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30

高文研 日韓会談1965 戦後日韓関係の原点を検証する

株式会社 高文研

日韓会談1965

戦後日韓関係の原点を検証する


この本に関するお問い合わせ・感想

著者 吉澤 文寿

ジャンル 人文・歴史書 > 歴史

出版年月日 2015/06/22
ISBN 9784874985700
判型・ページ数 4-6・256ページ
定価 本体2,200円+税
在庫 在庫あり

この本の内容

目次
Ⅰ 日韓諸条約はこうして結ばれた
Ⅱ 韓国併合条約はいつから「無効」なのか──基本関係
Ⅲ 「完全かつ最終的に解決された」請求権とは何だったのか──財産請求権
Ⅳ 在日朝鮮人の「消去」を目指して──「在日韓国人」法的地位
Ⅴ 「返還」か「贈与」か──朝鮮由来の文化財をめぐって
Ⅵ 竹島/独島領有権問題の帰着点は?



吉澤 文寿(よしざわ ふみとし)
1969 年群馬県高崎市生まれ。一橋大学大学院社会学研究科博士後期課程修了(社会学博士)。新潟国際情報大学国際学部教授。専攻は朝鮮現代史、日朝関係史。「日韓会談文書・全面公開を求める会」共同代表。

おもな著作は、『戦後日韓関係 国交正常化交渉をめぐって(新装新版)』(図書出版クレイン、2015 年、単著)、永原陽子編著『「植民地責任」論 脱植民地化の比較史』(青木書店、2009 年、共著)、浅野豊美・木宮正史・李鍾元編著『歴史としての日韓国交正常化Ⅱ 脱植民地化編』(法政大学出版局、2011 年、共著)、安藤正人・久保亨・吉田裕編著『歴史学が問う 公文書の管理と情報公開 特定秘密保護法下の課題』(大月書店、2015 年、共著)など。

日韓国交正常化50周年を迎えた現在、日韓関係は冷え切っている。 このもつれた糸を解きほぐすには、もう一度、「原点」に戻って未解決の問題に向き合わなければならない。





日韓基本条約が締結され、国交が「正常化」して50年が経った今、なぜ、日本と韓国は歴史認識や領土問題で対立を繰り返すのか?

本書はその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前提として、1965年に両国との間に結ばれた「日本国と大韓民国との間の基本関係に関する条約」(日韓基本条約)および諸協定がどのような交渉過程を経て成立したのか、そこで何が議論されたのかを、2005年以降、両国で公開された約10万枚の新資料を読み込み、検証する。

歴史対話を欠いたまま、「未来志向」を目指す手法は限界に来ている。
もう一度、「何が未解決なのか」を戦後日韓関係の原点=日韓会談に戻って考える。







2015年8月23日 しんぶん赤旗書評

【編集者より】


日韓基本条約が締結され、国交が「正常化」して50年が経った今、内閣府の「外交に関する世論調査」で「韓国に親近感を持たない」と答えた者が66.4%に達するなど、現在の日韓関係は最悪の時期を迎えています。
そのもっとも大きな原因となっているのが、歴史認識の問題(特に植民地支配責任)です。
明治維新以来、朝鮮を足がかりにして、帝国主義列強の仲間入りを果たした歴史的事実があるのにもかかわらず、大日本帝国時代の日本人はもとより、敗戦後の日本人も近代の日朝関係史に対する認識を欠いたまま現在に至っている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
50年前の日韓会談においても、ことごとく対立したのが植民地支配に対する認識でした。しかし、そのズレを解消することなく、当時の厳しい冷戦下の東アジアにおいて強固な反共体制確立を目指す米国の仲介(圧力?)もあって、日韓両政府は基本条約締結を急いだのでした。つまり、火種を埋め込んだまま国交を「正常化」させたのです。
この火種はその後50年間くすぶり続け、現在は手の付けられないくらいに燃えさかる炎に成長してしまった観があります。
この激しい対立を沈静化するために、もう一度、日韓会談の原点に戻り、ボタンの掛け違いを正す努力を試みなければいけないと思い、本書を企画編集しました。

===

한일회담 1965

전후 한일관계의 원점을 검증한다

저자Jize 원 총리의 삶 과
장르인문· 역사 도서  >  역사
발행일2015/06/22
ISBN9784874985700
판형·페이지수4-6 · 256 페이지
정가본체 2,200엔+세금
재고재고 있음

일한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한 현재 한일관계는 식고 있다. 이 얽힌 실을 풀어내기 위해서는, 다시 한번, 「원점」으로 돌아가 미해결의 문제에 마주해야 한다.

