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오노 나나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평가[편집]

많은 비평가역사학자들은, 시오노의 작품이 엄밀히 말하면 역사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많은 독자가 이를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경계의 목소리를 낸 바 있다. 또한 시오노의 책에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로마인 이야기》의 경우 특히 고대 그리스를 서술한 부분이나 로마의 속주 통치를 미화한 부분)이 다수 있으며, 이것이 독자들에게 잘못된 정보와 그릇된 편견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을 지적받은 바 있다.[2]

다른 비평가들은, 시오노의 저작 전반에 있어 그 주제의식과 문체가 지나치게 정치적으로 우경화되어 있으며, 이는 특히 청소년들에게 사상적으로 편향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특히 강대국의 제국주의와 작은정부를 지향하는 보수주의에 대한 옹호가 현저하다.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 주경철의 경우, 자신의 저서 《테이레시아스의 역사》의 pp.130~148에서 시오노 나나미를 "일본 우익 제국주의 성향을 온전히 가지고 있는 작가"이며,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향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하였다. 책 곳곳에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것처럼 보이는 서술들이 상당수 있으며, 그리고 한일 양국의 역사문제에 관하여 "서로 각자 다른 버전의 역사교과서를 가지면 된다"고 역설, 일본측의 역사적 과오 반성이 필요없다고 주장하는 등,[3] 역사의식에서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스스로 인정한 것과 같이 저작이 마키아벨리즘적이고, 권력에 대해 그다지 비판적이지 않은 문체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상당부분 마키아벨리를 오해한 입장으로, 마키아벨리즘은 "도덕과 정치를 분리" 시키자는 것이지 "도덕 자체를 인정하지 말" 자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오노 나나미의 입장을 "마키아벨리즘" 으로 정의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시오노는 오히려 그 왜곡된 의미로서의 마키아벨리스트라고 할 수 있다.

Reputation and awards[edit]

Although her first works were well received in Japan, it was not until the publication of Umi no Miyako no Monogatari that she became a best-selling author. Umi no Miyako no Monogatari became a literary phenomenon in the 1980s, eliciting reviews that compared Venice to Japan and sought hints about the future of Japan in her book. Her books were first published in Korea in 1995, and Roma-jin no Monogatari quickly became a bestseller there (Roma-in Iyagi in Korean).[1]
Shiono was awarded the Mainichi Publishing Culture Award from the Mainichi daily newspaper for Runesansu no Onna-tachi. In 1982, Umi no Miyako no Monogatari won the Suntory Literary Prize. She won the Kikuchi Kan Prize the following year. For Roma-jin no Monogatari, she was awarded the Shincho Literary Prize. She received the Shiba Ryotaro Prize in 1999, and in 2002 the Italian government conferred upon her the Grande Ufficiale Order of Merit for introducing Italian history and culture to Japan.
In Japan, opinions about Shiono's work are divided. Her works have been praised for their historical sweep, but have also been called oversimplified depictions of moments in history that were in fact multi-faceted and complicated. Professional historians tend to criticize her works for their lack of references and objectivity. Her interpretations of ancient Greek history have been challenged, and some critics object to what they see as right-leaning political tendencies.

評価[編集]

一連の著作を通して、日本において古代ローマ史やイタリア史、イタリア文化に対する関心を高めたことは高く評価されており、2000年にはイタリア政府よりイタリア共和国功労勲章グランデ・ウッフィチャーレ章を受けた。
一方で、塩野の意思とは関係なく、著作が小説ではなく歴史書として受容される傾向が強いことはしばしば問題視されている。坂口明は、『ローマ人の物語』が書店や図書館などにおいて「歴史書」として配置されていること、また学生や市民講座の受講者によって「歴史書」として読まれていることを指摘した。坂口は『ローマ人の物語』について、根拠のない断定や重大な誤りがあることを指摘し、批判的な検証が必要であるとした[5]
小田中直樹は、南川高志の著作[6]と『ローマ人の物語』の比較を通して、塩野の著作を「歴史書」として扱うことに問題があることを示した[7]。小田中は、「『ローマ人の物語』は、史料批判や先行研究の整理が不十分であり、歴史学の方法論に基づいていない」と指摘する。そのため、小田中は「叙述の根拠が著者の感想にとどまっているため、歴史書ではなく歴史小説として読むべきだ」と述べている。また、叙述に考古学的成果がほとんど用いられていない点を問題視する者もある[8]

-------------

4. 문제점[편집]

시오노가 쓴 책들은 쉽게 읽히고 흡인력이 높기 때문에, 독자와 출판사 입장에서는 분명히 환영할 만한 베스트셀러 작가다. 하지만 역사 서술에 대한 관점에서 보면 "성공한 역사 동인지 작가"라고 말할 정도로 문제가 있는 작가이다. 많은 저작에서 역사를 메인으로 다루기는 하지만, 역사학자가 가져야할 객관성과 엄밀성은 찾아보기 힘들다. 어떤 역사적 사건에 대해 중요한 부분을 바탕으로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기 보다는 그냥 자기가 좋아하는 이야기에 상상력을 가미하면서 써내려가는 스타일.

그리고 아무리 에세이라지만 타인의 저작에서 인용한 내용에 대해서는 반드시 각주나 책 후반부의 색인 항목 등을 통해 출처를 밝혀야 하는데, 시오노 나나미는 논문을 써본 적이 없는 탓인지 이런 레퍼런스 표기에 상당히 인색한 편이다[9]. 또한 해당 내용이 자신이 창작한 픽션이라면 그 역시 책에 표시를 해 놓아야 하는데, 종종 이런 표시가 없어서 실제 역사적 사실인 것처럼 오해하게 만들기도 한다.

4.1. 편향된 관점[편집]

역사가로서의 자질이 모자라다.

로마인 이야기를 비롯한 시오노의 저작들을 살펴보면, 역사 자체보다는 자신이 좋아하는 특정 인물과 특정 국가에 대한 관심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좋아하는 특정한 남자인물에 대해 서술의 많은 부분을 할애하는데, 특히 율리우스 카이사르나 체사레 보르자에 애정이 대단하며 그중에서도 카이사르에 대해서는 단순한 호의적 서술을 넘어 거의 숭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치켜세운다. 원래 로마사에 관심있는 사람들 중에 카이사르 팬이 꽤 많기는 하지만(#) 시오노는 카이사르에 대해 광신이나 사생팬급의 짝사랑을 과시한다. 로마인 이야기 15권 중 카이사르 개인에 대한 책이 2권(4, 5권)이나 되며 다른 책에 비해 꽤 두껍다.[10] 내용은 '카이사르를 위한 헌정문'으로 봐도 될 정도로 카이사르 띄우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반대로 그와 대립했던 많은 인물들을 지나치게 깎아내리고 있다.

