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7-01

나의 북한관... : 네이버 블로그

나의 북한관... : 네이버 블로그
나의 북한관...  북한경제 
2011.12.25. 02:20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     진중권씨나 박노자씨의 북한 체제에 대한 생각을 접하면 늘 마음이 불편하다. 최근 김정일 총비서의 추모에 대한 진중권씨의 언급도 역시나 그랬다. 진씨나 박씨는 "빠다(버터) 냄새 나는 진보이론"만을 진보로 여기는 것 같다
 
     나는 북한 체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와 관련해서는 송두율 교수의 생각에 거의 전적으로 동의한다.
 
    .(이하 글은 한 10년 전 쓴 다른 글을 손 본 것) 송두율 교수는 북한이 직면한 문제를 '자주성(주체)의 추구가 낳은 근(현)대성의 부재에 있다’고 정의한 바 있다. 자주를 실현하려는 제3세계의 민족주의적 노력이 그 대가로 근대성의 부재라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북한은 주변 강국에
유린되었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자주’를 택했으며, ‘자주와 독립에 대한 염원’의 과잉으로 외부와의 철저한 고립의 길을 걸었다는 것이다. 그 결과로 ‘근대화’라는 세계사적 흐름으로부터 멀어진, 외부가 쉽게 이해할 수 없고 상당기간 외부와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고립된 소왕국’으로 추락했다는 설명이다. 

     나 역시 북한은 '근대성'을 갖추지 못한 비정상적인 사회라 여긴다. 아직 공개처형이 이뤄지고 범죄자, 반체제 인사에 대한 인권은 찾아보기 힘들며, 당관료의 특권주의는 봉건적 유제와 결합되어 인민을 지배한다. 

     북한을 식민주의를 경험한 제3세계 민족이 그토록 갈망하던 자주를 이루려는 과정에서 '세상과 단절', 즉 '근대성의 외면'이라는 길을 선택해버린 결과라고 생각한다. 그러다보니, 북한 주민만이 아니라 북한 정권에게도 동정이 간다. 

    송두율 교수 이야기를 좀 더 하면, 송 교수가 ‘경계인’을 자임한 것은 자주라는 '선의'에서 출발한 북한이 고립된 전근대사회로 추락하고 있는 사실과 한국 사회의 우리들이 이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데 대한 안타까움의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너무 이해가 지나쳐서 주사파가 된 사람도 있지만, 난 주사파를 좋아하지 않는다). 

    송 교수는 식민지 지배에 대한 쓰라린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북한에게 '세계로 나올 것'을 이야기하며, 북한을 기형적인 집단으로 간주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성원들에게 현실적 결과로서의 북한에 집착하기보다는 북한 사회의 현실과 불행을 우리 역사의 맥락에서 파악할 것으로 이야기하면서 그 방법으로 내재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송 교수의 저서 '통일의 논리를 찾아서(아마도 1995, 한겨레)'를 보면, '한반도의 우리들', '같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은 우리들'이 '민족이라는 공통된 지반'에 서서 화해하고 협력하여 새로운 미래를 열어 갈 것을 호소하고 있다. 

    송 교수는 말하는 '민족'의 개념이 궁금하기도 하고 약간 거부감도 있긴 하지만, 그 주장에는 마음이 간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