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6

전라도의 대학자, 일재 이항의 길을 걷다 - 전북도민일보

전라도의 대학자, 일재 이항의 길을 걷다 - 전북도민일보

전라도의 대학자, 일재 이항의 길을 걷다
최재용 정읍시 부시장
승인 2022.07.17 

우리 역사에서 16세기는 격변의 시기였다. 무오사화(연산군, 1498년)부터 을사사화(명종, 1545년)까지 일명 4대 사화를 겪으며 조선의 선비들은 정치적으로 죽임을 당하거나 귀향을 가게 되었다. 굴곡진 중앙의 정치상황은 학식과 덕망이 높은 선비들을 지역 향촌으로 옮겨가게 했고, 이들은 서원과 향약을 통해 젊은 선비를 길러내고 향촌에서 공동체 기반을 다져갔다. 그리고 1592년 임진년에 조선의 백성들은 참혹한 임진왜란을 겪으며 16세기를 지나가게 된다.

우리가 역사책에서 배우게 되는 쟁쟁한 학자들이 주로 활동하던 시기도 대체로 16세기 이때이다. 대표적으로 경상도에서는 남명 조식(1501~1572), 퇴계 이황(1502~1571)을, 전라도에서는 일재 이항(1499~1576), 하서 김인후(1510~1560)와 같은 분들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대학자들은 걸출한 제자들도 많이 배출했는데, 남명 조식은 의병장 곽재우(1552~1607)를, 퇴계 이황은 서애 유성룡(1542~1607)을, 일재 이항은 건재 김천일(1537~1593)을, 하서 김인후는 송강 정철(1536~1594)을 제자로 길러냈다.

솔직히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일재 이항은 조금 낯설기도 하다. 그렇다고 몇 글자를 통해 대학자 일재 이항의 삶과 학문을 설명하기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만 그의 가르침이 어떠했는지를 그의 제자들을 통해 짐작해 볼 수는 있지 않을까?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서 처음 의병을 일으켰고, 1593년 6월에는 권율과 의병장 곽재우마저 피하고자 했던 2차 진주성 전투에서 백성들과 함께 순국한 건재 김천일(1537~1593), 남원에서 2천여 의병을 모집해 수원 독산성 전투, 창원, 함안, 대구 등지에서 적을 무찔렀던 도탄 변사정(1529~1596), 66세의 나이에도 자신의 세 아들을 모두 데리고 의병장으로 나섰던 오봉 김제민(1527~1599), 세계문화유산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안의(1529~1596)와 손홍록(1537~1600) 등이 바로 일재 이항의 학문을 이어받은 제자들이다.


한 가지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깊은 학문과 뜨거운 우국충정으로 실천하는 삶을 살았던 일재 이항이지만, 많은 제자들이 임진왜란 시기를 통해 죽게 됨으로써 그의 학문과 사상이 온전히 지켜져 내려오기 어려웠겠다는 점이다.

걷기 좋은 계절이 오면 <일재 이항의 길>을 답사하며 일재의 행적도 살피고, 내 스스로의 삶을 뒤돌아보는 기회로 삼으면 좋겠다. <일재 이항의 길>은 정읍 태인면 분동마을에 있는 일재 이항선생의 집터에서 시작하여 정읍 북면에 있는 선생의 묘소를 거쳐 남고서원까지 걷는 길을 말한다. 사액서원이 되면서 명명된 남고서원의 ‘남고(南皐 : 남녘 남, 언덕 고)’라는 뜻은 일재 이항이 남쪽지방에 강학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학문을 논하고 가르쳤다는 뜻을 담고 있다.

참고로 <일재 이항의 길>을 가다보면 중간에 태인면 매계리 매계교회를 지나게 되는데, 매계교회는 전라도 최초의 목사인 최중진목사가 1900년에 세운 정읍 최초의 교회이다.

아쉽게도 일재 이항선생과 그의 제자들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폭넓은 학술 연구와 계승 발전의 노력이 더 필요하다. 남겨진 행적과 가르침을 심층 분석하고, 그 속에서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시대정신을 도출해야 한다. 그렇다고 한 두 해에 끝날 일도 아니다. 장기적 로드맵에 따라 행정의 체계적 지원이 중요해 보인다.

최재용 <정읍시 부시장>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