특히 키케로를 엄청나게 깎아내리는데, 사료를 보면 카이사르의 내전이 일어 났을 때 처음에는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원로원파와 카이사르파 둘 중에 한쪽을 선택하지 못하고 미적거리다가, 어쩔 수 없이 원로원 측에 붇는 기회주의적인 면을 보여주는 것 맞고, 법적으로 그다지 깔끔하지 못했던 카틸리나 탄핵으로 평생 자뻑하고, 친구에게 카이사르 집에 갔는데 비서가 키케로를 못 알아보고 키케로보고 번호판 받고 기다리라고 했다고 불평하고, 클래오파트라가 약속한 선물을 주지 않았다고 건방지다고 까는 등 쪼잔한 면을 보여주기는 했으나, 시오노 나나미가 깎아내리는 수준의 한심한 인물은 절대 아니었다.[11]

카이사르에 푹 빠져서 있는 탓에 그가 갖고 있었던 성향들을 다 좋아하는 것 같기도 하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체사레 보르자 외에도 좋아한다고 밝힌 남자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있는데, 다빈치의 경우 그가 자연과학 쪽에서 남긴 업적을 쓰기 어려워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경우 이라크 등 중동의 정세가 좋지 않아 방문할 수 없어서 쓰지 못했다고 밝혔다.

전쟁 3부작의 <콘스탄티노플 함락> 편에 보면, 오스만 제국 술탄 메흐메트 2세의 남색 상대인 노예 소년과 술탄의 성애에 대한 묘사가 비잔티움 제국 재상 루카스 노타라스보다 비중이 높다. 그 '남색용 노예'가, 메메드 2세의 치세에 대해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역사서인 <정복자의 역사(Tarih-i Ebülfeth)>를 쓴 투르순 베이(Tursun Bey)이기는 하나, 이것은 자신의 기록으로 밖에 알 수가 없는 탓에 궁정 시종이었던 것은 맞는 것 같지만 '남색용 노예'였다는 건 상상.[12] 물론 '동로마 제국 ⊂ 로마 제국'이지만, 시오노는 동로마 제국을 로마 제국의 한 시대로 보는 걸 부정하는 사람이다. 시오노 나나미는 반기독교 사상 탓에 특정 시대의 정체불명 자기 취향에 맞는 로마 제국만 로마 제국이라고 하는 사람이라 동로마 제국을 폄하한다.[13]

꼭 마음에 드는 남정네에게만 하악하악하는 게 아니라, 마음에 드는 국가나 도시도 좋아한다. 이 아줌마의 이탈리아 사랑, 특히 베네치아 & 로마 제국 사랑은 정말 엄청난 수준이라, '역사소설'의 한계조차 넘어 거의 대체역사소설에 이를 정도다.

거의 유일하게 여성들에 대한 평가가 좋고 여성 인물들에게 주목한 저서로는, <르네상스의 여인들>이 있다. <남자들에게> 1, 2라는 에세이집을 냈는데, 여자가 바라보는 남자의 시각을 썼고 나름대로 긍정적인 평가도 받지만, 여성 상품화에 대한 안티테제적인 관점을 페미니즘으로 포장했다는 비판과 '병맛 넘치는 중2병 여성을 위한 지침서'라는 혹평도 있다.

또 전쟁 3부작에 나오는, 콘스탄티노플이 오스만 제국의 수도가 된 이후에 '황량해졌다'고 하는 말도 개념을 안드로메다로 보낸 다음에나 나올 법한 말. 콘스탄티노플을 정복한 황제 메흐메트 2세가 치세 내내 가장 심혈을 기울였던 일 가운데 하나가, 콘스탄티노플을 여러 종교가 공존하고 여러 민족이 한데 어울리는 국제 도시[14] 다시 일으켜 세우는 것이었다. 인구 추정치만 해도 1453년 당시 4만 5천 명에서 1500년에는 20만, 1550년에는 66만으로 폭증. 로마 멸망 이후의 지중해 세계에서는 보다 역사를 반영해서 "술탄 아래가 모두 평등하다"는 표현을 하며, 사실 이것도 군주론 4장에 나오는 마키아벨리의 표현을 빌린 것이다.

"인재 등용에 있어서 능력을 우선시했다"고 말하고 있다. 근데 그러다가도 일관성 없는 정책을 펼치고 물량빨로 밀어붙이며 변덕이 심하다고 또 비난한다. 하지만 시오노가 찬양하지 못해서 안달하는 로마 제국도 물량빨로 밀어붙인 적이 간혹 있다. 그런데 이에 대한 시오노의 평은, '소규모 군대만 찔끔찔끔 보내면 쓸데없는 희생이 커지잖음. 그런데 로마 제국은 한꺼번에 대군을 보내서 이런 희생을 줄였으니 이 얼마나 훌륭하고 위대한 일임?'이다.[15]

유럽 측 시각에서만 바라볼 뿐, 오스만 제국의 내부 사정이나 정치적 변동에 대해서는 알아보려고 하지도 않는다. 이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무지 내지는 무관심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시오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해 상당히 무지한 편으로, 시파히는 어디다 팔아먹었는지 예니체리만이 오스만의 상비군이었다고 하는 것이 그 예인데, 로마 멸망 이후의 지중해 세계 하권 초반부에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에 대해 언급하며 이와 같이 서술했다. 황제 메메드 2세가 믿을 만한 군대라곤 예니체리 부대 뿐이었으며 거의 매년 군사를 보내어 정복에 몰두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고 추측했는데, 실제로 오스만이 팽창에 열심이었던 것은 창건자 오스만 1세 이래로 '이교도를 공격하여 이슬람의 땅을 넓힌다'는 사상이 일종의 국시 비슷한 것이었던 데다, 지방관의 인사고과를 평가할 때 중요한 기준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던 것이 바로 군공이었기 때문. 그리고 메메드 2세 본인으로 한정하면 그의 평생 꿈이 로마 제국의 재건이었는데, 로마 제국을 재건하려면 당연히 로마 시를 함락해야 하고. 그러자면 당연히 군사 활동에 나서야 할 것이 아닌가(실제로 말년에는 이탈리아 본토를 해로로 침공하여 오트란토라는 항구도시를 점령하기도 했다. 다만 바로 이듬해에 메메드가 죽으면서 로마 진격은 백지화). 게다가 예니체리는 일종의 특수병이었고 오스만의 주력은 어디까지나 시파히였으니, 시파히의 존재를 제대로 몰랐다는 건 시오노가 오스만 제국이 벌인 육전에 대해서는 제대로 살펴보지도 않았다는 말이 된다. 오늘날 지명도야 물론 다른 문제지만, 메메드 2세 시대부터 쉴레이만 1세 시대까지 오스만 제국에서 시파히가 무시당했다는 건 단순히 군부대 하나 잘려나간 것 이상의 의미가 있는 일이다.

가령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를 다룬 '바다의 도시 이야기'에 나오는 '스쿠타리[16] 공방전'의 경우, 시오노가 "체계적이고 정확하다"고 찬양하는 베네치아의 역사가 마린 바를레티가 오스만 제국군의 수를 무려 35만으로 잡은 예가 있다. 물론 오늘날 역사가들은 "앞의 1자가 3자로 바뀐 거 아니냐"고 하는 중.

