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25

알라딘: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알라딘: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 ‘독립’으로 가는 험난한 길   
정영환 (지은이),임경화 (옮긴이)푸른역사2019-08-29


 미리보기
정가38,000원
--
624쪽
책소개

재일조선인 3세 역사학자 정영환이 2013년에 일본에서 출간한 《朝鮮独立への隘路: 在日朝鮮人の解放五年史》를 번역한 것으로, 1945년 해방의 날로부터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전까지 한반도로 귀환하지 못하고 일본에 남을 수밖에 없었던 조선인들이 생존을 위해 몸부림쳐야 했던 해방 5년의 역사를, 실로 방대한 자료를 구사하며 다각도로 분석했다.

이 책에서는 재일조선인들이 이에 맞서 조련을 중심으로 거주권과 생활권 옹호를 위한 운동을 전개해 나갔으며, 그것은 중앙은 물론 지방, 심지어 도서지역인 쓰시마에까지 미쳤음을 밝혀낸다. 그들은 전국에 초중등교육기관 및 활동가 양성을 위한 고등학원, 청년학원을 설립하고 일본공산당을 포함한 일본의 진보진영의 지지를 끌어내기도 했다. 더욱이 이 책에서는 운동조직과 민중을 잇는 젊은 활동가(일꾼)들을 소개하며 운동을 입체화시켜간다.

또한 재일조선인들이 숙명적으로 짊어진 조국에의 공헌과 외국인으로서의 권리획득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둘러싼 내부 논쟁도 이때부터 이미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재일조선인 2세의 의식이나 젠더 문제 등도 다루어졌다. 또한 일본의 전쟁책임을 추궁하는 ‘도쿄재판’을 둘러싸고 재일조선인들이 전쟁책임론을 식민지 지배 책임론과 관련시키고자 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아시아의 동시대 식민지 해방의 움직임에 강한 관심을 표했다는 논의는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
목차
추천의 글
한국어판 서문

한국어판 특별 보론|해방 전 재일조선인사
1. 조선인의 도일과 정착(19세기 말~1920년대 전반)
2. 재일조선인 사회의 형성(1920년대~1930년대)
3. 전시체제와 재일조선인(1930년대 후반~1940년대 전반)

서장|해방 전후의 재일조선인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문제의 소재
2. 시각과 과제
3. 선행연구
4. 이 책의 구성

제1장|해방과 자치
1. 재일본조선인연맹의 결성과 조련 자치대
2. 조련 자치대와 일본의 경찰권
3. ‘자치’와 분단: 쓰치우라土浦 사건

제2장|귀환, 송환, 거주권
1. 귀환의 송환화
2. 거주권의 위기: 생활권 옹호투쟁과 12월사건

제3장|외국인 등록령과 조선인단체
1. 외국인 등록령 공포公布와 재일조선인단체
2. 교섭에서 투쟁으로: 1947년 7월
3. 외국인 등록 실시: 1947년 8월 이후
4. 외국인 등록의 기반 정비: 등록 실시 후의 내무성 조사국

제4장|조국 건설의 일꾼
1. 새 활동가의 탄생
2. 활동가들의 세계

제5장|‘이중의 과제’와 재일조선인운동
1. 조선독립 문제와 일본의 민주화
2. 민족인가 계급인가
3. 재일조선인의 참정권을 둘러싸고
4. 남북 분단과 백무 서기장의 파면 문제

제6장|남북 분단과 민족교육
1. 조선학교폐쇄령과 민족교육 옹호투쟁
2. 남조선 단독선거와 건청 효고

제7장|‘조국과의 직결’과 일본의 민주화
1. ‘정당한 외국인 대우’란 무엇인가
2. ‘조국과의 직결’이 의미하는 것

제8장|조련과 민청의 해산
1. 패전 후 일본의 단체 규제와 조선인단체
2. 조련 해산론의 등장
3. 특별심사국의 ‘방침 전환’과 조련?민청 해산
4. 해산과 그 영향

