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5-27

북한에는 노동절이 없다

북한에는 노동절이 없다

| 신준식

박근혜 대통령이 첫 국무회의에서 이례적으로 '근로자의 날' 대신 '노동절'이라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박 대통령은 "노동절 등 5월 초에 중국을 비롯한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역대 대통령 중 처음으로 5월 1일을 '노동절'이라고 표현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동절'이라는 말 대신 '근로자의 날'이라는 표현을 쓴다. 박 대통령의 발언이 이슈가 된 것은 노동과 근로의 의미가 비슷하게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큰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노동은 스스로 힘써 주체적으로 일한다는 뜻이다. 즉, 노동자의 권리를 지키고 일에 대한 주관과 자부심을 갖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에서 말하는 노동은 사전적 의미와는 전혀 다르다. 대부분의 북한 노동자가 정권의 통제와 감시를 받으며 일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근로는 국가가 회사를 위해 '주면 주는 대로, 시키면 시키는 대로 순종적으로 일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즉, 능동적인 존재가 되지 못하고 언제나 수동적인 입장에서 일을 한다는 의미다. '노동조합'은 있지만 '근로조합'이 없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따라서 북한은 '노동절' 대신 '근로자의 날'이라고 해야 더 적절한 표현이 된다.

2011년 탈북한 김근수 씨는 뉴포커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북한에서는 무조건 시키면 해야 한다. 하루 할당량도 벅차기 때문에 '시키는 것만 잘해도 일을 잘하는 것'이라는 말까지 한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이 전혀 제공되지 않는 셈"이라고 증언했다.

과거 김일성때만 해도 노동절 행사를 굉장히 크게 치뤘다. 하지만 김정일 정권에 들어서 '사회가 진보할수록, 노동자도 지식인이 돼야 한다'고 말하면서, 노동신문에서조차도 '전세계 노동자들은 단결하라'라는 말을 빼도록 지시했다. 더불어 '노동절 행사'의 규모 또한 축소됐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북한 정권은 유독 '노동'이라는 단어는 즐겨 사용한다. 노동신문만 봐도 대부분의 기사에서 '노동'이라는 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북한 내에서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자부심을 가진 사람은 전혀 찾아볼 수가 없다. '근로'는 있어도 '노동'은 없는 것이 북한의 현실이다. 2012년 탈북한 최홍식 씨는 "오히려 한국에 와서 일하는 기쁨을 알았다. 북한에서는 단지 살기 위해 일을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결국 북한 정권이 체제를 바꾸지 않는 한, 북한 내 '근로자의 날'은 있을 수 있어도 '노동절'은 있을 수가 없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