본인이 살고 있는 이탈리아도 자주 비판하며, 영국은 대체로 찬양조다. "관리가 부실한 이탈리아의 로마 제국 유물을, 관리를 잘하는 영국인에게 맡겨야 한다"고 주장하기까지 한다. 현대 영국은 유물 보존 관리 면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하는 국가이지만, 제국의 변방이었던 영국(흔히 오해하는 것처럼 영국이 고대 유물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 독자적인 켈트 부족의 문화도 결코 흔히 생각하던 야만족 수준은 아닐뿐더러, 시골 박물관에도 로만 브리튼 시대의 유물이 수두룩하다. 다만 본토였던 이탈리아가 당연히 관리해야 할 유물이 많을수밖에 없다는 뜻)과 제국의 중심지였던 이탈리아를 같은 선상에서 비교할 수는 없다.

아우구스투스 당시의 로마군과 현대 한국군을 비교하는 유치하고 무식한 짓도 저질렀는데, 그 내용이 '고대 로마군도 5,000만 명을 15만으로만 지켰는데, 현대 한국군은 오히려 5,500만 명을 60만으로 지킴! 이거 쓸데없이 병력 많은 것 아님?'(...) 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 나와 있다.

4.2. 근거 없는 추측[편집]

사료로 밝혀져 있지 않은 부분의 마무리를 'XXXX 아니었을까?'라고 사료와 상관없이 제멋대로 상상의 나래를 펼친다. 예를 들어 칼리굴라를 암살한 근위병사가 "잘못된 자식을 책망하는 아버지의 심정으로 찌르지 않았을까"라며 말하거나[17] 도미티아누스를 죽인 것이 도미티아누스의 아내인 롱기니아(네로 시대의 유명한 장군 코르불로의 딸)에 의해 저질러졌으며, 이것이 도미티아누스와 그의 조카딸의 관계를 질투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라고 말하였는데, 물론 롱기니아가 배후에 있다는 것은 고대 역사가들이 서술에 나오므로,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롱기니아가 이렇게 한 동기가 조카딸과의 관계를 질투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은 시오노의 상상이다. 가령 롱기니아는 도미티아누스가 기록말살형에 처해진 이후에도 죽을 때까지 과부로 수절하였고, 자신을 항상 도미티아누스의 아내로 소개하였는데, 이것만 보더라도 도미티아누스 암살의 조종자라고 말하기가 어렵다.얀데레

또한 흔히 말하는 독자연구에 해당되는 서술을 저서에 간간히 삽입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제정은 넓은 로마 제국을 통치하려면 어쩔 수 없다"고 말하거나[18] 카이사르나 아우구스투스 덕에 로마 제국의 멸망이 뒤로 미루어졌다는 견해를 집어넣는다. 하지만 위의 두 인물이 등장했을 때인 공화정 말기, 로마 제국의 군사력은 정점을 찍었다. 이때 로마 제국은 동방의 국가들을 몽땅 소멸시키고 영토를 2배로 확장하였으며 당시 로마 제국의 영토는 이미 엄청나게 커져 있었다. 개기는 미트리다테스를 자살로 몰고 갔으며 야만족인 갈리아족게르만족을 상대로도 승승장구하였다. 따라서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의 등장이 아니었으면 로마 제국이 멸망했을 것이라는 의견은 군사적으로 도저히 설명할 수가 없다.

세습에 우호적인 견해를 삽입한 경우도 있는데, 일본의 정치가들이 지역구를 물려주는 것을 예로 들며 "안정을 위해 적절한 선택이 될 때가 많다"는 식의 발언을 하기도 하였다. 로마 제국이 혈연에 의한 세습을 하여 안정적으로 굴러간 경우는 가뭄에 콩 나듯 하였으므로 신빙성은 높지 않다.

노예 제도에 대해서는 "로마인들은 노예를 가족처럼 대우하였고 죽을 때 해방해 주었다"는 등 인간미가 넘치는 식으로 묘사하기도 하였는데, 사실 로마 제국의 노예 제도는 충분히 가혹하였다. 공화정 말기에 몇 차례 노예 반란[19]이 일어났다는 점을 감안하자. 이 가족 같은 노예제는 로마가 이탈리아도 통일하기 전의 노예제 혹은 중산층이 부리는 가족 단위 노예를 설명할 때 쓰이는 말이고 극소수의 행운아들에 불과했으니, 시오노가 일반화의 오류를 범한 셈. 주경철 교수는 "햇빛을 보지도 못했던 광산 노예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 같다" 하는 식으로 비판했다. 모두가/족같은 노예제라면 맞는 말일 수도

로마인 이야기》 6권 말미에서 클레오파트라가 로마군에게 사로잡혔을 때의 부분을 보면
39세의 여왕과 33세의 승자는 왕궁 안에서 딱 1번 만났다고 한다. 두 사람 사이에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두 사람 외에는 아무도 그 자리에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대 역사가들 중에는, 그때 클레오파트라가 카이사르와 안토니우스를 상대로 수작을 부려 성공한 것과 똑같은 '수법'을 옥타비아누스한테도 시도했다고 말한 사람도 있다. 그러나 그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고 한다. 40세를 앞둔 나이에는 저 유명한 클레오파트라의 매력도 이미 효력을 잃고 있었다는 뜻이리라.
그러나 나는 그녀가 애당초 시도하지도 않았을 거라고 생각한다. 고양이는 자기를 귀여워 해줄 사람을 한눈에 알아본다고 한다. 여자도 고양이와 같다. 자기한테 마음이 쏠릴 만한 남자는 눈빛만 보아도 안다.
클레오파트라도 단정한 용모를 지닌 33세의 젊은이의 차가운 눈길을 받은 순간, 그런 수법을 써봤자 아무 소용도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게 아닐까.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시도하는 것은, 일류라고 자부하는 승부사가 할 짓이 아니다.
옥타비아누스를 만나고 나서 클레오파트라는 모든 희망이 산산조각난 것을 깨달았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을 기다리는 운명도 분명히 알았을 것이다. 현실 인식에서는 계속 잘못을 저지른 클레오파트라였지만, 막판에 이르러서야 비로서 현실을 분명히 본 게 아닐까. 그녀가 삶에 집착한다면, 로마 제국으로 압송되어 수도에서 거행되는 옥타비아누스의 개선식에서 최고의 구경거리가 될 것이다. 개선식이 끝난 뒤에는 여동생 아르시노에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의 지방 도시 어딘가에서 연금생활을 하는 것이 40세 이후의 인생이었다. 로마 제국에서는 패전국의 왕이라도 개선식이 끝난 뒤에 죽이는 일은 없었기 때문이다.
클레오파트라는 자살을 결심한다. 한 여자로서 살아남기보다는 여왕으로서 죽기로 결심한 것이다. 하지만 사실은 옥타비아누스도 그것을 기다리고 있었다. 여왕으로서 죽든 간에, 어쨌든 이 세상에서 영원히 사라져주는 것이 그에게는 편리했기 때문이다.

