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26

Snow Country - Wikipedia

Snow Country - Wikipedia

Snow Countr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Snow Country
AuthorYasunari Kawabata
Original titleYukiguni (雪国)
TranslatorEdward Seidensticker
CountryJapan
LanguageJapanese
GenreNovel
Publication date
  • 1935–1937 (serialization)
  • 1948
Published in English
1956
Media typePrint (Paperback)
OCLC3623808

Snow Country (雪国YukiguniIPA: [jɯkiꜜɡɯɲi]) is a novel by the Japanese author Yasunari Kawabata. The novel is considered a classic work of Japanese literature[1] and was among the three novels the Nobel Committee cited in 1968, when Kawabata was award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2]

Writing process[edit]

Gwenn Boardman Petersen uses Snow Country as an example of how he often composed his works. While writing that Japanese novelists often publish "their works in serial form and under various titles" she observes Kawabata is "further noted for his habit of rewriting, adding segments, and making changes in titles and content alike."[3] The first segment, titled Yugeshiki no Kagami ("Mirror of the Evening Scene") appeared in Bungeishunjū January 1935. Kawabata later wrote that he could not finish his manuscript by the submission deadline of this literary journal, and decided to keep writing and submit a second version of this segment, titled Shiroi Asa no Kagami ("Mirror of a White Morning") to the general-interest magazine Kaizō several days later.

Kawabata continued to write about the characters, and five more segments were published over the next years: Monogatari ("Story" or "Tale") and Toro ("Futile Efforts") appeared in the journal Nihon Hyoron in the November and December 1935 issues; Kaya no Hana ("Miscanthus Flower") appeared in Chuo Koron August 1936; Hi no Makura ("Pillow of Fire") in Bungeishunjū October 1936; and Temariuta ("Handball Song") was published in Kaizō May 1937. He combined these segments into a "complete" Snow Country, making numerous changes to the texts as they appeared in the journals, which was published in June 1937.[4]

Kawabata restarted work on the novel after a three-year break, again adding new chapters and again publishing in two separate journals, in 1940 and 1941. He re-wrote the last two sections, merging them into a single piece, published in a journal in 1946. Another additional piece arrived in 1947. Finally, in 1948, the novel reached its final form, an integration of nine separately published works.

Kawabata himself visited the Yuzawa onsen and worked on the novel there. The room in the hotel where he was staying is preserved as a museum.[1]

Kawabata again returned to Snow Country near the end of his life. A few months before his death in 1972, he wrote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work, which he titled "Gleanings from Snow Country", that shortened the novel to a few spare pages, a length that placed it among his Palm-of-the-Hand Stories, a form to which Kawabata devoted particular attention for more than 50 years. An English translation of "Gleanings from Snow Country" was published in 1988 by J. Martin Holman, in the collection Palm-of-the-Hand Stories.[5]

Plot[edit]

Onsen geisha Sayo Masuda, on whom Kawabata is said to have based the character Komako in the novel.[6]

Snow Country is a stark tale of a love affair between a Tokyo dilettante and a provincial geisha that takes place in the remote hot spring (onsen) town of Yuzawa.[1] (Kawabata did not mention the name of the town in his novel.)

The novel opens with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Shimamura, riding a train to a remote onsen town. Shimamura is a rich, married man, who inherited his wealth, and a self-professed ballet expert. During the train ride, he observes a young woman (who is later revealed as Yoko) caring for a sickly man (named Yukio). He observes the woman through a reflection in the train window, and is particularly enthralled by her eyes, as well as the sound of her voice.

Shimamura's purpose for going to the onsen is meeting a young woman, Komako, with whom he had a brief encounter during his previous stay. Although she wasn't employed as a geisha during his first stay, her situation is changed during his second visit. Shimamura is attracted to the young geisha, although his affection proves to be inconsistent and uncertain over time. However, Komako falls in love with Shimamura, which goes against the geisha tradition of meeting the customers demands without any emotional attachment. Throughout their conversations, a number of things about Komako's life is revealed: her becoming a geisha to pay for Yukio's hospital bills, their rumored engagement, Komako and Yukio's strained relationship, how she came to live with Yukio and his mother, and her life as a full-time geisha.

The climax of the novel happens during one of Komako's visits to Shimamura's room at the onsen inn. During their conversation, Shimamura calls her a "good woman", instead of a "good girl". This change of wording used to describe Komako reveals that the two of them could never be together, while Komako's hopes of a better and happier life with Shimamura remains just a delusion.[7]

At the very end of the novel, a fire occurs in the town warehouse, which was at the time being used as a cinema. Shimamura and Komako come to observe the fire, and see Yoko falling lifelessly from the warehouse balcony. Komako carries Yoko's body away from the burning warehouse, while Shimamura slinks back, observing the night sky.

Major themes[edit]

The modern and traditional[edit]

Snow Country was written during a period of japanese militarism, and a number of modern inventions can be seen in the novel, which include a train, a snowplow, and an electric avalanche warning system. Kawabata saw no conflict between the modern and the traditional, but saw modern inventions as part of the traditional Japan. This can be seen in the train scene,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novel, during which the protagonist observes the beautiful eyes of the female passenger. The electric light of the train thus facilitates traditional esthetic expression. Various modern inventions are treated as a normal part of life in the rustic onsen town.[8]

Beauty[edit]

This novel, like others Kawabata wrote, vividly depicts the psychic cost of aesthetic appreciation, as well as its effect on minds susceptible to beauty.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is often taken out of the real world and into the dream world of his own mind after witnessing beauty. Furthermore, this beauty makes the oblivious to the world around them: e.g. after observing Yoko's eyes in the train, or seeing the Milky Way during the fire at the end of the novel. This beauty often leads to Shimamura acting cold or cruel, as when he calls Komako a "good woman" after observing her in the moonlight.[9]

It can also be noted that all depictions of beauty in the novel include an element of sadness: loneliness in the beauty of nature, sadness in Yoko's beautiful voice, wasted beauty of Komako, as well as the wasted effort in an act of love.[10]

Reception[edit]

Edward Seidensticker, noted scholar of Japanese literature whose English translation of the novel was published in 1956, described the work as "perhaps Kawabata's masterpiece." According to him, the novel reminds one of haiku, both for its many delicate contrapuntal touches and its use of brief scenes to tell a larger story.