제9장|외국인 등록체제의 형성
1. 외국인 등록령 개정
2. 재외국민등록과 외국인 등록

종장|조선 독립으로 가는 험한 길
1. 봉쇄된 ‘해방’: 조선인 지배의 재편
2. 새로운 ‘전시’로: 분단과 외국인 등록체제의 성립

보론 1. 전쟁 책임과 식민지 지배 책임, 재일조선인은 어떻게 보았나
: 도쿄재판과 반민특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1. 문제의 소재: ‘식민지 책임론’의 부재?
2. 재일조선인운동의 ‘전쟁범죄인’ 추궁과 ‘친일파’ 문제
3. 전범재판을 둘러싼 재일조선인의 논설
4. 세계사적인 ‘식민지 책임론’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보론 2. 쓰시마 거류 조선인의 ‘해방 5년사’
: 재일본조선인연맹 쓰시마 도본부를 중심으로
1. 쓰시마 조선인들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나
2. 패전 후 쓰시마의 ‘밀항’ 경비체제
3. 재일본조선인연맹 쓰시마 도본부의 조직과 활동
4. 남북 분단과 쓰시마의 조선인 사회
5. 잊혀진 ‘국경의 섬’의 해방 공간

저자 후기
옮긴이 후기
관련 연표
본문 출처
도판 출처
주석
참고문헌
====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우선 조선인의 도일이 언제 시작되었는지를 확인해두자.
P. 72 재일조선인의 ‘해방 5년사’에서 전개된 운동이란, 1920년대 전반과 후반에 활동에 참가한 사람들(김천해, 박열, 백무, 김두용 등)을 최고참 리더로 앉히고 1930년대 일본공산당 시절에 노동운동, 소비조합운동 혹은 ‘융화단체’나 생활 상호부조단체 활동에 관여한 사람들이 기반이 되어 10대부터 20대 청년들이 말단에서 뒷받침하는 가운데 전개되어갔던 것이다.  접기
P. 86 재일조선인이란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 과정에서 일본으로 도항할 수밖에 없거나 강제 연행된 사람들인데 …… 해방 후에도 계속해서 일본에 살게 된 이 사람들의 국적, 출입국관리령의 적용과 재류권, 교육 그리고 영주권의 범위 등을 둘러싸고 한일 양 정부는 10년 이상이나 교섭을 계속했다. 즉 ‘재일조선인 문제’는 1965년에 한일기본조약과 관련한 여러 협정이 조인될 때까지 계속해서 한일 간의 중요한 의제 중 하나였다.  접기
P. 105 ‘내지’에 존재했던 다수의 조선인은 조선으로 귀환하고자 했다. 조선인 민족조직이 일본 각지에서 조선 귀환이나 미지불 임금 쟁의를 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자, 이들을 규합하여 45년 10월 15일 조련 창립 전국대회가 개최되었다. 그리고 46년 1월 7일까지 오키나와를 제외한 모든 도도부현에 지방 본부가 설치되었다. 조련은 당초 조득성趙得聖을 위원장으로 하여 45년 9월경부터 “잔류 희망자의 취직 알선, 귀국자의 수속” 등의 활동을 시작했다.  접기
P. 130 건청은 45년 9월 10일에 결성되었다. …… 쓰보이가 옳다고 한다면, 건청은 공산주의자뿐만 아니라 초기 협화회 계열 인맥을 포함한 조련에 대한 반발로 결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 그 해 11월 17일에 다시 건청 재결성대회를 열어 홍현기洪賢基를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건청은 “완전한 자주독립국가의 급속 실현”, “민주주의국가의 실현”, “민족문화의 영원한 발달”, “청년건설대의 편성”, “향락적 생활의 배격과 근로정신의 배양”을 강령으로 내걸었다.  접기
P. 159 46년 봄 이후에 데이비드 콘데David W. Conde가 ‘반反조선인 히스테리’라 불렀던 대대적인 반反밀항 캠페인이 시작된다. 그 최대의 것이 8월 17일 중의원 본회의에서의 진보당 국회의원 시쿠마 사부로椎熊三?의 연설이다. 시쿠마는 조선인 밀항자 중에는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 등의 보균자가 다수 있으며”, “일본 암거래의 근원은 바로 오늘날 이러한 불령한 조선인들이 중심”이며 “500억을 넘는 일본의 신엔新円의 3분의 1은 아마도 그들의 손에 장악되어 있다”고 단언했다.  접기
=====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문화일보 
 -  문화일보 2019년 9월 5일자
한국일보 
 - 한국일보 2019년 9월 5일자 '새책'
경향신문 
 - 경향신문 2019년 9월 6일자 '책과 삶'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9년 9월 7일자 '새로 나왔어요'
조선일보 
 - 조선일보 2019년 9월 7일자 '북카페'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9년 9월 20일 학술 새책
======
저자 및 역자소개
정영환 (鄭榮桓) (지은이) 
1980년 일본 지바 현에서 태어났으며 재일조선인 3세다. 히토쓰바시一橋 대학대학원 사회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사회학 박사). 리쓰메이칸立命館 대학 코리아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메이지가쿠인明治學院 대학 교양교육센터 준교수다. 전공은 역사학, 조선근현대사, 재일조선인사다. 지은 책으로 《‘독립’으로의 험한 길: 재일조선인 해방 5년사朝鮮獨立への隘路─在日朝鮮人の解放五年史》(2013), 《식민지 조선: 그 현실과 해방으로의 길植民地朝鮮─その現實と解放への道》(공저, 2011) 등이 있다.