클레오파트라와 옥타비아누스가 만났다는 한 문장의 역사적 기록으로, 장문의 상상의 나래와 추측을 한 예이다. 그런데 옥타비아누스는 클레오파트라가 에 물려 죽은 것을 알고 서둘러 시종을 시켜 몇 L의 액을 빨아내게 하였고, 마침내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되자 낙담했다는 것이 수에토니우스의 기록에 등장한다. 수에토니우스의 기록 역시 여기저기서 루머로 돌아다니던 이야기를 듣고 쓴 게 많기 때문에 객관성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20] 여튼 클레오파트라가 옥타비아누스를 유혹하여 탈선시킬 위험성이 없다면 죽는 것보다 살려서 개선식에 공개하는 쪽이 옥타비아누스에게 훨씬 이득이다.

비논리적인 작가의 개입과 무리한 추정의 연속은 위에 언급된 비밀 회동이 마치 클레오파트라 자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양 독자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게다가 그 근거가 "여자는 고양이와 같다"라거나 "승부사는 지는 경기에 걸지 않는다"는 근거 없는 것이라면, 더욱 문제가 된다.

다만 "사료가 부족하니 상상력을 보태면" 등 아예 없는 사실을 만들어내는것이 아니고 설명을 해두었다. "사료가 부족해 이 부분을 알수없다"라고 책 이야기 진행이 끊기면 책이 당연히 재미없어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4.3. 사료 활용에 대한 비판[편집]

시오노의 저술은 어느 특정 역사학자의 견해를 전체적인 학계의 의견인 것처럼 정의를 하면서 서술하는 아마추어적인 패턴을 보여줄 때가 많다. 프로페셔널이 아닌 아마추어 역덕후들의 일반적인 문제로서 나나미만의 문제가 아니다. 가령 독일의 테오도르 몸젠이라는 학자가 "카이사르가 로마 제국을 재창조했다"고 말한 것을 인용하며 카이사르가 로마 제국을 재창조했다는 근거로 삼는데, 이는 몸젠이 개인적인 찬사를 한 것에 지나지 않을 뿐이므로 이것만으로 카이사르가 재창조를 하였다고 확인 서술을 하는 것은 무리가 있고, 그렇다고 어떻게 재창조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를 들면서 독자들을 납득시키지도 않는다.[21]

사료를 잘못 인용하는 경우도 있다. 제2차 포에니 전쟁 때 있었던 칸나이 전투의 전술을 자마 전투의 전술과 혼동하였으며 칸나이 전투에서 로마군이 제 일선에 있는 잡병을 돌파하자 배후에 포진하던 정예병이 맞섰고 잡병은 측면에서 협공했다고 하는데, 이는 자마 전투 때 벌어진 일이었다. 이렇게 이중으로 전열을 짠 뒤 일선이 분쇄되어도 포위가 가능할 정도면 숫적으로 우세해야 하는 상황인데, 칸나이 전투 때는 로마군의 보병전력이 한니발 바르카 군의 2배가 넘었다. 아울러 고대 로마의 선거제도를 서술할 때 민회라고 일컫으며 193개 그룹으로 나눠 과반수를 가져가는 쪽이 승리라고 말하는데, 고대 로마에는 백인대 집회와 평민 집회라는 2개의 집회가 따로 있었으며 위는 백인대 집회에만 해당될 뿐 평민 집회는 전혀 다른 방식을 쓰고 있었다.(고대 로마 항목 참고) 그리고 콤모두스를 암살한 사람들의 동기를 알 수 없다고 서술하나, 실은 이들이 왜 그랬는지 서술해 주는 사료는 명백히 존재하고 있다. 이때 암살자들은 콤모두스를 죽이지 않으면 다음 날 처형되는 신세였다.(로마인 이야기)

또 개인의 취향에 맞는 사료를 고르고 다른 사료는 누락시키는 경우도 많다. 가령 포에니 전쟁 때 벌어진 전투에서의 전사자 수는 사료마다 다른데, 시오노는 대체로 부풀린 쪽의 사료를 골라 썼다. 때문에 한니발 바르카가 10만 대군을 이끌고 스페인을 떠나 2만 5천명의 생존자와 함께 이탈리아에 상륙했다는 식의 결과를 낳기도 한다.

갈리아를 지나 알프스를 넘는 것이 힘든 여정이긴 하였으나, 75%가 행군 도중 사라질 정도는 아니었다. 가령 그의 동생 하스드루발은 역시 대군을 이끌고 한니발 바르카와 똑같은 루트를 지났지만, 매우 적은 이탈자를 냈을 뿐이었다. 비록 처음 시도가 힘들다고는 하지만, 같은 루트에서 그 정도로 처음 시도한 쪽과 2번째 시도한 쪽의 차이가 어마어마한 이유를 설명하긴 어렵다.

또한 카이사르의 일생을 서술할 때, 그가 로마 제국 내에서 집정관으로서 원로원과 권력투쟁을 했을 때의 묘사도 주로 로마 과목의 교과서로 쓰이는 수에토니우스나 아피안의 사료와 불일치한다. 폼페이우스의 동료들에게 배분하기 위한 농지법을 통과시킬 때, 원로원 의원들의 참석 하에 폼페이우스와 크라수스가 차례로 연설하고 동료 집정관인 비불루스를 새점 타령이나 하는 겁쟁이로 묘사하는데, 이런 서술은 위의 사료들과 맞지 않다.(로마인 이야기) 지나가는 이야기로 언급하지만, 브루투스의 처가 불붙은 을 물고 자살했다는 이야기도 그대로 서술한다. 이건 당시 로마 제국에서 떠돌던 이야기이고, 이후 2차 창작물에서도 자주 나오는 이야기지만 플루타르코스는 당대 여러 기록과 브루투스 개인 서간집을 인용하여 이설을 일부러 반박하고 있다. 즉 브루투스가 필리피 전투에 참가할 즈음에 이미 중병으로 죽기 직전이었다는것, 플루타르코스를 상당히 자주 인용하는 시오노가 이 서술을 고의로 누락시킨 것이다.

또한 글을 쓰다보며 심취하는 탓인지, 그리스어에 무지한 탓인지, 안티오코스 3세가 등장할 때 대왕이란 존칭(메가스)라고 적어놓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이후 대왕의 칭호를 얻은 자는 폼페이우스 뿐이라고 적어놓고 있다. 헬레니즘 세계&오리엔트에 너무 무지하고 서술을 거의 하지 않는다

무지를 넘어 비하적인 서술도 있다. 로마와 파르티아나 사산조 페르시아가 전쟁을 벌이는 이야기를 할 때마다 빠지지 않고 써넣는 소리가, '서방' 사람들은 이성을 갖춘 반면 '동방' 사람들은 강력한 전제군주에게 조종당하는 꼭두각시에 불과하며, '서방' 사람들과는 달리 '동방' 사람들에게는 힘이 곧 이치이며 무조건 강자에게 굴복한다는 것.

