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13

우리역사넷 [전체] “노비의 해방” 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우리역사넷
[전체]  “노비의 해방” 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Ⅴ. 민족 구성원 전체의 사회참여
노비가 양인의 신분을 얻게된 것이다. 이에 따라서 私奴婢도 이에 준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신분제도의 폐지는 19세기 말의 甲午更張에서였다. 여기서 양반과 상민의 구별을 없이하여 누구든지 개인적인 능력에...

01권 한국사의 전개

(4)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경장 전후의 사회 문화
노비·칠반천인·백정·청춘과부의 해방 ③ 잡세금지·지벌타파·공사채 무효·왜와 간통엄벌의 시폐개혁 ④ 토지 평균분작  폐정개혁안에서 구조개혁을 위한 제도개혁에 대한 언급이...

01권 한국사의 전개

(5) 노비
가능케 했을 것이다.  노비의 해방은 구체적인 사례로는 보이지 않으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공사의 빚을 갚지 못해 자녀를 노비로 내 줄 수밖에 없었던 부모가 만약에 뒤에 그 빚을 갚을 수 있게 된다면 그의 자녀는 노비에...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2) 경종대의 정치와 호족
틀림없을 것이다. 또 노비안검법에 의하여 양인이 된 해방노비 출신자들도 여기에 속할 것이다. 노비안검법의 실시로 방량된 이들은 본주인을 모함하는 자가 많았는데 이들의 본주인은 주로 호족공신들이었던 것이다. 이외에도 균여를...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3) 유물사관 학자들의 토지국유제설에 대한 비판
↔ 노비·소작농민」의 대립으로 도식화되는 범주로 구분하였다. 이 중 제1범주에 속하는 양인농민은 자기 토지를 자기가 경작하는 소유주이며, 제2범주에 속하는 노비·소작농민은 양반지주의 토지를 借耕하는 사람들로, 그 토지의...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나. 귀향형과 충상호형의 행형체계
한편 노비의 귀향죄 적용 여부에 대하여는 두 가지 견해가 상충되어 있다. 우선 귀향형의 대상이 된다고 보면서도 노비의 本貫所有를 인정하는 견해는 귀향을 流本貫으로(文炯萬, 앞의 글, 30쪽), 노비의 본관소유를 부정하는 견해는...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개요
진주에서는 公私의 노비들이 평소 州吏와 반목 대립하여 오다가 신종 3년에 반란을 일으켰고, 陜州(陜川)部曲의 반란군과 합세하여 기세를 떨치다가 1년만에 평정당하고 말았다. 그리고 동경에서는 앞서 김사미·효심 등과 연결한 반란이...

18권 고려 무신정권

3) 국왕과 문반·민중
奴婢의 반란이 일어났다. 364) ≪高麗史≫권 129, 列傳 42, 叛逆 3, 崔忠獻. 이 반란은 개경의 모든 노비들과 연락하여 계획적으로 신분해방, 나아가서는 정권탈취를 꾀하였다는 데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비록...