Snow Country received favorable reviews both at time of its publishing, and over the following years. The Times stated: "He has fashioned an idyll out of unpromising material," while Eileen Fraser of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said of "Mr. Kawabata's beautifully economical novel," "This is a finely written book, excellently translated." Jason Cowley has called Snow Country "...perhaps his finest work."[11]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c Asenlund, Dan (3 January 2015). "In Kawabata's footsteps to 'Snow Country'"Japan Times. Retrieved 18 October 2015.
  2. ^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68"nobelprize.org. Retrieved 6 January 2021.
  3. ^ Petersen, The Moon in the Water: Understanding Tanizaki, Kawabata, and Mishima (Honolulu: University Press of Hawaii, 1979), p. 125
  4. ^ Petersen, The Moon, pp. 125, 195
  5. ^ Kawabata, Yasunari (1988). "Gleanings from Snow Country". Palm-of-the-Hand Stories. J. Martin Holman.
  6. ^ Fox Butterfield, "Snow‐Country Japanese Feel Less Isolated"New York Times, first published 25 January 1975
  7. ^ "Snow Country by Yasunari Kawabata"japanpowered.com. March 2020. Retrieved 6 January 2021.
  8. ^ DeVere Brown, Sidney (1988). "Yasunari Kawabata (1899-1972): Tradition versus Modernity"World Literature Today62 (3): 376. doi:10.2307/40144283JSTOR 40144283. Retrieved 6 January 2021.
  9. ^ Phillips, Brian (2006). "The Tyranny of Beauty: Kawabata"The Hudson Review59 (3): 420–421. JSTOR 20464602. Retrieved 6 January 2021.
  10. ^ Cahyaningati, Desi Tri (2018). "Portraying the Wabi Sabi Philosophy of Beauty in Kawabata's Snow Country"Dinamika: Jurnal Sastra Dan Budaya6 (1): 637. doi:10.25139/dinamika.v6i1.1181S2CID 191983933. Retrieved 6 January 2021.
  11. ^ "Snow Country by Kawabata Yasunari"complete-review.com/. Retrieved 6 January 2021.

Bibliography[edit]

Publication history[edit]

  • 1956, Snow Country. New York: Knopf. OCLC: 3623808. Paperback. (translated by Edward G. Seidensticker).
  • 1957, Snow Country. Tokyo: Charles E. Tuttle. OCLC: 29197673. Paperback.
  • 1986, Snow Country and Thousand Cranes. UK: Penguin. ISBN 0140181180. Paperback.
  • 1996, Snow Country. New York: Vintage. ISBN 0-679-76104-7. Paperback.

External links[edit]




==

설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설국
雪国
Matsuei.jpg
저자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
삽화가세리자와 케이스케(芹沢けい介)
언어일본어
장르장편소설
출판사소겐샤
발행일1937년 6월 12일
설국
일본어식 한자 표기:雪国
가나 표기:ゆきぐに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유키구니
로마자:Yukiguni

《설국》(일본어雪国 유키구니[*])은 일본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 소설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작품이다. 1935년부터 '분케이슌주'(文藝春秋(문예춘추)) 등의 잡지를 통해 연재되었으며, 1937년 처음 간행된 이래 내용 보강을 거쳐 1948년에 완전판이 공개되었다. 작가는 1968년 이 작품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온천 마을을 배경으로 게이샤 고마코(駒子), 소녀 요코(葉子)와 주인공 간의 인간관계가 일본적인 관점의 서정적인 표현으로 묘사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등장인물[편집]

  • 시마무라(島村) : 물려받은 유산으로 무위도식의 생활을 보내고 있는, 외국 무용의 비평이나 프랑스 문학의 번역 등을 하고 있는 문필가. 기혼.
  • 고마코(駒子) : 동기(童妓) 시절 몸 값을 지불해준 남편의 사망 후 온천으로 들어옴. 춤 스승의 아들인 유키오의 치료비를 벌기 위해 게이샤로 일함.
    유키오와 혼담 얘기가 있었음. 요코와 설명하기 어려운 동질감을 갖고 있음.
  • 요코(葉子) : 유키오의 새로운 애인. 유키오를 간호하기 위해 간호사 공부를 함. 유키오가 죽고 나서 온천에 정착. 화재 사건 때 사망.

줄거리[편집]

국경[1]의 긴 터널[2]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
(国境の長いトンネルを抜けると雪国であった。夜の底が白くなった。信号所に汽車が止まった。)
 
— 소설의 첫 문장

소설의 주인공 시마무라는 무용 연구가이다. 그는 북쪽 지방 눈이 많이 내리는 온천 거리의 고마코라는 기생에 끌려 몇 년 동안 계속 온천장에 찾아오곤 한다. 물론, 적극적으로 그 여인에게 구애를 하기 위함도 아니요, 헛되고 보람 없음을 알면서도 시마무라의 마음은 그녀에게 끌린다. 그때, 고마코를 통해 알게 된 젊은 요코. 시마무라에 대한 고마코의 사랑이 점차 고조되는 가운데 시마무라는 여인의 아름다움에 깊이 매혹되면서도 요코의 신비스러움과 지순함에 아름다움의 극치를 느끼게 된다. 소설의 결말에서 화재로 인한 여인의 죽음으로 이야기가 끝나지만, 죽음 자체도 아름다운 환상의 세계처럼 그려지고 있다.