로마인 이야기 7권 내용 중 집필하는 데 가장 크게 참고했고 9권에 해당 시기의 저술이 없거나 소실되어 집필이 난처했다고 하는[22] 타키투스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자신의 기준에 맞춰서 아니다(또는 틀렸다. 잘못된 일이다.) 싶은 일이라면 해당 사료를 소개하기도 전에 일도양단으로 붓을 휘둘러 응징한다며 "타키투스의 저술을 읽을 때는 조심해야 한다"고 표현했지만... 자신도 별로 다르지 않고 오히려 더 심한 성향이 있다. 타키투스는 당신처럼 창작작가가 아니야

또한 이런 문제점은 기독교와 관련한 서술 부분에서도 두드러지는데, 이 경우에는 1차 원사료라고 할 수 있을 성경의 해당 부분을 똑바로 읽고 인용하고 있긴 한 건지 심히 의심스러울 정도의 모습을 보인다. 한 가지 예로, 로마인 이야기 제12권 <위기로 치닫는 제국> 411~412p는 초기 기독교인들의 병역거부와 관련해서 다루고 있는데, 자신의 결론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다음과 같은 구절을 예로 들고 있다.
세례자 요한은, 유대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병사들이 '유대 왕의 병사이면서 기독교인인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고 물었을 때 이렇게 대답했다.
"왕이 지불하는 봉급에 만족하라. 또한 군사행동을 하더라도 포악한 지경에 이르러서는 안 된다. 군대 안에서의 승진도 동료를 중상모략한 결과여서는 안 된다."(제12권 411~412p)
해당 부분은 루카 복음서 3장 14절의 내용이다.
"군사들도 그에게 “저희는 또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하고 묻자, 요한은 그들에게 “아무도 강탈하거나 갈취하지 말고 너희 봉급으로 만족하여라.” 하고 일렀다."
시오노가 참고한 성경의 번역판이 무엇이었느냐를 굳이 따져 볼 필요조차 느끼기 힘든, 너무나 이질적인 두 내용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 해당 내용은 그리스도가 요르단 강에서 세례를 받고 소위 '공생애'를 시작하기 얼마 전의 일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요한에게 질문한 병사는 절대 기독교인일 수가 없다.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러 왔을지언정 그들이 본격적으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듣고 받아들인 사람들이 전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 유명한 요한이 훗날 '오실 분이 선생님이십니까? 아니면 우리가 다른 분을 기다려야 합니까?'(루카 복음서 7장 19절)라고 질문했던 걸 보면 더더욱 이 병사들이 그리스도인일 수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또한 그 병사들은 자신들을 기독교인이라고 칭하지도 않았는데 굳이 '기독교인인 우리는'이라 억지표현을 집어넣은 것 자체가 시오노 자신의 결론에 억지로 끼워맞추기 위해서라는 합리적 의심을 할 수 밖에 없는 부분이다. 또한 단순히 강탈하지 말고 고발하지 말고 받은 급료로 족하라는 본래 내용을, 자기 임의대로 '군사행동을 하더라도', '군대 안에서의 승진도'라는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는 표현을 첨가하여 이 역시 성경 내용을 왜곡하는 모습까지 보이고 있다.

로마 '정치사 부분'의 서술에 있어 시오노가 그나마 견지하려고 한 '정확한 사료참고'의 태도가 유독 기독교 서술 부분에서는 이렇듯 전혀 보이지 않거나 매우 허술한 경우들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성경 왜곡은 다음 내용에서 극치에 이른다.
인간의 몸에도 많은 부분이 있어서 각기 다른 기능을 하고 있듯이,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라 살아가는 우리 공동체도 제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바지하는 많은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인 이상 타고난 능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정을 잘 하는 사람은 행정관, 가르치는 일을 잘 하는 사람은 교사, 설교를 잘 하는 사람은 설교사를 하면 된다.(제12권 410~411p)
초기 기독교인들도 얼마든지 로마제국의 공직에 취임할 수 있었을 거란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하기 위해 내세운 내용인데, 저 부분은 로마서 12장 내용의 일부이다.
"우리가 한 몸 안에 많은 지체를 가지고 있지만 그 지체가 모두 같은 기능을 하고 있지 않듯이, 우리도 수가 많지만 그리스도 안에 한 몸을 이루면서 서로서로 지체가 됩니다. 우리는 저마다 하느님께서 베푸신 은총에 따라 서로 다른 은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이 예언이면 믿음에 맞게 예언하고, 봉사면 봉사하는 데에 써야 합니다. 그리고 가르치는 사람이면 가르치는 일에, 권면하는 사람이면 권면하는 일에 힘쓰고, 나누어 주는 사람이면 순수한 마음으로, 지도하는 사람이면 열성으로, 자비를 베푸는 사람이면 기쁜 마음으로 해야 합니다."(로마서 12장 4~8절)

로마서의 해당 부분은, 로마 제국 신민으로서의 (로마 사회 내에서의) 여러 역할을 기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교회 내에서 각기 다른 은사를 받은 신도들이 자기들이 받은 능력대로 교회 내에서 수행할 여러가지 다양한 내부적 역할들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내용이다. 하지만 시오노는 해당 내용에 대한 이해가 완전히 결여된 상태로 (로마 제국의)'행정관'이라는 완전히 엉뚱한 표현으로 왜곡해 자기 주장을 성립시키는 데 이용하고 있다. 실제로 성경의 해당 내용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는 상당수의 사람들은 저러한 서술들이 왜곡이라는 것을 제대로 인지하지도 못하고 속아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해당 성경 내용의 기본적 인용이나, 의미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시오노가 서술한 기독교 관련 파트가 신뢰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것은 이런 부분들을 보아도 명백하다고 할 수 있다.

사료위조를 저지른 적도 있다. 자신이 창작해 낸 사료를 학회지에 실었다. 물론 이게 문제가 되기 전에 그게 가짜라는 걸 다시 알린 것으로 보아, 정말 위조사료로 뭔가를 얻어내려고 했다고 보기는 어렵고 단순한 장난이었다고 할 수도 있겠다. 출판사는 먹칠을 당하고, 학계가 치를 떠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사료 조작이 은밀한 즐거움이라고 말하고 다니기까지 하였다. 서울대학교 주경철 교수의 저서인 <테이레시아스의 역사>는 이걸 지적한다. 전문 학자들은 항상 새로운 내용, 남들이 연구한 적없는 새로운 주제를 찾아야 한다. 시오노가 다루는 카이사르, 안토니우스 같은 대중적으로도 유명한 고대 로마의 위인들은 역사학계가 건드리기도 이전 서양 대학들에선 대부분 아예 다른 고전학과로 딴집 차리고 있는 고전학자들이 수백년동안 빨아먹어서 이런거 가지고 남들이 몰랐던 새로운 지식을 발견, 논증해야 하는 전문 학계의 입장에서 다룰 이유도, 필요도 없는 주제들이다. 이래서 진짜 어지간한 1차 사료들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50년, 100년 전에 싸그리 흝어 먹어버린 경우가 대다수라 상당히 잘 알려져 있는 중세 이후 서양사에 대한 연구는 혹시나마 다른 학자들에게 공개된 적이 없는 영수증 하나라도 없나 하며 남의 개인집에 있는 창고와 조부모댁 유품 보여달라고 징징거린다. 해당 시대에 대해 조금이라도 전문적인 연구를 한 사람이면 동시대인들이 알고 있었을 만한 내용에 기반해 구라치는 건 일도 아니고, 그 중에서 조금만 더 깊게 파면 아예 언어학적 표현, 표기법까지 동시대 기준으로 맞추어 위조 사료 만드는 것 자체는 일도 아니다. 그러나 금방 들킨다. 탄소 연대측정기술같은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걸 일일히 찾아 보고 태클 걸어 줄 전문 학자들은 이탈리아, 스페인, 남프랑스, 발칸반도 현지에 직접 가서 자료 찾고 발굴할 예산을 타내는 데 바쁘다.

