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종교정책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1)안 유 림
----
목 차
Ⅰ. 머리말
Ⅱ. 종교별 정책사 연구동향과 과제
Ⅲ. 맺음말
Ⅰ. 머리말
한 사회의 종교정책은 근대적 기본권의 핵심인 ‘양심의 자유’ 그리고 그에
기초하는 ‘종교의 자유’ 보장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일제강점기 종교정책은
식민지 조선인의 ‘근대적’ 기본권이 어느 정도로 보장되었고 얼마나 침해되
었는지를 보여주는,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를 평가하는 주요한 바로미터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일제강점기 종교정책은 ‘식민지 근대’의 문제를
논의할 때 검토되어야 할 주요 과제의 하나이다. 또한, 일제강점기 종교정책
은 종교적 위계질서의 꼭대기에 위치했던 국가신도와 기타 종교들과의 관계
를 규명하여 천황제 국체론을 이념으로 했던 일본제국의 본질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직접적인 창구이기도 하다. 나아가 일제강점기 민족운동의 하나
로 분류되는 종교계 민족운동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기 위해서도 필요
한 연구 주제이다.
연구의 필요성에 비해 그간 일제강점기 종교정책사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
어 오지 못했다. 종교정책사는 식민정책사의 한 분야이면서 개별 종교사의
일부로 연구되어 왔다. 근대 종교정책사는 현대 한국의 종교양태나 종교정책
에 영향을 미친 과거사로서 한국사 내의 독립적인 연구 분야이지만, 개별
종교사의 통사적 정립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기도 했다. 이러한 종교정책사
특유의 위치는 연구의 동력으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한계로도 작용해 왔다.
실제로 일제강점기 종교정책사에 대한 초기의 서술들은 전자보다는 후자의
필요에서 시작되어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기보다는 개별 종교사의 배경으
로 다루어졌고, 여전히 그러한 경향이 짙게 남아있다.1)
그런데 개별 종교사의 일환으로서 종교 성장사 혹은 수난사의 배경으로
서술되어 온 종교정책사의 문제는 사실 일제강점기 식민정책사의 문제점들
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일제강점기 정책사는
민족운동사에 비해 관심이 적은 분야로, 연구성과의 축적 정도에 있어서도
불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그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정태적인 연구에 머물러
있는 측면이 많다. 최근에는 일부 정책 입안자․담당자들을 분석하거나 식민
지 간의 정책을 비교하는 등 연구 시야를 확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정책
자체만을 평면적으로 분석하는 전통적인 정책사 연구의 틀을 뛰어넘었다고
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일본 본국의 정책과 연동되어 움직이는
식민지 정책의 성격 분석, 정책에 대응한 식민지인들의 움직임과 그 상호관
계 속에서 발생하는 정책의 변동 상황, 정책의 주요 도구로 기능했던 식민지
법제의 구체적인 운용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규명되어야만 역동적인 정책사
서술이 가능해질 것이다. 종교정책사 역시 식민정책사의 일환으로서 동일한
한계점들을 공유하고 있어 그 극복이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위와 같은 한계점들을 염두에 두고 그동안 진행되어온 일제강
점기 종교정책사의 현황을 정리하고 이 분야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보
려 한다. 연구사 정리는 2000년대 이후의 연구성과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분류 방법으로는 일제강점기 종교위계화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당시의 공인교체제의 틀을 활용하겠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