18권 고려 무신정권

개요
전호가 되기도 하였고, 노비의 지위로 전락하는 예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제도상의 변화도 신분제를 움직이는 데 크게 도움을 주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주목되는 것은 文武交差制·納粟補官制·添設官制가 시행되기도 하였다는 점...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2) 양인·천인의 신분이동
일면 신분해방의 의도도 잠재하여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신분 해방으로서의 성격이 보다 뚜렷한 것은 노비이거나 사회적으로 천시되는 사람들에 의한 반란이었다. 鳴鶴所民의 항쟁, 奴兀部曲民의 항쟁이나 晋州 公私 奴隷의 반란 및...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3) 이성계 일파의 집권과 양인·천인의 신분고정
⑤에 나타나 있듯이 주인이 노비의 공을 인정하여 자애심을 가지고 해방시키는 경우에도, 어디까지나 그 노비 당사자에 국한시켜야 한다는 都官의 견해는 모두 그와 관련이 있는 사실들이다. 천인도 양인이 그러하였듯이 천인신분으로 남...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4) 신분제의 동요
노비로서 생산물의 반을 지주에게 바쳤으리라 생각되는데, 농업생산성의 향상이 토대가 되어 부자가 되고 불법이기는 하나 신분해방까지 획득한 특이한 예이다. 그러나 사노인 그가 특별한 무공도 없이 경제적 부를 기반으로 산관이기는...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나. 명학소민의 2차 봉기
해방을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해서도 결국은 정부타도가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피지배층의 입장에서 볼 때, 정부의 기만적이고 미봉적인 대책과 더불어 또 하나의 불만 대상은 지방의 토호와 더불어 대지주의...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나. 운문·초전에서의 농민봉기
변동과 함께 천민들의 신분해방 요구에 밀려 점차 변화되었다. 그리하여 고려 말기에 이르러서는 부곡민이 일반군현민과 생활 여건이 실질적으로 다를 바가 없으며, 국가로서도 군현의 하부구조로의 편성이 조세 수취에 이익이 되지 않는...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1) 만적의 난
궐기한 목적은 최충헌 등 노비의 소유주를 죽이고 노비문서를 소각하여 삼한에 천인을 없앰으로써 노예해방을 이룩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각기 주인을 죽여서 예속적인 신분관계를 벗어난 이후에는 자신들이 공경 장상을 독점하겠다...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3) 몽고 6·7차 침입기의 농민봉기
외거노비로서 토지경영을 통한 부의 축적으로 신분을 상승시킨 사람도 있었다. 이러한 고려사회의 변화는 피지배층의 의식을 향상시켜 천민·노비 등의 신분이 절대적인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되었던 것이다.  대표적인 천민의...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4. 사회신분구조
노비가 주를 이루 고 있었으나, 노비 이외에도 白丁·廣大·巫覡·社堂·妓女 등이 이 신분을 구성하고 있었다.  조선시대는 노비의 지위가 많이 개선되어 갔다. 양반이나 대지주는 토지와 노비를 많이 갖게 되었고 양인들도 노비...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3) 양분설
노비자의 등질화라는 고려 후기 이래의 사회적 추세를 바탕으로 능력주의 원칙에 입각한 보다 개방적인 신분체제가 마련된 것이다. 비노비자는 일률적으로 良人으로 간주될 수 있었으며, 良賤未辨者의 從良, 從父爲良法의 실시와 같은...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나. 신량역천 규범과 칭간칭척자
내면적으로는 노비 신분에서 해방시켜 주지만 완전한 양인으로는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즉 이들에게「역천」이라는 단서를 단 것은 천역의 부과 자체 에 목적이 있었다기보다는 칭간칭척자와 같은 세습적 천역자들을...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1) 송유진의 난
초기 산발적인 소요는 신분해방을 위해 일어났다고는 해도 불만을 느껴온 지배층에 대한 우발적인 사건이었으며 비조직적인 행동이었다. 또 이러한 행위는 통치권이 미치지 못하는 적의 세력권 안에 있었던 사건이었고 직접 왕정의 전복...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4) 반란의 성격
해방을 위한 투쟁이었음에 틀림없다. 그것은 이미 왜란초 왜군이 서울에 들어오기 전에 난민들이 노비문적이 보관되어 있는 刑曹와 掌隷院을 불지른 데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반란은 직접 중앙정부의 전복을 위한 투쟁이었다고는...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3) 초기 양명학 수용자들의 현실 인식
노비계급의 신분해방을 위한 운동 등 사회적 신분제의 동요를 통한 신분분화현상을 초래하였다.  한편, 사상계는 주자학의 심화과정을 통하여 道學이 정통이념으로 정립되면서 義理論과 禮說 등 사회규범적 측면에서 탁월한...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3) 정국운영의 특징
점, 유이민과 노비계층의 안정과 지위 향상 노력이 탕평적 정국운영론 속에서 수용되었던 점들이 특히 주목된다. 107) 李泰鎭, 앞의 글(1993)에서는 정조 연간이 집약농업 및 상업자본의 발전으로 정치 중심지가...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1) 정순왕후 수렴청정기(순조 즉위년∼3년)