4.4. 정치적 성향과 역사관에 대한 비판[편집]

시오노의 책을 꼼꼼이 읽으면 그가 "체제보단 운영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바다의 도시 이야기나 로마인 이야기에서 종종 "오래 번영하는 국가는 개인에게 의존하기보다는 시스템에 의존하는 반 영웅주의의 국가"라고 말하긴 하는데, 로마인 이야기와 같은 그녀의 저서의 실제 서술 태도는 반대로 굉장히 영웅주의적이고 인물 중심적이다. 단순히 개인에 대한 호불호를 넘어 카이사르와 같은 특정 위인들을 통해 전체 역사를 해석하려고 시도하기도 하는데, 이는 알려지지 않은 대중들의 역사적 역할에 관심을 쏟고 있는 현대 역사학계의 경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또한 그녀가 갖고 있는 영웅주의적 사관이 결국은 파시즘과 유사한 사상으로 수렴한다. 파시즘과 같은 전체주의 사상은 필연적으로 독재로 수렴하게 되고, 독재는 특정인 1명에 의해서 정치가 이루어지는 만큼 그 1명의 영웅적인 카리스마나 능력에 의존하게 되기 때문이다.

제국주의적이라는 비판도 있다. 로마인 이야기 자체도 제국주의를 미화한다는 비판을 계속 받아 왔다. 그의 저서에는 로마인이 "진출"하면서 저지른 여러 잔혹행위들이 거의 묘사되지 않는다. "문명화"된 로마인이 저지른 주민학살이나 인질포획, 노예화와 같은 잔인함은 야만족과 별반 다를바 없었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해서 아사히신문과 인터뷰한 적이 있었다. 시오노는 "돈이 없으면 원전 폐쇄도, 대체에너지 개발 등의 대비책도 마련할 수 없다. 사고 이후 원전 가동 중지에 들어간 이탈리아는 프랑스로부터 전력을 사와야 해서 전기료가 상승했고, 경쟁력이 떨어졌다."며 원전 재가동을 주장했다.

'로마인과 일본인의 비슷한 점'이라는 내용의 글을 읽으면, 더더욱 충격과 공포가 배가 된다. 정확히 말하자면 일본이 로마 제국에게서 배워야 한다는 것인데, 사실 이 글은 일본 잡지사 기자가 굳이 시오노에게 "일본인과 로마인의 비슷한 점을 설명해 주세요!!"라는 병맛 넘치는 질문을 해서 억지로 대답한 것에 가까워서 무작정 비난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사료가 없어서 상상력을 넣어"라는 문장을 항상 넣으므로 오해하지 말자.

그는 일본의 과거사와 관련해 "조상과 후손은 별개"라는 주장을 한다. 그래서 "일제에 점령당한 35년이란 상처가 한국인에겐 매우 큽니다." 라는 질문에도 "한국이 역사 문제를 말할 때, 지금의 일본인은 전쟁을 이끌었던 당사자가 아니라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일본이 전쟁에 진 것은 제가 초등학생이던 시절입니다. 누군가 제게 전쟁 책임을 묻는다면 저도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그때 내가 뭘 할 수 있었을까. 지금 살아있는 일본인 대부분이 비슷한 처지 아닐까요?"라고 답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과거 일본의 전쟁 책임이나 식민지기에 있었던 인권탄압 등에 대한 책임을 흐리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이런 것들과, 로마인 이야기 등과 같은 책을 보면 로마나 베네치아 공화국 등 자신이 좋아하는 나라에 대해 찬양하는 것으로 보아 서양 강대국을 맹목적으로 미화하는 옥시덴탈리즘 지지자이자, 어느 정도 국까에 가까운 우익인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의미로 골때리는 우익

4.5. 위안부 관련 발언[편집]

"누가 위안부(慰安婦)라는 명칭을 붙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참 상냥한 이름을 붙였다"
"위안이라는 단어는 고통을 위로한다는 의미이며 종군 위안부라는 단어를 다른 언어에서 찾아봤지만 없었고 그래서 영어로 번역하면 섹스 슬레이브(성 노예)가 된다"
"전쟁터는 인간에게 극도의 긴장을 강요한다, 하루가 끝난 후에 체온을 느낄 수 있는 위안부에게 가서, 그녀의 가슴에 얼굴을 파묻고 울어버리기만 한 젊은 병사들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도 한다"

2014년 9월 우익성향 월간지 문예춘추에서 일본군이 일본군 위안부를 강제연행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글.(2018 8월 현재 삭제 됨. 같은 내용을 다루는 다른 링크 요망.)을 기고[23]했는데 위안부 피해자가 강제로 연행된 것에 대해 "인간은 부끄럽거나 나쁜 일을 했다고 느끼는 경우에 강제적으로 어쩔 수 없이 했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스스로 반복해서 말하다 보면 스스로 믿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한국의 위안부 관련에는 모르쇠 하면서 네덜란드 여성들을 강제로 성노예를 시킨 스마랑 강간 사건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가 "조속히 손을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후기를 보면 문제의 기고문이 탈아입구에 근거한 서양인들 눈치보기에 가까운 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오노 나나미 "네덜란드여성 위안부 동원 빨리 손써야" 시오노 나나미 "네덜란드여성 위안부 동원 빨리 손써야"