집필[편집]

《설국》이 전개되는 구체적 무대는 니가타현의 에치고유자와(越後湯澤) 온천으로, 작가는 이곳에 직접 머물면서 작품을 집필해 나갔다. 이는 자연 풍경 묘사에 대한 작가의 관심 때문으로 여겨지는데, 계절의 변화를 관찰하며 집필했다.[3]

작가와 작품간의 관계[편집]

어려서부터 부모, 누나, 조부모의 죽음을 차례로 겪으며 혼자 남은 쓸쓸함과 외로움을 견뎌야 했던 가와바타는 중학 시절, 화가가 되려던 꿈을 바꾸었다. 그러면서 그는 1924년 《문예시대》를 창간하면서 가와바타가 요코미쓰 리이치와 함께 하면서 전개한 '신감각파 운동'은 소박한 현실 묘사와 재현에만 머물러 있는 종래의 문학을 벗어나, 현실을 주관적으로 파악하여 지적으로 구성된 새로운 현실을 풍부한 감각의 세계로 창조하려는 시도였다. 이를 '설국'에 적용했다고 흔히 본다.[3]

각주[편집]

  1.  군마현과 니가타 현의 접경을 말한다.
  2.  군마 현과 니가타 현을 잇는 시미즈 터널을 가리킨다.
  3. ↑ 이동:  시마무라 혹은 가와바타의 눈 - 유숙자, 《세계문학전집, 61》(계명대학교 일본어 학과 교수)

===

설국 (소설)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설국
번역제설국
작가가와바타 야스나리
국가일본의 국기 일본
언어일본어
장르장편 소설
발표 형태잡지 게재
초출정보
첫출저녁 경치의 거울  -「문조 춘추 1935 년 1 월호 
하얀 아침 의 거울개조」1935년 1월호 평론 '1935년 12월호 '萱の花' - ' 중앙공론 ' 1936년 8월호 불의 베개 ' - '문예춘추' 1936년 10월호 수반가 ' - '개조' 1937년 5월호 설중 화사공론_ _ _ _ _







1946년 5월호
속설국」-「소설 신조1947년 10월호
출판 정보
간행설국창원사 1937년 6월 12일
장폐:세리자와 슌스케
완결본 『설국』 창원사 1948년 12월 25일
정본설국목 양사 1971년 8월 15일 제목: 가와바타 야스나리 설국초 ' 호루푸 출판 1972년 12월 1일
수상
제3회 문예 간호회 상(1937년)
Portal.svg 위키 포털 문학 포털 서적Portal.svg
템플릿 보기

설국 '(유키구니)은 가와바타 야스나리 의 장편 소설 이다. 명작으로서 국내외에서 유명하다. 설국을 방문한 남자가, 온천마을에서 한결같이 살아가는 여자들의 여러상, 흔들림, 정해지지 않는 생명의 각 순간의 순수를 바라보는 이야기 [1] . 사랑하고 사는 여자의 열정의 아름답고 슬픈 도로가 남자의 허무에 날카롭게 된 거울과 같은 심리의 정정에 비추면서 미적으로 추출되어 그려져 있다 [1] .

1935년 (쇼와 10년)부터 각 잡지에 단속적으로 단장이 쓰여져 초판 단행본 간행시인 1937년 (쇼와 12년) 7월에 문예 간화회상을 수상했다. 그 후도 약 13년의 세월이 기울어져 최종적인 완성에 이르렀다 [2] [3] .

발표 경과 편집 ]

『설국』은, 처음부터 기승전결 을 가지는 장편으로서의 구상 이 정리되어 있던 것은 아니고, 이하와 같이 복수의 잡지에 간헐적으로 각 장이 연작으로서 써 계승되었다 [3] .

  • 1935년 (쇼와 10년)
    • 저녁 경치의 거울 ' - ' 분예춘추 ' 1월호
    • 하얀 아침 거울 ' - ' 개조 ' 1월호
    • 이야기 ' - ' 일본평론 ' 11월호
    • 도로 ' - '일본평론' 12월호
  • 1936년 (쇼와 11년)
    • '萱の花' - ' 중앙공론 ' 8월호
    • 불의 베개 ' - '문예춘추' 10월호
  • 1937년 (쇼와 12년)
    • 수담가 ' - '개조' 5월호

이상의 단장을 정리해, 신작 신고를 더한 단행본 「설국」은, 1937년(쇼와 12년) 6월 12일에 창원사로 부터 간행되어, 7월에 제3회 문예 간화회상을 수상 [ [주석 1] . 또한 속편으로서 이하의 단장이 각 잡지에 게재되었다.

  • 1940년 (쇼와 15년)
    • 설중화사 ' - ' 공론 ' 12월호
  • 1941년 (쇼와 16년)
    • 하늘의 강 " - "문학의 봄과 가을" 8월호
  • 1946년 (쇼와 21년)
    • 설국초 '('설중화' 개고) - ' 효종 ' 5월호
  • 1947년 (쇼와 22년)
    • 속설 국」(「천의 강」의 개고) - 「소설 신조」10월호

이상의 속편을 더해 최종적인 완성작이 되어, 「속설국」까지 수록한 완결본 「설국」은, 「후퇴」를 붙여 다음 1948년 (쇼와 23년) 12월 25일에 창원사 더 간행되었다 [3] [4] .

그 후, 신시오샤 에서 1949년 (쇼와 24년) 6월 간행의 『카와바타 야스나리 전집 제6권』(전 16권본)이나, 1960년 (쇼와 35년) 6월 간행의 『카와바타 야스나리 전집 제5권』 (전 12권본)에 수록의 때와, 한층 더 1971년 (쇼와 46년) 8월에 목양사로부터 「정본 눈국」간행 때에도, 카와바타 본인에 의한 도끼 가 추가되었다 [3] . 또 가와바타 사후의 1972년 (쇼와 47년) 12월에는, 원고 복각판 「설국초」가 호루푸 출판 보다 간행되었다 [4] .

