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28

알라딘: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알라딘: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강신항, 이종묵, 정만조, 정성희, 이헌창, 권오영, 정순우, 강관식 (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7-11-30

정가
30,000원
판매가
30,000원 마일리지 1,500원
세액절감액
1,350원 (소득

책소개
<이재난고<를 자료로 활용하여 황윤석으로 대표되는 조선 후기 지식인의 학문적 삶을 통해 이루어진 생활의 역사를 탐구한 책. 8명의 학자가 참여하였으며, 크게 언어와 문학, 학문과 정치, 경제생활과 지식의 소통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목차


시작하는 글



언어와 문학

황윤석의 국어인식/강신항

황윤석의 문학과 이재난고의 문학적 가치/이종묵



학문과 정치

황윤석의 학문생활과 사상 경향/권오영

18세기 성균관의 일상과 과거/정순우

영조말.정조초의 정국 동향/ 정만조



경제생활과 지식의 소통

18세기 황윤석가의 경제생활/이헌창

조선 후기 서양 과학의 수용/정성희

조선 후기 지식인의 회화 경험과 인식/강관식



찾아보기
접기



저자 소개

지은이: 강신항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뭇 사람의 은혜 속에 동서남북으로>,<사모문집>,<한한음운사 연구> … 총 23종 (모두보기)
忠南 牙山 出生 서울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文學博士 德成女子大學校 助敎授, 成均館大學校 敎授, 國語學會·韓國語文敎育硏究會 會長, (社)韓國語文會 理事長 歷任 2018년 현재 成均館大學校 名譽敎授 자랑스러운 서울인상, 韋菴學術賞, 世宗文化賞, 東崇學術賞, 제10회 용재상,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저서로는 『國語學史』(1990, 보성문화사), 『鷄林類事 高麗方言 硏究』(1990, 성균관대학교출판부), 『朝鮮館譯語 硏究』(1995, 성균관대학교출판부), 『訓民正音硏究』(1987/수정증보 2003,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한국의 운서』(2000, 태학사), 『韓國의 譯學』(2000, 서울대학교출판부), 『韓漢音韻史 硏究』(2003, 태학사), 『오늘날의 국어생활』(2007, 박이정), 『國語學散稿』(2007, 월인), 『增補補遺篇 韓漢音韻史硏究(2017, 월인)』 등이 있다.



지은이: 이종묵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청강 이제신 평전>,<도서관으로 문명을 읽다>,<조선시대 경강의 별서 : 서호편> … 총 89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옛사람의 운치 있는 삶을 사랑하여 우리 옛 시와 글을 읽고 그 아름다움을 분석하여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 시대 경강의 별서』, 『한시 마중』, 『부부』, 『우리 한시를 읽다』, 『조선의 문화 공간』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누워서 노니는 산수』, 『부휴자담론』, 『사의당지, 우리 집을 말한다』, 『글로 세상을 호령하다』, 『양화소록: 선비, 꽃과 나무를 벗하다』 등이 있다.



지은이: 정만조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실학시대의 역사학 연구>,<창구객일 연구>,<농암 유수원 연구> … 총 12종 (모두보기)
1946년 경상남도 진주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17~18세기 書院`祠宇에 관한 硏究: 특히 士林의 書院 建立 活動을 中心으로”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15년 현재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시대 서원 연구》, 《조선시대 경기북부지역 集姓村과 士族》(공저), 《한국역사상 관료제 운영시스템에 관한 연구》(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英祖대 초반의 政局과 탕평책의 추진”, “조선시대 書院志 體例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의 사림정치 반란인가 혁명인가” 등이 있다. 관심분야는 조선시대 서원과 정치사이다.



지은이: 정성희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역사 다이제스트 100 핵심세트 - 전5권>,<왜 조선 시대 여성은 재혼을 하지 못했을까?> … 총 19종 (모두보기)
실학박물관 수석학예사. 경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와 소통하는 살아 있는 역사’를 발굴해내는 일에 전념하고 있으며, ‘21세기와 실학’이라는 주제에 관한 저술을 하고 있다.



지은이: 이헌창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김육 평전>,<한국경제통사>,<경제.경제학> … 총 20종 (모두보기)
1955년에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경기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3년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로 옮겨 지금까지 재직 중이다. 경제사학회와 한국고문서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民籍統計表의 해설과 이용방법』, 『한국경제통사』, 『조선시대 최고의 경제발전안을 제시한 박제가』, 『경제.경제학』이 있다. 편저는 『류성룡의 학술과 사상』,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 등이 있다. 이외에도 경제사, 사상사, 정치사 등의 분야에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지은이: 권오영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청도 밀양박씨 嘯皐公派와 朴時默.朴在馨>,<조선 성리학의 형성과 심화>,<어시재 최성환 연구> … 총 18종 (모두보기)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한국사학 전공)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최한기의 학문과 사상연구, 조선 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 조선 성리학의 의미와 양상, 근대이행기의 유림,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지식인의 생활사(공저), 혜강 최한기 연구(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최한기의 사회경제적 처지와 현실인식」, 「조선조 사대부 제례의 원류와 실상」등이 있다.