또한 ‘분케이 슌슈’(文藝春秋)에 기고한 글에 "누가 위안부(慰安婦)라는 명칭을 붙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참 상냥한 이름을 붙였다"면서 "위안이라는 단어는 고통을 위로한다는 의미이며, 종군[24] 위안부라는 단어를 다른 언어에서 찾아봤지만 없었고, 그래서 영어로 번역하면 섹스 슬레이브(성 노예)가 된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그녀의 말은 위안부를 인정하고 사과하고자 한 발언이 아닌, 모호하게 일본군의 만행을 부정하는 말이다. 또한 시오노 나나미는 "전쟁터는 인간에게 극도의 긴장을 강요한다. 하루가 끝난 후에 체온을 느낄 수 있는 위안부에게 가서, 그녀의 가슴에 얼굴을 파묻고 울어버리기만 한 젊은 병사들도 있지 않았을까"라고 말했다.관련기사 하지만 일본군은 위안부 피해 여성들에게 공연히 화풀이를 할 목적으로 손찌검을 하거나 담뱃불로 몸을 지지고.[25] 전쟁에서 패하면 황군(皇軍)의 수치를 알려선 안 된다고 위안부를 죽였다.[관련자료]. 또한 이 발언에서 '위안[27]'이라는 단어를 번역 문제로 돌리고 있지만, 굳이 '위안'이라는 단어에 맞춰서 번역하자고 하면 'solace', 'relaxation' 등으로 쉽게 번역할 수 있다. 종군위안부를 '섹스 슬레이브'로 번역하는 것은 바로 저렇게 시오노 나나미가 하는 로망스 사관처럼 미화된 단어로 실태를 모호하게 만드는 것을 막기 위해서 그 실태에 맞춰 정확한 명칭을 붙이려는 뜻에서 일부러 단어를 적나라하게 하는 것이다.

과거사 문제를 재판에 빗대서 중국과 한국은 원고로 일본은 피고로 비유하며 원고 측(한국과 중국)은 탁자를 치며 목소리를 높이는 전법을 잘 쓰는 데다, 피고 측은 유능한 변호인을 기대하기 어려워서 피고측인 일본은 침묵해버리기 쉽고 침묵하고 있으려면 증거를 통해 자신들의 무죄를 입증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20세기 전반부터 50년간 일본의 모든 공문서를 모아 공개하고 영어 번역문도 만든 뒤 이에 대한 판단은 제3자에 맡기자고 했다.

그 뒤 '아시아역사자료센터'라는 곳이 공문서를 수집하고 있다면서 "이런 센터를 통해 '일본은 역사를 마주 보지 않는다'는 비난에 대응할 수 있다"고 했다. 그녀는 센터에 대한 정부 지원금을 10배 늘리자면서 "공문서를 데이터화하는 데 20년이 걸리기 때문에 그동안 자기비판이나 사죄를 유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산을 10배 더 지원하는 건 싸다"는 결론을 내렸다.#

기존 저작들의 탐미주의적, 제국주의 옹호적, 영웅주의적 성향 때문에 상당수의 독자들은 "'그럴 줄 알았다"'는 반응이다.

5. 취향(?)[편집]

로마 제국과 관련되지 않은 시오노의 다른 책, 에세이 등을 읽다보면 그녀가 얼마나 외면의 아름다움, 즉 육체의 아름다움에 집착하는지 알 수 있다. 1900~1950년대를 주름잡은 할리우드의 미남미녀 배우들에 대해서는 온갖 찬사를 던지다가도 잭 니콜슨더스틴 호프먼로버트 드니로는 극딜한다. 온갖 이유를 다 대는데 잘 들어보면 그냥 아, 못생긴 것들 나오니 짜증나. 내가 저걸 왜 봐야 함? 이 한 마디 뿐이다. 메릴 스트립도 비슷한 이유로 비난한다. 좀 더 자세히 적으면 1950년대 이전의 영화를 보면 현실의 고단함을 잊을 수 있는데, 리얼리즘의 시대로 접어들며, 그리고 니콜슨과 호프먼, 드니로의 전성기가 시작되며 영화 속에서 현실과 똑같은 피로함을 느끼게 된다며 저 셋을 싫어한다. 물론 저 3명이 연기 잘하는 건 인정하지만 '현실과 똑같은 연기를 한다고 그게 연기를 잘하는 걸까?'라며 딴지를 걸고 넘어진다. 이 에세이는 메릴 스트립을 향해 '그렇게 슬픈 표정 짓지 마세요. 당신이 세상의 모든 슬픔을 다 알고 있나요?'라는 어이상실의 말을 날리며 끝맺는다.

시오노가 외모가 아닌 육체의 아름다움에 끌린다고 한 이유는 운동선수도 또 엄청나게 좋아하기 때문이다. 특히 매직 존슨래리 버드마이클 조던을 비교한 글을 보면 앞선 세 배우를 극딜한 것과 반대로 세 선수 모두를 엄청나게 찬양한다. 패배한 날에는 '내가 내일 자네들에게 승리를 보여주겠어'라고 말한 뒤 반드시 이겼다는 일화를 이야기하며, '리더는 이래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절정은 마이클 조던이다. 조던에 대해서는 특유의 운동 능력을 찬양하며 '적진을 향해 돌격하는 젊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떠오른다', '인간 육체 본연의 아름다움' 등 시오노가 쓸 수 있는 가장 큰 찬사를 바친다. 여기에는 육상선수인 칼 루이스도 포함된다.

이탈리아에 오래 거주하다 보니 엄청난 축빠이기도 한데, 축구에 많이 식견이 있다기보다는 그냥 좋아하는 선수 중심의 얼빠. 물론, 식견이 있든 선수만 좋아하든 본인 마음이지만 아무래도 시오노는 그간 육체의 아름다움에 집착하는 성향을 많이 드러냈고 이런 성향이 축덕질에서도 그대로 나오는지라 곱게 보지 않는 사람이 많다.

가장 좋아하는 선수는 즈보니미르 보반로베르토 만치니가브리엘 바티스투타지네딘 지단루이스 피구데니스 베르캄프 등 좋아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 대단하다. 다음은 선수에 대한 평이다.[28]
바티스투타: "한 번이라도 좋으니 카메라맨으로라도 분장해, 골 바로 뒤에서 바티스투타의 슈팅 모습을 보고 싶어요. 이 천성의 스트라이커의 발에서 튀어나가는 슈팅의 위력을, 골키퍼와 거의 같은 위치에서 맛보고 싶은 거예요. 막무가내로 강력히 밀고 들어오는 느낌이 들 것이 틀림없을 테니까."
지단: "프랑스의 10번이 델 피에로였다면, 프랑스는 이기지 못했어요. 한편, 이탈리아의 10번이 지단이었다면, 이탈리아는 챔피언이 되어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면 대답이 되지 않나요? 지단이 말하는 것을 듣고 있으면, 이런 남자와 결혼하면 여자는 행복해진다는 생각을 다하게 돼요. 부드러운 유머, 축구를 직업으로 삼는 데 대한 마음가짐의 확실함, 무대가 크면 클수록 더욱 발휘되는 승부 배짱. 미남이 아니건 머리가 벗어졌건 알 바 아니라는 느낌마저 들거든요. 고대 로마의 장군이라면, 서슴없이 그를 백인대장에 임명했을 겁니다."[29]
루이스 피구: "포르투갈 팀의 약진상은 나를 매우 행복하게 만들었어요. 첫째, 피오렌티나에서 플레이하고 있는 루이 코스타의 차분한 멋이 못 견디게 좋아요. 게다가 피구 선수는 그 생김새부터가 '사나이'거든요. 그래서 보고 있으면 기분이 좋아요."