본인의 도끼 후의 정고는, 1980년 (쇼와 55년) 4월 간행의 「카와바타 야스나리 전집 제10권」(전 37권본)에 수록되어, 전술에 병렬한 도끼 전의 프리·오리지널판은 같은 해 10월 간행의 「카와바타 야스나리 전집 제24권」(전 37권본)에 수록되어 있다 [3] .

에드워드 사이덴 스티커 번역(영제: Snow Country)을 비롯해 독일 (독제:Schneeland), 이탈리아 (이제:Il paese delle nevi), 중국 (중제:설국, 설향), 프랑스 (불제: Pays de neige) 등 세계 각국어의 번역판이 출판되고 있다 [7] .

작품 배경 · 모델 편집 ]

마츠에이. 코마코의 모델이 된 여성

'설국'의 주요 무대는, 조에쓰 국경의 시미즈 터널 을 빠진 유자와 온천 이지만, 이 작품도 ' 이즈의 무용자 '와 같이, 카와바타의 여행의 만남으로부터 태어난 것으로 [2] , 설중 의 불도 실제로 일어난 일이라고 카와바타는 말하고 있다 [8] . 가와바타는 작품내에서 고의로 지명을 숨기고 있지만, 1934년(쇼와 9년) 6월 13일부터 1937년(쇼와 12년)까지 니가타현 유자와초의 고반 료칸(현:설국의 숙소 고반 )에 체류하고 있던 것을 수필 ''설국'의 여행''에서 말하고 있다 [9] .

그 때 만난 것이 코마코의 모델이 되는 게이샤 마츠 에이 (본명은 마루야마 킥 으로, 나중에 코타카 킥 )이다 [10] [11] . 코다카 키쿠는, 1916년 (타이쇼 5년)에 니가타현 산조시 의 가난한 농가의 7명 자매의 장녀로서 태어나, 1926년 (타이쇼 15년), 세기년 11세로 산조를 떠나, 나가오카 의 게이샤 두옥 에 봉공에 나온 여성이다 [12] [10] . 그녀는 게이샤 은퇴 후, 고향으로 돌아와 결혼해, 남편과 일본옷 재단업을 영위해, 1999년 (1999년) 1월 31일 , 산조시의 병원에서 담관암 때문에 사망했다 [13] . 덧붙여 가와바타는, 주인공의 시마무라에 대해서는, <시마무라는 나가 아닙니다. 남자로서의 존재조차 하지 않고, 단지 코마코를 울리는 거울의 야한 것, 나올까>라고 말하고 있다 [14] .

1934년 (쇼와 9년)의 늦가을 무렵, 고반 여관에 숙박하고 있던 가와바타를 보았던 숙소의 차남·다카하시 유항(당시 17세)에 의하면, 가와바타는 자주 장장의 난로 뒷단 에 앉아, 아버지( 숙소의 주인)·다카하시 반자에몬이나 어머니·요키와 이야기해, 게이샤들의 일이나, 그 제도, 온천, 호설, 풍물, 습관, 식물 등을 묻고 있었다고 한다 [10] . 유항의 형·정부는, 나중에 여관을 이어 다카하시 반자에몬을 습명 하지만, 쇼오는 당시, 교토 제국 대학 에서 전학해 도쿄 제국 대학 문학부의 학생이었기 때문에, 카와바타와 친해지고 있었다고 한다 [10] .

가와바타가 체재한 고반 여관은 재건축되고 있지만, 설국을 집필했다고 하는 「카스미의 사이」는 보존되고 있다 [15] [16] . 또, 유자와초 역사 민속 자료관 “설국관” 에 모델의 게이샤가 살고 있던 방을 재현한 “코마코의 방”이 있어, 유자와 온천에는, 소설의 서문이 새겨진 문학비가 세워져 있다 [2] . 덧붙여 무라마츠 토모시 의 '설국'놀이'에는 모델의 마츠에이에 대해서 언급되어 있다 [17] .

설국 '이라는 타이틀이 결정한 것은 최초의 단행본 간행시로 유명한 서두문의 내보내기에 '설국'이라는 말이 나타나는 것도 이 시점 이다 첫 출지판의 「저녁 경치의 거울」에서의 서두문은 당초, < 국경의 터널을 빠져나가면, 창 밖의 밤의 바닥이 하얗게 빛나다 >가 되어 있어, 그 전단에도 문장이 있었다 가 단행본 간행시에 삭제 개고되었다 [18] . 또, 속편의 「유키나카 불사」에는 스즈키 마키유키 의 「기타코시 설보」로부터의 인용이나 참고로 한 문장도 있다 [19] [11] .

또, 작중의 시계열(3번째에 시마무라가 온천마을을 방문한 해)이, 작자의 착오에 의해 통일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것이, 몇몇 연구자에게 지적되고 있지만, 그 불 통일도 추억의 순부동의 수법에 의해, 많은 모호함이 허용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견해와 [20] , 굳이 카와바타가 실제의 기간(약 1년간)보다, 오랜 세월이 지났다 처럼 작품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11] .

개요 편집 ]

12월 초 시마무라 는 설국으로 향하는 기차 [주석 2] 속에서 병인의 남자와 함께하는 연인 같은 젊은 딸( 하코 )에 흥미를 끌린다. 시마무라가 내린 역에서 그 2명도 내렸다. 료칸에 도착한 시마무라는 게이샤의 코마코 를 부르며 아침까지 보낸다.

시마무라가 코마코를 만난 것은 작년 신록의 5월, 산책을 한 후, 첫 온천장을 방문했을 때였다. 게이샤의 손이 부족하기 때문에, 시마무라의 방에 먹이에 온 것이, 샤미센 과  견습의 19세 코마코였다. 다음날 시마무라가 여자를 돌봐달라고 고마코는 거절했지만, 밤이 되면 취한 코마가 방에 와서, 두 사람은 하룻밤을 함께 한 것이었다(이상, 회상). 코마코는 그 후 곧 게이샤 가 되었다.

