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
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 l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현대일본생활세계총서 7
남기정 | 박진우 | 서동주 | 진필수 | 박정진 | 박이진 | 이은경 | 이경분 (지은이) | 박문사 | 2014-05-31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현대일본생활세계총서 (총 12권 모두보기)
신간알리미 신청
-----
‘생활평화주의(everyday-life pacifism)’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여 전후 일본의 평화주의 또는 평화운동의 주요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생활평화주의’는 전후 일본에서 전개된 이러한 평화운동의 내용을 담기 위한 용어이다.
<서장> 생활평화주의’로 풀어보는 전후 일본의 평화론
<제1부> 생활인의 감성과 생활의 정치화
1. 1950년대 ‘생활기록’과 평화담론
1). 1950년대 ‘기록운동’
2). ‘생활기록’ 속의 반전과 평화
3). 기지로 향하는 지식인들―기지 르포르타주
4). ‘나’의 기록과 ‘우리’의 평화
5). ‘기록운동’의 종언
2. <일본모친대회>, 각성하는 ‘모성’과 평화
1). 불편한 ‘모성’
2). 전후 일본 여성들의 평화운동과 비키니사건
3). <일본모친대회>의 개최와 세계적 발신
4). 전쟁과 평화, 그리고 ‘모성’
5). 평화, ‘아이’의 더 나은 ‘생활’을 위해
3. ‘귀환체험담’과 ‘반전평화주의’
1). 부흥과 평화주의
2). 1970년대 시대적 ‘자극’과 귀환체험기
3). ‘비극’ 재현을 통한 ‘평화’ 염원
4). ‘혼란과 불안’에 대한 트라우마
<제2부> 국민의 심성과 평화의 의례화
4. ‘8.15’를 통해서 본 전쟁관과 평화인식
1). 전후 역사인식의 원점으로서의 ‘8?15’
2). ‘8.15’에 관한 사설 논조의 추이
3). ‘8.15’ 독자투고를 통해서 본 전쟁관과 평화인식
4). 전쟁관과 평화인식의 추이와 전망
5. <팩스 뮤지카 콘서트>와 소비되는 평화
1). 음악과 평화
2). <팩스 뮤지카>라는 평화콘서트 기획
3). <팩스 뮤지카>의 역사
4). <팩스 뮤지카> 정신을 대변하는 노래: ‘아시아의 불꽃’
5). 1990년대 초반 <팩스 뮤지카>의 중단과 그 문화적 배경
6). <팩스 뮤지카>의 의미와 한계
<제3부> 인민/주민/시민의 생활과 평화
6. <원수폭금지운동>과 일조인민연대
1). 생활 속의 ‘평화공존’과 국제 ‘인민연대’
2). 원수금운동의 태동과 일조인민연대의 부상
3). 원수금운동의 굴절과 일조인민연대의 고양
4). 원수금운동의 좌절과 일조인민연대의 붕괴
5). 국제정치에 함몰되는 평화와 연대
7. ‘자생적 생활운동’으로서 이와쿠니 반기지운동
1). 미군기지 생활사의 문제
2). 이와쿠니기지와 지역사회
3). 반기지운동의 성장과 후퇴
4). 성장과 후퇴를 초래하는 생활사적 요인들
5). 생활과 운동
8. 반원전운동과 ‘생활평화주의’의 전개
1). 기시감(deja vu)
2). <베평련>: ‘생활의 발견’과 ‘소시민의 힘’
3). 반전에서 반원전으로: ‘안보’와 ‘기지’, ‘반공해’와 ‘토지’
4). 반원전운동과 일본의 민주주의
<주요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 남기정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기지국가의 탄생>,<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전후 일본 그리고 낯선 동아시아> … 총 6종 (모두보기)
소개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했고, 도쿄대학 종합문화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도호쿠대학 법학부 조교수 및 교수, 국민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를 거쳐 현직에 있다. 국제관계론을 전공했고, 관심 주제는 미일동맹의 전개와 이에 대한 일본 평화운동 진영의 대응이다. 최근의 연구업적으로는 『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편저, 2014), 「일본의 베트남전쟁: ‘기지국가’의 ‘평화운동’과‘평화외교’」(2015), “The Reality of Military Base State and the E...
저자 : 박진우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 총 10종 (모두보기)
소개 : 숙명여자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계명대학교 사학과 졸업. 쓰쿠바대학 지역연구과 석사과정 수료하고 히토쓰바시대학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천황제를 중심으로 일본 근현대 사상사를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일본 근현대사》(공저, 1999), 《근대 일본 형성기의 국가와 민중》(2004), 《21세기 천황제와 일본》(편저, 2006), 《천황의 전쟁책임》(2014) 등이 있고, 야스마루 요시오(安丸良夫)의 《현대일본사상론》(2006), 《근대 천황상의 형성》(2008)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저자 : 서동주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에너지 혁명과 일본인의 생활 세계>,<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슬픈 일본과 공생의 상상력> … 총 8종 (모두보기)
소개 :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HK교수. 일본 쓰쿠바대학(筑波大學) 박사. 전공은 일본근현대문학이며, 최근에는 ‘문학’이란 장르에 초점을 맞춰 근대 동아시아 지식의 형성사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근대 일본의 ‘조선 붐’』(공저, 역락, 2013), 『‘전후’의 탄생-일본, 그리고 ‘조선’이라는 경계』(공저, 그린비, 2013), 『전후 일본의 지식 풍경』(공저, 박문사, 2013), 『전후일본의 사상공간』(역서, 어문학사, 2010) 등이 있다.
저자 : 진필수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안전사회 일본의 동요와 사회적 연대의 모색>,<에너지 혁명과 일본인의 생활 세계>,<오키나와로 가는 길> … 총 7종 (모두보기)
소개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문화인류학, 오키나와문화론, 일본문화론). 주요 논저로는「센카쿠(댜오위타이)제도 영유권 분쟁에 있어 이시가키시 의회의 과잉 애국심과 지역활성화의 논리」(2012), 『오키나와문화론』(2011), 「하토야마내각에 있어 후텐마기지 반환문제와 미일안보체제의 재인식?오키나와 주민들의 시점」(2011) 등이 있다.
저자 : 박정진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 … 총 2종 (모두보기)
소개 : 동국대 정치학과 대학원 북한정치 전공 석사. 동경대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국제관계학 전공 정치학 박사. 현재 서울대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저자 : 박이진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동아시아로부터 생각한다>,<동아시아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아시아의 망령> … 총 7종 (모두보기)
소개 : 일본 오사카대학에서 문화표현론 비교문학을 전공했다. 최근에는 아베 고보를 포함하여 식민지 출신 귀환 작가들의 일본 문학 내에서의 위상 정립과 동아시아적 지평에서의 귀환자 문학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저자 : 이은경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젠더와 일본 사회>,<에너지 혁명과 일본인의 생활 세계>,<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 … 총 3종 (모두보기)
소개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조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의 주된 연구 관심은 일본 근현대사 중에서도 여성운동과 생활, 현대 일본 사회의 기원으로서의 근대 문화의 형성, 근대 일본에서 그리스도교의 수용과 사회적 역할 등이다. 연구 성과로는 『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2014), 『현대일본의 전통문화』(2012), 『일본사의 변혁기를 본다』(2011) 등의 공저와, .모성 참정권 전쟁 그리고 국가: 근대 일본 여성운동의 통시적 고찰.(2016...
저자 : 이경분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일본, 상실의 시대를 넘어서>,<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 … 총 2종 (모두보기)
소개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이 책은 ‘생활평화주의(everyday-life pacifism)’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여 전후 일본의 평화주의 또는 평화운동의 주요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전후 일본의 평화운동은 혁신 엘리트 정치인의 반전-반핵운동으로 시작되어, 점차 반기지-반원전의 주민운동으로 정착되어 갔다. 이는 ‘평화’가 정치나 이념의 높이에서 생활과 감각의 평지로 하강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과 함께 평화운동의 주체는 고도의 정치의식으로 각성한 인민-계급의 결사체로부터 생활의 감각을 공유하는 시민-주민들의 모임으로 변화했다. 이들은 정치투쟁으로서의 평화운동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생활감각에 기인한 예민함으로 ‘비평화’의 징후를 민감하게 포착하여 생활의 현장에서 ‘평화’의 유지와 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생활평화주의’는 전후 일본에서 전개된 이러한 평화운동의 내용을 담기 위한 용어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