반면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서슴없이 디스하는데, "나의 위대한 이탈리아가 이럴 리가 없어!" 수준이다.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에 대해서는 "소심하고 모국어조차 제대로 못하는 저능아"라고 비난했다.[30] 프란체스코 토티 역시 "지능 수준이 의심가며, 유로2000에서 고작 1골 넣은 걸로 거만해하는 어린애"라고 깠다. "이러한 어린애들이 이끄는 이탈리아 축구팀은 절대 승리할 수 없다"고 깠는데, 결과론적으로 그들의 대활약으로 이탈리아는 독일 월드컵에서 우승했다.

시오노는 뭘 하던 그 주제 자체를 진지하게 조명하는게 아니라 자신이 가진 파시즘적 싸구려 영웅주의에 기반한 뒤틀린 미학의 소품정도로 다룬다는 비판을 듣는다. 비평가이자 학자 에드워드 사이드가 대표작 오리엔탈리즘에서 "오리엔탈리즘을 재생산한 서구 지식인들은 중동을 진지하게 그 자체만으로서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과 선입견을 재생산하는 목적으로 다루어 왔다"며 언급한 문헌적 태도[31]로 볼 수 있다.

6. 그 외[편집]

시오노의 책이 인기를 얻은 것에는 번역자 김석희의 공로가 크다. 실제로 김석희 번역이 아닌 작품들은 번역이 되었는지도 모를 정도로 시장에서 참패했다. 이는 시오노 팬들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로마인 이야기의 경우, 김석희 씨가 시오노의 동의를 얻어 문장 구조를 완전히 뜯어 고쳤다고 한다.

특히 전쟁 3부작의 경우, 소설이기 때문에 역사는 잠깐 제쳐두고 읽을 수 있다. 다만 시오노의 책을 읽을 때에는 그 기반에 깔린 생각을 염두에 두면서 읽을 것.

시오노는 정규 훈련을 받은 역사가가 아니고, 그녀의 아마추어 에세이 책을 역사로 읽는다는 것은 역사공부에는 그닥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시오노는 자신의 글에서, 그것이 역사서로 기능하기 위한 최소한의 고민도 하지 않는다고 스스로 밝히고 있는 소설가인 것이다. 그런데 자기 입으로 그렇게 말해 놓고서도 소설이 아니라 역사서인 척하는 책을 쓰고 있어 비판받는다. 아무리 제대로 된 역사서가 아니라고 밝히고 있더라도, 어느 정도 학계의 연구에 의해 명확히 밝혀진 사실조차 무시&왜곡하면서 자신의 정치적 스탠스를 표현하는 책이 시오노의 저작들이다. 게다가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할 때는 당당하게 사실인 양 이런저런 사례를 끌어 모으다가, 역사적 사실에 대해 지적을 받으면 '픽션이니까'라면서 면피하는 자세를 취하는 경우도 많다. '허구의 이야기'로써 기승전결 구조를 갖추고 있다면, 그 글은 외형상의 형식과는 무관하게 소설에 해당한다. 즉, 소설은 기행문, 서간문, 일기의 형태로 쓰여질 수도 있고, 논문이나 보고서 형태로 쓰여질수도 있다. 즉, 시오노가 역사서와 유사한 형식으로 소설을 쓰는 것 자체는 비난받을 만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일단은 "소설인 시오노의 책을 역사서를 보는 관점으로 평가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하지만 실제 역사에 작가의 상상을 덧붙이는 건 소설이니 그럴 수 있다 쳐도, 자기 최애캐는 신격화하고 마음에 안 드는 건 별다른 근거도 없이 악의적으로 깎아내리는 행위나 제국주의 옹호 등을 "소설이기 때문에 비난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에는 무리가 있다. 저런 짓은 진짜 동인지에서 해도 비판받는다.

하지만 흥미진진하게 서술하는 능력은 뛰어나므로, 시오노 의 저서는 어느 정도 역사에 관심이 있으나 잘 모르는 초보에게 있어 읽기 쉬운 입문서가 되기도 한다. 물론 바람직한 입문서인지는... 먼나라 이웃나라가 많은 역덕들을 유럽사로 이끌었듯이. 하지만 제대로 된 서양사에 대한 지식을 쌓고 싶다면 시오노의 책으로 공부하는 것은 위험하며, 대학 교수와 같은 역사학자들이 서술한 저서를 읽는 것이 좋다. 둘 다 읽으면서 시오노가 어떤 부분에서 이상하게 서술했는지 발견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전공자보다는 "전공자가 혹여 뭔가 놓치고 넘어간게 있나?" 하는 의문으로 보면 그나마 좀 말이 되는 얘기도 없진 않다. 논란거리 중 여러 주장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것일 뿐이란 의견도 일리는 있지만,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의 나름 찌질했던 인격을 생생하게 복원해낸 건 그럭저럭 봐줄만하다.

신동아 2007년 5월호 인터뷰에 따르면, "이탈리아 주재 일본 대사관에서 '내일 도쿄에서 유명 대학교수들이 온다'며 만찬에 와달라는 연락을 받았다가 곧 그 교수들이 저와 동석하기 싫다고 했다는 연락을 받거나, 마키아벨리 전집에 발문을 써달라고 연락이 왔는데, 좀 지나니 번역자가 시오노의 발문은 싫다고 했다.[32] 얘길 들을 때 어땠겠습니까. 그런 일은 수시로 일어났습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일본 학계에서도 좋은 평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교차 검증이 일반화되지 않았고 폐쇄적인 학계 권력이 강했던 시절 저질렀던 표절을 비롯한 세부적인 지적 불투명성, 카르텔화된 학계 권력 같은 비판이야 사실 한국을 비롯해 어느 나라 사학계를 상대로도 할 수 있는 말이고, 이런 점을 떼어놓고 보면 일본 사학계는 아시아에선 여전히 독보적으로 세계적 권위를 가진 학계이다. 서양 내의 동양사 연구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일본사 자체의 볼륨과 심도는 말할 필요도 없고, 일본사가 아닌 외국의 역사를 공부하는 일본인 학자들을 기준으로 봐도 러시아 혁명사의 거장 하세가와 쓰요시, 근세 유럽-중동간 문명 교류 연구로 명망 높은 다케다 준코, 남아시아사의 권위자 카라시마 노보루 같은 세계사적 관점에서 일본 외의 주제를 다루면서도 전 세계적 권위와 명성이 있는 학자들의 아웃풋으로 따지면 여전히 한국이나 중국에 비해 확실하게 우위일 만큼 일본 사학계는 권위나, 업적이나, 프라이드나 높은 편인데 학자면 다 거기서 거긴줄 아는 어떤 멍청한 윗사람이 돈 좀 만져본 동인지 작가를 동석시키려고 하니 일본 학자들도 실소 밖에 안나오는게 지극히 당연하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