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국의 위안부
서문
식민지의 아이러니
다시 '생산적인 논의'를 위하여
제 1부: '위안부'란 누구인가 - 국가의 관리, 업자의 가담
제 1장: '강제연행'과 '국민동원'의 차이
1. 죄와 범죄
2. '위안부'의 전신 '가라유키상' - 국가의 세력 확장과 이동하는 여자들
유괴범들과 일본의 소녀들
조선인의 가담 - 인신매매와 성매매
공창과 사창 - 여러 종류의 위안소들
3. 우리 안의 협력자들
4. '강제로 모집된' 정신대
5. '소녀 20만'의 기억
제 2장: 위안소에서 - 풍화되는 기억들
1. 일본군과 '조선인 위안부' - 지옥 속의 평화, 군수품으로서의 동지
위안부의 역할
사랑과 평화
또 하나의 일본군 - 수치와 연민
관리자로서의 일본군
병사와 위안부
망각되는 기억들
2. 전쟁터의 포주들
종군하는 업자들
강제 노동과 착취
감시.폭행.중절
제국의 위안부
제 3장: 패전 직후 - '조선인 위안부의 귀환'
1. '일본인'에서 '조선인'으로
2. 극한상황 속에서
제 2부: 기억의 투쟁 - 다시, '조선인 위안부'는 누구인가
제 1장: 지원단체의 '위안부' 설명
1. 근본적인 오해
2. 정보 은폐와 '공적 기억' 만들기
3. 억압으로서의 '성노예'상
4. 박문관의 '위안부'
5. 소거되는 기억들
제 4장: 일본인 지원자들의 문제
제 5장: 일본인의 부정의 심리와 식민지 인식
1. '조선인 위안부'란 누구인가 - 소설 '메뚜기'의 위안부
2. 관여 주체는 누구인가
3. 그들만의 '법'
4. '애국'하는 위안부
'자발성'의 구조
'적극성'의 배경
'과거'를 생각하는 의미
제 3부: 냉전 종식과 위안부 문제
제 1장: 해석의 정치학 - '사죄와 보상'을 둘러싼 갈등
1. '위안부 문제'의 발생과 경과
2. '고노 담화'와 강제성
3. 여야가 합의한 아시아여성기금
4. '사죄수단'으로서의 기금
5. '위로금'인가 '속죄금'인가
6. 위안부/지원단체의 분열과 당사자우의의 모순
제 2장: 정치화된 일본의 지원운동
제 3장: 한국 지원운동의 모순
1. 서울 정대협 운동의 공과
'위안부'가 없는 '위안부 소녀상' - 정대협의 힘과 민족 권력
2. 서울 정대협의 요구를 다시 생각한다
죄인가 범죄인가 - '공식 사죄'와 '법적 책임'
3.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읽는다.
피해자들의 생각과 한일협정
한일협정의 논의
한일합방조약의 구속
제국의 냉전시대의 한계
위안부에 대한 이해
제 4장: 세계의 생각을 생각한다
제 5장: 일본 정부에 기대한다 - 새로운 조치에 나서야 할 세 가지 이유
제 4부: 제국과 냉전을 넘어서
부록1: 위안부 문제, 다시 생각해야 하는 이유
1. 들리지 않았던 목소리들
2. 조선인 위안부와 법
3. 일본의 부정의 문제
4. 한국의 운동 방식의 결과
5. 말할 수 없는 구조를 넘어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