지은이: 정순우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후조당 종가의 가문 세우기>,<우반동 양반가의 가계경영>,<사라진 스승> … 총 20종 (모두보기)
경북 출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버클리 대학교 및 캐나다 UBC 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파리 7대학 강의교수를 지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 및 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 현재 한국학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후기 교육사와 지성사 분야에 관한 약 40여 권의 공저서,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조선조 선비들의 사유 방식과 삶의 태도를 다양한 시선으로 헤아려 보고, 그 현재적 의미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공부의 발견>(2007), <도산서원>(공저, 2001), <지식 변동의 사회사>(공저, 2003), <東亞傳統敎育與學禮學規>(공저, 2005), <서당의 사회사>(2013) 등이 있다.



지은이: 강관식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한국미술 100년 1>,<추사와 그의 시대> … 총 7종 (모두보기)
1957년 충남 공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간송미술관 연구위원과 한성대학교 회화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공저)와 『한국미술의 자생성』(공저), 『조선 후기 궁중화원 연구 上,下』가 있으며 역서로는 『중국회화이론사』, 『중국회화비평사』가 있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조선 지식인의 일상을 기록한 현존 최대 분량의 일기 “보고, 듣고, 읽고, 생각한 모든 것을 기록한다” 이재 황윤석은 18세기에 활동한 저명한 학자이다. 전라도 고창 흥덕에서 태어난 그는 당시 서울학계의 대표적 학자인 김원행의 문하에서 공부하여 문명을 떨쳤다. 그는 열 살부터 예순세 살까지 54년간 무려 5백여만 자에 달하는 일기를 남겼고, 작고하기 이틀 전까지 일기를 썼다. 실로 한 개인이 이루어낸 삶의 경이로운 기록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그는 일상에서부터 언어?문학?사상?정치?경제?예술?과학 등 다양한 문화 양상을 글로 남겼다. 그 속에는 책을 통해 습득한 지식이나 보고 들은 지식을 빠짐없이 기록하였고, 자신과 관계되는 일상사를 정말 진솔하게 썼다. 그의 일기는 조선 후기 지식인의 일상적 삶의 구체적 실상을 시공을 뛰어넘어 우리에게 보여준다. 따라서 <이재난고<는 조선 후기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생생하게 전해주는 하나의 ‘타임캡슐’이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이 책은 <이재난고<를 자료로 활용하여 황윤석으로 대표되는 조선 후기 지식인의 학문적 삶을 통해 이루어진 생활의 역사를 탐구하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크게 언어와 문학, 학문과 정치, 경제생활과 지식의 소통으로 나누어 장을 구성하여 보았다. 언어와 문학 먼저 언어와 문학에서, 강신항의 글은 황윤석의 언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황윤석은 일생 동안 ‘국어’를 의식하면서 살아왔다. 그는 길을 나서면 순수한 우리말로 된 지명을 꾸준히 기록하였고, 때로는 ‘어원’을 밝혔다. 황윤석은 지명이나 인명, 또는 고유어 단어의 어원을 중국 본토 한자음으로 밝혀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한어와 범어에서 그 어원과 변천과정을 밝히려고 하였다. 또한 황윤석은 한자의 중국음이나 우리말의 새김을 가지고 한국 한자음이나 우리말 단어의 어원을 밝히려고 하였다. 황윤석의 ‘국어인식’은 동서고금의 여러 문헌을 참고하고 중국음운학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150여 항에 걸쳐서 어원을 밝히려고 한 크나큰 업적이었다. 또한 황윤석은 일생 동안 꾸준히 고유어의 지명을 기록하여, 지명 연구와 국어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 이종묵은 생활일기로서의 <이재난고<에 주목하여 지식인의 생활사를 미시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자료로서 접근하였다. 그의 글에서는 황윤석의 시세계가 삼라만상을 포괄하고 있고, 젊은 시절의 정교한 작품이 있는가 하면, 학자로서의 학문적인 자세를 견지하여 신문물과 명물도수를 제재로 삼은 난삽한 시도 많다고 보았다. 또한 생활 속의 사건을 기록하고 가족과의 진솔한 감정을 토로한 담박한 작품은 조선 후기 한시의 한 특징인 일상성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고 했다. 형식적인 면에서는 장편의 歌行體를 통하여 새로운 문물이나 당대 현실을 형상화하거나 자신의 학문과 감정을 노래하였고, 단행의 연작시로는 하나의 사건이나 대상에 대해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황윤석은 성률과 음악에 조예가 깊었기에 조선 문인들이 손대기 어려워했던 詞曲을 즐겨 구사하는 등 조선 후기의 복잡한 사회상을 담아낼 새로운 형식의 실험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표하였다고 평가하였다. 학문과 정치 권오영의 글은 황윤석이 호남지역의 학문 활동 공간을 벗어나 석실서원에서 공부함으로써 서울?경기 학계의 학자들과 학술 활동을 하고 그 교유 범위를 크게 넓혀나간 사실을 살폈다. 그리고 황윤석이 일생 애를 써서 마무리하고자 했던 일은 무엇보다 <성리대전<의 주석 작업이었음에 주목하여 그를 성리학에 철저한 학자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그는 성리학에 토대를 두고 있었지만 경세치용의 학풍을 지향했던 학자였다. 그는 명말의 동림학파 학자의 책을 읽고 그 저술에 대해 깊이 공감하였다. 