낮, 겨울의 온천마을을 산책중, 시마무라는 코마코에게 초대되어, 그녀가 사는 춤의 스승의 집의 다락방에 갔다. 어젯밤 차내에서 보인 병인은 스승의 아들· 행남 으로, 붙어 있던 하코는 코마코와 알게 어려웠다. 행남은 장결핵 으로 길지 않은 생명 때문에 귀향했다고 한다. 시마무라는 사루마로부터, 코마코는 행남의 허혼 으로 , 치료비를 위해 게이샤에게 나왔다고 들었지만, 코마코는 부정했다.

시마무라는 온천 숙소에 머무는 동안 매일 밤 코마코와 보내 독습했다는 샤미센의 소리에 감동을 느꼈다. 시마무라가 돌아오는 날, 행남이 위기라고 하코가 보도하러 오지만, 코마코는 죽는 곳을 보고 싶지 않다고 하고, 그대로 시마무라를 역까지 보냈다.

다음 해 가을, 시마무라는 다시 온천 숙소를 방문했다. 작년 2월에 오는 약속을 이겼다고 코마코는 시마무라를 친숙하게 한다. 그 후, 행남은 죽고, 스승도 죽었다고 듣고, 시마무라는 싫어하는 코마코와 묘참에 갔다. 묘지에는 하코가 있었다.

코마코는 다다미 방 사이에 매일 시마무라의 방에 다녔다. 바쁜 어느 밤, 코마코는 하코에게 전언을 가져왔다. 시마무라는 하코와 말을 나누고 매력을 느꼈다. 도쿄에 갈 생각의 하코는 시마무라가 돌아올 때 데리고 가달라고 부탁해 「코마쨩을 잘 해 주세요」라고 말했다. 하코는 죽은 행남을 아직 사랑하는 것 같았다. 「코마쨩은 내가 궁금해진다고 합니다」라고 하코는 울면서 말했다. 하코가 돌아온 후, 시마무라는 다다미가 끝난 코마코를 두고 가게 (낭과자 가게의 2층에 빌려)까지 보냈지만, 코마코는 다시 시마무라와 여관으로 돌아와 술을 마신다. 시마무라가 「좋은 여자다」라고 하면, 그 말을 오해하고 화난 코마는 격렬하게 울었다.

시마무라는 도쿄의 처자를 잊은 것처럼 그 겨울도 온천장에 체류를 계속했다. 은하수의 잘 보이는 밤, 영화 상영 회장이 되어 있던 고치쿠라(겸 연극 오두막)가 화재가 되어, 시마무라와 코마코는 달려갔다. 히가키가 지켜보는 가운데 한 여자가 고치쿠라 2층에서 떨어졌다. 떨어진 여자가 하코라고 알게 된 순간에는 이제 지상에서 희미하게 경련하고 움직이지 않게 되었다. 코마코는 달려가는 하코를 껴안았다. 코마코는 자신의 희생인지 형벌인지를 안고 있는 것처럼 시마무라에는 보였다. 코마코는 “이 아이, 느낌이 틀렸어.

등장인물 편집 ]

시마무라
도쿄의 시타마치 출신. 부모의 유산으로 무위도식의 생활을 보내, 프랑스 문학 ( 발레리 이나 알란 )이나 무용론의 번역 등을 하고 있는 「문필가의 끝」. 어린 시절부터 가부키 에 익숙해져, 이전에는 일본 무용 연구에 종사하고 있었지만, 드디어 서양 무용 연구로 새장했다. 여행·등산이 취미. 도쿄에 처자 있다. 작은 뚱뚱한 색깔.
코마코
19-21세. 나방 의 고리처럼 부드럽게 늘어나는 아름다운 입술. 깨끗한 느낌의 여자. 도쿄에 팔려 먹이를 하고 남편 에 낙적되었지만 곧 남편이 죽어 17세에 고향의 항구마을로 돌아왔다. 시마무라와 처음 만난 직후인 19세 6월에 게이샤 에 나섰다. 병의 허혼 때문에 게이샤가 된 것 같다. 17세부터 계속되고 있는 남편이 미나토마치에 있지만 헤어지고 싶다.
슬픈 만큼 아름다운 목소리의 딸. 코마코가 사는 온천마을 출신의 딸로, 코마코의 허혼이라는 소문의 행남을 귀향의 열차로 갑자기 간병한다. 행남과 연인끼리 같다. 도쿄에서 간호사를 목표로 한 적이 있다. 육친은 국철 에 근무하기 시작한 동생이 한 명. 현지에 전해지는手鞠歌등을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한다.
행남
26세. 아픈 사람. 코마코가 배운 춤의 스승의 아들. 코마코와 소꿉친구. 미나토마치에서 태어나 도쿄의 야학에 다녔지만 장 결핵 을 앓고 귀향한다. 코마코의 허혼이라는 소문이지만, 코마코는 부정. 부모의 스승은 50세 전에 중풍 이 되어, 미나토마치에서 고향의 온천마을로 돌아왔다.
사이치로
하코의 동생. 철도 신호소 에서 일하는 소년. 화물열차에서 누나를 찾아 모자를 흔들어 부른다.
온천 마을 사람들 등
여관의 번두, 주인, 오카미, 여중. 게이샤들. 숙소의 유녀. 사루마 의 여자. 철도 신호소의 역장. 기차 승객. 러시아 여자 물건 판매. 두 가게 의 과자 가게의 가족. 운전자. 축산 지」의 마을의 우동 가게의 여자.

작품 평가·연구 편집 ]

'설국'은 가와바타 문학을 대표하는 명작으로 불리고 있다. 해외에서도 평가는 높고, 카와바타가 수상한 노벨 문학상 의 심사 대상이 된 작품이기도 하다 [18] . 또 쓰여진 당시는 일본 국외에 있는 일본인이 고국의 향수를 초대하는 작품으로서 사랑받고 있었다고 한다 [21] [19] . 카와바타는 그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의 작품 중 이 '설국'은 많은 애독자를 가진 분이지만, 일본의 나라 밖에서 일본인에게 읽혀졌을 때에 회향의 정을 일입 알았다. 이것은 나의 자각을 깊게 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후기」(완본 『설국』), ‘독영자명――작품자해’에 재록 [21]

고바야시 히데오 는, 「불의 베개」의 장이 발표된 시점에서, 작품의 주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가와바타의 「 정성」으로서, 그 본질을 이하와 같이 해설하고 있다 [22] .

