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07

Vladimir Tikhonov ["좌파 의식"의 두 종류]

(1) Facebook
Vladimir Tikhonov ["좌파 의식"의 두 종류]

북한에서는 상당히 잘 알려져 있는 혁명 시인 마야코브스키에게는 이런 유명한 시구 하나가 있습니다: 

​무산 계급은 공산주의로
밑으로부터 다가온다.
광산, 공장, 논밭의 밑으로부터 온단 말이다.
한데 나는 시문학의 하늘에서 공산주의로 내려온다
나에겐 공산주의 없이 사랑이 없기 때문이다. 
천재적 시인답게, 마야코브스키는 아주 중요하고 복잡한 현상을 아주 간단하고 명료하게 잘 정리했습니다. 사실, 그가 볼 수 있었던 제정 러시아만 해도 좌파 투쟁의 세계로 나아가게 되는 사람들은 대개 두 종류이었습니다. 

하나는 어떤 이상주의적 동기를 갖고 혁명에 입문하게 되는 레닌이나 트로츠키와 같은 유산층의 고학력 자녀들이었습니다. 그들은 현실적으로 마음만 먹었으면 얼마든지 현 체제 아래에서도 남부럽지 않게 "출세"할 수 있었지만, 민중에 대한 부채 의식이나 압제에 대한 증오, 지식인으로서의 의무감 등등의 이유로 "지하 운동"의 세계에 투신한 것입니다. 

또 하나는 바로 노동자 출신의 혁명자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스스로 '민중'이었기에 "부채 의식" 따위 있었다기보다는 본인들이 속하는 계층을 위해 인간다운 삶을 쟁취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이 두 종류 "사이"에 또 하나의 종류가 있었습니다. 스탈린 (신학대학 중퇴생)이나 몰로토브 (최하급 사무원의 아들)처럼 어느 정도 "공부"를 한 민중 출신이나 중하층 출신으로서 혁명의 파도 속에서도 결국 일종의 "출세"의 길을 찾게 되는 신분상승 지향의 사람들입니다. 그 사람들은 결국 현실적으로 혁명이라는 대사건을 "이용"하게 된 것이죠. 

​저는 러시아의 혁명적 전망에 대해 당분간 좀 비관적인 이유 중의 하나는, 아무리 찾아봐도 현재의 러시아에서는 이 두 부류의 사람들을 찾기란 그리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일부 개인들이야 있지만, 사회적 "부류"로서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죠. 러시아의 신흥 중상층 자녀들의 상당수가 못가진 사람들에 대한 "부채 의식"을 갖기에는, 이 중산층 자체가 아직은 역사적으로 너무나 최근의 현상입니다. 역사적 "연령"이 낮은 것이죠. 오늘날 10-20대 중상층 자녀들의 부모 세대만 해도 스스로 소련의 "일반 인민"인 경우가 대부분이죠. "부채 의식"을 가지려면 세습적 특권에 대한 문제 의식부터 가져야 하는데, 러시아에서는 그 세습의 시작은 "이제"부터입니다. 아직은 너무나 나이 젊은 시장 자본주의 사회죠. 

그런데 민중도....자본주의 사회의 피착취층으로 재편된 지 오래되지 않았고, 대부분은 아직도 소련 말기에 무료로 가지게 된 아파트나 별장 등을 갖고 있고, 아직도 소련 시절 이래 계속 존재해온 무료 교육 내지 의료 혜택을 받죠. 그런 걸 바탕으로 하여 각자가 "인간다운 삶"을 알아서 "노오오력"해서 개인적으로 쟁취하면 된다는 식의 의식은 아직도 지배적인 것 같습니다.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그런 "노오오력"들이 결국 햄스터의 쳇바퀴 돌리기에 불과하다는 점을 이해하려면 아마도 한 세대 정도 더 교체돼야 할 듯합니다. 

세습의 시작은 "이제"인 러시아와 달리,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계층 이동은 이미 거의 정지된 상태입니다. 사실 1998년 이후의 한국 사회는 크게 봐서는 신분 대물림 사회죠. 

그렇다고 강남족 자녀들은, 그들의 비싼 유학 비용을 만들어준 그 부모 세대의 건물 임대료 소득의 원천인 영세민들의 피눈물에 대해 과연 "부채 의식"을 갖고 있을까요? 글쎄, 그러기에는 신자유주의적 한국 사회는 이미 너무나 원자화된 상태고, 개개인 "노력"과 "성공"의 신화는 너무나 공고합니다. 

그리고 러시아와 달리 일단 성공적으로 그 위상이 계속 올라가 급기야 "구미권 선진국"과 같은 신분이 된 국가이기에 그 만큼 "노오오력"의 신화는 위의 계층에서도 밑의 계층에서도 상당히 통하는 것이죠. 현재 그 "선진권"에서 가장 보수적인 사회가 일본이라면 아마도 바로 그 다음은 한국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좀 특이한 것은, 노르웨이 사회에서는 "부채 의식"이 지금 일종의 혁명적 조류의 원천이 다시 되는 것 같긴 한다는 겁니다

1960-70년대에 그게 제3세계에 대한 "부채 의식"이었다면 현재는 그것보다 더 보편적인 "지구에 대한 부채 의식"이죠. 사실 그 어떤 계급 혁명가보다 노르웨이에서 훨씬 더 급진적으로 행동하고, 심지어 대규모의 시민 불복종 이후에 감옥도 가서 정치범 (?)이 되는 사람들은 바로 기후 활동가들입니다. 저는 그들을 보면 그야말로 120년 전의 레닌이나 트로츠키가 연상되죠. 그들에게는 개인적으로 기후 변화가 "생명의 위협"은 되지 않습니다. 아무리 바다 해수면이 올라가도 방글라데시 등과 달리 노르웨이는 거기에 성공적으로 대처할 자원과 재력은 있으니까요. 그런데도, 후기 자본주의 사회를 "즐기면서" 살 수도 있는 사람들이 "절멸의 위기에 빠진 지구"를 구하기 위해서 평온한 일상을 포기하고 산다는 것은 대단히 숭고해 보입니다. 결국 제1세계 양심 분자, 깨어 있는 시민들의 이런 지구 위기에 대한 "부채 의식"과, 세계 곳곳에서 터지는 신자유주의에 대한 "생계형" 반란들이 어떤 공통의 분모를 찾게 되고 하나의 반자본주의, 생태형 공산 사회 건설을 위한 커다란 범지구적 운동이 되면 그거야말로 세계 혁명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가끔 하게 됩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