호조 재정 및 內寺奴婢 혁파로 발생한 재정의 손실을 부담하도록 하여 세력을 약화하였으며 2년 정월에는 군영 자체를 혁파하였다. 375) 李泰鎭,≪朝鮮後期의 政治와 軍營制變遷≫(韓國硏究院, 1985), 302∼306쪽....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나. 작업조건
생산수단으로부터 해방된 존재로서의 자유노동자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은 민간이 경영하는 금광에서도 엿보이는데, 여기에서도 작업도구들이 인부들이 사용하기 편하게 개선되기도 하고 새로운 도구들이 도입되기도...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3) 노비의 신분상승운동
후기에는 도망노비가 급증하여 이것이 노비제붕괴의 가장 큰 요인이 되었으며, 그 당시 노비도망현상은 노비해방운동으로 파악되기도 한다. 440) 鄭奭鍾,≪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一潮閣, 1983), 287쪽. 실제로...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4) 내시노비의 혁파
실시, 노비의 군역차정 등 일련의 노비정책으로 노비의 양인으로의 신분상승이 이전보다 쉬워져 양인과 노비와의 신분적 차이가 많이 좁혀져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정조 후반기에는 위정자들 사이에 국가재정과 밀접한 관계가...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1) 조선 중기 사족중심 향촌자치체계의 구조
노비의 경우는 노비소유자층의 사적 소유물로서 적어도 순조 원년(1801) 公奴婢革罷와 18∼19세기 노비도망 등에 의해 노비해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아무 권리가 없는 예속상태에 머물고 있었다.  조선 중기에...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개요
농장제의 해체와 더불어 노비의 신분상승이나 해방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고, 노비종모법 시행이나 노비 신공의 감소 조처로 인해서 노비와 양인 사이의 신분적 界線이 사라졌다. 그리고 이로 인해서 조선 후기 호적자료의 분석 결과는...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2) 공동납체제로의 전환과 18∼19세기 호적 운영의 변화
主家의 인신적 예속을 받는 노비 노동력으로만 구성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노비 노동력의 중요성은 더욱 줄어들었다. 이러한 정황 아래 양반층이 토지보다 노비를 주요 재산으로 고집해야 할 이유가 소멸되어 갔다. 농장의 해체와 더...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2) 민중사상의 확산
노비나 유민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해도로 몰려들어 저항세력화하고 있었다. 이 때의 해도세력의 존재가 해도기병설의 논리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 해도의 저항세력을 정감록에서 말하는 해도의 군사로, 그리고 저항세력의...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2) 유대관계의 강화
감결사상에서는 현세의 질곡에서 자신을 해방시켜주고, 이상향의 도래를 가능하게 할 존재의 출현이 임박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영조 24년(1748)의 李之署 事件, 영조 36년의 愼後一 사건, 영조 39년의 宋永興 사건, 영조 40년의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2) 유민의 실태와 유입처
따른 경작지 부족현상을 타개하고 海防에 이용하기 위해 長淵의 大靑島·小靑島에 민인들이 들어가서 경작하는 것을 허락하는 한편 이들의 정착을 돕기위해 農牛와 종자를 공급하기도 하였다. 258) ≪正祖實錄≫권 37,...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1) 명화적 발생의 배경과 조직체계
신분해방을 위해 도망한 노비층 등이 가세하여 이루어졌다. 295) 한상권, 앞의 글, 501쪽. 숙종 15년에 대구에서 잡힌 도적집단을 조사한 결과 도적 연루자들이 모두 “호적에 들어 있지 않고 紙牌도 없는...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3) 동학사상
때문에 양반과 양인과 천민·노비는 서로 완전히 평등하다고 설파한 것이었다. 이러한 평등사상은 양인·천민·노비 등 하위신분층과 농민층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음은 물론이다.  동학의 제2세 교주 최시형은 더욱더 평등사상을...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1) 제도적 변화
내시노비 해방의 뜻을 이어받아 노비의 世役을 금한다는 취지를 담은 傳敎에 의거하여 형조에서 마련한 節目에 의해 노비의 신분세습은 법적으로 폐지되었다. 0458) ≪고종실록≫23, 고종 23년 1월 2일;3월 11일. 이...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2) 노비 호구의 변화
내시노비 해방, 일련의 면천·종량의 기회 확대, 1731년에 확립된 ‘노양처소생종모역법’ 등과 같은 제도적 요인과 함께, 조선 후기에 나타나는 광범한 노비 도망과 身分冒稱 등 노비의 처지에서 벗어나려는 개인적 차원의 노력들을 들...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9) 사회제도의 개혁