최근작 :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 총 2종 (모두보기)
임경화 (옮긴이) 
중앙대.한국외대 접경인문학 HK+ 연구단 연구교수.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를 졸업했다(문학박사). 전공은 한일비교문학, 일본 마이너리티 연구, 코리안 디아스포라 비교 연구다. 지은 책으로 《두 번째 전후: 1960~1970년대 아시아와 마주친 일본》(공저, 2017), 《1905년 러시아혁명과 동아시아 3국의 반응》(공저, 2017)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나의 1960년대: 도쿄대 전공투 운동의 나날과 근대 일본 과학기술사의 민낯》(2017), 《나는 사회주의자다: 동 아시아 사회주의의 기원, 고토쿠 슈스이 선집》(2011)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탈분단의 길>,<분단생태계와 통일의 교량자들>,<일본 신민족주의 전환기에 『국체의 본의』를 읽다> … 총 16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우리가 알아야 할 한국 현대사의 ‘아픈 손가락’
60만 재일조선인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

이 책은 재일조선인 3세 역사학자 정영환이 2013년에 일본에서 출간한 《朝鮮独立への隘路: 在日朝鮮人の解放五年史》(法政大学出版局, 2013)를 번역한 것이다. 지은이는 1945년 해방의 날로부터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전까지 한반도로 귀환하지 못하고 일본에 남을 수밖에 없었던 조선인들이 생존을 위해 몸부림쳐야 했던 해방 5년의 역사를, 실로 방대한 자료를 구사하며 다각도로 분석했다.

