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30

손민석 박현채의 민족경제론 - 진보학계에 여전히 이어지고

(8) Facebook


손민석

박현채의 민족경제론이라는 건 내부모순의 해소를 통일에서 찾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예전에 마르크스 잘 모를 때 강만길 쪽의 사람들의 경제사를 들으면서 민족경제가 어떻고 저떻고 하길래 그게 뭔가 했다가 박현채까지 가게 됐는데 이분이 쓴 <청년을 위한 한국현대사>는 그때 봐도 대단히 과격하다 느꼈지만 지금 보면 더 과격하게 한국 현대사를 평가한다. 그땐 참 어렵게 느껴졌는데 지금 보면 그냥 그렇다. 한국 자본주의의 형성과정을 (대외)종속과 (대내의)비非민주성을 축으로 서술하며 변혁주체로서의 '청년'을 새롭게 산출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세계자본주의에의 예속/종속적 관계를 극복하고 반공권위주의 독재로 대표되는 국내의 비민주적인 요소들을 제거하면서 변혁, 사회주의로의 이행을 지향하는 입장은 박현채의 <민족경제론의 기초이론>(내가 그의 책 중에 가장 마음에 들어하는 것)을 모르면 이해하기 어렵다. 민족적 생활양식론이라든지 이런 문제까지 세세하게 다루고 있는 그의 이론체계를 살펴보면 결국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의 해소를 통일을 통한 민족경제권의 형성과 긴밀하게 연결시키고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국가독점자본주의 단계에 이르렀다고 하면서도 여전히 농촌의 농업관계는 반半봉건적이라 하는 이유도 대중운동의 경제적 기반을 고려하려다보니 좀 과도하게 이론을 적용하는 듯하고 아무튼 나름 큰 사상가라 하면 민족문제라는 지역적 문제와 계급모순이라는 세계적 문제를 통합적으로 사고하는데 박현채는 통일을 이 계급모순과 민족모순의 복합적인 연결관계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생각했던 듯하다. 마르크스의 물질대사론이나 이런 걸 민족주의적으로 재해석해서 적용하는 걸 보면 약간 감탄이 나오기도 하고.. 박현채 전집을 이것저것 뒤져보는데 아직도 확신이 서지 않는 건 세계혁명의 전망인데, 그에 대한 그의 이해가 적어도 텍스트로 구체화된 건 없는 것 같아 고민이다. 복수의 민족경제권의 자립이라는 세계사의 변동 속에서의 세계혁명은 어떻게 이뤄지는가? 잘 모르겠다. 
박현채의 민족모순과 계급모순 간의 모순적인(?) 결합관계는 이병천, 조석곤 등에게도 영향을 끼친 것처럼 보인다. 이병천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불균형 및 불화'라는 테제는 박현채의 문제의식과도 통하는 지점이 있고, 조석곤의 식민지 자본주의론 또한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불균형적 관계가 자본주의 발전의 동력도 제한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혁명론에서 후퇴하여 급진민주주의론적으로 박현채의 문제의식이 진보학계에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거라고 보는데, 기본적으로 한국의 진보적 민족주의를 1960~70년대에 근대화에 대응해 나타난 현상으로 파악한다면 국민국가가 완성된 현시점에서 그 문제의식을 이병천, 조석곤 식으로 이어가지 않는 한 이어지기 쉽지 않을 것이다.

 이 진보적 민족주의 형성에 기여한 백낙청은 계속해서 분단체제론을 민족주의적/국수주의적 성향으로부터 떼어내면서 근대기계문명 비판론으로 재정립해 생명력을 유지시키려 노력하고 있는데 오래가기 어렵다고 본다. 통일 자체가 더 이상 핵심적인 문제가 될 수 없고, 그것을 근대기계문명 비판과 연결시켜 파악하려면 "한반도식 나라만들기"가 갖고 있는 국민국가적 혐의를 완전히 지워야 하는데 쉽지 않아 보인다. 민족모순과 계급모순 간의 관계에서 민족모순을 통일지향으로 해석하기는 점점 어려워지고 사실상 근대국가 내부의 이주노동자 문제로 치환되고 있는 현실에 맞춰서 이론을 재구성해야 할 필요성이 강해지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통합적인 이론체계가 집단적 연구를 통해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1960~1980년대까지의 한국의 진보적 민족주의가 민중적 민족주의론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경제학에서부터 미학이론에 이르기까지 자발적으로 체계화 작용을 거쳤던 것과 달리 지금은 그런 운동이 나타나지 못하고, 그럴 수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 결국 정당이 그런 걸 해야 할텐데..  

 좀 잘돼서 '21세기형 세계시장과 지역적 자본주의, 그리고 임금농노제'라는 내 키워드로 그런 집단적 흐름을 만드는데 기여해보고 싶다. 세계혁명까지는 바라지도 않고 한국이 일본의 높은 기술력과 생산력을 가져오는 것까지만 내가 살아 있는 동안에 실현되어도 참 대단한 것 아닌가 싶고.. 일본정도는 한국이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생각돼서 마음이 급하다. 인구문제로 한국은 장기간 버티기 어렵다. 앞으로 20년정도가 최대가 아닐까 싶고.. 약간 요즘에는 내 살아있을 때 젊어서는 중위 자본주의에서 선진 자본주의까지 올라가는 걸 보고 나중에 나이 들어서는 다시 중위 자본주의로 후퇴하는 걸 보면서 죽게 되는건가 하는 걱정도 들고 그렇다. 국가에게 서둘러 대책을 마련하라고 매번 시위에 나서는 이 나라의 정치문화상 그렇게까지 후퇴하지는 않겠지만 언제까지 우리는 이 좁은 반도에 갇혀 섬처럼 살아야 하는건지.. 이왕 섬을 할거면 바다를 면으로 관할하는 것까지는 가야 그 너머를 논할텐데 하는 아쉬움이 크다. 
 아무튼 우리 세대에서 좀 큰 사상가가 나오려면 박현채의 사상이 붕괴하면서 무(無)사상적인 상황이 되어버린 1990~2020년대까지를 사상사적으로 해명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민중적 민족주의'가 붕괴하고 거의 30여년을 별다른 정치적 변혁 없이 경제성장에 의존해서 사회적 갈등을 무마시키며 중위 자본주의에서 고위 자본주의로 이동하던 사회가 이제는 중국공산당의 표현처럼 "전략적 기회와 위험의 시대"를 맞이해 사상과 가치를 다시 논해야 하게 됐는데 그게 될지 모르겠다. 사람을 모아서 함께 그런 걸 해보고 싶고.. 그런 의미에서 박현채에 관한 글 하나 정도는 써야 할 것 같아 요즘 계속 전집을 뒤적뒤적 하고 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