동림학파의 사상 경향이 양명학을 비판하고 주자학의 옹호를 통해 경세치용의 학문을 이루려고 했다고 보면, 황윤석도 당시 학계에서 성리대전에 대한 정확한 해석과 주자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조선 후기 사회의 경세치용을 지향하려고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자연과학에 대한 깊은 탐구도 이러한 理學에 토대를 둔 데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하였다. 황윤석은 성균관과 석실서원에서 공부하면서 자세한 생활기록을 남겼다. 정순우의 글은 황윤석의 교육과 과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우선 유생들의 성균관에서의 일상생활, 그리고 과거시험을 치루는 재지 유생들의 삶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이재난고<는 이 분야에서의 생활사와 풍속사를 복원할 수 있는 좋은 자료로 이해하였다. 황윤석의 성균관 생활은 황극탕평이라는 영조의 정국운영 구도 속에서 박세채, 송시열, 송준길 등의 종향 문제가 첨예한 정치적 사안으로 등장한 시기였다. 따라서 이러한 정치적 상황 아래에서 성균관 유생들은 과연 어떻게 관학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18세기의 조선 지식인이 열악한 교육환경과 과거라는 제도 속에서 그의 삶을 어떻게 꾸려나가고 있었는지 생생하게 밝혀내었다. 아울러 <이재난고<를 통하여 당시 노론 낙론계의 가장 주요한 서원인 석실서원이 어떤 형식의 교육을 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정만조의 글은 <이재난고<의 정치 관련 기사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영조말 정조초의 정국동향을 정치하게 분석하였다. 영조말의 정국은 영조의 나이가 높아지면서 정치적 판단이 흐려지고 권력 장악력이 떨어져 그동안 유지되어 오던 탕평정국이 무너지는 가운데 정치세력의 이합집산이 거듭되는 혼미의 양상을 보였다. 황윤석은 이를 국가적 위기 상황으로까지 인식하고 향후 세손에 의한 일대 개혁을 기대하였다. 지금까지 정조 즉위 후 홍국영의 세도가 있어 초기에는 정조의 정치력이 미숙하였던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이재난고<를 통해 볼 때 그것은 어디까지나 정조가 그에 대한 반대세력을 자신이 아닌 홍국영의 손을 빌어 제거하려는 깊은 정치적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하였다. 정치개혁을 향한 정조의 첫 시도는 바로 분열된 노론세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왕권을 재확립하는 면에서 이루어졌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었다. 경제생활과 지식의 소통 이헌창의 글은 황윤석 가문이 합리적 선택을 통해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의 향상과 유지에 성공을 거두었음을 보여준다. 황윤석의 경우 교육과 과거의 비용이 그 경제적 편익을 능가하였으나, 사회적 편익까지 포함하면 교육과 과거는 유망한 투자였다. 황윤석 집안은 농촌에서 중견 지주에 속하였으나, 평상시 아들의 교육과 과거공부에 대한 투자와 외지 생활을 넉넉히 지원하지는 못하였고 연이은 심각한 흉년에는 식생활이 궁핍해졌다. 그래서 양반은 접빈객 봉제사와 혼례?상례 등 의례에 소홀하지 않고 아들의 교육과 과거공부에 대한 투자를 지원하고 심각한 흉년에 굶주리지 않기 위한 경제적 기반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했다. 그리고 유교 법문화의 지방재정 관행에 대한 영향, 호혜 관념의 말?서적?금융시장에 대한 영향 등도 지적하고 있다. 정성희의 글은 황윤석의 서양 과학 인식을 조선 후기 과학사의 견지에서 밝힌 것이다. 황윤석이 평생을 통해 얼마나 절실하게 천문역법을 탐구하고자 했는가는 <이재난고<에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서양 과학의 도입 경로와 유입되는 과정을 자신의 일기에 적어놓은 황윤석에 대해, 단순히 서양 과학을 기술한 기록자를 넘어서, 18세기 ‘신과학’을 이해한 천문학자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근대 서양 천문학의 급격한 발전은 동양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쳐 이 시기 중국과 한국은 서양 천문학의 세례와 함께 이를 이해하는 데 급급한 실정이었다. 당시 황윤석의 천문 지식이 조선 제일이었다고 단언할 수는 없어도, 그가 평생 서학 관계 한문서를 구해보기 위해 벌인 노력은 단연코 제일이었음은 분명히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강관식은 <이재난고<를 통독하고, 거기에 기록된 모든 회화 관계 자료를 유형별로 일일이 분류?정리하여 조선 후기 지식인의 회화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방대한 글로 그려내었다. 이 책의 대미를 장식하는 이 글에서, 강관식은 황윤석을 비롯한 양반 관료 지식인들이 회화를 경험하고 인식해가던 여러 가지 다양한 소통망이 지방마다 나름대로 형성되어 있어서 회화에 대한 경험과 인식이 의외로 전국에 걸쳐서 꽤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밝혀내었다. 황윤석은 대략 조선 후기의 양반 관료 지식인의 통상적인 삶을 산 측면이 많았기 때문에, 황윤석이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것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이재난고<에 담겨 있는 황윤석의 경험과 인식은 단순히 황윤석 개인의 특수한 경험만을 의미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황윤석과 황윤석으로 상징되는 조선 후기 양반 관료 지식인들의 일상적이고 통상적인 회화에 대한 경험과 인식의 한 단면을 말해주는 것으로 보았다. 이 책은 <이재난고<를 통해 조선 후기 지식인의 다양한 생활 모습을 그려본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룬 다양한 주제의 글을 통해 조선 후기 사회의 역동적인 모습이 그려지고, 당시 지식인의 생활사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다행으로 생각한다. 앞으로 우리 학계에서 <이재난고<를 통해 조선 사회에 대한 보다 깊은 탐구가 이루어지지를 바란다.
----------------------