‘민족사’ 서술을 시도한 값진 역작

일제강점기 고향을 등져야 했던 수많은 재일조선인은 우리 민족의 ‘아픈 손가락’이자, 그들의 활동은 한국 현대사의 ‘빈 틈’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90년대 이전 한국사회에서 재일조선인의 존재는 분단의 상흔을 드러내거나 또는 독재정권이 분단체제의 유지를 위해 활용되는 ‘희생양’으로만 조명을 받았다. 사실, 그간 우리 사회나 학계는 일제 패망 이후의 재일조선인을 마치 그 이전에 아무런 전사前史나 역사적 배경도 가지지 않은 일군의 사람들로, 또는 전후 처리 ‘문제’의 일환이나 전후 처리의 대상으로 다루는 경향이 짙었다.
이 책은 이 같은 시각을 거부한다. 대신 재일조선인은 ‘문제’로 취급될 대상이 아니라 독립을 향한 험난한 길을 뚜벅뚜벅 걸어온 역사의 ‘주체’였다는 치밀하게 입증해낸다. 그러면서 과연 재인조선인은 일제 패망으로 ‘해방’되었는지, 식민주의는 현재진행형인지를 엄중히 묻는다. 그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우리가, 국내 학계가 소홀히 해온 민족사로서의 재일조선인사를 천착한 이 책은 좀처럼 접하기 힘든 주제를 다뤘다는 점에서 그 존재만으로도 우리가 주목할 가치가 있다.

재일조선인의 해방 봉쇄와 지배체제 재편

이 책은 해방 직후에 결성된 재일본조선인연맹이 ‘외국인인 조선인의 공적 기관’을 자임하며 자치대를 조직하는 등의 자치활동을 전개한 것을 소개하며 전후 재일조선인운동사의 시작을 알린다. 하지만 연합국총사령부GHQ를 설득한 일본정부는 조선인을 ‘독립국민’ 혹은 ‘연합국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일본 경찰권의 통제를 받는 ‘신민=일본인’으로 간주하는 데 성공한다. 또한 미군정과 일본정부는 조선인의 거주권이 인정되는 귀환의 권리를 부정하고 민족단체의 영향을 배제하고 스스로가 수송계획을 주도하며 (일제시대와 다를 바 없는) 송환 문제로 바꾸어버렸다. 이와 같이 재일조선인의 자치권을 부정하고 치안 통제 대상으로 삼으려는 목적으로 1952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효 시까지 ‘재일조선인=일본인’을 관철시킨 일본정부는, 그 한편으로 1947년에는 외국인등록령을 실시하여 재일조선인에게 퇴거를 강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본서의 전반부에는 1945년에서 1947년까지 재일조선인의 해방이 급속히 봉쇄되어 가는 과정이 그려져 있다.
이 책에서는 재일조선인들이 이에 맞서 조련을 중심으로 거주권과 생활권 옹호를 위한 운동을 전개해 나갔으며, 그것은 중앙은 물론 지방, 심지어 도서지역인 쓰시마에까지 미쳤음을 밝혀낸다. 그들은 전국에 초중등교육기관 및 활동가(일꾼) 양성을 위한 고등학원, 청년학원을 설립하고 일본공산당을 포함한 일본의 진보진영의 지지를 끌어내기도 했다. 더욱이 이 책에서는 운동조직과 민중을 잇는 젊은 활동가(일꾼)들을 소개하며 운동을 입체화시켜간다. 또한 재일조선인들이 숙명적으로 짊어진 조국에의 공헌과 외국인으로서의 권리획득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둘러싼 내부 논쟁도 이때부터 이미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재일조선인 2세의 의식이나 젠더 문제 등도 다루어졌다. 또한 일본의 전쟁책임을 추궁하는 ‘도쿄재판’을 둘러싸고 재일조선인들이 전쟁책임론을 식민지 지배 책임론과 관련시키고자 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아시아의 동시대 식민지 해방의 움직임에 강한 관심을 표했다는 논의는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1948년부터 50년까지를 대상으로 한 후반부에서는 조선의 분단이 확정되고 새로운 전시로 돌진하면서 재일조선인이 외국인등록령체제로 편재되어 가는 과정을 밝힌다. 우선 GHQ와 일본의 공조에 의한 1948년의 민족교육에 대한 탄압이 한반도의 분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여 동아시아 지역질서 재편이라는 동시대성 속에 맥락화했다.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후에 조련은 ‘정당한 외국인’ 대우를 주장했고, 이에 대해 일본공산당의 비판을 받고 철회한다. 이후 일본공산당에 집단 입당하여 참정권 획득 요구 등을 통해 일본의 민주화에 기여하고자 했으며, 이것은 조국 방위를 위한 것이라고 논리가 관철되었다. 하지만 결국 1949년에는 조련과 그 관련 기관들이 해산되어 재일조선인은 공적 영역에서 배제된다. 이를 통해 전후 일본이 외국인등록체제를 완비하여 조선인 개인에 대한 직접 관리를 실현하며 일본 거주 조선인에 대한 지배체제 재편을 완료했다. 이로써 재일조선인들의 ‘독립’은 배반되고,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이후에는 실질적인 무국적 상태에 놓여 한미일 사이에서 당사자성을 부정당하고 ‘문제’로서 다루어지게 되었다는 것이 이 책의 요지이다.

