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29

[클로즈업 북한] 北 여성들, 발언권 커졌다 > 남북의창 > 정치 > 뉴스 | KBSNEWS

[클로즈업 북한] 北 여성들, 발언권 커졌다 > 남북의창 > 정치 > 뉴스 | KBSNEWS

<앵커 멘트>

북한 내부를 심층 분석하는 클로즈업 북한입니다. 

직장에 나가 바깥일도 하고 집안일도 도맡아 해왔던 북한여성들이 요즘 변하고 있습니다. 

남편에게 할 말은 하는 모습입니다. 

북한에서 남녀평등법이 공포된 지 65년이나 됐지만 법 보다는 돈의 힘을 빌려 여성의 발언권이 커지고 있습니다. 

클로즈업 북한에서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녹취> 드라마 “엄마를 깨우지 말아” : "(내가 직업을 바꾸든가 당신이 연구사를 그만두든가 무슨 마련을 봐야지 이대로는 더 못 참겠단 말이야 그래 어떻게 하겠소?) 어떻게 남자들만이 사회적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난 절대로 그렇게 할 수 없어요. "

직장일로 바빠 집안일에 소홀한 부인과 이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편이 다투는 모습. 

최근 북한 티비 드라마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는 장면이다. 

밖에 나가 남성들과 똑같이 일하고도 집안일은 집안 일 대로 해야 했던 북한 여성들이 변하고 있다. 

왜 이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지난달 30일.

북한당국은 남녀평등법 공포 67주년을 맞아 여성의 역할을 강조했다. 

<녹취> 송현순(여성중앙위원회 부부장) : " 여성들 모두가 국가와 사회의 당당한 주인이라는 긍지와 자부심을 안고 있습니다. "

1946년 7월 제정된 이 법은 남녀모두에게 공평한 권리와 기회를 준다고 명시하고 있다. 

<녹취> 조선중앙TV(지난달 30일) : "이날은 세기를 두고 멸시와 천대 속에 살아오던 우리 여성들의 비참한 운명에 종지부가 찍히고 자주적 인간으로서의 새로운 삶의 길이 열린 환희의 날이었습니다. "

<인터뷰> 안00(탈북자) : "60년대 전쟁이 끝나서 해방이 돼서 남녀 문제가 많이 조성됐고 또 전쟁이 끝나서도 남자들이 전쟁에서 많이 돌아와 가지고 죽었고 했기 때문에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라는 게 대단히 긴박했던 찰나에 북한에서 그런 남녀 평등법에 한해서 많이 활성화를 했죠." 

남존여비를 당연시하는 당시 사회적 분위기에서 남녀평등과 여성의 정치적 권리를 강조한 데는 나름의 사연이 있다. 

<인터뷰> 조영주(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 :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면서 기존에 자본주의 국가의 차별성을 가져야 하고 자본주의 국가의 경제 발전을 따라가야 했습니다. 그러다보니까 노동력 확보가 굉장히 중요한 화두였고, 중요한 공제였고 여성들의 노동력의 동원과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서 평등법을 제정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덕분인지 북한 여성의 정계 진출 비율은 남한보다 높다. 

대한민국 19대 국회의 여성의원 비율은 15.7% 정도인데 북한 최고인민회의의 여성 비율은 1970년 대 이후부터 20%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그렇다고 남녀평등이 실질적으로 구현된 것은 아니다. 일하는 여성은 많아도 고위직에 오르는 여성은 적다. 

이른바 유리천장이 북한에도 존재하는 것이다. 

김정은 국방위 제 1위원장의 고모인 김경희는 당 비서에다가, 대장 칭호까지 갖고 있지만 김정은의 고모였기에 가능한 일이다. 

경제가 어려워지면 그 파도를 가장 앞에서 맞는 것도 여성이다. 

1990년 대 경기 침체가 시작되고 노동력 수요가 줄어들자, 여성들은 직장에서 먼저 퇴출당했다. 

남존여비 사상도 뿌리가 깊다.

<녹취> 드라마 장산리 여성들 : "(서라는데! 너까지 날 업신여기니? 황소도 우리가 치마를 둘렀다고 얕봐서 그래.) 남자들이란 집에서 기다리고 있는 사람 생각을 덜하는 모양이지."

남편과 같은 사회생활을 하더라도 육아와 살림은 여성들의 몫이었다. 

현모양처와 직장여성의 역할을 동시에 해내야 하는 상황이다. 

<인터뷰> 김귀옥(한성대 교양학부 교수) : "제도적인 수준에서는 양성 평등한 제도로 갔기 때문에 오히려 집안에 들어오면 더 일을 하라. 그래서 사실상 북한 사회에서 일상적인 어떤 집안, 가사 노동을 한다거나 이런 것들은 상대적으로 북한의 여성의 몫이라는 것들을 일반적으로 가져갔던 것 같습니다." 