marine 2008-12-23



도서관에서 우연히 발견한 후 집어든 책이다.
학술적으로 여러 학자들이 꼼꼼히 분석한 점은 마음에 들지만, 한자가 너무 많아 제대로 읽지 못했다.
저자들 입장에서는 생활한자였다고 말할 수도 있겠으나 한글 전용화 세대이다 보니 솔직히 여기 나온 한자들, 정말 기초적인 거 아니면 못 읽겠다.
좀 더 대중적으로 읽히기 위해 한글로만 쓰던지, 아니면 한자 옆에 한글을 병행 표기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사실 이재난고처럼 덜 유명한 원저들은 대중들이 접하기 어려운 만큼, 학자들이 풀어서 설명한 이런 시도들이 참 유용하고 값지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대중 수준이 높지 않다는 사실을 종종 망각하는 것 같다.
어떤 면에서는 대중을 위한 교양서가 아니라 전공자를 위한 책 같기도 하다.
내용의 2/3 정도를 이해한 것 같다.
그렇지만 구성도 탄탄하고 무엇보다 이재난고라는 방대한 책을 여러 명의 학자들이 매달려 찬찬히 뜯어 봤다는 점이 마음에 든다.
이런 신뢰할 수 있는 저자들의 학문적 접근이 보다 대중적인 차원에서 많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황윤석이라는 조선 후기 학자는 높은 벼슬을 한 사람도 아니고 시대적으로도 임진왜란 같은 격동기가 아니다 보니 일반인들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이재난고라는 방대한 분량의 문집을 남겨 후대인들로 하여금 영정조 시대를 꼼꼼히 복원할 수 있게 해 준다.
마치 미암일기가 조선 전기 사회를 알려주듯 말이다.
다만 고위 벼슬을 역임한 유희춘과는 달리 황윤석은 제일 높히 올라간 벼슬이 종 6품의 하위직이다 보니 중앙 정계에 대한 식견이나 정보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그는 승정원에서 발간되는 조보를 지방에 있을 때조차 매일 구해 보려고 애를 썼고, 호남제1인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중앙 정계 인사들과 많이 교류했으며 본인 자신이 박학다식을 추구한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에 정진했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정보를 후대인에게 제공한다.
재밌는 사실은, 황윤석의 아버지가 천석꾼의 부자였고 무엇보다 황윤석 자신이 학문에 있어서는 호남제일인이라는 칭호를 받을 만큼 당대 최고의 학자였으나 정작 문과는 한 번도 급제를 못했다는 것이다.
조선의 관리는 곧 유학자를 뽑는 것과 다름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 부분을 어떻게 해석해야 좋을지 모르겠다.
대과에 합격한다는 것이 요즘 생각처럼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엄청난 일이었는지, 아니면 후기로 올수록 지방 유생이 정계에 진출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만큼 폐쇄적으로 변질되었는지 궁금하다.
즉 황윤석이 대과에 급제할 만큼의 수준은 못 되었던 것인지, 아니면 충분한 실력에도 불구하고 과거제가 워낙 폐쇄적이라 급제를 못한 건지 정확히 모르겠다.
이런 걸 보면 신숙주나 이이처럼 역사에 이름을 남긴 관료들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당대에는 엄청난 거물들이었던 것 같다.

