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10

[알라딘]한국 디자인의 문명과 야만 - 근대화 140년, 한국 디자인에 던지는 물음

[알라딘]한국 디자인의 문명과 야만 - 근대화 140년, 한국 디자인에 던지는 물음
최범 디자인 평론집 4권. 저자 최범은 근대화를 통해 발생한 한국 사회의 문제가 디자인과 예술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이야기하기도 하고, 디자인과 예술을 매개로 한국 사회의 문제를 고발한다. 예를 들어 언뜻 보기에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세월호 참사와 한국 디자인, 두 가지를 통해 한국 사회에 만연한 물질숭배, 무능력, 무책임을 고발하기도 한다.

또 그는 이 시대의 예술가 네 명의 작업을 통해 한국 근대화 140년을 읽는다. 조습은 외세에 의한 근대화에서 생긴 상처를 쓰다듬고, 변순철은 ‘카메라 앞의 한국인’을 통해 한국의 근대화를 설명하며, 최정화와 안상수는 근대화를 토대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최범에게 한국 디자인과 예술은 곧 한국 사회를 비추는 거울인 셈이다.

P.31 : 결론적으로 말하면, 나는 한국 현대 디자인에서 문명의 얼굴보다는 야만의 얼굴을 더 많이 발견한다. 그 이유는 한국 현대 디자인이 인간적 삶을 고양하기보다는 왜곡하고 파괴하는 모습을 더 많이 보여주기 때문이다.
「세월호와 ‘디자인 서울’」에서
P.38 : ‘디자인 서울’에는 물질숭배, 무능력, 무책임이라는 한국 사회의 추악한 모습이 디자인의 얼굴로 드러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디자인 서울’은 세월호 사건과 닮은꼴이다.
「세월호와 ‘디자인 서울’」에서

 최근작 :<한국 디자인의 문명과 야만>,<디자인 평론 1>,<그때 그 책을 읽었더라면> … 총 10종 (모두보기)
 소개 :디자인 평론가. 홍익대 산업디자인과와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하고 《월간 디자인》 편집장을 역임했다. 여러 대학에서 디자인 이론을 강의하는 한편 출판, 전시, 공공 부문 등에서 활동해왔다. 현재 파주타이포그라피 학교(PaTI) 디자인인문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평론집으로 『한국 디자인을 보는 눈』 『한국 디자인 어디로 가는가』 『한국 디자인 신화를 넘어서』 『공예문화 비평』이, 옮긴 책으로 『디자인과 유토피아』 『20세기 디자인과 문화』가 있다.

한국 근대화 140년, 한국 디자인에 던지는 물음
강화도 조약을 기점으로 한국이 근대화를 맞은 지 140년이 된 지금, 디자인 평론가 최 범이 한국 디자인에 던지는 네 번째 물음. 화려한 근대화 문명 뒤에 세월호 참사라는 야만적인 사태가 공존하는 한국의 모습에서 최 범은 그것이 한국 디자인의 모습과 같다고 한다. 수많은 디자인 제도와 디자인학과가 존재함에도 근대 세계 질서는 한국을 좀체 디자인 선진국 반열에 오르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한국 디자인의 아이러니 속에서 최 범은 묻는다. “과연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 디자인은 문명의 얼굴을 더 많이 보여주었는가, 아니면 야만의 표정을 더 많이 지었는가.” 이 물음에 한국 디자인은 국가주의적 구호와 대기업 중심으로부터 해방되어 개개인의 구체적인 삶에 들어갈 수 있을까.

한국 디자인의 두 얼굴
이 책 『한국 디자인의 문명과 야만』의 지은이 최 범은 한국에서 디자인과 전통은 근대 문명이라고 불리는 판타지로 포장되어 생산주의와 민족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말한다. 그 결과 한국 디자인은 겉은 화려하지만 그 속은 세계에서 뒤처지면 안 된다는 경제적·민족적 콤플렉스로 똘똘 뭉친 결과물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디자인이란 판타지가 아닌 생활 그 자체이다. 이제 ‘문명’이란 꿈에서 깨 우리의 ‘야만’을 인정해야 하며, 식민지 시절과 독재 정부 등으로 얼룩진 근대화 과정에서 잃어버린 소박함과 공공성을 회복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 디자인사(史)를 다시 써내려 간다면 한국 디자인은 우리에게 문명의 얼굴 쪽으로 고개를 돌리지 않을까.

예술과 디자인으로 읽는 한국의 근대화
최 범은 근대화를 통해 발생한 한국 사회의 문제가 디자인과 예술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이야기하기도 하고, 디자인과 예술을 매개로 한국 사회의 문제를 고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언뜻 보기에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세월호 참사와 한국 디자인, 두 가지를 통해 한국 사회에 만연한 물질숭배, 무능력, 무책임을 고발한다. 또 그는 이 시대의 예술가 네 명의 작업을 통해 한국 근대화 140년을 읽는다. 조습은 외세에 의한 근대화에서 생긴 상처를 쓰다듬고, 변순철은 ‘카메라 앞의 한국인’을 통해 한국의 근대화를 설명하며, 최정화와 안상수는 근대화를 토대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최 범에게 한국 디자인과 예술은 곧 한국 사회를 비추는 거울인 셈이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