1990년대 중반은 이른바 고난의 행군으로 불릴 정도로 경제가 어려웠다. 

그런데 이 무렵 북한의 가부장적인 문화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다. 

배급제가 붕괴되자 여자들이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나선 것이다. 

텃밭의 작물이나 돈이 되는 물건을 장마당으로 내다 팔기 시작했다. 

직장 월급의 몇 배나 되는 벌이 때문에 장마당은 급속도로 늘어났고, 직업삼아 장마당에서 물건을 파는 여성들이 늘어났다. 

북한 당국도 여성의 사경제 활동을 암묵적으로 허용했다. 

반면 남성들의 활동은 철저히 금지시켰다. 

남성들까지 시장경제의 맛을 보면 체제가 불안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변화는 북한 여성들의 지위를 바꿔 놓았다. 

경제권을 쥔 여성들이 자신들의 권리를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인터뷰> 김귀옥(한성대 교양학부 교수) : "장마당 나가서 직접적으로 물건을 사고팔고 심지어는 국경 밀무역이라고 해서 중국까지 나가서 그런 밀무역하는 사람들도 꽤 많이 생기고 그런 과정 속에서 실질적으로 여성들이 90년대 이후 돈을 만지게 됩니다. 돈을 만지게 되다 보니까 돈을 만지게 되는 상황에서 왜 여성들이 남성의 하대를 받는가라는 그런 문제의식들이 더 심각하게 생길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이 되죠." 

돈을 못 벌어오는 남편들은 이제 멍멍이나 만능열쇠 등으로 폄하됐다. 

이혼과 별거비율도 높아졌다 

<인터뷰> 안00(탈북자) : "남자들이 제 구실을 못한다. 이렇게 하면 여자들끼리 앉아서 이야기하는 것도 이제 완전히 염소라는 이렇게 별명을 벌어가지고 낮전등이라는, 낮전등이라는 그 말 자체가 낮에도 불을 켜도 되고 안 켜도 된다는 그런 의미로 이제 남자들이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존재로 여자들이 간주하다보니까 그러한 별명이라든가 사회적으로 그러한 말이 많이 돌지 않았나. "

남성들이 선호하는 여성상도 바뀌었다. 

과거 북한 남자들이 얌전하고 집안일을 잘하는 여성을 최고로 쳤다면 최근엔 주도적이고 당당한 여성들이 인기가 많다고 한다. 

<녹취> 평양 시민 : "앞으로 나의 대상자를 고를 때에도 국가의 크게 기여한 우주 과학자나 핵 분야 과학자가 아니면 절대 승낙 안하겠다고.."

<인터뷰> 조영주(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 : "젊은 여성들 같은 경우에는 이제경제적인 부를 창출하는데 좀 관심이 많이 가있는 것 같고요. 결혼을 한다고 하더라도 예전에는 당원이 중요했다면 이제는 경제적인 지위가 있고 부가 있는 남성들을 찾고 추구하는 그런 경향성이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녀를, 출산을 잘 하지 않으려고 하고 결혼 자체도 좀 미루려고 하는 그런 경향성이 보이고 있고요. 자신들의 외모와 어떤 연애와 이런 것들에 굉장히 많은 관심들을 보이고 있는 게 최근의 추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정은 체제에 들어와서 여성의 역할은 더 강조되고 있다. 

김정은이 부인 리설주를 공식 행사에 자주 노출시키는 것도 이런 흐름 속에서 봐야한다는 평가다. 

공산권 국가에서 최고지도자의 부인은 사회적 지위 없이 공식 석상에는 잘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김정은은 달랐다. 과거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과 부인 김성애가 함께 공식석상에 등장한 적은 있지만 김성애는 리설주처럼 퍼스트레이디 역할은 하지 않았다. 

김정은은 부인과 항상 함께하는 따뜻한 가장의 이미지로 여성들의 호감을 얻으며 북한의 가족 문화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는 해석이다 

<인터뷰> 조영주(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 : "여성들이 계속 변화하고 있는 의식이라든가 생활양식들을 보았을 때 국가 차원에서도 어떤 여성들에 대한 어떤 위로와 어떤 인정 이러한 것들이 필요했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것이 리설주라는 인물을 통해서 상징화되지 않았나 하고 생각이 되고요."

여성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고 해서 북한 여성들의 삶의 질이 당장 나아지는 것은 아니다. 

가정 폭력이나 노동력 착취 등 여성 인권의 문제도 여전하다. 

그러나 여성의 권리향상은 시대적 흐름이고 북한도 예외일 수는 없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