노비해방 조치는 실은 1894년 이전, 멀리 임진왜란 이래 조선왕조가 꾸준히 추진해 온 노비해방조치-특히 1801년의 內寺奴婢制 폐지와 1886년의 奴婢世役制 폐지-의 연장선상에서 취해진 하나의 완결조치에 불과했다는 사실을...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9) 사회제도의 개혁
공사노비의 혁파를 추진함에 있어 혁명적이라기 보다는 인도주의적·점진주의적·개량주의적 입장을 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개화파관료들 가운데 奴主가 많이 있어 천민층 해방문제에 냉담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7) 사회제도
반상·귀천에 따른 차대 철폐, 노비 등 천민층의 점진적 해방, 서얼의 후사권 획득과 기술직 중인들의 환로 확장, 그리고 여성의 대우 향상과 혼인풍습의 개선 등이었다. 이로써 양반중심의 전통적 신분제도가 철폐되고, 능력본위 인재등...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1) 국민평등권론
이미 갑오개혁에 의하여 법률적으로 폐지된 반상제도와 노비제도 등 신분제도를 현실적으로 철폐할 것을 역설하였다. 0687) 班常制度에 대해서는≪독립신문≫, 1896년 6월 18일, 논설과 1898년 3월 31일, 논설 참조....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3) 평등사회론
12개조의 폐정개혁안에서 노비문서의 소각, 신분제도의 타파, 토지의 평균분작 등을 내세우고 새로운 사회를 만들고자 하였다. 갑오개혁의 추진자들은 양반·평민계급의 타파, 백정·광대 등 일체 천민신분의 폐지, 공사노비제도의 혁파,...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4) 양반신분의 존속과 해체의 조건
계층들을 평등하게 하고 노비를 해방시키고 문관의 무관에 대한 우월권을 폐지하고 백정·역정·광대들의 권리의 속박을 폐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의 많은 부분은 오늘날까지 死文이나 마찬가지이고 한반도의 생활은 법률에 어긋나...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3) 상민·천민층의 성장
또한 노비의 해방과 그 밖의 白丁 등 천민 집단의 해방은 매우 중요했다.  하지만 이러한 신분제 폐지의 효과가 하루아침에 사회 구성원들을 평등하게 만드는 쪽으로 작용할 수는 없었다. 신분제를 통해 작용했던 경제적 불평등...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1) 1894년의 신분제 폐지 정책과 평민
이용하고 있었다. 1801년의 노비해방은 그 단적인 보기였다. 공노비가 해방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常民의 수가 늘어나는 것이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이미 상민화해서 살고 있는 공노비들, 더 이상 身役을 거두기도 어렵게 된 이미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2) 신분제 폐지 이후의 평민신분
아니다. 노비의 경우, 특히 한 집에서 주인과 함께 생활을 하던 사환 노비의 경우에 그들이 법적으로 노비제도가 폐지되었다고 해서 곧바로 주인(上典)과 대등한 지위를 가질 수는 없었다. 결정적인 것은 노비들의 대부분은 신분적으로...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3) 호적에 나타난 평민의 변화
노비까지 노비의 전면적 해방이 법적으로 정리·공포된 것이다. 따라서 구호적에서는 기재 양식상 가장 뚜렷이 구별되던 노비와 다른 신분과의 차별적 기재방식이 완전히 사라져 버렸으며, 모든 호구를 다 같은 양식을 이용해서 조사하고...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나. 동학의 가족관계
1886년 私奴婢身分의 세습을 금하고 그 使役이 당대에 한정하게 됨으로써 노비제를 중심으로 하는 신분제는 완전 폐기 일보직전 단계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710) 한우근,<동학 농민봉기>(≪한국사≫17,...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가. 군국기무처시기의 가족관계
방향으로의 변화가 나타난 점이다.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양반 호구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해 노비의 수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들 노비 가족은 갑오개혁에 의하여 노비신분으로부터 해방되고 분호하여...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나. 통감부시기의 가족관계
즉 노비·협호·雇女·雇男 등을 입적케 하던 구제도의 유제인 것이다.  호적기재의 양식상의 변화와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자.  첫째, 호주의 4조와 직업란이 완전히 폐지되었다. 봉건적인 신분제의 법적 및...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다. 제3기
신분해방운동이었다. “노비문서를 소각할 事”라는 집강소의 폐정 개혁을 가능케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신청출신들은 정부로 하여금 1894년 6월에 신분제도를 폐지하게 함으로써 한국음악사에서 가장 큰 분수령을 이끌어냈다. 한편 정부...

45권 신문화 운동Ⅰ

1) 형평사의 창립배경
관련된 조항은 다음과 같다.一. 노비문서는 燒却할 事.一. 七班賤人의 대우는 개선하고 白丁頭上의 平壤笠은 脫去할 事. 이후 이 폐정개혁안 12조를 반영하여 개화파 金弘集 內閣時에 행해진 갑오개혁에서 조선시대의 신분제도는...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

==

==

==

==

==

==

==

==

==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