여기에 그려진 게이샤 등의 모습도, 주인공의 허무적인 기분에 협상하고, 생각도 걸리지 않는 빛을 준다고 하는 구조에 그려져 있어, 이 구조는, 씨의 작품의 거의 어느 것에도 볼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은 또 씨의 실생활의 구조인 것이다.
가와바타씨의 흉저는, 실에 붙이고 싶어, 어지럽지 않기 때문에, 참으로 진중해야 할 필요가 없다고 나는 항상 생각하고 있다. 씨는 거의 스스로 살지 못한다. 타인의 생명 이 이 난간 속을 일종의  을 들여 통과한다. 그래서 씨는 살아있다. 이것이 씨의 생생한 발정이 태어나는 유유인 것이다. 작가의 허무감과 이부모노는 이곳까지 오지 않을 때는 진짜와는 별로 없기 때문에 결국 삼가야 할  에 불과하다.
-  고바야시 히데오 "작가의 허무감-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불의 베개'-" [22]

이토 마사루 는 '설국'의 '정정의 길을 통해 깨끗함에 있거나 심리 의 여드름의 아름다움 을 잡는다는 길'이라는 '미의 정신'은 ' 베쿠 초코 '와 배우 諧등의 맥에 통한다 하고 있다고 해, 그 일본의 정정의 고전은, 카와바타의 「설국」에 있어서 「새로운 현대인 중에, 무지개 처럼 완성되어 중공에 걸렸다」라고 평하고 있다 [23] . 그리고 『설국』의 곳곳이나 종결부에서 볼 수 있는 미묘한 묘사의 특징적인 수법은, 「현상에서 생략이라고 하는 수법에 의해, 아름다움의 정상을 추출한다」라고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초보의 독자는 거기에 특유의 난해함을 느끼고 진행된 독자는 자기의 인간관의 더러움을 잔혹하게 밀어붙일  있다 . 23] .

후쿠다 카즈야 는 "설국"을 "20 세기 10 대 소설의 일작" [24] , "유럽의 세기 말 문학의 이상, 보드 레일 이나 와일드 , 리라단 이 요구해 완수하지 않은 데카 단 의 이상을 실현해 버렸다 "작품"이라고 평가하고, 다음과 같이 해설하고 있다 [25] .

데카 댄스에는 여러가지 견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근대적 인간성을 철저히 부정하는 인휴 매니티 , 그 잔혹함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을 극한까지 밀어 진행하면 그 소설의 세계가 된다고 생각 네요. 주인공의 설정도 그렇고, 그리고 자연의 묘사군요. 인간성을 분명히 거절한 곳에서 나오는 자연을 그려서 메탈릭이라고 해도 좋은 뚫린 힘이 있고, 니히리즘 조차 필요로 하지 않는 무정함이 넘치고 있다. 있다는 감각을 가졌습니다.—  후쿠다 카즈야「본인도 컬렉션도 갖추어져」[25]

미시마 유키오 는, 「설국」의 시작의 기차의 창유리의 반영 묘사를, 「가와바타 문학의 반현실적인 잔소리가, 하나의 상징으로서 희미해지고 있다」라고 해, 그것은 마치 「철학서  서론」으로, 「각종의 철학 용어」가 정의되고 있는 바와 같이 「전편의 서곡」이 되어, 이 작품 중에서의 「인물」 「풍경」 「자연」 「사건」이 무엇인가가, 「미리 제시되어 히소카 에 답에 다해 왔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1] .

그리고 전편을 읽은 후를 깨닫는, 그 서곡의 의미에 대해 미시마는, 작중의 인물들(코마코와 하코)가 <이상한 거울 속>에서, <꿈의 카라쿠리>와 같이 바라볼 수 있는 존재로, 독자나 시마무라에게 < 슬픔 을 보고 ゐ하다고 불평하다>를 주지 않고, 작중의 풍경은 <저녁 경치의 거울의 비현실적인 힘>의 지배하에 있어, 작중의 사건도, 화사 로 하코가 2 층에서 전락해도 기차 창문에 반영한 하코의 얼굴에 불이 켜진 것과 같은 '인간과 자연이 이음새 없이 들어가는 조용한 기적의 순간'에 다름없다고 해설 하고 있다 [1] .

게다가, 그 하코의 실심한 모습을 보는 시마무라가, <시마무라는 역시 왠지 죽음은 느끼지 못했지만, 하코의 내생이 변형되는, 그 이동의 어려운 것을 느꼈다>라고 표현되어 있는 것에 미시마는 접해, 이하와 같이 해설하고 있다 [1] .

정하지 않는 인간의 생명의 각 순간의 순수 지속에만 베팅된 야나나 이 소설에, 만약 주제가 있다고 하면, 이 한구 안에 있다. (중략) 그것은 여자 의 「내 생명의 변형」의 미묘한 기록이며,이 속눈썹과 귀를 늘리기 어려운 그 「이동」의 순간의 그림 의 집성이다. 고마코도 하코도 거의 일관된 인물조차 없다. 일성격조차 없다. 그녀들은 버릇 없이 생명의 여러 상, 그 흔들림, 그 설렘, 그 변용의 어둠은 어떤 순간을 통해서만 그려지는 것이다. 작중에 몇 번이나 나타나는 ‘도로’라는 말은 무용하게 낭비되는 삶의 모습의 위험한 아름다움에 대한 반어 이다.-  미시마 유키오 "해설 설국"("일본 문학 38 가와바타 야스나리 집") [1]

또, 「방출하는 것처럼」 갑자기 카와바타가 <하늘과 산과는 조화 등을 하지 않는다>라고 쓰고 있듯이, 카와바타가 그리는 자연 묘사는 단순한 아름다운 묘사가 아니라는 것을 미시마는 지적하면서, 디테일 의 「순수한 지속」이, 독자 스스로가 그것을 합쳐 버리는 것 같은 작용을 가져오는 「설국」을 「독특한 소설」로 하고, 「동시에 또, 항상 보편적인 소설인 것이다」라고 평하고 있다 [1] .