방대하고 치밀한 사료 분석, 참신하고 개방적인 시각

이 책의 또 다른 미덕은 뛰어난 학문적 완성도이다. 이는 무엇보다 재일 역사가가 아니라면 입수하기 어려운 방대한 사료를 수집하고, 치밀하게 고증한 점으로 뒷받침된다. 추천의 글을 쓴 정용욱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는 “재일조선인 단체들이나 개인들이 생산한 각종 문서와 신문, 잡지 등을 발굴하고 정리한 데에 덧붙여 일본정부와 연합국 점령 당국의 문서는 물론 프랑게문고Prange Collection, 일본 지방자치체의 공문서 등 광범하고 다양한 문서를 발굴하고 구사했다”면서 이후 연구를 위한 사료적 토대의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한다.
또한 지은이는 기존 연구가 미처 주목하지 않았던 조선인 운동가(일꾼)에 대한 천착, 쓰시마의 사례를 통한 지방사 차원의 재일조선인 운동사 연구,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에 대한 재일조선인들의 인식과 반응 분석 등 전후 재일조선인사 연구는 물론 동시기 동아시아사의 구조와 성격 해명을 위해서 음미할 만한 여러 가지 참신한 접근을 시도한 점도 이 책의 미덕으로 꼽았다.

돋보이는 학문적 성실성

이 책의 원서는 2010년 지은이가 히토쓰바시대학에 제출한 박사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한데 한국어판을 내면서 지은이는 대대적인 수정, 보완을 했다. 해방 전의 재일조선인사를 개괄하는 ‘특별 보론’을 책머리에 싣고, 전범 처리를 위한 도쿄재판에 대한 조선인사회의 시각과 한국과 접한 ‘국경의 섬 쓰시마’에 거류하는 조선인의 ‘해방 5년사’를 다룬 논문 두 편을 말미에 첨부했다.
이는 사료의 추가나 추가적인 연구 성과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 지은이는 밝히는데, 결과적으로 조선인사의 거시적 조망과 미시적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단순한 번역서가 아니라 원서의 충실한 수정증보판이 되었다. 지은이의 학문적 열정과 성실성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한국의 기존 시각에서 본다면 이 책은 ‘조총련’의 전사前史 혹은 조총련계 재일조선인들의 해방 초기 운동사로 읽힐 수 있다. 재일조선인들의 해방 5년사가 민단이 아닌 ‘조총련’의 전신으로 일컬어지는 조련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각이야말로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냉전과 분단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고로 재단하는 전형이다.
일제 식민지배의 결과로 해방 이후에도 일본에 남겨진 이들이 점령군 측의 몰이해와 일본의 식민주의에 여전히 노출된 가운데, 남이냐 북이냐 선택을 강요받으면서 생존을 위해 투쟁해온 ‘경계인’들의 역사라고 보아야 마땅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지은이가 의도한 “동포가 읽을 만한” 역사이면서, 읽는 이들에게 민족사로서의 ‘한국 현대사’란 생각거리를 던지는 묵직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접기
====

