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7

교과서도 '동학농민혁명'으로 바뀌어야 한다 2022

교과서도 '동학농민혁명'으로 바뀌어야 한다



교과서도 '동학농민혁명'으로 바뀌어야 한다
한겨레입력 2022. 9. 12. 

전북 교육청이 발간한 교재 <동학농민혁명> 표지(왼쪽)와 ‘동학농민운동’ 용어를 사용하는
 <고등학교 한국사>(지학사) 내지.



[왜냐면] 김양식 | 청주대 교수

1894년 동학농민혁명은 오늘날 한국 민주주의의 뿌리이자, 우리 근현대 역사가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준 역사적 대사건이었다. 동학농민혁명에서 제시된 인본, 자주, 평등, 평화의 메시지는 오늘날에도 살아 있는 미래가치다. 그런데 현행 교과서는 ‘동학농민운동’이라는 다소 평가절하된 용어로 기술해왔다. 1987년 제5차 교육과정부터 명명된 ‘운동’이라는 명칭이 동학농민혁명의 위상과 변화된 현실을 외면한 채 사용되고 있다.



이는 지난 30년 학계의 연구성과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일 뿐 아니라, 정부는 물론 민간에서 활발히 추진해온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들을 외면하는 처사다. 동학농민혁명은 이미 학문적으로 검증되고 법률용어로도 확정된 용어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2004년 특별법을 제정하고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고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을 설립해 여러 기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9년에는 5월11일을 국가기념일로 정하여 국가 차원에서 동학농민혁명의 의미를 되새기고 동학농민군의 죽음을 기리고 있다. 올해 5월11일에는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전북 정읍에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을 조성했다. 이는 동학농민혁명 그 자체를 기념하는 차원을 넘어 우리 민족이 더 인간답고 공정한 사회로 나아가고자 하는 다짐이다.

더욱이 현재 전국에는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 단체 35곳이 활동하고 있는데, 대부분 동학농민혁명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단체에서 활동하는 시민만 수천명에 이른다.

이처럼 2004년에 법률용어로 확정됐고, 정부는 물론 민간에서도 동학농민혁명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왜 교과서는 이를 외면하는지 모를 일이다.

교과서의 잘못된 용어 사용으로, 우선 교사들이 당혹해하고 있다. 학생들로부터 어떤 용어가 올바른지 질문을 받는다며 어느 용어에 맞춰 교육할지 난감하다는 교사들의 하소연을 자주 들었다. 학생들도 교과서 속 용어와 답사 현장이나 언론 등에서 접하는 용어가 서로 달라 혼란스러워한다는 얘기다.

운동과 혁명은 질적으로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법률용어이자 국가기념일 명칭인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학생들에게 우리 역사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자부심을 갖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동학농민혁명의 여러 가치를 더 가슴 깊이 새길 수 있어 교육적 효과가 클 뿐 아니라, 나라를 사랑하는 애국심과 민주시민의식을 함양하는 데도 유리하다.

따라서 교과서에서도 1894년에 일어난 역사적 대사건은 당연히 동학농민혁명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이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명예회복이라는 의미도 있다. 이번 2022년 교육과정 개편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제 이름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