우메자와 아유미 는, 카와바타가 「아사쿠사 홍단」으로 도시 를 그린 직후에 「설국」이 쓰여진 시점으로부터 고찰해, 「포기의 세계인 도시」로부터 도피해 온 시마무라는, 「비현실적인 설국의 세계」를 요구했지만, 거기에도 「도쿄 에 흩어진 남자를 둘러싼 삼각관계 와 도쿄를 짊어지면서 설국에 묻혀가려고 하는 여자」를 보게 되어, 「아름다운 비현실의 세계」만 아니고, 시마무라가 도망 온 「도쿄의 그림자」가 거기에 붙어 있다고 해설하고 있다 [26] .

그리고 설국을 떠나야 하는 시마무라가 아름다운 은하수 를 본 직후에 설국에서 마지막으로 본 화재의 허무한 광경은 절망 과 실의를 지니고 있지만, 마지막에 시마무라 속으로 은하수가 소리를 내며 하고 흘러내리는 것처럼 느낀 것은, 그러한 모든 것을 초월한 것을 느꼈다고 하고 [26] , 「거기에는 모든 것을 압도해, 감싸 버리는 것 같은 “자연의 힘”이 있다”라고 우메자와는 고찰 하고 있다 [26] .

서두문의 「국경」을 읽는 방법 편집 ]

본작의 시작문, <국경이 긴 터널 을 빠져나가면 설국에서 아츠타>라는 글 속에서 이 '국경'을 읽는 방법에는 '쿠니자카이'인지 '코쿄'인지 라는 논의가 있지만 하세가와 이즈미 는 「쿠니자카이」가 옳다고 해서 「이것으로는 가와바타 야스나리와도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다」라고 말하고 있다(가와바타의 발언은 불명) [18] .

「국경」을 「쿠니자카이」라고 읽는 것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이 「국경」이란, 과거의 영제국  우에노  ( 군마현 )과 에치고국 ( 니가타현 )의 경계라는 의미이며 , 일본 국내에서의 구령제국의 경계를 읽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쿠니자카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고쿄」라고 읽는 것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조에츠 국경 은 「조에츠 코쿄」라고 읽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하고 [주석 3] , 카와바타 자신도, 「코쿄」라고 읽는 것을 인정하는 발언을 하고 있었다 [27] 라고 주장한다. 카와바타와 타케다 카츠히코와의 대담에서는, 카와바타가 「조에쓰 국경이나 신에츠 국경이라고 합니다만. (쿠니자카이) 쪽  …

덧붙여 일본국어대사전 제2판( 쇼가쿠칸 )의 기술은, 「코우-코우[코쿠캬우] 【국경】 나라와 나라와의 경계선.일본에 있어서는, 근세까지 행정상의 한 구획을 이룬 땅( 「쿠니(나라)」)의 경계를 가졌다. (중략) 거칠게. ”라고 하고 있다. 이 초판에서는 「코쿄」의 예문으로서 이 부분이 취해지고 있다.

철도와 관련된 콩 지식 편집 ]

「긴 터널」이라고 하는 것은 조에쓰선의 시미즈 터널 로, 처음에 열차가 멈춘 「신호소」는 토타루 신호장(현, 토타루역 )이다 [29] . 덧붙여 「설국」본문에는 <기차>라고 있어, 텔레비전등에서 소개될 때에도 증기 기관차 에 견인된 열차의 영상이 함께 나오는 일이 있지만, 조에쓰선의 해당 구간은 장대 터널 의 연해 대책을 위해 처음부터 직류 전기화로 개업하고, 열차는 전기 기관차 견인이었다 (특히 노인)).

시미즈 터널이 있는 유후소역 -도타루역 사이를 복선 으로 할 때, 신시미즈 터널 이 절삭되어, 1967년(쇼와 42년)보다 하행선용으로서 공용을 개시했기 때문에, 구래의 시미즈 터널은 상향선용이 되었다 했다. 그 때문에 현재, 카와바타가 집필한 당시의 시미즈 터널을 빠져 '설국'을 방문할 수 없다.

한때 조에쓰선에는 이 소설에서 애칭 을 취한 급행열차「유키구니」가 운행되고 있었다(1959년 - 1965년, 때(열차) 의 항을 참조).

설국초 편집 ]

카와바타의 사후, 서재로부터 「설국초 1, 2」라고 제목을 붙인 자필의 노트 2권이 발견되었다. 말미에는 「쇼와 47년 1월 2월 쓴다」라고 기재되어 있어, 최저년에 쓰여진 것이다. 설국의 전반 부분을 단축한 내용이 되어, 코마코가 등장하지만, 그 이름은 단지 「여자」로 재기록되고 있다. '설국초'는 나중에 유고로 출판되고 있다.