리뷰쓰기
공감순 
     
[마이리뷰]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민족 전체의 현대사라는 맥락에서 재일조선인의 ‘해방‘ 후 5년사를 다룬 학술 역사서. 저자가 재일조선인이다. 많이 소개된 적 없는 내용이라 공부하는 자세로 읽었고 새로운 것들을 많이 알 수 있었다.
특히 재일조선인의 대표 단체 조련(총련의 전신 격)의 역사를 다뤘는데, 관헌 자료부터 운동 단체 및 개인 기록까지, 남북과 일본의 자료를 두루 살폈다. ‘팩트 선택 주의‘를 즐기는 <반일 종족주의>류와는 수준이 다르다. 운동사 측면에서 접근한 부분이 있다보니, 저자가 조심스럽게 주장을 전개한다는 인상도 받았다. 저자 주장 자체에 대한 내 생각은 아직 공부가 부족하여 제시 불가(7장이 특히 그랬다)ㅋ. 확실한 건 재일조선인들은 지극히 불리한 환경 속에서(한미일의 탄압)도 자기 자신이 선택한 길을 걸으며 ‘조국과의 직결‘을 끊임없이 시도했다. 그것이 ‘해방 민족‘의 권리와 의무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 정신이 지금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조련 해산이 패배가 아닌 역사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을 듯.
민족 역시 치열한 투쟁 속에서 구성되는 실체다. 일본에서 모진 탄압을 받으며 지금도 ‘해방‘을 위해 싸우는(조선학교 차별에 맞서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봐야 한다) 동포들에게는 그것이 더 선명하게 드러난다. 평화통일을 고민하는 이라면, 분단을 거부하기 때문에 ‘조선인‘의 정체성을 지켜가는 동포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민족은 남과 북 그리고 해외에 있다.
- 접기
ENergy flow 2019-10-02 공감(16) 댓글(0)
===
"조선인도 일본인도 아니었다"…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신간] 재일조선인 3세 역사학자 정영환 교수 저서 번역·출간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2019-09-15 07:00 송고
댓글
공유
===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뉴스1
재일조선인 3세 역사학자인 정영환 일본 메이지가쿠인(明治學院)대학 교수가 해방 이후부터 1950년 6·25전쟁 발발까지 재일조선인의 생존 과정을 추적했다.

저자는 재일한국인을 "조선사람도 일본사람도 아닌 '강제노동'에 종사할 수밖에 없었던 경계인"이라고 표현했다.

재일조선인은 1945년 해방 당시 197만여 명에 달했으나 5년 뒤인 1950년에는 54만여 명으로 급감했다. 이들은 일제 패망 이후에 미군정인 연합국 총사령부와 일본 정부로부터 탄압을 받았다.

연합국 총사령부(GHQ)는 재일조선인을 '독립 국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일본 경찰권의 통제를 받는 '신민=일본인'으로 간주하면서 권리마저 박탈했다.

GHQ는 재일조선인의 거주와 귀환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고 이들을 일제강점기처럼 '송환의 대상'으로 몰아갔다.

일본정부는 1947년 외국인등록령을 실시해 재일조선인의 퇴거를 강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

저자는 GHQ와 일본정부에 맞서는 재일조선인의 거주권 투쟁과 생활권 옹호를 위한 운동을 집중적으로 살핀다.

재일조선인은 일본 전국에서 활동가(일꾼)를 양성하기 위한 고등학원·청년학원을 설립하고 일본공산당을 포함한 진보진영의 지지도 끌어낸다.

이런 연구는 저자의 아픈 개인사와 맞물려 있다. 저자와 그의 아버지는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의 할아버지는 경남 고성에서 가난한 소작농의 아들로 살다가 돈 벌러 일본에 간 형을 찾아 어머니와 함께 도일했다.

책은 저자가 2010년 히토쓰바시대학에 제출한 박사학위 논문이 바탕이다. 이번 한국어판을 위해 저자는 논문을 대대적으로 수정·보완했다.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정영환 지음/ 임경화 옮김/ 푸른역사/ 3만8000원.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