황윤석의 아버지는 천석꾼이었고 자식들에게 재산을 분해하면서 황윤석은 5백꾼 지주가 되지만, 흉년에는 큰 타격을 받을 정도로 당시의 식량 사정은 열악했다.
저자의 말마따나 5백석 지주면 당시 상위 0.5% 내에 들 정도로 엄청난 부자인데도 말이 없어 서울 출타를 못하고 흉년이 들면 하루 두 끼로 연명했을 만큼 식량 걱정을 해야할 정도니, 하위층들은 흉년 때 말그대로 굶어 죽는 일이 속출했을 것이다.
역사의 진보가 과연 타당한 말인가 싶다가도 이런 부분을 읽을 때마다 적어도 생존 측면에서는 확실히 진보해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황윤석은 전라도에 거주했기 때문에 한 번씩 서울로 갈 때마다 교통비가 많이 들었다.
특히 서울의 하위직에 근무할 때는 집을 구입하지 못해 오늘날로 치면 하숙을 했는데 주인에게 월급을 전부 주고도 늘 모자라 빚까지 진다.
드라마 허준에서 유도지가 내의원에 합격한 후 상경하여 집을 사고 하인을 부리는 장면이 나오는데, 현실적으로 보면 굉장한 부자였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방 현감으로 내려간 후는 흑자로 돌아선다.
수령의 횡령이나 포탈 행위가 요즘 인식보다 훨씬 느슨했으며 어느 정도는 관례화 됐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것 역시 후대로 갈수록 제한이 더욱 엄격해져 지방 수령의 재정 유용 범위가 축소된다.
삼정의 문란이니 하면서 후기로 갈수록 행정체계가 무너진 것처럼 보이나, 그것은 왕조 말기 현상이었고 적어도 18세기에는 조선왕조는 더욱 법적인 탄탄함을 더해갔음을 보여준다.
문득 드는 생각이, 왜 조선 시대에는 관혼상제 같은 예절을 차리는데는 그렇게도 많은 돈과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고 마치 그것을 인간성이나 도의 완성으로까지 생각했으면서, 정작 청렴결백이나 만인평등 같은 기본적인 불변의 도덕 진리에 대해서는 둔감했냐는 것이다.
실생활에 별 도움이 안 되는 예절을 잘 차리는 것이 성인의 기본 조건으로 인식되는 대신, 정말 사회를 아름답게 꾸려 나갈 수 있는 덕성들, 이를테면 이웃을 사랑하고 남을 배려하고 청렴결백 하게 공무를 처리해야 사회적 권위를 얻을 수 있는 진짜 성인으로 간주될 수는 없는 것일까?
그러고 보면 인간은 정말로 이기적인 동물이고 결단코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지 않는 것 같다.
사회의 발전은 정말로 개인개인의 이기적인 욕구들이 모여 조화를 이룰 때 이루어진다는 생각이 든다.
아담 스미스의 견해는 참으로 탁월하다.

어려운 한자에도 불구하고 흥미롭고 재밌에 읽은 책이다.
700페이지에 달하는 꽤 두꺼운 분량이지만 소설책을 읽듯 한 번에 쭉쭉 읽을 수 있다.
더불어 정치 대신 조선 시대의 문화상에 대해 관심이 증폭됐다.
관련 서적들을 더 읽어 보고 싶다.
공감 (2) 댓글 (0)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