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23

김종민 "근대화"를 주제로 매월 1회 [서래포럼] 공부모임

(2) Facebook

" 근대적 사고가 필요한 이유는 근대적 사고가
인간을 더 인간답게 만들어주는 방향으로 역사를
전개시키기 때문이다 "
586세대로서 서울신문 정치부장, 논설실장을 지낸
저자의 '못난 조선' 시리즈를 읽는 내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하지만
과연 우리에게 역사는 무엇인지, 조선이 남긴 전근대의 유산을 극복하고 미래의 힘을 얻는 방법은 무엇일지 생각이 떠나지 않았습니다.
일본 메이지유신에 운명을 던진 유신지사가 당시
인구 3,500만명 중 200만명(5.7%), 조선의 갑신
정변 때 인구 1,200만명 중 개화파는 200명 정도
(0.001%)의 차이가 조선과 일본의 운명을 갈랐다는 지적이 오래 기억에 남습니다.
결국 우리도 정치권이나 다른 남탓을 하기 전에
스스로가 문제를 인식하고 강력한 의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천 없이는 아무 것도 변하는 것은
없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 1년간 페이스북에서 만난 분들끼리 "근대화"를
주제로 매월 1회 <서래포럼> 공부모임을 해왔는데
서래마을 제 사무실에서 모이다 보니 이름도 그렇게
짓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현재 혼란과 난맥상은 진정한 근대화가 완성되지 않아 생긴 것이 원인이고
이를 정확히 진단해서 해결방안을 마련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는 기본적 문제의식에 공감하는 분들과
뜻을 모으게 되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근대화 성취의 핵심인 법치주의가
아직 정착되지 않고 못하는 이유, 이를 가능케 하는
조건은 무엇인지 관심을 갖고 공부하려 합니다.
문화평론가 최범 선생님, 이화여대 의대 권복규
교수님, <신양반사회> 저자 김은희 교수님,
전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최진덕 선생님, 철학자
임건순 선생님 등이 참여해 주셨고,
젊은 연구자 분들도 활발히 참여해 주셔서 다양한
전문분야와 학문적 배경, 시각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작년 1년간은 비공개 공부모임 형식으로 진행
했으나 금년 1월 부터 공개모임으로 진행하기로
했고 6월에는 프레스센터에서 심포지엄 개최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2월 24일(금)에는 18:00 부터 여의도 산림비전
센터 7층 자유기업원(KBS 바로 옆)에서 대학원에서
정치철학을 전공하고 계신 김진우 님이
< 근대를 건설한 바다의 사람들 - 지정학과 근대>
라는 제목으로 발표하는 행사가 진행됩니다.
참가비 1만원 (간단한 식사, 음료, 자료 제공)
많이 부족하지만 뜻있는 3%만 있으면 모든 것을
바꾼다는 믿음을 잃지 않고 답답한 현실을 극복하고
대한민국이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주신다면 미래와 희망은 반드시 우리들과 함께
할 것입니다.
May be an image of book
All reactions:
Jeong-Woo Lee, Soon Ae Choi and 386 others
26 comments
15 shares
Like
Share

26 comments

Most relevant

  • 김승호
    공감합니다. 일본은 에도시대에 시골 지식인들도 수학문제 풀기를 즐겼기에 서양의 포병술을 도입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었고, 지방에서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약15km의 농수로를 만들어 1000ha의 토지가 혜택을 보게 하고 있었지요.
    5
  • 김용환
    조선과 일본의 운명을 가른 것은,
    개항 훨씬 이전 시점으로 봅니다.
    대원군의 쇄국정책, 그때 그 시점에선 불가피한 정책일지도 모릅니다.
    이상 전적으로 우견, 아니 느낌적 느낌
    2
    • 김용환
      故 현재민 카이스트 교수가 은퇴 후 '한국과 일본의 근대화 과정 비교' 강연을 다녔는데요,
      그 강연록을 보고 싶은 마음이 크서 부탁해 봤습니다만, 아직까지는 실패.
      3
  • 이용문
    그러고 보니 서래마을 치과갈때 입구에 변호사사무실이 보여 긴가민가 했는데 변호사님 사무실 이군요~^^ 기회가 되면 공개포럼에 참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HI Hahn
    대학시절 한 학기 동안 조선의 개항과 일본의 개국에 대해 공부한 적이 있는데 개항을 둘러싼 양국 간의 차이 내지 뿌리가 지금의 한일관계의 인식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봅니다.
  • 김태철
    참여하고 싶네요
    2
    • 김종민
      김태철 언제든 환영합니다. 매월 마지막 금요일 5시(이번에는 6시) 여의도 산림비전센터 7층에서 정기적으로 모임 진행합니다. 이번주 금요일에 ㅇ오세요 ~
      2

  • 이임숙
    비대면으로 동시에 진행하면, 멀리서도 참여 가능할텐데요..^^
    김종민 replied
     
    1 reply

  • Jin Young Bae
    성희엽 박사의 <조용한 혁명>에 의하면, 막부 말기부터 세이난전쟁에 이르는 메이지유신 과정에서 3만명이 죽었다고 합니다. 그나마 다른 유혈낭자했던 혁명들에 비하면 희생자가 적은 축에 속한다고 하죠.
    2


No comments: