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5

강주영 | #나라의_광복_국가의_광복 #말의_다시개벽

(7) 강주영 | Facebook:

강주영
Favourites  · 
15 August 2021
  · 
#나라의_광복_국가의_광복
#말의_다시개벽

내 나라 하늘은 곱기가 지랄이다.(최인훈)
내 국가 하늘은 곱기가 지랄이다. 이 예에서 나라 = 국가라고 할 수 있는가?
흔히 '나라'와 '국가'(國家)를 같은 말로 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알음이다. 
한국말 '나라'는 15세기 글새김(문헌)에서 '나랗'*1)로 처음 보인다. 나라는 함경도 사투리로는 '나랑'이다. 전라도에서 쓰이는 "나랑게 나라니까 그러네"의 '나랑'과 같다. 여기서 '나랑'은 홑사람(개인)이 아니고 '~와 더불은 나'이다.
나라는 '나'라는 주체와 더불어 ~랑하는 바탕체이다. 한국말 나라는 '나'라는 임자(님자, 주체)들을 바탕으로 그 어떤 결(슬기, 도,  이치)로서 엮여진 두레체(협동체)다. 나라에는 애국, 통치, 지배 같은 근대민족국가성이란 없다.   
국가는 이 나라의 뱃속에서 태어났으나 도리어 제 어미인 나라와 동떨어져 나라를 다스리는 통치체인 것이다. 

묻따풀학당의 최봉영  선생은 '나라'에서 " '나'는 낱낱의 나를 가리키는 말이고, '라'는 '가거라', '오거라'와 같이 말하는 '~라' (로서) '나라'는 낱낱의 나를 우리로서 함께 살아가도록 하는 바탕"이라고 푼다. 15세기 글새김과 다르지 않다. 최 선생은 "국가(國家)는 어떠한 가문(家門)의 혈통을 좇아서 세습되는 조직체임을 말한다"라고 푼다.
그런데 표준국어사전은 첫째 풀이로 나라를 "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사람들로 구성되고, 주권(主權)에 의한 하나의 통치 조직을 가지고 있는 사회 집단. 국민ㆍ영토ㆍ주권의 삼요소를 필요로 한다. =국가."라고 한다. 국민은 국가의 식민이고, 영토는 커야 하며, 주권은 '나라'에 있지 않고 국가에 있다. 타치와 객체화 침략적 풀이다.
한국사람의 '나라'가 아니고 100% 서구 근대국가의 이념을 받아들인 말이다. 표준국어사전의 풀이는 국어사전이 아니고 서양사전이다. 
이런 생각을 더 펼쳐 보자. 나라의 법통은 '나와 더불은 우리=나랑'에게 있지 정부나 단체 국가 따위에 있지 않다. 국가를 장악하고자 하는 당파들은 입맛에 따라 법통을 '임정'이라커니  '이승만정부'에 있다커니 한다. 다시 말하자면 국가의 법통은 정부나 단체에 있는 게 아니고 '나라'에 있다.
국가는 당파에 내줄 수 있어도 나라는 당파에 내줄 수는 없다. 때문에 충성할 나라는 있어도 충성할 국가는 없다. 
내게 광복이란 국가로부터 나라를 되찾는 일이다. 광복은 오지 않았다. 아니 광복은 국가가 훔쳤다.
참고로 옛말에서는 밧나랗 = 외국,  믿나랗 = 본국, 예나랗 = 왜국이다. 현대어로는 밖나라, 밑나라, 왜나라로 쓸 수 있다. 
한국말 겨레는 결(무늬, 도, 이치, 정신)을 같이 하는 두레(둘레)이고 민족은 영어의 Nation을 일본사람이 번역한 말이다. 겨레와 민족은 그 사상적 바탕이 완전히 다르다. 밖나라라 하여 물리치는 게 아니고,  본디의 밑나라 사상의 줏대로서 생각하자는 말이다. 때문에 민족 광복이 아니라 겨례의 광복이요, 국가의 광복이 아니라 나라의 광복이어야 하는 것이다. 
*1)주 댓글에

Comments
강주영
*1)주








































No photo description available.
Reply1 y
강동암
대한민국 만세!
우리나라 만세!
Reply1 y
하경숙
"나리"말의 뿌리를 더듬는 해설에 절실 공감!
꼼꼼히 읽다보니 대신사님의 "무극대도"는 원래의 본디말인 온인류의 전체적 '나'(주체적 형식을 주체적 지향으로) 를 먼저 찾는 도를 표방하신 것 같은 생각이 스쳐갑니다.
Reply1 y
강주영
하경숙 네 저도 그리 여깁니다.
Reply1 y

Jin-gyu Choi
광복의 아침에 딱 좋은 내용입니다
Reply1 y
Dong Su Kim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공유하려 하는데
퍼가도 괜찮나요?
Reply1 y
강주영
김동수 네네 동상
Reply1 y

남여경
우리나라에 대해 생각을 더 깊이 하게 되네예
Reply1 y
菊潭
3.1절보다 광복절이 동학 천도교 흔적이 잘 보이지 않는다. 수많은 민의 평화와 피의 희생과 염원으로 이뤄낸 것임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빼앗겼던 주체인 정부가 기념식을 주도해서 일까?
단박 든 짧은 생각으로는, “시천주 조화정 영세불망만사지”라는, 또는 ‘이천식천’, ‘향아설위’ 식의 한자어 표기로는 어려울 것 같다. ㅠㅠ
(문 정부에서의 추념식은 애국과 매국의 차이를 느끼게 한다.)
Reply1 y
박광석
나는 본문과 다르게 생각하는 이유는 '나랑 함께하는 것'으로 '국가'라는 의미로 이어졌다면, 가족이나 단체를 지칭하는 나랑 함께하는 것은 어떻게 구분하고 설명할 것인가?
그리고 본문의 주장이 인정받으려면
다른 말에서도 같은 구조로서의 변화하는 말을 찾아서 제시하여야 합니다.
또 다른 말에서도 같은 구조적 변화를 찾지 못하면 억지같은 아전인수격이 됩니다.
Reply1 yEdited
김민중
Reply1 y
Chris Kim
옛말 밧나랗(밖나라) = 외국, 믿나랗(밑나라) = 본국, 예나랗(왜나라) = 왜국.
한국말 겨레는 결(무늬, 도, 이치, 정신)을 같이 하는 두레(둘레), 민족은 영어의 Nation을 일본사람이 번역한 말.. 겨레와 민족은 그 사상적 바탕이 완전히 다르다.
밖나라라 하여 물리치는 게 아니고, 본디의 밑나라 사상의 줏대로서 생각하자는 말이다. 때문에 민족 광복이 아니라 겨레의 광복이요, 국가의 광복이 아니라 나라의 광복이어야 한다.
잘 배웠습니다~
Reply1 y
최봉영
Chris Kim 고맙습니다.
Reply1 y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