 

 

한일 기본조약이 체결되어 국교가 '정상화'하여 50년이 지난 지금, 왜 일본과 한국은 역사인식과 영토문제로 갈등을 반복하는가?

본서는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제로서 1965년 양국과의 사이에 맺어진 「일본국과 대한민국 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한일기본조약) 및 제협정이 어떠한 협상 과정을 거쳐 성립했는지, 거기서 무엇이 논의되었는지를 2005년 이후 양국에서 공개된 약 10만장의 신자료를 읽어 검증한다.

역사 대화가 부족한 채 '미래 지향'을 목표로 하는 수법은 한계에 와 있다.
다시 한번 ‘무엇이 미해결인가’를 전후 한일관계의 원점=한일회담으로 돌아가 생각한다.

 

 



2015년 8월 23일 신분 적기 서평

【편집자보다】


한일 기본조약이 체결되어 국교가 '정상화'하여 50년이 지난 지금 내각부의 '외교에 관한 여론조사'에서 '한국에 친근감이 없다'고 답한 자가 66.4%에 도달하는 등 현재의 한일관계는 최악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 역사 인식의 문제(특히 식민지 지배 책임)입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조선을 발판으로 하여 제국주의 열강의 동료들이 된 역사적 사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일본 제국 시대의 일본인은 물론, 패전 후의 일본인도 근대의 일조 관계사 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채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50년 전의 한일회담에서도 굉장히 대립한 것이 식민지 지배에 대한 인식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어긋남을 해소하지 않고 당시의 어려운 냉전하 동아시아에서 견고한 반공체제 확립을 목표로 하는 미국의 중개(압력?)도 있어 한일 양 정부는 기본조약 체결을 서두르고 있었습니다 . 즉, 화종을 묻은 채 국교를 「정상화」시킨 것입니다.
이 불씨는 그 후 50년간 계속 흔들리고, 현재는 손이 닿지 않을 정도로 불타는 불꽃으로 성장해 버린 관이 있습니다.
이 치열한 갈등을 침묵화하기 위해 다시 한일 한일회담의 원점으로 돌아가 버튼의 엇갈림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시도해야 한다고 생각해 본서를 기획 편집했습니다
.
(마나베)



===

Ⅰ 일일제조약은 이렇게 맺어졌다 
Ⅱ 한국병합조약은 언제부터 「무효」인가──기본관계 
Ⅲ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청구권이란 무엇이었는가──재산 청구권 
Ⅳ 재일조선인의 「소거」를 목표로 ──「재일한국인」법적 지위 
Ⅴ “반환”인가 “증여”인가──조선 유래의 문화재를 둘러싸고 
Ⅵ 다케시마/독도 영유권 문제의 귀착점은? 

요시자와 분수(요시자와 후미토시) 1969년 군마현 다카사키시 출생. 이치바시 대학 대학원 사회학 연구과 박사 후기 과정 수료(사회학 박사). 니가타 국제 정보 대학 국제 학부 교수. 전공은 조선 현대사, 일조관계사. “한일회담문서·전면 공개를 요구하는 모임” 공동대표. 주요 저작은, 「전후 일한 관계 국교 정상화 교섭을 둘러싸고(신장 신판)」(도서 출판 크레인, 2015년, 단저), 영원 양자 편저 「「식민지 책임」론 탈식민지화의 비교사 '(아오키 서점, 2009년, 공저), 아사노 토요미·키노미야 마사시·이종 전편 저 “역사로서의 날 한국교 정상화Ⅱ 탈식민지화편”(호세이대학 출판국, 2011년, 공저), 안도 마사토・쿠보 료・요시다 유편 저 「역사학이 묻는 공문서의 관리와 정보 공개 특정 비밀 보호법하의 과제」(오츠키 서점, 2015년, 공저) 등.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