주요 간행본·음성 자료 편집 ]

전집수록 편집 ]

영화 편집 ]

TV 드라마 편집 ]

TBS 계 월요일 22시대 전반 프레임
이전 프로그램프로그램 이름다음 프로그램
설국
【당 프로그램보다 드라마 프레임
간사이 TV 제작· 후지TV 계열 백설극장
설국
간사이 TV 제작·후지TV 계열 가와바타 야스나리 명작 시리즈
(없음)
설국
이즈의 무용자

라디오 드라마 편집 ]

무대극 편집 ]

만화 편집 ]

각주 편집 ]

각주 사용법 ]

주석 편집 ]

  1.  이때의 상금으로, 카와바타는 1937년(쇼와 12년) 7월에 카루이자와 에 별장을 구입했다 [5] [6] .
  2. ^ 타고 있는 열차에 대해서, 본문에서 이렇게 쓰여져 있다. 자세한 것은 #철도에 관련된 콩 지식 을 참조.
  3. 모리 요시외『 시부에 추사이』에 「젊은 단고, 남부 등의 생의 것이 혼잡해 버린다면, 엄중하게 취해(단)해 국경(「코쿠캬우」와 루비)의 밖에 체로로 운후이다”라는 예가 있다.

출처 편집 ]

  1. ↑ g 「해설」(『일본의 문학 38 가와바타 야스나리 집』중앙 공론사 , 1964년 3월). 작가론 1974 , pp. 84–102, 미시마 32권 2003 , pp. 658–674
  2. ↑ d 「『설국』으로」( 앨범 카와바타 1984 , pp. 32–64)
  3. ↑ e 타무라 쇼쇼 “설국”( 사전 1998 , pp. 364–367)
  4. ↑ c 「저서목록――단행본」(雑纂2 1983 , pp. 593–616)
  5.  "가을 바람 고원 -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 (풍경, 1962년 11월-1964년 12월, 부서진 続에 연재).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Xinchaosha, 1966년 5월), 수필 3 1982 , pp. 224–265, 2013년 수필집 , pp. 129–187에
  6.  「제3장 천객 만래의 날들――만슈행」( 히데코 1983 , pp. 75–156)
  7.  「번역서목록」(雑纂2 1983 , pp. 649–680)
  8.  「가와바타 야스나리씨에게 듣는다( 미시마 유키오 와 나카무라 미츠오 와의 좌담회)」( 미시마 유키오 편 『문예 요미모토 가와바타 야스나리〈가와데 페이퍼 벅스 16〉』가와데 서방 신사 , 1962년 12월). 미시마 39권 2004 , pp. 379–400에 소수
  9.  「『설국』의 여행」(세계의 여행·일본의 여행 1959년 10월·제3호). 평론 5 1982 , pp. 170–174, 수필집 2013 , pp. 424–429에 소수
  10. d 다카하시 유항「『설국』의 모델 고――에치고 유자와의 가와바타 야스나리」(인간 부흥 1972년 추계호·11월호). 신도 1976 , pp. 354ff에 발췌 게재
  11. c 「제3장 사랑의 묘표와 <미카미>의 소생――자기 확립에 제4절 투과하는 <미>『설국』」( 모리모토·가미 2014 , pp.
  12. 사와노 쿠오『소설 가와바타 야스나리』( 중앙 공론사 , 1974년 4월)
  13. 카와바타 야스나리 「설국」의 히로인이 사망 「코마코」의 모델·코다카 키쿠씨, 83세 , ZAKZAK, 1999년 2월 4일. 인터넷 아카이브 캐시)
  14. ^ 「이치쿠사 이치카――20」(나중에 「『설국』에 대해」라고 개제)(풍경 1968년 12월호). 평론 5 1982 , pp. 194-195에 소수
  15. ↑ “ “설국”의 세계 ”. 설국의 숙소 고반. 2016년 7월 10일 열람.
  16. 후지쿠라 토모라 “도해에 가는 역사 산책<미나미우오누마>”( 니가타 일보 사업사 출판부) p.23
  17. ↑ 무라마츠 토모시「「설국」놀이」( 항문사 , 2001년 4월)
  18. ↑ c 「추애미의 극치『설국』」( 사랑과 아름다움 1978 , pp. 99–172)
  19. b 「후퇴」(『카와바타 야스나리 전집 제6권 유키쿠니』 신시오샤, 1949년 6월). 독영자명 1970 , pp. 129-147에 소수
  20. ↑ 오카모토 1981
  21. b 「후퇴」(완본 「설국」창원사 , 1948년 12월). 평론 5 1982 , pp. 619에 소수. 독영자명 1970 , pp. 129–131
  22. b 고바야시 히데오「문예 시평(일) 작가의 허무감―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불의 베개』―」( 보지 신문 1936년 9월 27일호). 모리모토 · 위 2014 , pp. 372–373, 389
  23. ↑ ab 이토 마사루  『설국』에 대해」( 설국·신조 2003 , pp. 167–172)
  24. ↑ 후쿠다 카즈야「20세기 소설 베스트 10권」(분예 춘추 2007년 1월호)
  25. ↑ b 후쿠다 카즈야( 다카하시 츠지 로와의 대담) “본인도 컬렉션도 갖추어진다”( 예술 신 시오 “놀아라! 카와바타 야스나리 컬렉션” 2007년 2월호)
  26. ↑ c 우메자와 1992
  27.  “가와바타 야스나리씨의 추억으로”(소노시트 첨부 월간지 “ 아사히 소노라마 ” 제150호, 1972년 5월호)
  28. ↑ 다케다 카츠히코 와의 대담 “좌담회 가와바타 야스나리씨에게 듣는다”( 국문학 1970년 2월호)
  29. ↑ Jun Si Shengyi 의 "주석" ( 설국, New Wave 2003 , pp. 149–158)
  30. ^ 川端, 康成、Benl, Oscar(日本語)『이즈의 무희 ; 천 개의 크레인 ; 눈나라 ; 교토 : 엄선된 작품』 Carl Hanser、1968年
  31. ↑ 설국 (1957) Yahoo! 영화
  32. ^ 「야행――설국」( 나츠카시 1989 )
  33.  「기시에코――설국」( 나츠카시 2 1990 , p. 51)
  34.  “이와시타 시마――설국”( 나츠카시 2 1990 , p. 36)
  35. 프로그램 에피소드 문호의 세계에의 초대 ~대작가의 작품의 드라마화~ -NHK 아카이브스

참고 문헌 편집 ]

관련 항목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


===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