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기독교 사상을 주체적으로 수용했던 유영모, 김교신, 함석헌의 삶과 사상을 탐구했다. 자신들의 삶을 통해 식민지 조선인으로서의 민족과 민중의 뼈아픈 경험을 성서와 기독교 신앙에 근거를 두고 해석, 실천함으로써 새로운 한국적 기독교 사상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 세 사상가의 역동적인 삶과 창조적인 사고를 보여준다.
책을 통해 독자들은 이 시대, 이 자리의 한국적 기독교의 의미와 실천이 무엇인가에 대한 통찰과 그 해석의 깊이를 그들의 삶을 통해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책을 통해 독자들은 이 시대, 이 자리의 한국적 기독교의 의미와 실천이 무엇인가에 대한 통찰과 그 해석의 깊이를 그들의 삶을 통해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한국 교회는 대부분 자본주의적 물질 문명에 포섭당했으며, 그 노예가 되었다. 물질주의라는 괴수에 사로잡힌 교회 마케팅의 현장으로서 한국 교회는 기독교의 본질 자체에 대한 배반이다. 그리고 물질이건 권력이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어떠한 힘에도 굴하지 않는 자유로운 인간성에 대한 추구는 위의 세 사람의 사상과 실천의 근저에 흐르는 동력이었다.
오늘날 대다수 한국 교회의 모습에서 예수의 생명과 신앙의 자유를 느끼기 어렵다면, 이 세사람의 삶과 사상, 실천에서는 깊은 믿음과 정신적 자유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시대의 언어로 말하자면, 자본주의 물질문명에 의한 인간의 노예화야말로 그들이 온몸으로 저항해서 막아내고자 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사상과 실천이 지니는 울림은 우리 시대에 더욱 크게 다가온다. - 머리말 중에서
오늘날 대다수 한국 교회의 모습에서 예수의 생명과 신앙의 자유를 느끼기 어렵다면, 이 세사람의 삶과 사상, 실천에서는 깊은 믿음과 정신적 자유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시대의 언어로 말하자면, 자본주의 물질문명에 의한 인간의 노예화야말로 그들이 온몸으로 저항해서 막아내고자 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사상과 실천이 지니는 울림은 우리 시대에 더욱 크게 다가온다. - 머리말 중에서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